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858B1 -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 Google Patents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858B1
KR101257858B1 KR1020120114350A KR20120114350A KR101257858B1 KR 101257858 B1 KR101257858 B1 KR 101257858B1 KR 1020120114350 A KR1020120114350 A KR 1020120114350A KR 20120114350 A KR20120114350 A KR 20120114350A KR 101257858 B1 KR101257858 B1 KR 10125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tensile
fixed
fixing
anch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주
우상백
Original Assignee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연결구를 구비함으로써 여러가닥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그라운드 앵커에서 강연선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므로 인장강연선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에도 연결구가 내하체 역할을 동시에 함으로 미세균열을 억제하여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을 높여 지반보강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지반에 일정깊이로 천공된 천공홀의 최 내측에 일단이 위치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의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정착장부를 형성하는 고정강연선;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강연선의 말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말단이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자유장부를 형성하는 인장강연선; 상기 인장강연선의 일단으로부터 말단 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되어 인장강연선의 외면을 보호하는 한편 상기 인장강연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인장보강구간을 형성하는 보호관;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노출된 인장강연선을 인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인장강연선 고정장치; 일단이 상기 천공홀의 최 내측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져 위치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노출되는 그라우팅관; 및 상기 인장강연선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내 측에 그라우팅되어 상기 인장강연선의 프리텐션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이 압축력으로 작용하는 그라우트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은 일단에 벤딩부가 만곡 형성되고 말단에 일정간격을 가지는 두 갈래로 이루어지는 자유단부가 형성되는 U 밴드 타입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은 상호 대향되는 각 벤딩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Ground anchor structure with u-band type prestressing strand}
본 발명은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장부를 형성하는 U 밴드 타입의 고정강연선과 자유장부를 형성하는 U 밴드 타입의 인장강연선 사이에 연결구를 구비함으로써 인장강연선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의 구분되는 부분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에도 진행성 균열을 억제하여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을 높여 지반보강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앵커제품의 품질과 직결되는 자유장부와 정착장부의 구분이 확실하여 품질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면 등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그라운드 앵커 구조이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천공후 인장재와 보강재가 일체로 연결된 조립체를 보강재 끝단부터 삽입한 후, 시멘트 페이스트 등의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여 그라우팅을 하는 방식으로 지반의 활동변위가 발생될 때 보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지반에 대한 보강공법이다.
즉,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지반의 보강을 위한 공법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프리텐션(pretension) 공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지반에 일정깊이 천공된 천공홀 내에 인장재와 보강재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된 조립체를 삽입하여 그라우팅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라우팅 처리 후에는 인장재의 지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인장재 고정장치를 통하여 고정하여 마무리를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인장재 및 보강재는 1개 이상의 강선을 길이방향으로 정렬하여 꼬아 "ㅡ"자 형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PC 강연선으로 제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프리텐션 그라운드 앵커 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지반에 일정깊이로 천공된 천공홀(10)의 최 내측에 일단이 위치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10)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정착장부(200)를 형성하는 보강재(30)와 자유장부(210)를 형성하는 인장재(50)으로 구분되며, 이때 상기 인장재(50)에는 보호커버(60)를 설치하여 상기 인장재(50)가 그라우트재(90)로부터 보호를 받고 상기 정착장부(200)를 형성하는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그라우트재(90)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그라우트재(90)와 일체화되어 정착장부(20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상기 천공홀(10)의 최 내측까지는 그라우팅관(80)을 설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서 그라우트재(90)를 상기 천공홀(10) 전체에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그라우트재(90)의 경화가 이루어 지면 상기 인장재(50)을 인장 장비로 인장하고 상부 고정 정착구(70)로 소정의 인장력으로 고정정착 마감한다.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상기 보강재(30)와 인장재(50)가 맞닿는 부분은 씰링(sealing)재(40)로 연결되도록 구분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보강재(30)와 인장재(50) 중에서 인장재(50) 부분은 보호커버(60)와 같은 피복재를 사용하고 보강재(30) 부분은 그라우트에 노출시켜 인장재(50)와 보강재(30)를 씰링재(40),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구분하였으므로, 그라우트재(90)와의 접촉과 비접촉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행성 균열 등의 미세균열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장재(50)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아울러 미세균열 등으로 인한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이 저하되어 지반 보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보강재와 인장재가 연결되는 부분에 별도의 연결구를 적용하여 연결구가 인장재와 보강재의 분리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라우트재의 부착에 의한 마찰력이 증가되어 미세균열을 억제하고 정착 고정부의 고정력을 높임과 동시에, 인장재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높여 지반 