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11Y1 - 강연선 고정구 - Google Patents

강연선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11Y1
KR200463811Y1 KR2020100004900U KR20100004900U KR200463811Y1 KR 200463811 Y1 KR200463811 Y1 KR 200463811Y1 KR 2020100004900 U KR2020100004900 U KR 2020100004900U KR 20100004900 U KR20100004900 U KR 20100004900U KR 200463811 Y1 KR200463811 Y1 KR 20046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iece
strand
tapered hol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697U (ko
Inventor
오원석
Original Assignee
오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석 filed Critical 오원석
Priority to KR2020100004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1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6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상기 웨지는 복수의 절개편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절개편이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절개편의 형상은 선단 외주연이 평면을 이루고 끝단측으로 외주연이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절개편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호의 메인홈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편의 조합에 의해 강연선 외주연에 압박되는 웨지가 원형으로 조합되는 강연선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하되, 각각의 절개편 외주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평면의 접촉분할면을 형성시켜 상기 강연선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앵커의 테이퍼공에 웨지가 더욱 내입될 때, 상기 접촉분할면에 의해 절개편 양측 외주연의 호 꼭지점이 테이퍼공 내주연에 다분활로 등분하여 보다 많은 선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웨지와 테이퍼공의 선접촉 수를 늘려 웨지와 앵커의 테이퍼공의 긴밀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강연선 고정구{Wire fixing}
본 고안은 강연선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횡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강연선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의 홈을 갖는 절개편이 강연선 외주연에 한 개조로 면접촉 결합되어 토목, 건축 구조물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강연선을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연선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토건구조물의 구축공사시 그 토건구조물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붕괴 및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은 아래와 같이 나뉘어진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의 법면 안정화공사와 (나)의 터널보강공사, (다)의 옹벽보호공사, (라)의 현수교설치공사, (마)의 교각의 안정화 공사, (바)의 철탑 및 대형굴뚝의 전도방지공사나, 그 외로 고층건축물과 같은 각종 건축물을 건축하는 각종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구축공사시에는 구축하는 토건구조물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하여 각종 토건구조물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토건구조물을 지지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그라운드앵커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건 구조물이 구축되는 지반의 상면이나 측면 등의 지표면에 소정의 두께로서 콘크리트 타설층을 형성한 뒤에, 그 콘크리트 타설층으로 부터 지반에 소정의 깊이로 구멍을 천공한다. 지반에 구멍을 뚫은 뒤에는 말단부에 소정길이 만큼 요철관이 외삽고정된 피시 강연선 1을 삽입시킨다.
그 뒤, 상기 천공된 구멍으로 액상 또는 겔상의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천공된 구멍 내에서 피시 강연선 1이 고정되게 하고, 콘크리트 타설층의 외부로 노출된 콘크리트 타설층의 표면에는 "H"빔이나 금속판재로 된 앵커플레이트 및 앵커를 설치하며, 앵커의 외측에는 앵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각종 토건구조물과 연결 고정되는 피시 강연선 1의 노출단부를 클램핑 고정하는 피시강연선 클램핑 고정수단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길이가 길고 인장강도가 큰 피시 강연선 1을 지반 깊숙히 매설 고정한 뒤에 지반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피시 강연선 1의 선단부를 통해 피시 강연선 1을 인장시킨다.
이후, 피시 강연선을 클램핑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로써,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토건구조물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상기 피시 강연선 1을 포함한 그라운드 앵커가 토건구조물을 견고하게 잡아 주어 토건구조물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그라운드 앵커의 선단 노출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고정수단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앵커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피시 강연선 1의 노출 단측이 그 테이퍼홀 1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앵커 10와, 상기 앵커 10의 테이퍼홀 11에 쐐기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콜릿척 형태의 웨지 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지 100는 일정 각도로 분할 형성된 각각의 절개부에 의하여 3개의 절개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절개편의 내측면에는 피시 강연선 1이 삽입 관통되는 통공(미부호)의 내주연을 따라 피시 강연선 1을 클램핑하는 다수의 클램핑치(미부호)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앵커 10과 웨지 100를 이용하여 피시 강연선 1을 클램핑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웨지 100가 설치된 앵커 10의 테이퍼홀 11을 통하여 피시 강연선 1이 관통되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 피시 강연선 1의 외측으로 웨지 100를 앵커 10상에 쐐기식으로 삽입 설치하되, 피시 강연선 1을 당겨 인장시킨 후 인장력을 제거하면 길이가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피시 강연선 1의 길이 차이에 의해 웨지 100가 테이퍼홀 11 내부로 더욱 강하게 인입되면서 피시 강연선 1의 인장된 상태를 강하게 고정시킨다.
