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424A -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 - Google Patents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424A
KR20130113424A KR1020137001207A KR20137001207A KR20130113424A KR 20130113424 A KR20130113424 A KR 20130113424A KR 1020137001207 A KR1020137001207 A KR 1020137001207A KR 20137001207 A KR20137001207 A KR 20137001207A KR 20130113424 A KR20130113424 A KR 20130113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spension mechanism
threaded rod
groov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769B1 (ko
Inventor
쉬리칸트 보세레
마헤쉬 우테카
딥티 카드케
디팩 데사이
아코이 실
스벤 뮬러
Original Assignee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막 크레인즈 운트 컴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1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2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B66C7/04Trackway susp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로드와, 나사로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장력부재를 가지며, 상기 나사 로드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나사 연결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가지는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용 서스펜션 기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확실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 특히 현가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주행 레일용 서스펜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조립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9a, 9b)가 핀부(9c)와 같이 홈(11)에 결합하며, 상기 홈은 상기 나사 로드(7b)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DEVICE FOR SUSPENDING A RAIL, IN PARTICULAR A RAIL OF AN OVERHEAD CONVEYOR OR LIFTING GEAR}
본 발명은, 레일, 특히 나사로드와 거기에 나사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장력부재를 가지며, 상기 나사로드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나사 연결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가지는 리프팅 기어 또는 오버헤드 컨베어의 레일용 서스펜션 기구에 대한 것이다.
독일 특허 문헌 DE 10 2005 040 421 B4로부터 커버 또는 커버 프로파일 형태의 지지 기구 위의 크레인 레일용 서스펜션이 알려져 있다. 크레인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여러 서스펜션들을 통해 지지기구에 크레인 레일이 부착된다. 각각의 서스펜션은 기본적으로 제1 나사 슬리브를 가지는 상부 장착부, 나사로드 및 제2 나사 슬리브를 가지는 하부 장착부로 구성된다.
상부 장착부는 지지 기구에 부착되고 하부 장착부는 현가되는 레일에 부착된다. 하부 장착부는 대향단부들이 제1 나사 슬리브와 제2 나사 슬리브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로드을 통해 상부 장착부에 현가된다. 나사 슬리브들과 함께 나사로드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서스펜션의 수직 길이는 크레인 레일을 소정 방향으로 현가시키고 하중을 세스펜션들 위에 분배하기 위하여 국부적인 상태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다.
나사 이완에 대항하여 나사로드와 하부 장착부와 상부 장착부 사이의 연결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프링 커넥터가 각 경우에 제공되며 핀부와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핀부는 각각의 나사 슬리브의 길다란 관통 장착홀과 나사로드의 길다란 관통 장착홀을 통해 삽입되고, 스프링부는 외측의 각각의 나사 슬리브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핀부는 길다란 장착홀들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서스펜션들은 이와 같이 길다란 장착홀들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서스펜션들은 또한 선회하도록 구성되는 데, 크레인 레일들이 자동으로 방향이 조정되거나 또는 평형 상태가 되는 것이 이로써 보장되기 때문이며, 즉, 장력 부재에 실질적으로 굽힘 하중이 없다.
볼-소켓 조인트 베어링을 통해 선회 서스펜션이 실행된다. 소위 텀버클(tumbuckle)이 독일 실용신안 DE 299 14 578 U1 및 독일 공개문서 DE 101 31 183 A1으로부터 알려져 있고 또한 채광 산업산업에서 오버헤드 모노레일의 레일들의 서스펜션에 사용된다. 이들 텀버클은 기본적으로 중앙 텀버클 슬리브와 측방향으로 연결된 두 개의 장력 아일렛들로 구성된다. 장력 아일렛들은 각각 후크, 볼트, 또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아일렛과, 외부 나사를 가지며 아일렛 위에 배치된 샤프트로 구성된다.
