KR200271546Y1 -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546Y1
KR200271546Y1 KR2020010035558U KR20010035558U KR200271546Y1 KR 200271546 Y1 KR200271546 Y1 KR 200271546Y1 KR 2020010035558 U KR2020010035558 U KR 2020010035558U KR 20010035558 U KR20010035558 U KR 20010035558U KR 200271546 Y1 KR200271546 Y1 KR 200271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nsion
wedge
fixing
tens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열
Original Assignee
(주)케이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35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546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용 케이블에 가해진 인장력을 감소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의 양단에 고정부재를 고정시키고, 고정부재에 여결시킨 보조케이블을 유압작동기로 잡아당겨 고정부재의 사이에 놓인 케이블의 보수구간에 내재된 인장력을 감소 제거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하게 케이블 절단하거나 교체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Tension remove device for repairing and exchanging of structural cable}
본 고안은 각종 구조물에 긴장되어 설치된 인장케이블의 보수 교체에 사용되는 유지보수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인장케이블에 걸려 있는 인장력을 안전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막 구조물, 교량 등의 건축 구조물에 사용되는 구조용 케이블의 종류는 형태나 용도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즉, 구조용 와이어 로프 (structural wire rope), 중·고 하중용으로 사용되는 나선형 스트랜드(spiral strand) 그리고 고하중용으로 사용되는 풀 락 코일(full locked coil)로 분류된다.
이런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에는 일반적으로 상상 이상의 엄청난 하중(또는 인장력)이 수십톤까지 부여되고 또 문제없이 이를 지지해낸다. 예를 들어, 지름이 20㎜의 경우 구조용 와이어 로프는 약 25.9톤을, 스파이럴 스트랜드는 약34.9톤을, 풀 락 코일은 약 37.5톤 이상의 최소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구조용 인장케이블은 인장구조물(돔형 건축물, 교량 등)에 매우 팽팽한 상태로 당겨져 있다. 이런 상태의 구조용 케이블을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다.
실제로 긴장된 구조용 케이블을 잘못 다루어 끊어지면 마치 활 줄이 끊어지듯이 수톤 내지 수십톤의 힘으로 절단된 케이블이 튕겨나가 인명 살상을 초래한다. 이런 예는,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무명실은 어떤 날카로운 물건이나 조그만 충격에도 십게 끊어져 버리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긴장력이 가해져 있는 구조용 케이블을 절단하여 보수, 교체코자 할 경우 인장케이블이 튕겨나가는 위험요소를 없애고, 손쉽게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장케이블의 인장력 제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의 인장력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인장력 제거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의 인장력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인장력 제거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6a,6b,6c는 다양한 구조용 케이블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웨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장케이블 21,22 : 분할블록
23 : 테이퍼구멍 24: 보조케이블 삽입구멍
25,26 : 분할블록 27 : 물림구멍
27a : 마찰요홈 40 : 보조케이블
50A,50B,50C : 웨지 51 : 산형 나사
52 : 탄성링 61 :웨지소켓
61a : 테이퍼구멍 70 : 웨지소켓
80 : 조작용 소켓 81 : 웨지조작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구조용 인장케이블(이하, '본 케이블'이라 줄임)이란 용어는 지붕막 구조물, 교량구조물 등의 건축구조물에서 수톤에서 수십톤까지 허용인장력을 갖고 있는 것을 통칭하며, 특정의 결선구조나 단면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아래에 설명된 보조케이블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고안에서 본 케이블에 가하여지 인장력(또는 긴장력)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은 도 1의 개략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이런 방법을 이용한 인장력 제거장치를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나타난 본 케이블(10)의 양단에는 수톤의 인장력 +F,+F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 본 케이블(10)의 중간을 절단한다면 마치 활줄이 끊어질때 발생되는 현상과 같이 끊어진 양측으로 빠른 속도를 갖고 강한 힘으로 튕겨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인명을 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케이블(10)의 보수구간(또는 절단구간)(L) 양측에 각기 분할되어 개폐가능한 고정부재(20,20')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때 사용하는 고정수단은 일례로, 도 3과 같이 원주상에 복수개로 분할되어 테이퍼 결합으로 쐐기 작용에 의해 조여지는 웨지(50A)가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고정수단으로 도 4와 같이 본 케이블(10)을 감싸고 있는 고정부재(25,26)를 분할형으로 하고, 고정부재(25,26)의 분할명에 긴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마찰요소 예로, 요철을 두고 통상의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다음, 보수구간(L)보다 적어도 긴 길이를 갖는 보조케이블(40)을 구비하고, 2개의 마주보는 고정부재(20,20')에 보조케이블(40)을 삽통시켜서, 보조케이블(40)이 본 케이블(10)을 중앙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보조케이블(40)은 본 케이블(10)이 갖는 강도와 허용인장응력보다 적어도 같거나 커야 한다. 그리고 보조케이블(40)의 전체 길이는 설치된 양측 고정부재 (20,20')의 보수구간(L)보다 충분히 긴 것을 사용한다.
