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178B1 - 탈형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탈형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178B1
KR101404178B1 KR1020140014148A KR20140014148A KR101404178B1 KR 101404178 B1 KR101404178 B1 KR 101404178B1 KR 1020140014148 A KR1020140014148 A KR 1020140014148A KR 20140014148 A KR20140014148 A KR 20140014148A KR 101404178 B1 KR101404178 B1 KR 10140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spacer
spacer body
latch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김용회
신효근
최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to KR102014001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500)와 거푸집널(600) 사이에 스페이서(700)가 결합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트러스거더(500)는 상부철근(510); 래티스재(520); 및, 하부철근(530);으로 구성되고, 거푸집널(600)은 표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장공(slot) 형태로 관통된 다수 개의 결합공(610);이 구비되고, 스페이서(700)는 거푸집널(60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트러스거더(500)의 하부철근(530)을 지지하고 하부철근(530)에 용접결합되는 스페이서헤드부(710); 스페이서헤드부(710)와 결합되는 스페이서몸체부(720); 스페이서몸체부(720)의 하부면에서 상향 절개되어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로 형성된 장공(slot) 형태의 삽입공(730);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 영역이 확장되어 형성된 안착공간(740); 및, 거푸집널(600)에 형성된 결합공(610)을 통과하여 삽입공(730)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할 경우 상단부가 안착공간(740)에 안착되어 분리이탈이 방지되는 고정걸쇠(7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형 데크플레이트{Stripping Deck Plate}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베이스부재 역할을 한 거푸집널을 신속하게 탈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탈형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란 건축물의 슬래브를 형성함에 있어 거푸집 대용으로서 콘크리트 타설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제조된 슬래브용 자재를 말한다.
이와 같은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축조하게 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공장 생산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바, 최근 들어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 가운데 대형 건물의 슬래브 바닥 축조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재가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이다.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은 종래의 트러스 합성 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트러스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크게 트러스거더(1)와 트러스거더가 고정되는 베이스부재(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러스거더(1)는 트러스형상의 금속선재인 래티스부재(9)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래티스부재(9)에 상부철근(6)과 하부철근(8)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는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공장제작되는데, 최근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이러한 베이스부재(10)를 탈거하여 재사용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구체적 실시예는 도2에 도시(등록특허 제10-1237325호)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10)와 거푸집널(20) 사이에 스페이서(30)가 결합되어지는 구조로서, 트러스거더(10)는 상현재(11)의 양측에 래티스재(12)의 하단이 확장되어지게 래티스재(12)의 상단 내측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래티스재(12)의 하단 외측에 각각 하현재(13)의 내측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며, 거푸집널(20)은 관통홀(21)이 형성되어지고, 스페이서(30)는 2개의 합성수지재 스페이서몸체(31)가 스틸재로 형성된 스페이서헤드(3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지도록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지되, 스페이서몸체(31)는 하부에 상부를 향하는 암나사(311)가 형성되어지고, 스페이서몸체(31)의 하부로 형성된 암나사(311)가 거푸집널(20)의 관통홀(21)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와셔붙이볼트(4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트러스거더(10)의 두개의 하현재(13)가 스페이서헤드(32)의 헤드편(321) 상부에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탈형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거더(10)와 일체로 결합된 스페이서(30)가 와셔붙이볼트(40)에 의하여 거푸집널(20)과 결합되는 구조인 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다시 이러한 와셔붙이볼트(40)를 모두 풀어야만 거푸집널(20)의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즉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조립 및 해체(탈거)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특히 탈거 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슬래브의 하부면(다시 말하면 천장면)에 스탠드와 같은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접근한 후 나사체결된 와셔붙이볼트(40)를 불편한 자세로 하나씩 풀어야만 하여 작업성이 극도로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롭게 창작된 발명은 베이스부재 역할을 하는 거푸집널과 트러스거더의 해체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탈형 테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500)와 거푸집널(600) 사이에 스페이서(700)가 결합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트러스거더(500)는 상부철근(510); 상부철근(510)의 양측에 상단 내측이 맞닿아 용접결합되어 하단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래티스재(520); 및, 래티스재(12) 각각의 하단 외측에 맞닿아 용접결합되는 하부철근(530);로 구성된다.
