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501B1 - 거푸집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501B1
KR100897501B1 KR1020080131641A KR20080131641A KR100897501B1 KR 100897501 B1 KR100897501 B1 KR 100897501B1 KR 1020080131641 A KR1020080131641 A KR 1020080131641A KR 20080131641 A KR20080131641 A KR 20080131641A KR 100897501 B1 KR100897501 B1 KR 100897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ixing
fixing member
formwork
preventing memb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철
Original Assignee
문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철 filed Critical 문경철
Priority to KR102008013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거푸집 고정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이 고정되도록, 상기 거푸집을 가로지르는 연결 케이블을 잡을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거푸집 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을 가로지른 상기 연결 케이블이 관통되는 거푸집측 고정 부재; 상기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를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이 관통되는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를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하는 이탈 방지 부재; 및 상기 연결 케이블에 인장력(tension)이 인가 또는 해제되도록,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거푸집 고정 장치에 의하면, 거푸집 고정 및 그 해체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재사용을 위해 용접 및 강제 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른 크랙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서, 연결 케이블의 이탈에 따른 거푸집의 와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거푸집 와해에 따른 콘크리트 등의 자재 유실 및 인명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케이블 및 케이블 관통 관의 크기 감소에 따라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강선은 종래의 환봉에 비해 유연하므로 설치 과정에서 연결 케이블에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 장치{Form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거푸집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요구되는 형태 및 치수로 제작하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이 이용되고, 공사 현장에 따라 경질 섬유판, 합성 수지, 강판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평평한 합판을 다수 장 맞대어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맞대어진 다수 장의 합판이 요구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가로질러 PVC 등의 재질로 형성된 연결관을 배치하고, 그 연결관에 연결 케이블인 환봉을 관통시킨다. 상기 연결관을 관통한 환봉의 양 말단부에 이탈 방지를 위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거푸집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연결관을 관통한 환봉의 양 말단부에 소정 넓이의 철판을 용접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이 형성 완료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용접된 철판을 환봉으로부터 강제로 다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철판이 제거된 환봉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철판을 용접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용접 및 강제 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환봉과 철판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환봉에서 철판이 이탈되어 거푸집이 와해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거푸집 와해가 발생되는 경우, 콘크리트 등의 자재 유실은 물론, 인명 피해까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두꺼운 환봉이 이용됨에 따라 환봉이 잘 굽혀지지 아니한다. 따라서, 환봉을 연결관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환봉을 연결관에 삽입하는 작업 과정에서 환봉에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환봉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 케이블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거푸집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탈 시 연결 케이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거푸집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이 고정되도록, 상기 거푸집을 가로지르는 연결 케이블을 잡을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거푸집 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을 가로지른 상기 연결 케이블이 관통되는 거푸집측 고정 부재; 상기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를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이 관통되는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를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하는 이탈 방지 부재; 및 상기 연결 케이블에 인장력(tension)이 인가 또는 해제되도록,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에 의하면, 거푸집 고정을 위해, 용접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거푸집측 고정 부재, 간격 조절 부재,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및 이탈 방지 부재에 의해 연결 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므로, 거푸집 고정 및 그 해체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에 의하면, 용접 등에 의하지 아니하므로, 연결 케이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연결 케이블은 물론 그 연결 케이블 고정을 위한 거푸집측 고정 부재, 간격 조절 부재,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및 이탈 방지 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재사용을 위해 용접 및 강제 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른 크랙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서, 연결 케이블의 이탈에 따른 거푸집의 와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거푸집 와해에 따른 콘크리트 등의 자재 유실 및 인명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에 의하면, 연결 케이블로 종래의 환봉보다 얇은 유연한(flexible) 강선(鋼線)이 이용되는 경우, 연결 케이블을 케이블 관통 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등 거푸집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 케이블 및 케이블 관통 관의 크기 감소에 따라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강선은 종래의 환봉에 비해 유연하므로 설치 과정에서 연결 케이블에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가 거푸집을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 정 장치의 작동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100)는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간격 조절 부재(120)와,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를 포함하여, 거푸집(10)을 고정한다.