그 다음, 유압작동기(12)를 각각 보조케이블(40)의 양쪽 끝단부에 고정시켜놓고, 유압작동기(12)를 작동시켜서 해당 고정부재(20,20')를 밀어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되면 두 고정부재(20,20')에 고정되어 있던 본 케이블(10)은 보수구간(L)내에서 인장력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반력(-F',-F')이 작용한다. 이 반력은 본 케이블(10)에 가하여져 있는 인장력을 줄이게 된다. 이 반력을 더욱 크게 하면 두 고정부재(20,20')간의 거리(L)가 더욱 좁아져 인장력은 결국 감소 제거된다.
이때 유압작동기(12)의 작동량을 한번으로 끝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조금씩 행정거리를 증가시켜 나가면서 인장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유압작동기(12)의 유압이 중단될때 마다 보조케이블(40)에서 밀려나간 고정부재 (20,20')를 보조케이블(40)측에 고정하기 위해 테이퍼로 물림하는 쐐기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이같이 본 케이블(10)에 가해진 인장력을 제거하게 되면, 최초 본 케이블 (10)에 주어진 인장력은 보조케이블(40)로 옮겨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20,20')의 마주보는 구간에서 본 케이블(10)을 안전하게 절단하고, 이 절단된 부위를 주지의 케이블 연결구로 교체한 후 이번에는 위 방법의 역순으로 보조케이블(40)에 전달된 인장력을 소멸시키고, 고정부재(20,20')로부터 보조케이블(40)을 빼내고, 본 케이블(10)에서 고정부재(20,20')를 해체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본 케이블의 인장력 제거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의 인장력 제거장치는 본 케이블(10)의 단면구조가 도 6a의 스트랜드 로프(strand rope)나 도 6b의 록 코일(locked coil)일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것이다.
도 2,3에 제1실시예의 본 케이블 인장력 제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및 제2고정블록(20,20')은 고정부재의 한 형태로서, 본 케이블(10)의 절단하고자 하는 구간(L)이 포함된 양측 개소에 설치되어 본 케이블(10)을 강하게 잡기 위한 역할을 한다.
제 1 및 제2고정블록(20,20')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서 같은 기능을 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고정블록(2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하로 분할되어 개폐가능한 분할블록(21,22)과, 분할블록(21,22)의 중앙에 관통된 테이퍼구멍(23)과, 이 테이퍼구멍(23)의 양측으로 보조케이블(40)을 삽입시키기 위해 각기 보조케이블 삽입구멍(24)을 갖고 있다.
상기 테이퍼구멍(23)에는 본 케이블(1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웨지 (50A)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웨지(50A)는, 도7과 같이 중앙에 상기 인장케이블(10)의 직경보다 크게 관통된 조임구멍(51)을 갖고 상기 테이퍼구멍(23)과 같은 기울기가 원주면에 이루어진 복수개의 분할웨지(52)와, 상기 복수의 분할웨지(52)를 탄성력으로 결속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탄성링(53)과, 상기 조임구멍(51)의 내주면에는 본케이블 (10)과의 고정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나사산(51a)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탄성링(53)은 원형으로 정열된 복수의 분할웨지(5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52a)에 끼워져 있고, 또 탄성링(53)은 원형으로서 일단이 절단되어 있다.따라서 본 케이블(10)에 웨지(50A)를 설치하려면, 복수의 분할웨지(52)를 본 케이블(10)의 둘레에 원주상으로 먼저 정열시켜 놓고, 그 후에 탄성링(53)을 분할웨지 (52)의 환상홈(52a)에 벌려 끼워넣어서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웨지(50A)의 경사면에 고정블록(20 또는 20')을 이용하여 본 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미는 힘을 주게 되면, 복수의 분할웨지(52)가 반경방향으로 좁하지면서 웨지(50)가 본 케이블(10)을 물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분할블록(21,22)에는 분할면측에 균등한 체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체결수단으로 다수개의 볼트(B)와 너트(N)가 조립되어 있고, 이때 볼트(B)는 상기 테이퍼 구멍(23)과 보조케이블 삽입구멍(24)을 피하여 설치된다.