거푸집널(600)에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재로서 표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장공(slot) 형태로 관통된 다수 개의 결합공(610);이 구비된다.
스페이서(700)는 거푸집널(60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트러스거더(500)의 하부철근(530)을 지지하고 하부철근(530)에 용접결합되는 스페이서헤드부(710); 스페이서헤드부(710)와 결합되며 트러스거더(500)를 거푸집널(600) 상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몸체부(720); 스페이서몸체부(720)의 하부면에서 상향 절개되어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로 형성된 장공(slot) 형태의 삽입공(730);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 영역이 확장되어 형성된 안착공간(740); 및, 거푸집널(600)에 형성된 결합공(610)을 통과하여 삽입공(730)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할 경우 상단부가 안착공간(740)에 안착되어 분리이탈이 방지되는 고정걸쇠(7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푸집널(600)의 신속하고 안전한 해체(탈거)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거푸집널(600)을 탈거할 경우에는 잠금위치(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에 맞닿은 상태)에서 타측 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고정걸쇠(750)를 되돌리면 수평부재(752)가 제2걸림턱(742)에 맞닿는데, 이 위치가 최초 삽입위치인 동시에 탈거위치가 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걸쇠(75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고정걸쇠(750)가 삽입공(730)에서 그대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고정걸쇠(750)를 한 번의 동작으로 돌려서 잡아당기면 삽입공(730)에서 분리되는 바 신속하고 안전하게 거푸집널(600)의 해체가 가능하다.
둘째, 거푸집널(600)의 재활용을 통하여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신속하고 안전하게 해체(탈거)된 거푸집널(600)은 재사용이 가능하여 건축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의 실시예이다.
도2는 종래의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실시예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페이서(700)의 구체적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페이서몸체부(720)와 고정걸쇠(750)의 결합구조로서, "T" 형태인 고정걸쇠(750)가 적용되는 경우인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상부 영역을 절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페이서몸체부(720)와 고정걸쇠(750)의 결합구조로서, "ㄱ" 형태의 고정걸쇠(750)가 적용되는 경우인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상부 영역을 절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500)와 거푸집널(600) 사이에 스페이서(700)가 결합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트러스거더(5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철근(510), 상부철근(510)의 양측에 상단 내측이 맞닿아 용접결합되어 하단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래티스재(520), 및 래티스재(520) 각각의 하단 외측에 맞닿아 용접결합되는 하부철근(530)으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바 별도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거푸집널(600)은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전체적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규격(가로,세로, 두께)을 가지는 합판, 합성수지 또는 강판 등과 같은 판재 가운데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데, 단순한 판상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절곡된 돌기부가 형성된 판상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거푸집널(6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장공(slot) 형태로 관통된 다수 개의 결합공(610)이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공(610)은 동일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700)는 거푸집널(6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스페이서헤드부(710)는 트러스거더(500)의 하부철근(530)을 지지하고 하부철근(530)에 용접결합되는데, 스페이서헤드부(71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또는 "|" 형 단면을 가지는 판재로서 스페이서몸체부(720)의 상부면에 매몰되어 일체로 결합되거나,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스페이서몸체부(720)를 관통하여 스페이서몸체부(72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스페이서헤드부(710)의 상단부에 하부철근(530)과 맞닿는 부위가 원호 형상으로 절개될 경우 하부철근(53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몸체부(7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헤드부(710)의 일부가 매몰되어 결합되며 트러스거더(500)를 거푸집널(600) 상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기능과 함께 거푸집널(600)을 트러스거더(500)와 결합시키는 결착수단 역할을 한다.
