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99B1 -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99B1
KR101759199B1 KR1020170025993A KR20170025993A KR101759199B1 KR 101759199 B1 KR101759199 B1 KR 101759199B1 KR 1020170025993 A KR1020170025993 A KR 1020170025993A KR 20170025993 A KR20170025993 A KR 20170025993A KR 101759199 B1 KR101759199 B1 KR 10175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ld
deck plate
stres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섭
강병구
김종일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주)씨지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지스플랜 filed Critical (주)씨지스플랜
Priority to KR102017002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를 이루는 거푸집 패널로서,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콘크리트 타설 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하는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A FORM BRINGING OUT STRIPPING AND DECK PLATE USING THE FORM}
본 발명은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푸집 역할을 하는 데크플레이트의 용이한 탈형을 가능하게 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데크플레이트란 건축물의 슬래브를 형성할 때 거푸집 일체 구조로서, 콘크리트 타설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금 강판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제조된 슬래브용 자재이다.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축조하면 콘크리트 수용을 위한 거푸집 시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 및 거푸집 가설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데크플레이트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 진행의 신속성을 가지며 또한, 단위 데크플레이트는 공장에서 균일한 품질로 생산되므로 일정 이상의 시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 가운데 대형 건물의 슬래브 바닥 축조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재가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이다.
도 1은 종래의 트러스 합성 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거더(1)와 트러스거더가 고정되는 패널(10)로 이루어진다.
트러스거더(1)는 트러스형상의 금속선재인 래티스부재(9)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래티스부재(9)에 상부철근(6)과 하부철근(8)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패널(10)은 거푸집 용도로 사용되며,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금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러스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패널(10)이 콘크리트 양생 완료후 탈거되지 않고 영구 존치되어, 크랙 또는 누수 등과 같은 하자가 발생시 하자 부분을 찾기 어렵게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콘크리트 양생 후 패널(10)을 탈거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의 탈형 데크플레이트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종래의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탈형 데크플레이트(A)는 트러스거더(1)와 패널(10) 사이에 스페이서(30)가 결합하는 구조다.
트러스거더(1)는 상부철근(6)의 양측에 래티스부재(9)가 결합하고, 래티스부재(9)의 하단 외측에 각각 하부철근(8)의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하는 구조이다.
패널(10)에는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스페이서(30)는 패널(10)의 관통홀(21)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볼트(40)에 의하여 결합한다. 트러스거더(1)는 스페이셔(30)의 상부에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된다.
탈형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거더(1)와 일체로 결합된 스페이서(30)가 볼트(40)에 의하여 패널(10)과 결합하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볼트(40)를 모두 풀면 패널(10)과 스페이서(30)와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패널(10)을 탈형할 수 있다.
다만 패널(10)은 콘크리트 면과 접착되어 있으므로 볼트(40) 제거 후 쇠지렛대등의 도구를 패널(10)과 콘크리트면 사이에 넣어 물리적인 힘에 의한 패널(10) 탈형 작업이 필요하다.
문제는 작업자가 슬래브의 하부면(즉, 천장면)에 스탠드와 같은 보조가설물을 이용하여 접근한 후 체결된 볼트(40)를 불편한 자세로 하나씩 풀어야만 하고 이후 쇠지렛대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등 작업성이 극도로 저하되므로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탈거 작업에 상당한 인력이 소요된다. 또한, 쇠지렛대 사용으로 인하여 탈형시 패널(10)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므로 패널(10)의 재사용 또한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44895호 (공고일자 2014년09월26일),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대한국등록특허 제10-1444896호 (공고일자 2014년09월26일), "탈형 데크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본 발명의 목적은 인력 수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있는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은, 데크플레이트를 이루는 거푸집 패널로서,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콘크리트 타설 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응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 패널과 분리되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형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패널과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형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를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 부재 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로 상기 이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응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 패널과 분리되는 결절 취약 구조로서 상기 거푸집 패널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절 취약 구조는, 상기 거푸집 패널에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는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트러스트거더; 및 상기 트러스트거더를 상기 거푸집 패널에 고정하되 상기 거푸집 패널과 상기 트러스트거더 간의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에 의하면,
첫째, 이형 부재는 암나사부에 탈거용 수나사가 결합될 때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므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에서 용이하게 거푸집 패널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거푸집 패널 제거시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거푸집 패널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매립 부재는 이형 응력에 의해 거푸집 패널과 분리므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에서 용이하게 거푸집 패널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매립 부재는 이형 부재를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 부재 사이에 수용하므로, 이형 부재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매립 부재는 이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이형 부재의 암나사부에 탈거용 수나사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이형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섯째, 이형 부재는 암나사부에 탈거용 수나사가 결합될 때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켜 거푸집 패널이 탈형되게 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매립 부재는 콘크리트 타설면에 매립되므로 탈거용 수나사가 이형 부재와 결합할 때 탈거용 수나사의 단부가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콘크리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러스 합성 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에서 매립부재가 결합되기 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한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매립 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에서 매립부재가 결합되기 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한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매립 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100)은 관통공(120), 이형 부재(200) 및 매랩 부재(300)를 포함한다.
거푸집 패널(100)은 데크플레이트를 이루는 패널로서, 통상적으로 아연도금 강판으로 형성된다.
거푸집 패널(100)은 0.8T ~ 1.5T 두께의 얇은 강판으로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외측면에 탄소섬유를 부착하여 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관통공(120)은 거푸집 패널(100)면에 복수 개 형성된다.
관통공(120)은 탈거용 수나사가 이형 부재(200)에 결합을 위해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각각의 관통공(120)은 이형 부재(200)에 구비되는 암나사부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해야 한다.
이형 부재(200)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암나사부가 관통공(120)에 맞도록 거푸집 패널(100)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B)와의 결합에 따라 거푸집 패널(100)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킨다.
매립 부재(300)는 타설된 콘크리트(C)가 관통공(120)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거푸집 패널(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C)에 매립되며, 이형 부재(200)와 탈거용 수나사(B)의 결합에 의한 이형 응력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이형 부재(200)는 거푸집 패널(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매립 부재(300)는 이형 부재(200)를 거푸집 패널(100)의 내측면과 매립 부재(300) 사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립 부재(300)는 이형 부재(200)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다. 매립 부재(300)는 모자머리(320) 및 모자창(310)를 가지는 중절모 형태로 실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형 부재(200)는 육각 너트 형태로 실시한다면, 모자머리(320)는 육각형 모양으로 구현하여 탈거용 수나사(B)가 이형 응력 발생을 위해 회전할 때 이형 부재(20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한다.
한편, 매립 부재(300)는 이형 응력에 거푸집 패널(100)과 분리되도록 거푸집 패널(10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립 부재(300)는 이형 응력이 발생하면 거푸집 패널(100)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약한 힘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매립 부재(300)는 모자창(310)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점착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실링용 실리콘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거푸집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형 부재(200')는 거푸집 패널(100')의 외측에 용접 결합된다.
즉, 거푸집 패널(100')이 탈거용 수나사(B)가 이형 응력 발생을 위해 회전할 때 이형 부재(200')의 회전을 억제한다. 이때, 매립 부재(300')는 이형 응력이 발생하면 거푸집 패널(100')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점착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실링용 실리콘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거푸집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형 부재(200'')는 거푸집 패널(100'')의 외측에 용접 결합된다.
매립 부재(300'')는 이형 응력에 의해 거푸집 패널(100'')과 분리되는 결절 취약 구조(T)에 의해 형성된되며, 거푸집 패널(100'')의 가공을 통해 형성된다.
이때, 매립 부재(300'')를 거푸집 패널(100'')과 구분하는 결절 취약 구조(T)는 거푸집 패널(100'')에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실시예에서 거푸집 패널(100')에 형성되는 관통공(120)을 형성할 때 관통공(120) 부분의 패널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일부가 거푸집 패널(100'')에 부착되는 형태로 매립 부재(300'')를 형성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거푸집 패널
200 : 이형 부재
300 : 매립 부재
B : 탈거용 수나사