상기 보조케이블(40)은 본 케이블(10)과 적어도 같거나 큰 인장강도를 갖고 있고, 상기 본 케이블(10)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보조케이블(40)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블록(20)에 삽통하고 그의 타단이 제2고정블록 (20')에 삽통되어 있다.
상기 보조케이블(40)의 끝단부측에는 통상의 유압작동기(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60은 유압작동기 고정수단으로, 원통형으로 중앙에 관통된 테이퍼구멍(61a)을 갖는 웨지소켓(61)과, 상기 웨지소켓(61)의 테이퍼구멍(61a)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케이블(40)을 고정하는 웨지(50B)로 구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웨지 (50B)는 상기 웨지(50A)와 동일하고 설치 방향만 반대방향이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웨지소켓(61)은 경사면에 힘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웨지(50B)가 웨지소켓 (61)으로부터 결합방향의 힘을 받으면 직경 방향으로 수축하여 보조케이블(40)을 고정한다.
상기 유압작동기(12)는 본 실시예에서 듀얼실린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반드시 이와 동일한 구조의 작동기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계분야의 당업자라면 다른 구조의 작동기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작동기(12)의 로드가 신장되게 작동시키면 그 작동력은 웨지(50B)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블록(20,20')을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유압작동기(12)의 작동력으로 보조케이블(40)에서 밀려난 제1 및 제2고정블록(20,20')의 위치를 그 자리에서 다시 보조케이블(40)에 고정하기 위한 보조케이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케이블 고정수단은 웨지소켓(70)과 웨지(50C)로 구성되고, 상기 웨지(50C)는 상술한 웨지(50A 또는 50B)와 동일 구조를 갖고 웨지(50B)와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웨지소켓(70)은 다른 웨지소켓(61)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웨지소켓(70)과 상기 유압작동기(12)의 사이에는, 상기 유압작동기(12)의 작동력을 상기 웨지소켓(70)에 전달하고 동시에 후방으로 밀린 상기 웨지(50C)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길이방향으로 웨지조작구멍(81)을 갖는 조작용 소켓(8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소켓(80)과 유압작동기(12)의 사이에는 작동기 연결블록 (9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2,3에서와 같이 본 케이블(10)의 보수구간(L)에 인장력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보수구간의 양측에 각기 제1,2고정블록(20,20')을 설치한다.
먼저, 분할블록(21,22)을 해체시킨 상태에서 본 케이블(10)을 테이퍼구멍 (23)에 끼워넣고, 2개의 보조케이블(40)을 분할블록(21,22)의 양단측 보조케이블 삽입구멍(24)에 거치시킨 후 다시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한쌍의 분할블록 (21,22)을 도 2와 같이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본 케이블(10)의 보수구간(L)에 웨지(50A) 2개를 설치하여 제1,2고정블록(20,20')의 테이퍼구멍(23)에 각기 반대방향으로 끼워넣는다.
다음, 각 보조케이블(40)의 끝단부에 보조케이블 고정수단의 웨지소켓(70)과 웨지(50C)를 먼저 삽입한 후, 조작용 소켓(80) 그리고 유압작동기 고정용 웨지 (50B)와 웨지소켓(61)을 순차적으로 조립한다.
그 다음 웨지소켓(61,70)의 사이에 유압작동기(12)를 배치시키고, 유압작동기(12)와 조작용 소켓980)의 사이에 작동기 연결블록(90)을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4개의 유압작동기(12)에 동시에 동일한 유압을 공급하면, 유압작동력은 블록(90)과 조작용 소켓(80) 및 웨지소켓(70)을 통해 작용하고 고정블록 (20,20')이 밀려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블록(20,20')은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웨지(50A)가 본 케이블(10)을 더욱 강하게 척킹한 상태에서 보수구간(L)의 중앙으로 인장력을 해제하는 반력을 가하게 된다.