삽입공(730)은 도4, 도6,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몸체부(720)의 하부면에서 장공(slot) 형태로 상향 절개되어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삽입공(730)의 내부로 고정걸쇠(750)가 통과하게 된다.
안착공간(740)은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고정걸쇠(750)가 안착되는 공간 역할을 하는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상부 영역을 절개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6 또는 도7을 보면 그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데, 고정걸쇠(750)의 구조를 살펴본 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고정걸쇠(750)는 거푸집널(600)에 형성된 결합공(610)을 통과하여 삽입공(730)에 완전히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할 경우 고정걸쇠(750)의 상단부가 안착공간(740)에 안착되어 분리이탈이 방지되고, 거푸집널(600)을 트러스거더(500)와 결합시키게 된다.
고정걸쇠(750)는 도6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751), 수평부재(752) 및 지지부재(753)로 구성된다.
수직부재(751)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부재이다.
수평부재(752)는 수직부재(75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재인데, 수평부재(752)의 길이(크기)는 삽입공(730)의 장공 길이에 대응하게 된다. 즉, 삽입공(730)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부재(752)는 걸림작용을 하는데, 고정걸쇠(750)를 삽입공(730)에 삽입한 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평부재(752)가 안착공간(740)에 안착되어 고정걸쇠(750)의 분리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고정걸쇠(750)의 수직부재(751)에는 수평부재(752)가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고정걸쇠(750)를 삽입공(730)에 삽입하면 거푸집널(600)의 하부면에 맞닿고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에 도달하면 거푸집널(600)의 하부면을 압착지지하여 거푸집널(600)의 탈거를 방지하는 지지부재(753)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재(753)는 단순히 거푸집널(600)의 하부면을 압착지지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고정걸쇠(75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부재(753)의 하부에 별도의 손잡이(도시 생략)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걸쇠(750)의 지지부재(753)는 도6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걸쇠(750)의 수직부재(7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고정걸쇠(750)의 수직부재(7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2개의 너트(75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너트(754)의 체결 위치에 따라 지지부재(753)의 고정되는 위치(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700) 및 거푸집널(600)의 규격(두께)에 따라 고정걸쇠(750)를 조절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안착공간(740)에는 고정걸쇠(750)의 수평부재(752)가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고정걸쇠(750)를 삽입공(730)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미리 정해진 영역에 도달하면 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수평부재(752)와 맞닿는 제1걸림턱(741)이 마련된다.
아울러 안착공간(740)에는 수평부재(752)가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고정걸쇠(750)를 상기 삽입공(730)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고 타측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수평부재(752)와 맞닿는 제2걸림턱(742)이 마련된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형태인 고정걸쇠(750)가 적용되는 경우 삽입공(730) 상단부의 일측으로만 안착공간이 열려져 있고, 타측은 제2걸림턱(742)으로 막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타측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수평부재(752)와 맞닿는 제1걸림턱(741)이 구비되어 있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데, 이 위치가 바로 최종 잠금위치가 되는 것이다. 거푸집널(600)을 탈거할 경우에는 잠금위치에서 타측 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고정걸쇠(750)를 90도 되돌리면 수평부재(752)가 제2걸림턱(742)에 맞닿는데, 이 위치가 최초 삽입위치인 동시에 탈거위치가 되는 것이다.
거푸집널(600)을 탈거할 경우에는 잠금위치(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에 맞닿은 상태)에서 타측 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고정걸쇠(750)를 되돌리면 수평부재(752)가 제2걸림턱(742)에 맞닿는데, 이 위치가 최초 삽입위치인 동시에 탈거위치가 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걸쇠(75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고정걸쇠(750)가 삽입공(730)에서 그대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고정걸쇠(750)를 한 번의 동작으로 돌려서 잡아당기면 삽입공(730)에서 분리되는 바 신속하고 안전하게 거푸집널(600)의 해체가 가능하다.