Claims (8)

  1. 데크플레이트를 이루는 거푸집 패널로서,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콘크리트 타설 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를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 부재 사이에 수용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로 상기 이형 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응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 패널과 분리되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개시된 거푸집 패널;
    트러스트거더; 및
    상기 트러스트거더를 상기 거푸집 패널에 고정하되 상기 거푸집 패널과 상기 트러스트거더 간의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KR1020170025993A 2017-02-28 2017-02-28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175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993A KR101759199B1 (ko) 2017-02-28 2017-02-28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993A KR101759199B1 (ko) 2017-02-28 2017-02-28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99B1 true KR101759199B1 (ko) 2017-07-18

Family

ID=5944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993A KR101759199B1 (ko) 2017-02-28 2017-02-28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2897A1 (en) * 2017-11-08 2019-05-15 Redi-Rock International,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concrete block from a form
KR20190098408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메이크순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25B1 (ko) * 2012-08-14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25B1 (ko) * 2012-08-14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2897A1 (en) * 2017-11-08 2019-05-15 Redi-Rock International,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concrete block from a form
KR20190098408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메이크순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2130526B1 (ko) * 2018-02-14 2020-07-06 주식회사 메이크순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9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US20160319558A1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759199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1404174B1 (ko) 판부착 데크플레이트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764395B1 (ko) 커플러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444895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2022239B1 (ko)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JP2010138614A (ja) 型枠兼用パネル、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04169B1 (ko) 높이조절식 탈형 데크플레이트
KR101641339B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795986B1 (ko)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69291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1404178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
JP2023096614A (ja) 型枠締結具
KR101987685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JP2011026884A (ja) 開口部の構築方法、及び開口部を備える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
KR101444891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높이조절식 스페이서
KR20150033110A (ko) 거푸집 체결구조
KR101899297B1 (ko) 단열재 일체형 외벽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20190001642A (ko)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CN108442690B (zh) 变形缝模板支设方法
JP6415963B2 (ja) 型枠パネル用支持材、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JP6715111B2 (ja) 型枠構造、および構造体の構築方法
KR101404172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