다시 말해, 피시 강연선 1을 외측으로 당기면서 웨지 100를 앵커 10의 테이퍼홀 11 측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콜릿척 형태로 형성된 웨지 100가 테이퍼홀 11의 내측으로 쐐기식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웨지 100에는 3개의 절개편이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제일 먼저 몸체의 살 두께 전체가 절개된 절개부가 오므려들면서 절개부 홈의 양단부가 밀착되어 3 개의 절개편은 더욱 수축하게 된다.
이렇게 수축하는 3개의 절개편이 피시 강연선 1을 견고하게 물어주어 피시 강연선 1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시 강연선 1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뒤에는 피시 강연선 1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고정수단인 웨지 100와 앵커 1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되고, 지반에 매설된 피시 강연선 1은 토건구조물을 강력한 인장력으로 당겨주고 있게 되어 지진이나 풍력, 수압, 편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토건구조물이 붕괴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웨지 100와 앵커 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앵커 100에 피시 강연선 1이 삽입된 웨지 100를 설치하는 초기단계, 즉, 웨지 100가 쐐기 작용을 하지 않는 초기단계에서는 웨지 100의 외주면과 테이퍼홀 11의 내주연이 선접촉 형태로 접촉된다.
그리고, 웨지 100의 통공 내로 삽입된 피시 강연선 1도 3개 절개편의 내주면과 전체적으로 접촉을 하고 있으나, 피시 강연선 1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웨지 100가 내측으로 쐐기식으로 삽입되다가 웨지 100와 앵커 10의 설치작업, 즉, 피시 강연선 1에 대한 클램핑 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3개의 절개편은 내주연과 외주연 모두 진원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절개편의 3개 호의 양단 접하는 부위가 각(角)이 지게 만나는 형상을 하게 된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편의 3개의 호가 진원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양단 접하는 부위가 각(角)을 이루며 선접촉으로 만나게 되는 것은, 초기 평면에서 보아 진원 상태를 유지하는 웨지 100가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과정에서 오므라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웨지 100에 형성된 절개부 및 절개홈에 해당하는 3개 틈새 만큼의 공간 202이 삭제되므로서 각각의 틈새 부분에서 서로 인접한 절개편의 호가 각이 지도록 만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절개편이 만나는 부분에서 각이 지게 되면, 상기 테이퍼홀 11의 내주면과 3개 절개편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테이퍼홀 11의 내주면과 웨지 100의 외주면이 점접촉을 하게 되므로서, 3 개의 절개편 전체를 균일한 압력으로 조여주지 못하고 3개의 점 접촉 부위에 집중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절개편의 조임력을 저하시키는 첫 번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피시 강연선 1을 클램핑하는 3개 절개편의 내주연도 상기 외주연과 동일하게 진원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각 절개편 내주연 호의 곡률이 피시 강연선 1에 압축되기 전인 자유 상태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클램핑 과정에서 3개의 절개편에 의하여 피시 강연선 1의 외경은 축소되는 데 반하여 각 절개편의 내주연 호의 곡률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클램핑이 완료된 상태의 절개편 내주연 곡률이 축소된 피시 강연선의 외경 곡률보다 작게 되어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의 내주면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로 이루어진 웨지 100의 내주면 및 상기 웨지 100의 외주연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시 강연선 1의 외주면과 3개 절개편의 내주면은 부분적으로 점접촉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을 하는 접촉 부위에서만 집중 하중이 작용하여 집중하중을 받는 접촉부분부터 피시 강연선 1이 쉽게 손상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 되면서 피시 강연선 1이 점차적으로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웨지 100의 외주연 및 테이퍼홀 11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전체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웨지 100의 외주면도 마찬가지로 점 접촉에 의한 집중 하중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점 접촉되는 테이퍼홀 11 내주연에 특정 부위에 과압력이 걸리면서 테이퍼홀 11의 내주연 형상이 기형적으로 변하거나. 과압력을 이기지 못한 테이퍼홀 11이 인접된 테이퍼홀 11까지 찢어지는 현상을 발생시켜 웨지 100와 앵커 10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피시 강연선 1이 침투된 지반은 지층 변화에 의해 강연선 1에 전달되는 압력이 수시로 변하게 되므로, 이러한 압력 변화에 따라 피시 강연선 1에서 부담되는 응력은 앵커 100와 웨지 100에 집중하게 되어 상기에서 표현된 문제점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시 강연선 1과 웨지 100와의 결합에 있어 3 개의 절개편가 피시 강연선 1 외주연을 압박하는 압박력이 각기 다른 점과, 상기 피시 강연선 1의 가변되는 인장 상태 및 절개편의 내주연과 웨지 100 외주연의 허용 공차로 인해 절개편의 내주연이 정확하게 면접촉으로 피시 강연선 1 외주연을 현실적으로 압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통해 피시 강연선 1과 웨지 100와의 결합력이 떨어진다.