상기 거푸집(10)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을 위하여, 측면부(11, 13)와, 바닥부(12) 등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콘크리트(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10)에는 PVC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블 관통 관(20)이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에는 연결 케이블(50)이 관통된다. 상기 연결 케이블(50)은 상기 거푸집(10)의 일 측면부(11)를 관통한 후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를 관통하고, 다시 타 측면부(13)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케이블(50)은 종래의 환봉보다 얇은 유연한(flexible) 강선(鋼線)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연결 케이블(50)을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등 상기 거푸집(10)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결 케이블(50) 및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의 크기 감소에 따라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강선은 종래의 환봉에 비해 유연하므로 설치 과정에서 상기 연결 케이블(50)에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 및 상기 연결 케이블(50)은 상기 거푸집(10)의 상 부 및 하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면 번호 30 내지 33은 상기 거푸집(10)을 둘러싸, 상기 거푸집(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빔이고, 도면 번호 34는 상기 지지 빔(30, 31, 32, 3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을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적어도 일 말단부가 거푸집 고정 장치(1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거푸집(10)이 요구되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100)가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양 측 말단부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고, 그 일 측 말단부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100)가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일 측 말단부에만 적용되는 경우,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타 측 말단부에는 후술되는 이탈 방지 부재(20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100)는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및 이탈 방지 부재(200)를 포함하여, 상기 거푸집(10)을 가로지르는 상기 연결 케이블(50)을 잡을 수 있다.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는 몸체(111)와, 고정 플레이트(113)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10) 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10)을 가로지른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관통된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는 몸체(141)와, 고정 플레이트(143)로 구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 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10) 및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를 가로지른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관통된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는 몸체(121), 상기 몸체(121)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122, 123), 상기 몸체(121)로부터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가 각각 삽입되는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 및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50)에 인장력(tension)이 인가 또는 해제되도록,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 및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몸체(141)에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가 삽입되는 삽입 홀(145)이 형성된다.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의 몸체(111)에는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 홀(145)과 같은 삽입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13, 143)는 상기 몸체(111, 141)로부터 각각 연장된 플레이트이다.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113)는 상기 거푸집(10) 또는 상기 지지 빔(30, 31, 32, 33)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113)에는 고정 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114)에는 고정용 철근, 나사 등의 고정 부재가 관통된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143)에도 상기 고정 홀(114)과 같은 고정 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를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 다.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의 몸체(111)에는 관통 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홀(112)에는 상기 거푸집(10)을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관통된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몸체(141)에는 상기 관통 홀(112)과 같은 관통 홀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에도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 상기 몸체(121) 및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를 관통하는 관통 홀(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관통 홀은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 및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각 관통 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거푸집(10)을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 및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각 관통 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가 각각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각 삽입 홀에 삽입되면,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는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각 몸체(111, 141)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에서 외측으로 대칭되도록 연장된 것이 상기 손잡이(122, 123)이다. 상기 손잡이(122, 123)는 작업자가 잡고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22, 123)를 잡고 상기 몸체(121) 를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121)에서 연장된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의 외면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각 삽입 홀에는 각각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의 외면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의 외면에 나사산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 몸체(121)를 기준으로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가 서로 대칭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는 콘 삽입부(210)와, 이탈 방지 콘(2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를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은 다수 개로 분할된 분할 몸체(221, 222, 223)와, 상기 분할 몸체(221, 222, 223)가 하나의 몸체처럼 묶일 수 있는 탄성 부재인 고무 링(224)으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콘 형상을 이룬다. 상기 분할 몸체(221, 222, 223)는 상기 고무 링(224)에 의해 하나의 몸체처럼 묶이면서, 상기 고무 링(224)이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분할 몸체(221, 222, 223)가 하나의 몸체처럼 묶였을 때, 그 내부에는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22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홀(225)은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직경보다 소정 크기만큼 작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관통 홀(225)에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관통될 때 상기 분할 몸체(221, 222, 223) 사이가 살짝 벌어지면서 상기 연결 케이블(50)을 감싸게 된다.
상기 콘 삽입부(210)는 몸체(211)에 관통 홀(212)과, 콘 삽입 홀(2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홀(212)은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관통되는 홀이고, 상기 콘 삽입 홀(213)은 상기 관통 홀(212)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콘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이 삽입되는 홀이다.