보강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우수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구를 구비함으로써 인장강연선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를 구비함으로써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에도 미세균열을 억제하여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을 높여 지반보강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지반에 일정깊이로 천공된 천공홀의 최 내측에 일단이 위치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의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정착장부를 형성하는 고정강연선;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강연선의 말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말단이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자유장부를 형성하는 인장강연선; 상기 인장강연선의 일단으로부터 말단 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되어 인장강연선의 외면을 보호하는 한편 상기 인장강연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인장보강구간을 형성하는 보호관;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노출된 인장강연선을 인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인장강연선 고정장치; 일단이 상기 천공홀의 최 내측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져 위치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노출되는 그라우팅관; 및 상기 인장강연선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 내 측에 그라우팅되어 상기 인장강연선의 프리텐션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이 압축력으로 작용하는 그라우트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은 일단에 벤딩부가 만곡 형성되고 말단에 일정간격을 가지는 두 갈래로 이루어지는 자유단부가 형성되는 U 밴드 타입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은 상호 대향되는 각 벤딩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가지는 연결본체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제1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홈 상에 상기 고정강연선의 벤딩부가 걸림 고정되고, 상기 연결본체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제2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홈 상에 상기 인장강연선의 벤딩부가 걸림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고정홈 및 제2고정홈은 내측 일면에 상기 고정강연선의 벤딩부 및 상기 인장강연선의 벤딩부가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강연선의 벤딩부 및 상기 인장강연선의 벤딩부와 대응되는 만곡면이 형성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고정홈 상에 걸림 고정된 상기 고정강연선의 벤딩부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 일측에 상기 제1고정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고정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홀에 제1고정핀이 삽입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고정홈 상에 걸림 고정된 상기 인장강연선의 벤딩부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 타측에 상기 제2고정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고정홀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홀에 제2고정핀이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강연선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자유단부 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호 대향되는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밴드와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결속밴드가 교번하여 밴딩되는 한편, 상기 자유단부의 끝단은 상기 결속밴드에 의해 결속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구를 구비함으로써 인장강연선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연결구를 구비함으로써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에도 미세균열을 억제하여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을 높여 지반보강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연결구를 사용하여 고정강연선과 인장강연선의 길이가 일정하여 정착장부와 자유장부의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요부인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요부인 연결부재를 통한 U 밴드 타입 인장강연선과 고정강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요부인 연결부재를 통한 U 밴드 타입 인장강연선과 고정강연선의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요부인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요부인 연결부재를 통한 U 밴드 타입 인장강연선과 고정강연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쏘일네일 구조에서 지반에 일정깊이로 천공된 천공홀(100)의 최 내측에 일단이 위치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천공홀(100)의 중간부분까지 그라우트재(900)와의 접촉으로 정착장부(200)를 형성하는 고정강연선(300);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말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말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자유장부(210)를 형성하는 인장강연선(500);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일단으로부터 말단 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되어 인장강연선(500)의 외면을 보호하는 한편 상기 인장강연선(5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인장보강구간을 형성하는 보호관(600); 상기 천공홀(100)의 외부로 노출된 인장강연선을 인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인장강연선 고정장치(700); 일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최 내측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져 위치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그라우팅관(800); 및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100) 내 측에 그라우팅되어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프리텐션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이 압축력으로 작용하는 그라우트재(9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은 일단에 벤딩부(310, 510)가 만곡 형성되고 말단에 일정간격을 가지는 두 갈래로 이루어지는 자유단부(350, 550)가 형성되는 U 밴드 타입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장강연선(500)은 상기 보호관(600)이 전체적으로 피복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510)와 자유단부(550)를 가지도록 U 밴드 타입으로 벤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라우트재(900)가 상기 천공홀(100) 내에 전체적으로 그라우트 처리된 경우에도 상기 인장강연선(500)은 상기 그라우트재(900)와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강연선(300)은 상기 인장강연선(500)과 달리, 상기 보호관(600)이 피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510)와 자유단부(550)를 가지도록 U 밴드 타입으로 벤딩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강연선(300)은 상기 그라우트재(900)가 