더불어, 피시 강연선 1 외주연에 한 개조로 결합된 복수개의 절개편는 정확한 진원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웨지 100의 테이퍼홀 11 내주연과 정밀한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으로 결합될 수 밖에 없어 앵커 100의 외형적 변형을 발생시켜 결합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 건축 구조물 내부에 설치 후 긴장되어 구조물의 횡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적용되는 웨지와 앵커 중 웨지의 외주연에 접촉분활면 형성시켜 앵커의 테이퍼공 내주연과의 선 접촉 수를 늘려 앵커의 테이퍼공에 웨지가 강력하게 결합할 때 테이퍼공 내주연에 웨지 외주연이 선접촉으로 고르게 분포되게 하여 앵커의 테이퍼공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3개로 구비되어 외주연이 호 형상을 이루는 절개편과 동일한 홈 을 원형으로 배치시킨 테이퍼공을 형성시켜 각각의 절개편 외주연과 테이퍼공의 홈 내주연을 면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웨지와 앵커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테이퍼공에 절개편을 결합시 각각의 절개편 경계 공간 및 테이퍼공 내주연에 연질의 개재편을 내입시켜 앵커의 테이퍼공에 웨지가 강력하게 결합될 때 개재편이 가압되면서 상기 앵커의 테이퍼공 내주연과 웨지의 외주연이 개재편을 통해 면접촉되어 웨지와 앵커의 결합력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목적은 강연선의 6개 측선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의 홈을 갖는 절개편이 강연선 외주연에 면접촉으로 결합되어 토목, 건축 구조물에 긴장력을 부여한 강연선을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절개편에 걸림턱을 형성시켜 강연선 외주연에 강제적으로 압박 후 내입되어 긴장 전후 작업에 의해 와이어 지름이 가변되어도 고정구가 긴밀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의 절개편이 맞닿는 밀착면 양측에 걸림돌기와 걸림홈 203을 각각 형성시켜 한 개조로 조합되는 절개편간의 결합 상태를 긴밀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토건구조물의 횡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삽입되어 인장시키는 나선형으로 꼬임된 강연선 및 상기 강연선의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웨지 및 앵커로 이루어진 강연선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복수의 절개편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절개편이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절개편의 형상은 선단 외주연이 평면을 이루고 끝단측으로 외주연이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절개편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호의 메인홈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편의 조합에 의해 강연선 외주연에 압박되는 웨지가 원형으로 조합되는 강연선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하되, 각각의 절개편 외주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평면의 접촉분할면을 형성시켜 상기 강연선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앵커의 테이퍼공에 웨지가 더욱 내입될 때 상기 접촉분할면에 의해 절개편 양측 외주연의 호 꼭지점이 테이퍼공 내주연에 다분활로 등분하여 보다 많은 선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웨지와 테이퍼공의 선접촉 수를 늘려 웨지와 앵커의 테이퍼공의 긴밀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절개편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의 메인홈을 형성시키되, 상기 메인홈은 절개편의 선단에서 끝단측으로 예각 범위로 경사지게 형성한 다음 상기 메인홈 양측방에 반원의 서브홈을 연접되게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서브홈은 절개편의 선단과 끝단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시키면서 상기 서브홈의 끝부분이 메인홈 측으로 만곡되게 접하며, 상기 서브홈이 위치한 절개편 전면 양측부는 경사진 밀착면을 갖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절개편의 선단측 메인홈과 서브홈 입구 및 상기 절개편 끝단에 위치한 다른 개소의 서브홈의 입구에 걸림턱을 각각 형성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밀착면 중 일측에 위치한 밀착면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 위치한 밀착면에는 걸림홈을 형성시켜 복수개의 절개편이 조합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내입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테이퍼공은 절개편의 외주연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홈을 원형으로 배치되게 형성시킨 것이 더 포함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테이퍼공은 원형으로 형성시켜 웨지를 결합시 복수의 절개편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재편을 마련한되, 상기 개재편은 절개편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여 테이퍼공 내주연과 공간에 각각 웨지와 개재편을 결합시켜 강연선의 인장시 테이퍼공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개재편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과 웨지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테이퍼공은 원형으로 형성시켜 웨지를 결합시 절개편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나의 개재편을 마련하되, 상기 개재편은 절개편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고 상기 개재편의 일면은 양측에서 중심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복수개 형성시킨 다음 테이퍼공 내주연과 공간에 각각 웨지와 개재편을 결합시켜 강연선의 인장시 테이퍼공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개재편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과 웨지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절개편의 경사면 또는 평면에 내입홈을 형성시켜 복수개로 조합되는 절개편을 웨지로 조합시 탄성을 갖는 링을 내입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토목, 건축 구조물 내부에 설치 후 긴장되어 구조물의 횡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적용되는 웨지와 앵커 중 웨지의 외주연에 접촉분할면을 형성시켜 앵커의 테이퍼공 내주연과의 선 접촉 개수를 늘림으로써, 한 개소의 절개편이 테이퍼공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선접촉을 이루도록 하여 앵커의 테이퍼공에 웨지가 강력하게 결합할 때 테이퍼공 내주연에 웨지 외주연이 선접촉으로 고르게 분포되게 하여 앵커의 