긴장된 본 케이블(10)의 보수구간(L)에는 인장력이 감소하고, 결국 유압작동기(12)의 행정거리가 어느 정도에 이르면 마침내 인장력이 소멸하게 된다. 이때 웨지(50C)는 웨지소켓(70)에서 일정량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유압작동기(12)가 작동하는 1행정마다 웨지(50C)를 웨지소켓(70)에 원위치로 밀어넣으면 고정블록 (20,20')은 고정되고, 유압작동기(12)의 유압력이 제거되더라도 본 케이블(10)에 주어진 인장력은 보조케이블(40)에 전달된 상태로 남게 되고, 본 케이블(10)의 보수구간(L)에 주어진 진장력은 보조케이블(40)로 옮겨간다.
상기 유압작동기(12)는 1회의 행정으로 완료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회의 행정으로 동작될 수 있고, 이때 마다 웨지(50C)를 이용하면 고정블록(20,20')이 뒤로 밀릴수 없는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외 같은 종작에의해 본 케이블(10)의 보수구간(L)측 인장력이 제거되면 통상의 그라이딩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안전한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절단구간내에서 안전에 대한 염려없이 절단과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5는 본 케이블의 보수를 위한 인장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제2실시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의 인장력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인장력 제거장치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1,2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특징은 본 케이블(10)의 와이어 결선구조가 많은 소선과 스트랜드로 구성되어 있어 제1실시예를 사용할 경우 웨지(50A)의 나선사형부로 인해 케이블을 구성하고 있는 소선의 절단될 염려를 막기 위한 것으로,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제1 및 제2고정블록(20,20')의 형태가 변형되어 그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고, 각기 분할되어 개폐가능한 한쌍의 상,하부 분할블록(25,26)으로 고정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분할블록(25,26)은 폐쇄상태에서 접합면에 본 케이블(10)을 고정하기 위해 소정량 길게 관통된 물림구멍(27)을 갖고, 이 물림구멍(27)의 내주면에는 본 케이블(10)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마찰요홈(27a)을 무수히 갖는다.
그리고 분할블록(25,26)은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힌지(h1,h2)를 통해 개폐가능하고, 그 외 유압작동기 고정수단, 보조케이블 고정수단의 구조와 작용 및 사용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비교적 긴 구간을 물림부분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웨지(50A)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물림구멍(27)의 마찰요홈(27a)으로 결합되는 체결력으로 본 케이블(10)을 고정블록(20,20')에 고정하는 것만이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인장케이블에 수톤 내지 수십톤까지 걸려있는 인장력을 감소 또는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절단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어 인장제거된 구간에서의 보수, 교체,연결 작업시 생명의 위해를 느끼지 않고 아무 염려없이 해낼 수 있다.

Claims (7)

  1. 구조물에 설치된 인장케이블(10)이 갖는 인장력을 통상의 유압작동기(12)로감소 또는 제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케이블(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인장케이블(10)의 절단하고자 하는 구간의 양측 개소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고정부재와;
    상기 인장케이블(10)과 적어도 같거가 큰 인장강도를 갖고, 상기 인장케이블 (10)을 중앙에 두고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삽통하고 타단이 제2고정부재에 삽통되어 있는 복수개의 보조케이블(40)과;
    상기 인장케이블(10)의 절단이 이루어질 보수구간에 삽입되어 인장케이블 (10)을 제1 및 제2고정부재측에 고정시키는 인장케이블 고정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2고정주재를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상기 유압작동기(12)로 밀어내기 위해 유압작동기(12)의 고정단 또는 가동단측을 상기 보조케이블(40)의 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유압작동기 고정수단과;
    상기 유압작동기(12)의 작동력을 보조케이블(40)에서 밀려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의 위치를 그 자리에서 다시 보조케이블(40)에 고정하기 위한 보조케이블 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는,
    상,하로 분할되어 개폐가능하고, 폐쇄시 분할면에 관통된 테이퍼구멍(23)을 갖고, 상기 테이퍼구멍(23)의 양측에 각기 상기 보조케이블(40)을 삽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케이블 삽입구멍(24)을 갖는 한쌍의 분할블록(21, 22)과;
    상기 한쌍의 분할블록(21,22)을 체결하여 분할면측에 균등한 체결력을 발생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는,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길고, 각기 분할되어 개폐가능한 한쌍의 상,하부 분할블록(25,26)이고,