안착공간(740)의 바닥면은 고정걸쇠(75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으로 접근할수록 서서히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으로 접근할수록 지지부재(753)가 거푸집널(600)을 압착지지하는 압착력이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제1걸림턱(741) 주변의 안착공간(740) 바닥면에는 고정걸쇠(75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에 도달하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고정걸쇠(75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돌기부(743)가 마련되어 최종 잠금위치에 도달한 고정걸쇠(750)의 잠금 작용이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7과 같이 "ㄱ" 형태의 고정걸쇠(750)가 적용되는 경우 삽입공(730) 상단부의 일측으로만 안착공간이 열려져 있고, 타측은 제2걸림턱(742)으로 막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타측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수평부재(752)와 맞닿는 제1걸림턱(741)이 구비되어 있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데, 이 위치가 바로 최종 잠금위치가 되는 것이다. 거푸집널(600)을 탈거할 경우에는 잠금위치에서 타측 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고정걸쇠(750)를 180도 되돌리면 수평부재(752)가 제2걸림턱(742)에 맞닿는데, 이 위치가 최초 삽입위치인 동시에 탈거위치가 되는 것이다.
거푸집널(600)을 탈거할 경우에는 잠금위치(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에 맞닿은 상태)에서 타측 방향(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고정걸쇠(750)를 되돌리면 수평부재(752)가 제2걸림턱(742)에 맞닿는데, 이 위치가 최초 삽입위치인 동시에 탈거위치가 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걸쇠(750)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고정걸쇠(750)가 삽입공(730)에서 그대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고정걸쇠(750)를 한 번의 동작으로 돌려서 잡아당기면 삽입공(730)에서 분리되는 바 신속하고 안전하게 거푸집널(600)의 해체가 가능함은 도6의 경우와 동일하다.
안착공간(740)의 바닥면은 고정걸쇠(75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부재(752)가 제1걸림턱(741)으로 접근할수록 서서히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과 풀림방지돌기부(743)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은 도6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500:트러스거더
510:상부철근
520:래티스재
530:하부철근
600:거푸집널
610:결합공
700:스페이서
710:스페이서헤드부
720:스페이서몸체부
730:삽입공
740:안착공간
741:제1걸림턱
742:제2걸림턱
743:풀림방지돌기부
750:고정걸쇠
751:수직부재
752:수평부재
753:지지부재
754:너트

Claims (8)

  1. 트러스거더(500)와 거푸집널(600) 사이에 스페이서(700)가 결합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러스거더(500)는,
    상부철근(510);
    상기 상부철근(510)의 양측에 상단 내측이 맞닿아 용접결합되어 하단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래티스재(520); 및,
    상기 래티스재(520) 각각의 하단 외측에 맞닿아 용접결합되는 하부철근(530);
    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널(600)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재로서 표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장공(slot) 형태로 관통된 다수 개의 결합공(610);
    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700)는,
    상기 거푸집널(60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트러스거더(500)의 하부철근(530)을 지지하고 하부철근(530)에 용접결합되는 스페이서헤드부(710);
    상기 스페이서헤드부(710)와 결합되며 상기 트러스거더(500)를 상기 거푸집널(600) 상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몸체부(720);
    상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하부면에서 상향 절개되어 상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로 형성된 장공(slot) 형태의 삽입공(730);
    상기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내부 영역이 확장되어 형성된 안착공간(740); 및,
    상기 거푸집널(600)에 형성된 결합공(610)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730)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할 경우 상단부가 상기 안착공간(740)에 안착되어 분리이탈이 방지되는 고정걸쇠(7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2. 제1항에서,
    상기 스페이서헤드부(710)는,
    "∧" 또는 "|" 형 단면을 가지는 판재로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상부면에 매몰되어 일체로 결합되거나,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720)를 관통하여 상기 스페이서몸체부(72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3. 제1항에서,
    상기 고정걸쇠(750)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수직부재(751); 및,
    상기 수직부재(751)의 상단부에서 상기 삽입공(730)의 장공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752);
    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공간(740)에는,
    상기 수평부재(752)가 상기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고정걸쇠(750)를 상기 삽입공(730)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미리 정해진 영역에 도달하면 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수평부재(752)와 맞닿는 제1걸림턱(741);
    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4. 제3항에서, 상기 안착공간(740)에는,
    상기 수평부재(752)가 상기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고정걸쇠(750)를 상기 삽입공(730)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고 타측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수평부재(752)와 맞닿는 제2걸림턱(742);
