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811B1 -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811B1
KR101220811B1 KR1020100055246A KR20100055246A KR101220811B1 KR 101220811 B1 KR101220811 B1 KR 101220811B1 KR 1020100055246 A KR1020100055246 A KR 1020100055246A KR 20100055246 A KR20100055246 A KR 20100055246A KR 101220811 B1 KR101220811 B1 KR 10122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building
wire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496A (ko
Inventor
이병화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이병화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0005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81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3Shutter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바닥 평탄화작업 후, 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토대를 바닥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고, 토대를 따라 거푸집을 건축물과 데크 혹은 테라스의 형상 및 설치위치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위치 및 모양에 맞게 배치하고, 각종 배관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며, 양생이 종료된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하는 기초 시공 방법과, 와이어로 거푸집을 구성하는 패널들을 연결하도록 하되 와이어 고정구조를 간편하게 개선한 거푸집을 제공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거푸집도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도록 하면서 구성이 간단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and form }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에 기초시공을 한 후, 기초에 설치된 토대 상에 용접 및 볼트체결로 벽체를 설치하고, 벽체 상에 지붕을 설치하고, 건축물의 외부에 테라스나 데크를 설치할 경우 건축물 기초 시공과는 무관하게 평탄화된 지면에 기둥을 세우고 그 상부에 데크 혹은 테라스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등을 설치하여 완성하였다.
상기에서 기초 시공은, 바닥 평탄화 작업 후,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패널을,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 및 패널들을 연결하는 연결바와 체결시켜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한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을 형성하고, 지반 타설 과정에 앵커를 설치한 후, 앵커를 통해서 토대와 지반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초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기초를 타설하는 과정에 앵커를 설치하고 이후 앵커와 토대를 체결하였으므로 체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앵커의 위치가 타설과정에서 몰탈의 수축 등으로 인하여 위치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아서 토대 설치 시 토대에 별도의 앵커 체결공을 천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토대 설치후 벽체 시공 후 벽체로 인하여 구획된 공간에 각각 난방 배관 설치작업을 하였으므로, 난방 배관 설치과정에서 시멘트몰탈의 평탄화를 오로지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하였으므로 정밀한 평탄화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작업에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라스나 데크를 별도로 설치하였으므로 이를 위한 기둥설치과정이 필요하므로 작업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기초 시공 등을 포함하여 콘크리트를 일정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거푸집 구조에 대한 선행기술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7501호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7501호에서는 연결케이블을 통해서 거푸집을 지지한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에서 연결케이블은 거푸집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빔을 관통하여 거푸집 고정 장치에 고정되며, 상기한 거푸집 고정 장치는 거푸집측 고정부재와 반대측 이탈방지부재측 고정 부재를 서로 다른 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부재로 나사결합시켜 놓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다수의 조각으로 절개형성된 이탈방지콘을 콘 삽입부에 삽입하여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콘 삽입부가 이탈방지부재측 고정부재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를 거푸집과 복수개 고정부재와 간격조절부재 및 이탈방지부재 내부로 관통시킨 후 이탈방지콘을 콘 삽입부로 삽입하고, 간격조절부재를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팽팽하게 당겨지고, 거푸집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 간격조절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의 장력이 제거되어 거푸집의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와이어 고정구조에 의하면 실제 와이어의 고정이 이탈방지콘과의 마찰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중 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어 거푸집이 견고하게 위치고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탈방지콘이 다수개로 조각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사용 중 이탈방지콘의 조각이 분실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부품 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토대를 기초와 함께 설치하고, 데크 혹은 테라스를 위한 기초도 함께 시공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이러한 기초시공을 위하여 거푸집도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도록 하면서 구성이 간단하도록 개선한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바닥 평탄화작업 후, 토대를 건축물의 형상 및 설치위치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위치 및 모양에 맞게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에 의하여 정해진 높이로 수평 설치하고, 상기한 토대의 외곽을 따라 거푸집을 설치한 후, 각종 배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며, 양생이 종료된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한다.