테이퍼공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강연선에 응력이 크게 작용하여도 앵커의 테이퍼공 내주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절개편이 3개로 구비되고 외주연이 호 형상을 이루어 원형으로 배치시킨 웨지를 마련하되, 상기 절개편의 내주연에는 강연선의 6개 측선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의 홈인 메인홈과 한 쌍의 서브홈을 갖도록 하여 웨지를 강연선 외주연에 결합시키되, 상기 강연선의 6개의 측선이 메인홈과 서브홈에 각각 면접촉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토목, 건축 구조물에 긴장력을 부여한 강연선을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복수개의 절개편에 걸림턱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웨지가 강연선의 인장상태에 따라 앵커의 테이퍼공 내주연으로 진입될 수록 걸림턱이 강연선 외주연에 강제적으로 압박 후 부분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긴장 전후 작업에 의해 와이어 지름이 가변되어도 고정구가 긴밀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상기 앵커에 형성되는 테이퍼공은 호 형태를 갖는 절개편의 외주연과 동일한 호 형상의 홈을 원형으로 배치시켜 각각의 절개편이 테이퍼공에 형성된 홈에 내입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편이 경계가 구획된 홈 내입되면서 접촉면적으로 보다 넓힐 수 있도록 하여 앵커와 웨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상기 테이퍼공을 진원으로 형성시키고 복수개의 절개편이 원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웨지를 테이퍼공에 결합시 복수의 절개편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재편을 마련한되, 상기 개재편은 절개편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여 테이퍼공 내주연과 공간에 각각 웨지와 개재편을 결합시켜 강연선의 인장시 테이퍼공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개재편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과 웨지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 내지 (바)는 각종 토건 구조물을 그라운드 앵커로서 고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연선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의 절개편을 나타낸 상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a.b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웨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강연선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a,b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앵커의 다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a,b,c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앵커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의 절개편을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7a.b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웨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강연선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a,b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앵커의 다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a,b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앵커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16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강연선 1 (鋼撚線)은 여러 가닥의 강철선을 꼬아서 만든 줄을 말한다.
즉, 복수개의 측선 1b들 및 그러한 복수개의 측선 1b과 1개의 심선 1a이 서로 밀접 배치되고, 또한 이들 축선 및 심선 1a은 소정의 블루잉이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러한 복수개의 측선 1b과 1개의 섬선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선모양의 공극에 합성수지 도료가 채워진다.
그리고, 복수개의 측선 1b의 외측으로서 서로 인접해 있는 측선 1b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선 모양의 요흠을 포함하는 모든 외주에 거의 균일한 두께의 합성수지도료 피복층이 피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연선 1은 각종의 피씨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사용된다.
특히, 강연선 1은 피씨(PC ; Pre-stressedConcrete)에 사용되어 토목 및 건축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긴장에 의한 구조물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피씨란, 강선이나 강연선 1에 인장 응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시멘트 혼합물을 붓고 양생시켜 제조된 콘크리트를 말한다.
즉, 강연선 1은 피씨에 콘크리트가 압축 응력에는 잘 견디나 인장 응력에는 약하므로, 인장 응력을 보완하여 상쇄할수 있도록 미리 압축 응력을 가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응력을 감쇄시켜 구조물에 스트레스에 의한 균열 또는 파괴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강연선 1은 표면에 그리스(grease)나 왁스(wax)를 도포한 후 그 외부를 폴리에틸렌(PE)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을 코팅하여 강연선 1의 표면이 합성수지 피복층으로 둘러싸여지도록 한 이른바 언본디드피씨 강연선 1 (unbonded pc strand)이 개발되어 활용되고도 있다.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강연선 1은 1개의 심선 1a 외주연에 6개의 측선 1b이 나선형으로 꼬임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는 상기 강연선 1이 관통되는 테이퍼공 201을 갖는 앵커 200와, 상기 강연선 1 외주연에 결합되는 3개의 절개편 100a,b,c으로 구비되어 한 개조로 조합된 후 테이퍼공 201에 내입되는 된 웨지 100로 구성된다.
상기 절개편 100a,b,c은 각 120˚각도 씩 분할되어 한 개조로 조합시키면 360˚각도를 갖는 웨지 100로 조합된다.
상기 절개편 100a,b,c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절개편 100a,b,c의 형상은 선단 외주연이 일정 길이로 평면 102의 외주연을 갖고, 끝단측으로 향할 수록 경사면 103을 갖는 외주연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편 100a,b,c은 경사면 또는 평면에 내입홈 109을 형성시켜 복수개로 조합되는 절개편 100a,b,c을 웨지 100로 조합시 탄성을 갖는 링 130을 내입홈 109에 결합시켜 복수개의 절개편 100a,b,c이 웨지 100로 조합되도록 한다.