작업자가 상기 관통 홀(212)과 상기 콘 삽입 홀(213)에 상기 연결 케이블(50)을 관통시킨 후,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의 각 분할 몸체(221, 222, 223) 사이를 살짝 벌리면서 상기 관통 홀(225)을 통해 상기 연결 케이블(50)을 관통시키면,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이 상기 고무 링(22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 케이블(50)에 밀착된다. 이 때, 상기 분할 몸체(221, 222, 223) 사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작업자가 상기 이탈 방지 콘(22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을 상기 콘 삽입 홀(213)로 밀어 넣으면,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이 상기 콘 삽입 홀(213)에 삽입될수록 상기 분할 몸체(221, 222, 22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콘 삽입부(210), 상기 이탈 방지 콘(220) 및 상기 연결 케이블(50) 사이가 더욱 밀착하게 되어,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에 의해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고정되어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몸체(121)가 외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가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도 그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각 삽입 홀이 그 나사산에 각각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는 서로 반대 방향인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 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 완료 등의 이유로 상기 거푸집(10)을 해제하려는 경우,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를 도 3에 도시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10)을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에 인가된 인장력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상 기 거푸집(10)이 해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가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도 그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각 삽입 홀이 그 나사산에 각각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는 서로 반대 방향인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격된다.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를 도 3에 도시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10)을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에 인장력이 인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10)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거푸집(10)의 각 측면부(11, 13) 및 바닥부(12)를 맞추어 요구되는 형태로 만든 다음,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을 상기 거푸집(1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하고, 상기 연결 케이블(50)을 상기 거푸집(10)의 일 측에서 삽입 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 케이블(50)이 상기 거푸집(10)의 일 측면부(11), 상기 케이블 관통 관(20) 및 상기 거푸집(10)의 타 측면부(13)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일 측 말단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 등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타 측 말단부에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100)를 관통시킨다. 그러면, 상기 연결 케이블(50)은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 및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해안에서 콘트리트 구조물 형성 작업을 하는 경우, 비교적 설치가 간단한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를 해양 쪽의 연결 케이블(50) 말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100)를 작업 공간 확보가 용이한 육지 쪽의 연결 케이블(50) 말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100)가 관통된 상기 연결 케이블(50)의 타 측 말단부에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22, 123)를 돌려 도 3에 도시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를 회전시키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124)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125)도 그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는 서로 반대 방향인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몸체(121)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격된다. 그러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 게 되는데,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외측에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가 설치되어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의 이동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10)을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에 인장력이 인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10)이 고정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 완료 등의 이유로 상기 거푸집(10)을 해제하려는 경우,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를 도 3에 도시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10)을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50)에 인가된 인장력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거푸집(10)이 해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이탈 방지 콘(220)을 상기 콘 삽입부(21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이탈 방지 부재(200)가 용이하게 상기 연결 케이블(50)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상기 거푸집 고정 장치(100)를 상기 연결 케이블(5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100)에 의하면, 거푸집(10) 고정을 위해, 용접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 간격 조절 부재(120),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및 이탈 방지 부재(200)에 의해 연결 케이블(50)을 고정하게 되므로, 거푸집(10) 고정 및 그 해체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접 등에 의하지 아니하므로, 연결 케이블(5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를 최소화하면서 연결 케이블(50)은 물론 그 연결 케이블(50) 고정을 위한 거푸집측 고정 부재(110), 간격 조절 부재(120),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140) 및 이탈 방지 부재(200)를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재사용을 위해 용접 및 강제 제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른 크랙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서, 연결 케이블(50)의 이탈에 따른 거푸집(10)의 와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거푸집(10) 와해에 따른 콘크리트 등의 자재 유실 및 인명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에 의하면, 연결 케이블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고, 착탈 시 연결 케이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가 거푸집을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의 작동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 장치에 적용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이 고정되도록, 상기 거푸집을 가로지르는 연결 케이블을 잡을 수 있는 거푸집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의 부분 중 상기 거푸집을 가로지른 부분이 관통되는 거푸집측 고정 부재;
    상기 연결 케이블의 부분 중 상기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를 함께 관통한 부분이 관통되는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를 관통한 상기 연결 케이블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하는 이탈 방지 부재; 및
    상기 연결 케이블에 인장력(tension)이 인가 또는 해제되도록,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고정을 위해 상기 연결 케이블에 인장력이 인가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상기 거푸집 해체를 위해 상기 연결 케이블에 인가된 인장력이 해제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에 의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에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로부터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에 각각 삽입되는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와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에는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 1 삽입 홀과 제 2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될 때 상기 간격 조절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 홀과 상기 제 2 삽입 홀에는 각각 상기 거푸집측 고정 부재 삽입부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측 고정 부재 삽입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연결 케이블이 관통되고 다수 개의 분할 몸체로 분할되며 콘 형상을 이루는 이탈 방지 콘과, 상기 이탈 방지 콘이 삽입되는 콘 삽 입 홀이 형성되는 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케이블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콘 삽입 홀에 상기 이탈 방지 콘이 삽입될수록, 상기 다수 개의 분할 몸체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상기 연결 케이블과 상기 이탈 방지 콘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유연한(flexible)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 장치.