    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5. 제3항에서, 상기 고정걸쇠(750)의 수직부재(751)에는,
    상기 수평부재(752)가 상기 삽입공(730)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고정걸쇠(750)를 상기 삽입공(730)에 삽입하면 상기 거푸집널(600)의 하부면에 맞닿고 상기 고정걸쇠(75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평부재(752)가 상기 제1걸림턱(741)에 도달하면 상기 거푸집널(600)의 하부면을 압착지지하여 상기 거푸집널(600)의 탈거를 방지하는 지지부재(75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걸쇠(750)의 지지부재(753)는,
    상기 고정걸쇠(750)의 수직부재(7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고정걸쇠(750)의 수직부재(7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2개의 너트(75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너트(754)의 체결 위치에 따라 고정되는 위치(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안착공간(740)의 바닥면은 상기 고정걸쇠(75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부재(752)가 상기 제1걸림턱(741)으로 접근할수록 서서히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재(752)가 상기 제1걸림턱(741)으로 접근할수록 상기 지지부재(753)가 상기 거푸집널(600)을 압착지지하는 압착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8.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제1걸림턱(741) 주변의 상기 안착공간(740)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걸쇠(75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평부재(752)가 상기 제1걸림턱(741)에 도달하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고정걸쇠(75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돌기부(74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데크플레이트.

KR1020140014148A 2014-02-07 2014-02-07 탈형 데크플레이트 KR10140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148A KR101404178B1 (ko) 2014-02-07 2014-02-07 탈형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148A KR101404178B1 (ko) 2014-02-07 2014-02-07 탈형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178B1 true KR101404178B1 (ko) 2014-06-27

Family

ID=5113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148A KR101404178B1 (ko) 2014-02-07 2014-02-07 탈형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1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908B1 (ko) * 2014-06-27 2015-01-21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KR101527716B1 (ko) * 2014-05-30 2015-06-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KR20210156416A (ko) 2020-06-18 2021-12-27 서지현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84A (ja) 1998-05-11 2000-02-02 Masashi Ichimura インサート兼用スペーサー
KR200437941Y1 (ko) 2007-03-26 2008-01-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위치파악이 용이한 텐던 스페이서
KR100993880B1 (ko) 2010-07-30 2010-11-1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단차보강재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84A (ja) 1998-05-11 2000-02-02 Masashi Ichimura インサート兼用スペーサー
KR200437941Y1 (ko) 2007-03-26 2008-01-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위치파악이 용이한 텐던 스페이서
KR100993880B1 (ko) 2010-07-30 2010-11-1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단차보강재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16B1 (ko) * 2014-05-30 2015-06-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483908B1 (ko) * 2014-06-27 2015-01-21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KR20210156416A (ko) 2020-06-18 2021-12-27 서지현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174B1 (ko) 판부착 데크플레이트
AU2018204337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KR101444895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1237325B1 (ko) 탈형 데크
KR1014069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404169B1 (ko) 높이조절식 탈형 데크플레이트
KR101404178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1444896B1 (ko) 탈형 데크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1511504B1 (ko) 연결부 휨 강화 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091944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결합구조
KR101083698B1 (ko)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KR101444891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높이조절식 스페이서
KR101404172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732637B1 (ko) 탈형 데크
KR101641339B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444892B1 (ko) 높이조절식 판부착 데크플레이트
KR101531493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 단부 지지구
KR101759199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1598339B1 (ko)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10004543U (ko) 거푸집 지지장치
KR101490701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