또한, 도 7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 200는 복수개의 웨지 100를 수납하도록 복수개의 테이퍼공 20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단수개의 테이퍼공 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편 100a,b,c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호의 메인홈 101a 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편 100a,b,c의 조합에 의해 강연선 1 외주연에 압박되는 웨지 100가 원형으로 조합되는 강연선 1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절개편 100a,b,c 외주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평면의 접촉분할면 108을 형성시켜 상기 강연선 1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에 웨지 100가 더욱 깊게 내입될 때, 상기 접촉분할면 108에 의해 절개편 100a,b,c 양측 외주연의 호 꼭지점이 테이퍼공 201 내주연에 다분활로 등분하여 보다 많은 선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웨지 100와 테이퍼공 201의 선 접촉수를 늘려 웨지 100와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의 긴밀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개편 100a,b,c은 접촉분할면 108의 양측에 2개의 선접촉면을 갖도록 하여 접촉되는 면이 특정부위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분할면 108은 절개편 100a,b,c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고, 이 때문에 보다 많은 선접촉면을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웨지 100의 외주연에 접촉분할면 108을 등간격으로 형성시켜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 내주연과의 선 접촉 개수를 늘림으로써, 한 개소의 절개편 100a,b,c이 테이퍼공 201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선접촉을 이루도록 하여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에 웨지 100가 강력하게 결합할 때 테이퍼공 201 내주연에 웨지 100 외주연이 선접촉으로 고르게 분포되게 하여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강연선 1에 응력이 크게 작용하여도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 내주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강연선 고정구에서 상기 웨지 100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절개편 100a,b,c은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반원의 메인홈 101a을 형성시키되, 상기 메인홈 101a은 절개편 100a,b,c의 선단에서 끝단측으로 예각 범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예각 범위는 나선형으로 꼬임되는 강연선 1의 곡률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 6개의 측선 1b 중 어느 한개소의 측선 1b 외주연에 메인홈 101a 내주연이 밀착되어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홈 101a 양측방에는 반원의 서브홈 101b을 연접되게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서브홈 101b은 절개편 100a,b,c의 선단과 끝단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시키면서 상기 서브홈 101b의 끝부분이 메인홈 101a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홈 101a에서 대칭되는 양측면에 엇갈리게 형성되어 메인홈 101a의 2/3 지점으로 마감된다.
이는 메인홈 101a에 내입된 측선 1b의 양측방에 위치한 각각의 측선 1b이 나선형으로 꼬임되면서 한 쌍의 서브홈 101b에 내입되기 위함이다.
여기서, 메인홈 101a에 내입된 측선 1b 1b은 360˚로 꼬임되면서 일정한 나선의 곡률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대칭된 방향의 서브홈 101b에 측선 1b이 각각 면접촉으로 내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개편 100a,b,c의 내주연에 강연선 1의 6개 측선 1b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의 홈인 메인홈 101a과 한 쌍의 서브홈 101b을 갖도록 하여 웨지 100를 강연선 1 외주연에 결합시키되, 상기 강연선 1의 6개의 측선 1b이 메인홈 101a과 서브홈 101b에 각각 면접촉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토목, 건축 구조물에 긴장력을 부여한 강연선 1을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절개편 100a,b,c은 서브홈 101b이 위치한 전면 양측부는 상호 120˚각도를 갖는 밀착면 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편 100a,b,c의 선단측 메인홈 101a과 서브홈 101b 입구 및 상기 절개편 100a,b,c 끝단에 위치한 다른 개소의 서브홈 101b의 입구에 걸림턱 105을 각각 형성시킨다.
상기 걸림턱 105은 3개의 절개편 100a,b,c이 하나로 조합된 웨지 100가 강연선 1 외주연에 결합되면, 후술될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에 웨지 100의 경사면 103이 점차 내입되면서 각각의 절개편 100a,100b,100c이 강연선 1을 강하게 압박한다.
이때, 걸림턱 105은 강연선 1의 외주연에 종방향으로 펀칭 작업과 동일한 효과로 강연선 1 외주연에 흠집을 내면서 박혀 상기 웨지 100가 강연선 1 외주연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면서 상호 긴밀하게 고정된다.