상기 천공홀9100) 내에 전체적으로 그라우트 처리된 경우에 상기 그라우트재(9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은 상호 대향되는 각 벤딩부(310, 510)를 연결하는 연결구(400)를 통하여 연결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400)는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가지는 연결본체(41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제1고정홈(4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홈(430) 상에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가 걸림 고정되고, 상기 연결본체(410)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제2고정홈(450)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홈(450) 상에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가 걸림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홈(430) 및 제2고정홈(450)은 내측 일면에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 및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가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 및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와 대응되는 만곡면(430a, 45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각 만곡면(430a, 450a)에 각각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 및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가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400)는 상기 제1고정홈(430) 상에 걸림 고정된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410) 일측에 상기 제1고정홈(43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고정홀(43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홀(431)에 제1고정핀(432)이 삽입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400)는 상기 제2고정홈(450) 상에 걸림 고정된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410) 타측에 상기 제2고정홈(45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고정홀(451)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홀(451)에 제2고정핀(452)이 삽입 고정됨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강연선(300)은 상기 벤딩부(310)로부터 상기 자유단부(350) 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호 대향되는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밴드(360)와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결속밴드(370)가 교번하여 밴딩되는 한편, 상기 자유단부(350)의 끝단은 상기 결속밴드(370)에 의해 결속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인장강연선(500)도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마찬가지로 상기 벤딩부(510)로부터 상기 자유단부(550) 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호 대향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장강연선(500)은 인장력을 가하기 위하여 당겨져야 하므로 결속밴드는 구비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C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4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그라우트재(900)에 의한 선 정착 고정 후에 상기 인장강연선(500)에 대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의 연결부분에 대한 미세균열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구(4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연결구(400)를 구비함으로써 연결구(400)가 그라우트재(900)와 접촉에 의해 내하체 역할을 함으로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에도 미세균열을 억제하여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을 높여 지반보강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C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요부인 상기 연결구(400)는 상기 연결본체(410)가 장방형 등의 사각형을 이루는 직육면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상기 연결본체(410)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고정강연선(300) 및 인장강연선(500)은 단일의 개수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복수 개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요부인 연결부재를 통한 U 밴드 타입 인장강연선과 고정강연선의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고정강연선(300) 및 인장강연선(500)을 복수 개로 적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강연선(300) 및 인장강연선(500)을 복수 개로 적용함에 따라 상기 고정강연선(300)에 의한 정착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대한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을 연결구(400)로 연결하여 형성된 조립체를 형성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며, 그리고 나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조립체를 지반에 일정깊이로 기 천공된 천공홀(100)에 삽입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조립체 중에서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단부, 즉 천공홀(100) 최하단까지 그라우팅관(800)을 통하여 그라우트재(900)를 상기 천공홀(100) 전체에 걸쳐 주입하여 그라우팅 처리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나서, 상기 그라우트재(900)의 경화가 이루어지면 인장강연선(500)을 인장징치, 예컨대 유압실린더 등으로 인장력을 가하고, 이후 인장강연선 고정장치(700)로 인장강연선(500)의 일단을 고정설치하여 마감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프리텐션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이 압축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장강연선(500)을 통한 인장보강구간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는 상기 연결구(4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그라우트재(900)에 의한 선 정착 고정 후에 상기 인장강연선(500)에 대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의 연결부분에 대한 미세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에도 미세균열을 억제함으로써 정착 고정부의 정착 고정력을 높여 지반보강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4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장강연선(500)이 여러가닥일 경우에도 길이가 일정하므로 늘음량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천공홀
200: 정착장부 210: 자유장부
300: 고정강연선
310: 벤딩부 350: 자유단부
360: 간격유지밴드 370: 결속밴드
400: 연결구 410: 연결본체
430: 제1고정홈 430a: 만곡면
431: 제1고정홀 432: 제1고정핀
450: 제2고정홈 450a: 만곡면
451: 제2고정홀 452: 제2고정핀
500: 인장강연선 510: 벤딩부
550: 자유단부 600: 보호관
700: 인장강연선 고정장치 800: 그라우팅관
900: 그라우트재

Claims (5)