KR1020080131641A 2008-12-22 2008-12-22 거푸집 고정 장치 KR100897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641A KR100897501B1 (ko) 2008-12-22 2008-12-22 거푸집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641A KR100897501B1 (ko) 2008-12-22 2008-12-22 거푸집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501B1 true KR100897501B1 (ko) 2009-05-15

Family

ID=4086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641A KR100897501B1 (ko) 2008-12-22 2008-12-22 거푸집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11B1 (ko) 2010-06-11 2013-01-11 김경훈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CN109518950A (zh) * 2018-12-05 2019-03-26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装配式现浇段无支撑工具化模板体系及其使用方法
CN112900238A (zh) * 2021-01-22 2021-06-04 同济大学 一种软钢耗能拉索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039B2 (ja) 1992-02-24 1998-08-06 鹿島建設株式会社 鋼板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416815Y1 (ko) 2006-03-02 2006-05-22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0621130B1 (ko) 2006-06-01 2006-09-07 유알텍(주) 거푸집 고정 및 간격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039B2 (ja) 1992-02-24 1998-08-06 鹿島建設株式会社 鋼板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416815Y1 (ko) 2006-03-02 2006-05-22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0621130B1 (ko) 2006-06-01 2006-09-07 유알텍(주) 거푸집 고정 및 간격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11B1 (ko) 2010-06-11 2013-01-11 김경훈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CN109518950A (zh) * 2018-12-05 2019-03-26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装配式现浇段无支撑工具化模板体系及其使用方法
CN112900238A (zh) * 2021-01-22 2021-06-04 同济大学 一种软钢耗能拉索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0115B1 (ja) 穿孔ガイド装置およびガイド孔の穿孔方法
KR100897501B1 (ko) 거푸집 고정 장치
JP5894039B2 (ja) 斜ケーブルの定着構造
JP4029105B2 (ja) 接続具、pc部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7192011A (ja) 構造物のケーブル定着構造および該ケーブル定着構造におけるケーブルの張力調整方法
KR101490555B1 (ko)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JP4847805B2 (ja) 斜張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5039080B2 (ja) ケーブルの端部張力解放方法及び該方法の実施に用いるケーブルクランプ装置
JP6179980B2 (ja) 緊張材の緊張接続方法及び緊張材の一部交換方法
KR101327275B1 (ko) 포스트 텐션용 정착 보조장치
KR101759199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20070042625A (ko) 어스앵커 설치 및 재인장용 간격유지기구
JP5427657B2 (ja) 緊張材の緊張力解放装置及び緊張力解放方法
JP5351403B2 (ja) 緊張材の緊張力解放装置及びその緊張力解放装置を用いた緊張材の緊張力解放工法。
KR200481789Y1 (ko) 지지축과 받침대를 구비하여 h형강의 좌굴과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t형 보강장치
KR102125243B1 (ko) 기시공된 앵커의 재인장 및 인장력 육안확인 장치 시공 방법
CN210767892U (zh) 可拆卸复用的单孔夹片式锚索锚具
JP2017128876A (ja) 吊り足場板の吊下げ金具
KR200485118Y1 (ko)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를 위한 t형 보강장치
JP6351355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6247951B2 (ja) 周方向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及び装置、並びに鉄筋コンクリート体
JP7160575B2 (ja) 構造物及び構造物の構築方法
KR20190001817U (ko)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KR100570270B1 (ko) 어스앵커 설치 및 재인장용 간격유지기구
JP2017115304A (ja) 足場板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