나아가, 각각의 절개편 100a,100b,100c은 밀착면 104 중 일측에 위치한 밀착면 104에 걸림돌기 106를 형성하고, 타측에 위치한 밀착면 104에는 걸림홈 107을 형성시켜 복수개의 절개편 100a,100b,100c이 조합시 걸림돌기 106가 걸림홈 107에 내입되도록 하여 한 개조로 조합된 복수개 절개편 100a,100b,100c이 상호 어긋나거나 조합된 상태가 해제 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결국, 나선형으로 꼬아진 강연선 1의 외주연과 동일 형상을 갖도록 복수개의 절개편 100a,100b,100c이 한 개조로 조합된 웨지 100가 강연선 1의 측선 1b 곡률에 맞추어 면접촉되면서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써, 토건 구조물에 고정용 그라운드 앵커 200를 장착시킨 후 토목 구조물에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강연선 1을 인장시 강연선 1과 강연선 고정구 10를 통하여 보장받게 됨에 따라 토건 구조물의 안전한 강도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강연선 1은 표면에 형성된 도장층 때문에 그 표면이 매끄러우나, 상기 절개편 100a,100b,100c의 걸림턱 105의 펀칭 결합에 의해 강연선 1 측선 1b의 접촉 계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강연선 1 에 유동이 발생하거나, 강연선 1 을 긴장 전후 상황에 의해 발생하는 각각의 측선 1b 지름이 가변상태가 발생하게 되나, 각각의 절개편 100a,100b,100c은 6개의 측선 1b을 면접촉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걸림턱 105의 가압 결합에 의해 웨지 100가 강연선 1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거나, 고정 상태가 전혀 변화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5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웨지 100와 앵커 200와의 결합에 대한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앵커 200에 형성되는 테이퍼공 201은 호 형태를 갖는 절개편 100a,b,c의 외주연과 동일한 호 형상의 홈 203을 원형으로 배치시키되, 상기 홈 203은 연속적인 원형 배치로 형성되고 상기 홈 203이 각각 구획된 내주연을 갖도록 한다.
이후, 각각의 절개편 100a,b,c이 테이퍼공 201에 형성된 홈 203에 내입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편 100a,b,c이 경계가 구획된 홈 203에 내입되면서 접촉 면적으로 보다 넓힐 수 있도록 하면서 절개편이 좌우 유동없이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앵커 200와 웨지 1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웨지 100와 앵커 200와의 결합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테이퍼공 201을 진원으로 형성시키고 복수개의 절개편 100a,b,c이 원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웨지 100를 테이퍼공 201에 결합시 복수의 절개편 100a,b,c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201 내주연 사이에 공간 202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간 202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재편 120을 마련하되, 상기 개재편 120은 절개편 100a,b,c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여 테이퍼공 201 내주연과 공간 202에 각각 웨지 100와 개재편 120을 결합시켜 강연선 1의 인장시 테이퍼공 201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 100에 의해 개재편 120이 압박되면서 상기 테이퍼공 201과 웨지 100의 결합면에 미세한 틈새에 매꾸어져 테이퍼공 201과 웨지 100와의 접촉면을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개재편 120은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 개로 절개된 상태로 마련되며, 테이퍼공 201 내주연에 결합시 3 개의 개재편이 한 개조로 결합된다.
상기 개재편 120은 절개편 100a,b,c과 앵커 200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고 각각의 개재편 120의 일면 양측에서 중심부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는 도 1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편 100a,b,c이 한 개로 형성되어 상기 개재편 120에서 어느 일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원형의 형태로 말아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재편 120은 절개편 100a,b,c과 앵커 200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고 상기 개재편 120의 일면은 양측에서 중심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복수개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강연선 1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앵커 200와 웨지 100를 이용하여 강연선 1을 클램핑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웨지 100가 설치된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을 통하여 강연선 1이 관통되도록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강연선 1의 외주연에 웨지 100를 결합 후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에 쐐기식으로 삽입 설치하되, 강연선 1을 당겨 인장시킨 후 인장력을 제거하면 길이가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강연선 1의 길이 차이에 의해 웨지 100가 테이퍼공 201 내부로 더욱 강하게 인입되면서 피시 강연선 1의 인장된 상태를 강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웨지 100는 3개의 절개편 100a,b,c이 테이퍼공 201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메인홈 101a 내주연이 강연선 1 외주연을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수축하는 3개의 절개편 100a,b,c이 강연선 1을 견고하게 물어주어 강연선 1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웨지 100와 앵커 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앵커 200에 피시 강연선 1이 삽입된 웨지 100를 설치하는 초기단계, 즉, 웨지 100가 쐐기 작용을 하지 않는 초기단계에서는 웨지 100의 외주면과 테이퍼공 201의 내주연 전체가 종래기술보다 많은 선접촉 형태로 접촉된다.