한편, 상기한 기초공사 과정에서 거푸집 설치 과정에서 데크 혹은 테라스의 위치에도 거푸집을 동시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데크 혹은 테라스의 콘크리트 타설면은 건축물의 외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종단에 배수홈이 더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배수홈은 외관을 위하여 양측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기초공사를 위한 거푸집은 우선, 거푸집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패널, 상기한 패널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대, 대향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설치된 수직 지지대를 관통하는 와이어, 상기한 수직 지지대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상기한 고정부재는 거푸집에 밀착설치되며 중심에 와이어 관통공이 천공된 고정브라켓과, 상기한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거푸집과 수평하게 위치되며 중심에 와이어 관통공이 천공된 조절레버, 상기한 조절레버의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조절레버와 고정수단의 고정예로는 조절레버의 종단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의 외측에서 내주면에 조절레버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고정수단을 조여서 조절레버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조절레버에는 와이어 관통공의 측부에 와이어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지지부재가 더 형성되어, 와이어 관통공을 관통한 와이어의 종단을 와이어 지지부재에 권취한 후 조절레버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적당한 장력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거푸집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의 하부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위치되며 선단은 패널과 일체로 체결되는 수평지지대가 더 설치되어 패널이 지면에 대하여 쉽게 수직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시공과정에서 토대를 함께 매설하므로, 이후 벽체시공과정에서 벽체를 토대 상에 바로 올리면 되므로 작업공정이 종래에 비하여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토대를 먼저 시공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므로 거푸집 설치과정에서 거푸집을 토대를 따라 배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거푸집 설치과정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초시공과정에서 테라스 또는 데크설치용 기초까지 함께 시공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기초를 형성한 후 벽체를 시공하지 않고 필요한 위치에 난방배관을 설치하므로 난방배관 작업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 기계를 이용하여 평탄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대폭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푸집을 와이어로 고정하고, 상기한 와이어를 고정하며 적당한 장력을 갖도록 하는 수단의 구성이 간단하여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와이어 고정을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와이어 고정수단의 제조비용 및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토대가 바닥면에 수직바를 통해서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콘크리트에 일부가 묻힌 상태로 일체로 설치되므로 지진에도 안전한 특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 몰탈 투입 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 몰탈 투입 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혹은 테라스부분의 콘크리트 타설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우선,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살펴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평탄화작업 후, 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토대(200)를 바닥면(300) 상에 위치되는 설치프레임(400)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설치한 뒤, 거푸집(100)을 상기한 토대(200)의 외곽을 따라 콘크리트 타설 위치 및 모양에 맞게 배치하고, 거푸집(100) 내부에는 각종 배관(930)을 설치한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600)를 타설하여 양생하며, 양생이 종료된 후에는 거푸집(100)을 제거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하고, 기초의 양생이 완료되면 그 상부에 바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난방배관(500)을 시공한다.
한편, 상기한 거푸집(100)과 토대(200) 설치 및 콘크리트(600) 타설 과정에서 데크 혹은 테라스(700) 부분도 함께 시공을 하며, 상기한 데크 혹은 테라스(700) 부분은 다수개의 프레임(720)을 서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서 상부에 데크 혹은 테라스 형성용 목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크 혹은 테라스(700) 부분 콘크리트의 상부면은 건축물의 외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성형하여 건축물 완성 후 빗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데크 혹은 테라스의 외측 종단에는 측면으로 배수홈(D)을 형성하여 빗물이 흘러내리면서 건축물의 전방으로 흘러내려서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치프레임(400)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410)와 상기한 수직바(410)의 상단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바(420)로 구성되며, 상기한 수직바(410)는 토대(2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며, 수평바(420)는 토대(200)의 하부로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면이 다른 부분보다 다소 낮은 화장실,현관 등의 타설면 높이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토대(200)는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바를 사용하므로 그 상부면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일부가 상기한 사각바의 중공부로 투입되므로 콘크리트와 결합강도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910은 벽체를 나타내고, 920은 콘크리트 타설용 철근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한 기초공사를 위한 거푸집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는, 거푸집(100)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패널(110), 상기한 패널(11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20), 대향하는 복수개의 패널(110)과 상기 패널(110)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20)를 관통하는 와이어(130), 상기한 수직지지대(120)에 설치되며 와이어(130)가 고정되는 고정부재(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거푸집(100)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패널(110)의 하부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위치되며 선단은 패널(110) 혹은 수직지지대(120)와 일체로 체결되는 수평지지대(150)가 더 설치되어 패널(110)이 지면에 대하여 쉽게 수직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14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고정부(142)의 양종단에 수평돌출부(143)가 형성되어 'ㄷ'형으로 형성되고 수직 고정부(142)의 중심에 와이어 관통공(142a)이 천공되어 수직 고정부(142)가 수직지지대(120)에 밀착설치되는 고정브라켓(144)과, 상기한 고정브라켓(144)의 복수개 수평돌출부(143)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직지지대(120)와 수평하게 위치되며 중심에 와이어 관통공(146a)이 천공된 조절레버(146), 상기한 조절레버(146)의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48)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조절레버(146)와 고정수단(148)의 고정예로는 조절레버(146)의 종단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고정브라켓(144)의 외측에서 내주면에 조절레버(146)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고정수단(148)을 조여서 조절레버(146)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조절레버(146)에는 와이어 관통공(146a)의 측부에 와이어(130)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는 고리형 와이어 지지부재(149)가 더 형성되어, 와이어 관통공(146a)을 관통한 와이어(130)의 종단을 와이어 지지부재(149)에 권취한 후 조절레버(146)를 회전시켜 와이어(130)가 적당한 장력을 갖도록 한다.