    상기 상,하부 분할블록(25,26)은 폐쇄상태에서 접합면에 인장케이블(10)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된 물림구멍(27)을 갖고, 이 물림구멍(27)의 내주면에는 인장케이블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마찰요홈(27a)을 무수이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케이블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에 테이퍼로 결합되는 웨지(50)이고,
    상기 웨지(50)는, 중앙에 상기 인장케이블(10)의 직경보다 크게 관통 형성된 조임구멍(51)을 갖고 상기 테이퍼구멍(23)과 같은 기울기가 원주면에 이루어진 복수개의 분할웨지(51)와; 상기 복수의 분할웨지(51)를 탄성력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링(52)과; 상기 인장케이블(10)과의 미끄럼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조임구멍(5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작동기 고정수단은,
    웨지소켓(61)과;
    상기 웨지소켓(61)에 테이퍼로 결합되어 상기 보조케이블(40)을 고정하는 웨지(5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블 고정수단은,
    상기 제1,2고정블록(20,20')의 측면에 지지되는 웨지소켓(71)과;
    상기 웨지소켓(71)에 테이퍼로 결합되어 상기 보조케이블(40)을 고정하는 웨지(5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제거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블 고정수단과 상기 유압작동기(12)의 사이에는, 상기 유압작동기(12)의 작동력을 상기 보조케이블 고정수단의 웨지소켓(70)에 전달하고 동시에 후방으로 밀린 상기 웨지(50C)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웨지조작구멍(81)을 갖는 조작용 소켓(80)이 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KR2020010035558U 2001-11-19 2001-11-19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KR200271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58U KR200271546Y1 (ko) 2001-11-19 2001-11-19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558U KR200271546Y1 (ko) 2001-11-19 2001-11-19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046A Division KR100443895B1 (ko) 2001-11-19 2001-11-19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546Y1 true KR200271546Y1 (ko) 2002-04-10

Family

ID=7311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558U KR200271546Y1 (ko) 2001-11-19 2001-11-19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5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36B1 (ko) * 2002-10-07 2004-11-09 김경목 일체형 웨지가 구비된 정착장치
CN108827782A (zh) * 2018-06-01 2018-11-16 浙江四兄绳业有限公司 500吨及以下缆绳拉力试验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36B1 (ko) * 2002-10-07 2004-11-09 김경목 일체형 웨지가 구비된 정착장치
CN108827782A (zh) * 2018-06-01 2018-11-16 浙江四兄绳业有限公司 500吨及以下缆绳拉力试验机
CN108827782B (zh) * 2018-06-01 2024-03-19 浙江四兄绳业有限公司 500吨及以下缆绳拉力试验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056B2 (en) Rope end-fastening method, rope with end fastener, and end fitting for use in rope end-fastening method
CN109137763B (zh) 拉索切割装置及拉索拆除施工方法
US4360177A (en) Suspension clamp
KR100471119B1 (ko) 연결장치
JP5405889B2 (ja) 緊張材の張設方法
CN105626779A (zh) 一种膜结构组合式拉索索具
KR100443895B1 (ko)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KR101974516B1 (ko) 볼조인트 카르단과 웨지정착구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271546Y1 (ko) 인장케이블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인장력 제거 장치
JP6132142B2 (ja) Pc外ケーブルの緊張力解放方法
KR102200895B1 (ko)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EP1855364A1 (en) Machine for tightening the conductor cables of overhead electrical lines
JP6179980B2 (ja) 緊張材の緊張接続方法及び緊張材の一部交換方法
US3518748A (en) Concrete prestressing method
US3343808A (en) Concrete prestressing apparatus
JP7355644B2 (ja) Pc鋼材の緊張力調整方法
CN110409835B (zh) 一种后张法预应力波纹管内穿束器及其施工方法
JP5039080B2 (ja) ケーブルの端部張力解放方法及び該方法の実施に用いるケーブルクランプ装置
JP3990708B2 (ja) Pc鋼材の固定方法
US6701599B2 (en) Method for demounting a prestressing cable
KR102162956B1 (ko)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KR100739879B1 (ko) 긴장재의 긴장 및 해체용 디바이스
US3460300A (en) Concrete prestressing apparatus (tank)
JP2001182153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1924069B1 (ko) 분리형볼트를 구비한 정착용쐐기 및 이를 이용한 긴장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