즉, 이때, 기존의 경우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과 웨지 100의 외주연은 이론상으로 면접촉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보여지나, 상기 테이퍼공 201과 웨지 100의 특정 부위에만 선접촉으로만 접촉되기 때문에 강연선 1에 일정 이상의 인장력이 발생할 경우 웨지 100는 더욱 테이퍼공 201 내주연으로 강력하게 내입되기 때문에 선접촉되고 있는 테이퍼공 201의 특정부위가 손상되어 앵커 200와 웨지 100의 결합력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의 원인으로는, 첫째, 강연선 1의 인장상태가 지반의 지층 형태에 따라 달라져 인장력이 수시로 가변되면서 발생하며, 두 번째로는 6개의 측선 1b의 꼬임에 의해 형성되는 강연선 1의 외주연이 진원을 이루기가 어렵고, 상기 웨지 100의 메인홈 101a과 서브홈 101b을 통해 웨지 100를 강연선 1에 결합시킨 후의 진원도를 만족시킬 만큼 정확하게 결합하기는 어려우며, 상기 강연선 1과 웨지 100의 결합에 대한 허용공차 또한 정확하게 잡기 어려운 문제로 인하여 상기 테이퍼공 201 내주연에 웨지 100의 외주연이 면접촉으로 이루기는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결국, 본 고안의 강연선 1 고정구는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 내주연과 웨지 100의 외주연이 보다 많은 선접촉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절개편 100a,b,c 3개 호의 양단 접하는 부위가 각(角)이 지게 만나는 특정 부위로 선접촉이 집중되는 현상을 최소화 하는 데 있다.
이를 가능하도록 웨지 100를 이루는 3개의 절개편 100a,b,c에 각각 평면 형태의 접촉분할면 108 형성시켜 1개의 절개편 100a,b,c 양측으로 2개의 선접촉면이 대칭되게 갖도록 함으로써, 기존 절개편 100a,b,c 보다 많은 선접촉으로 결합되면서 특정 부위가 아닌 2 등분된 선접촉으로 테이퍼공 201 내주연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웨지 100의 메인홈 101a내로 삽입된 강연선 1도 3개 절개편 100a,b,c의 내주면과 접촉을 하고 있으나, 상기 강연선 1이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웨지 100가 내측으로 쐐기식으로 삽입되다가 웨지 100와 앵커 200의 설치작업, 즉, 강연선 1에 대한 클램핑 작업이 완료된다.
아울러, 상기 강연선 1 고정구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를 적용하여 보다 웨지 100와 앵커 200와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제1실시예는 상기 절개편 100a,b,c 내주연에 강연선 1의 6개 측선 1b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의 홈 203인 메인홈 101a과 한 쌍의 서브홈 101b을 갖도록 하여 웨지 100를 강연선 1 외주연에 결합시키되, 상기 강연선 1의 6개의 측선 1b이 메인홈 101a과 서브홈 101b에 각각 접촉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토목, 건축 구조물에 긴장력을 부여한 강연선 1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는 복수개의 절개편 100a,b,c에 걸림턱 105을 형성시켜 상기 절개편 100a,b,c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웨지 100가 강연선 1의 인장상태에 따라 앵커 200의 테이퍼공 201 내주연으로 진입될 수록 걸림턱 105이 강연선 1 외주연에 강제적으로 압박 후 부분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긴장 전후 작업에 의해 와이어 지름이 가변되어도 고정구가 긴밀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실시예는 상기 앵커 200에 형성되는 테이퍼공 201은 호 형태를 갖는 절개편 100a,b,c의 외주연과 동일한 호 형상의 홈 203을 원형으로 배치시켜 각각의 절개편 100a,b,c이 테이퍼공 201에 형성된 홈 203에 내입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편 100a,b,c이 경계가 구획된 홈 203에 내입되면서 접촉면적으로 보다 넓힐 수 있도록 하여 앵커 200와 웨지 1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4실시예는 상기 테이퍼공 201을 진원으로 형성시키고 복수개의 절개편 100a,b,c이 원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웨지 100를 테이퍼공 201에 결합시 복수의 절개편 100a,b,c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201 내주연 사이에 공간 202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간 202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재편 120을 마련한되, 상기 개재편 120은 절개편 100a,b,c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여 테이퍼공 201 내주연과 공간 202에 각각 웨지 100와 개재편 120을 결합시켜 강연선 1의 인장시 테이퍼공 201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 100에 의해 개재편 120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 201과 웨지 100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한다.