100 : 거푸집 110 : 패널
120 : 수직지지대 130 : 와이어
140 : 고정부재 200 : 토대
300 : 바닥면 400 : 설치프레임
600 : 콘크리트 700 : 데크 혹은 테라스

Claims (4)

  1. 기초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바닥 평탄화작업 후,
    바닥면(30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410)를 이용하여 토대(200)를 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위치 및 모양에 맞게 수평으로 설치하고,
    상기 토대(200)의 외곽을 따라 거푸집(100)을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100) 내부에 각종 배관(930)을 설치하며,
    콘크리트(600)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양생이 종료된 후에는 거푸집(100)을 제거하여, 토대(200)의 일부가 콘크리트(600)에 매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푸집 설치 과정에서 데크 혹은 테라스(700)의 위치에도 거푸집을 동시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데크 혹은 테라스의 콘크리트 타설면은 건축물의 외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종단에 배수홈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4. 다수개의 패널(110);
    상기한 패널(11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20);
    대향하는 복수개의 패널(110)과 상기 패널(110)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20)를 관통하는 와이어(130);
    중심에 와이어 관통공(142a)이 천공되어 수직지지대(120)에 밀착설치되는 고정브라켓(144)과, 상기한 고정브라켓(144)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직지지대(120)와 수평하게 위치되며 중심에 와이어 관통공(146a)이 천공된 조절레버(146), 상기한 조절레버(146)의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48)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와이어(130)의 종단을 고정하고 조절레버(146)를 회전시켜 와이어(130)가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하는 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닥면(30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41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위치 및 모양에 맞게 수평으로 설치된 토대(200)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어, 토대(200)의 일부가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KR1020100055246A 2010-06-11 2010-06-11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KR10122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246A KR101220811B1 (ko) 2010-06-11 2010-06-11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246A KR101220811B1 (ko) 2010-06-11 2010-06-11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496A KR20110135496A (ko) 2011-12-19
KR101220811B1 true KR101220811B1 (ko) 2013-01-11

Family

ID=4550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246A KR101220811B1 (ko) 2010-06-11 2010-06-11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850A (ko) 2019-04-19 2020-10-28 삼성물산 주식회사 공사 중 인근 지반의 굴착으로 파일의 노출이 예상되는 구역의 기초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58Y1 (ko) * 2012-06-26 2015-01-08 이병화 기초 철골 연결 장치
KR101467308B1 (ko) * 2014-03-24 2014-12-01 동일건설(주) 리베트먼트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84572B1 (ko) 2017-09-07 2018-08-29 김둘례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
KR101884571B1 (ko) 2017-09-07 2018-08-01 김둘례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68Y1 (ko) * 2006-01-10 2006-05-26 이강선 철근 및 배관 부착 형 거푸집
KR100821663B1 (ko) 2005-11-25 2008-04-11 근보건설주식회사 탑 다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0897501B1 (ko) 2008-12-22 2009-05-15 문경철 거푸집 고정 장치
KR100949440B1 (ko) 2009-04-10 2010-03-25 윤정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63B1 (ko) 2005-11-25 2008-04-11 근보건설주식회사 탑 다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KR200417368Y1 (ko) * 2006-01-10 2006-05-26 이강선 철근 및 배관 부착 형 거푸집
KR100897501B1 (ko) 2008-12-22 2009-05-15 문경철 거푸집 고정 장치
KR100949440B1 (ko) 2009-04-10 2010-03-25 윤정배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850A (ko) 2019-04-19 2020-10-28 삼성물산 주식회사 공사 중 인근 지반의 굴착으로 파일의 노출이 예상되는 구역의 기초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496A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20811B1 (ko)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JP5737554B2 (ja) 免震基礎の施工方法
KR100873266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US20120304564A1 (en) System for Anchoring Precast Concrete Wall Columns to Foundations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JP2012067514A (ja) 手摺用支柱支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912194B1 (ja) 木造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基礎部材
KR20090004209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정자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JP5028323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JP3622472B2 (ja) 鉄骨柱脚部落込み工法
JP2006002428A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2006348480A (ja) 建築物及び建築物形成方法
JP5181279B2 (ja) 免震部材の下部基礎構造
KR100595811B1 (ko) 건축물 옥상 벽체 보강구조
KR102546788B1 (ko) 배관설치를 위한 슬래브용 슬리브
KR100763027B1 (ko) 피씨 구조 방수턱
KR200298097Y1 (ko) 거푸집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