  1.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서 지반에 일정깊이로 천공된 천공홀(100)의 최 내측에 일단이 위치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정착장부(200)를 형성하는 고정강연선(300); 일정길이를 가지는 PC 강연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말단과 일단이 연결되며, 말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자유장부(210)를 형성하는 인장강연선(500);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일단으로부터 말단 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되어 인장강연선(500)의 외면을 보호하는 한편 상기 인장강연선(5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인장보강구간을 형성하는 보호관(600); 상기 천공홀(100)의 외부로 노출된 인장강연선을 인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인장강연선 고정장치(700); 일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최 내측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져 위치하고 말단이 상기 천공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그라우팅관(800); 및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100) 내 측에 그라우팅되어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프리텐션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이 압축력으로 작용하는 그라우트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은 일단에 벤딩부(310, 510)가 만곡 형성되고 말단에 일정간격을 가지는 두 갈래로 이루어지는 자유단부(350, 550)가 형성되는 U 밴드 타입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은 상호 대향되는 각 벤딩부(310, 510)를 연결하는 연결구(400)를 통하여 연결고정되며, 상기 연결구(400)는 상기 고정강연선(300)과 인장강연선(50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가지는 연결본체(41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제1고정홈(430)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홈(430) 상에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가 걸림 고정되고, 상기 연결본체(410)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제2고정홈(450)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홈(450) 상에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가 걸림 고정되는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00)는 상기 제1고정홈(430) 상에 걸림 고정된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410) 일측에 상기 제1고정홈(43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고정홀(43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홀(431)에 제1고정핀(432)이 삽입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고정홈(450) 상에 걸림 고정된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본체(410) 타측에 상기 제2고정홈(45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고정홀(451)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홀(451)에 제2고정핀(452)이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430) 및 제2고정홈(450)은 내측 일면에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 및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가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강연선(300)의 벤딩부(310) 및 상기 인장강연선(500)의 벤딩부(510)와 대응되는 만곡면(430a, 450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강연선(300)은 상기 벤딩부(310)로부터 상기 자유단부(350) 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호 대향되는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밴드(360)와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결속밴드(370)가 교번하여 밴딩되는 한편, 상기 자유단부(350)의 끝단은 상기 결속밴드(370)에 의해 결속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KR1020120114350A 2012-10-15 2012-10-15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KR10125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50A KR101257858B1 (ko) 2012-10-15 2012-10-15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50A KR101257858B1 (ko) 2012-10-15 2012-10-15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858B1 true KR101257858B1 (ko) 2013-04-24

Family

ID=4844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50A KR101257858B1 (ko) 2012-10-15 2012-10-15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5309A (zh) * 2023-12-05 2024-01-05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抗剪预应力锚索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11Y1 (ko) * 2001-09-05 2001-12-13 세운토건 주식회사 어스앵커
KR200255693Y1 (ko) * 2001-08-29 2001-12-13 정성영 내하체 및 이를 채용한 제거식 앵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93Y1 (ko) * 2001-08-29 2001-12-13 정성영 내하체 및 이를 채용한 제거식 앵커
KR200255711Y1 (ko) * 2001-09-05 2001-12-13 세운토건 주식회사 어스앵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5309A (zh) * 2023-12-05 2024-01-05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抗剪预应力锚索
CN117345309B (zh) * 2023-12-05 2024-02-20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抗剪预应力锚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KR100729667B1 (ko)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KR101257858B1 (ko) Pc 강연선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 구조
KR20120068424A (ko) 그라운드 앵커체용 간격재 및 상기 간격재를 이용한 비제거식 케이블 볼트 앵커 설치구조
KR102004420B1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방법
KR200400693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1243281B1 (ko) 강연선을 이용한 케이블 볼트와 록 볼트 및 소일 네일용 반구형 정착체 시공장치
KR101861142B1 (ko)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및 이의 수치해석방법
KR102220735B1 (ko) 하이브리드형 영구 앵커
KR101700794B1 (ko) 양방향 저항 앵커
KR100944199B1 (ko) 다철근 네일을 병용한 피씨 앵커체 구조
KR101471478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제거식 앵커
KR101213588B1 (ko) 지반 성토용 타이케이블
CN115976862A (zh) 尤其用于静态构建的预紧绳
JP6077706B1 (ja) Uターン複合抵抗機構型グラウンドアンカー
KR101825018B1 (ko) 복합형 하중분산 앵커
KR101277730B1 (ko) 앵커용 일체형 정착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2585190B1 (ko) U턴형 만숀을 이용한 영구앵카
KR20200041095A (ko) 영구형 앵커
KR20210056292A (ko) Ps강연선을 이용한 네일 앵커 구조체
JP7054113B2 (ja)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定着部構造
KR200255693Y1 (ko) 내하체 및 이를 채용한 제거식 앵커
JP2014214457A (ja) 耐荷体及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
KR102176614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