1 : 강연선 1a : 심선
1b : 측선 10 : 강연선 고정구
100 : 웨지 100a,b,c : 절개편
101a : 메인홈 203 101b : 서브홈 203
102 : 평면 103 : 경사면
104 : 밀착면 105 : 걸림턱
106 : 걸림돌기 107 : 걸림홈
108 : 접촉분활면 109 : 내입홈
120 : 개재편 130 : 링
200 : 앵커 201 : 테이퍼공
202 : 공간 202 203 : 홈

Claims (8)

  1. 토건구조물의 횡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삽입되어 인장시키는 나선형으로 꼬임된 강연선 및 상기 강연선의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웨지 및 앵커로 이루어진 강연선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복수의 절개편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절개편이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절개편의 형상은 선단 외주연이 평면을 이루고 끝단측으로 외주연이 경사면을 갖도록 한 다음
    상기 절개편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시킨 반호의 메인홈이 절개편의 선단에서 끝단측으로 예각 범위로 경사지고,
    상기 메인홈 양측방에는 반원의 서브홈을 연접되게 각각 형성시킨 다음 상기 서브홈이 절개편의 선단과 끝단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서브홈의 끝부분이 메인홈측으로 만곡되게 접하며 상기 서브홈이 위치한 절개편 전면 양측부는 경사진 밀착면을 갖도록 하되,
    상기 밀착면 중 일측에 위치한 밀착면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 위치한 밀착면에는 걸림홈을 형성시켜 복수개의 절개편이 조합시 걸림돌기가 걸림홈 에 내입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편의 조합에 의해 강연선 외주연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웨지가 강연선 외주연을 압박한 상태에서 강연선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앵커의 테이퍼공에 웨지가 더욱 내일 될 때,
    각각의 절개편 외주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킨 평면의 접촉분할면에 의해 절개편 양측 외주연의 호 꼭지점이 테이퍼공 내주연에 다분활로 등분하여 복수개로 선 접촉됨으로서 상기 웨지와 테이퍼공의 선접촉 수를 증가시켜 웨지와 앵커의 테이퍼공과의 긴밀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의 선단측 메인홈과 서브홈 입구 및 상기 절개편 끝단에 위치한 다른 개소의 서브홈의 입구에 걸림턱을 각각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공은 절개편의 외주연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홈을 원형으로 배치되게 형성시킨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공은 원형으로 형성시켜 웨지를 결합시 절개편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재편을 복수개로 마련하되,
    상기 개재편은 절개편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고 각각의 개재편의 일면 양측에서 중심부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게 형성한 다음 테이퍼공 내주연과 공간에 각각 웨지와 개재편을 결합시켜 강연선의 인장시 테이퍼공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개재편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과 웨지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공은 원형으로 형성시켜 웨지를 결합시 절개편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나의 개재편을 마련하되,
    상기 개재편은 절개편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고 상기 개재편의 일면은 양측에서 중심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복수개 형성시킨 다음 테이퍼공 내주연과 공간에 각각 웨지와 개재편을 결합시켜 강연선의 인장시 테이퍼공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개재편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과 웨지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의 경사면 또는 평면에 내입홈을 형성시켜 복수개로 조합되는 절개편을 웨지로 조합시 탄성을 갖는 링을 내입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KR2020100004900U 2010-05-10 2010-05-10 강연선 고정구 KR200463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00U KR200463811Y1 (ko) 2010-05-10 2010-05-10 강연선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00U KR200463811Y1 (ko) 2010-05-10 2010-05-10 강연선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97U KR20110010697U (ko) 2011-11-16
KR200463811Y1 true KR200463811Y1 (ko) 2012-11-26

Family

ID=4756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900U KR200463811Y1 (ko) 2010-05-10 2010-05-10 강연선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053B1 (ko) * 2017-11-06 2018-11-28 공대식 지반 보강 장치
KR102718505B1 (ko) * 2023-07-25 2024-10-16 정대웅 타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08B1 (ko) 2009-08-21 2010-04-28 이인귀 제거식 압축 앵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08B1 (ko) 2009-08-21 2010-04-28 이인귀 제거식 압축 앵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053B1 (ko) * 2017-11-06 2018-11-28 공대식 지반 보강 장치
KR102718505B1 (ko) * 2023-07-25 2024-10-16 정대웅 타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97U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2387B1 (en) Apparatus with a cartridge for retaining a sheathing of a tendon within an anchor assembly
US7856774B1 (en) Sheathing-retaining wedge assembly for use with a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US7963078B1 (en) Compression cap sheathing lock
KR100791619B1 (ko) 철근 연결구
JP6235041B2 (ja) 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および端末定着具付きロープ、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に用いる端末金具
US7866009B1 (en) Wedges for sheathing lock system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102202667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10146858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KR200463811Y1 (ko) 강연선 고정구
KR100783728B1 (ko) 분할된 다단 테이퍼 형상의 지압체를 구비한 앵커체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US11619048B1 (en) Non-slip reinforcing bar coupler
KR20080006448U (ko) 강연선 클램핑용 웨지
KR101598339B1 (ko)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KR100395772B1 (ko) 토건구조물 고정을 위한 피시강선용 웨지
KR20160066766A (ko)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앵커
KR102301458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20190029156A (ko) 그라우트 앵커 조립체
KR102707091B1 (ko) 다중나선을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JPH0249816A (ja) 陸地に定着可能な引張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引張部品
KR101257858B1 (ko)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KR101374063B1 (ko) 인장 및 압축 하중 복합재하가 가능한 배열구조를 갖는 그라운드 앵커
JP2017193899A (ja)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KR102718505B1 (ko) 타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