텀버클 슬리브는 길다란 프레임 또는 슬리브같이 형성되며, 대향 단부들 위에는 너트 형태의 내부 나사들이 배치된다. 장력 아일렛들의 샤프트들은 이들 너트들에 나사 결합된다. 샤프트들의 외부 나사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데, 이는 장력 아일렛들의 아일렛들이 두 개의 장력 아일렛들에 대해 텀버클 슬리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두 텀버클들의 하나의 경우, 텀버클 슬리브에 대해 두 장력 아일렛들이 폐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각 경우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여러 홈들이 샤프트들에 배치된다.
각 경우 장력 아일렛들 위에는 후퇴된 휴지 위치로부터 텀버클을 방지하기 위한 블로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탄성적으로 경사된 핀이 장력 아일렛 위에 장착되고, 핀이 이 블로킹 위치에서 하나의 홈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텀버클들은 중앙 나사로드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나사 샤프트들을 가지는 두 개의 장력 아일렛들을 가지므로 이미 설명한 서스펜션 기구들의 디자인과 이들 텀버클들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확실한 조립을 허용하는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용 레일의 서스펜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1의 특징을 가지는 서스펜션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서스펜션 기구의 유익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범위 1 내지 8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로드와, 나사로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장력부재를 가지며, 상기 나사로드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나사 연결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가지는 레일, 특히, 리프팅 기어 또는 오버헤드 컨베어의 레일용 서스펜션 기구의 경우, 간단하고 확실한 조립이, 조립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핀부와 같이 나사로드에 배치된 홈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홈이 개구와 정렬된 후에는 나사로드의 보어 없이 및/또는 연결부를 제공할 필요 없이 고정 부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나사로드의 홈에 의해 조립이 상당히 간단해진다.
조립 동안 길이에 따른 기계적 작업의 필요성이 없다. 홈에 의해 나사로드의 단면이 약간 감소되고 강도를 거의 감소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사로드는 예컨대 6각형 헤드와 같은 공구와 결합하기 위한 특수하게 형성된 표면 또는 영역을 갖지 않는 외부 나사를 가지는 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외부 나사는 적어도 나사로드의 대향 단부들의 영역에 제공되나 통상적으로 나사로드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외부 나사는 또한 하나의 피치 방향을 가진다. 나사로드가 이와 같이 단순히 구성되고, 사용될 나사로드의 길이가 빈번하게 레일 위에 현가할 때의 장소에 따라 단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서스펜션 기구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어서 나사로드는 장소에 필요한 길이로 간단히 단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로드은 효과적인 방식으로 분급된 표준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간단한 길이 조정이 턴버클의 경우에는 실행될 수 없는 데, 장력 아일렛들의 샤프트의 길이들이 턴버클 슬리브의 길이에 적응되기 때문이다.
조립 상태에서 연결부의 개구를 통해 핀부와 함께 고정부재가 홈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신뢰성 있게 고정 부재가 작용하고 지지된다.
제조 관점에서 보면, 홈이 나사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함이 입증되었다.
완전한 나사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홈이 연장하는 것에 의해 나사로드들을 단축하고 또한 나사로드들을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는 두 개의 대향하는 림브(limb)를 가지는 두-스프링 커넥터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조립 상태에서 핀부는 홈으로 단지 삽입되어야 하므로, 핀부는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두 개의-스프링 커넥터에 비해 단축된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는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슬리브-형상의 연결부에는 단지 두 개의-스프링 커넥터에 사용하기 위한 보어들이 제공되며 어떤 부가적이며 고 비용의 기계적 가공이 가해질 필요가 없다.
고정 부재의 조립 상태에서 핀부의 방향에서 볼 때, 슬리브-형상의 연결부 후방에 결합하는 두 개-스프링의 커넥터의 림브들을 통해 핀부는 홈에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개구는 길다란 홀로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연장부는 나사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며, 핀의 림브들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이 고정부재의 림브들에 의해 걸쳐지는 평면에 직각으로 향해지고 나사로드의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도록 핀부는 u-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핀부는 삽입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보아 그리고 나사로드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아 u-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 부재, 특히 그 핀부는 이로써 개구 및 홈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림브들은 또한 외부로부터 기계적 영향이 있더라도 나사 슬리브부로부터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력부재는 나사로드 외에 하부 연결부와 상부 연결부를 포함한다.
통상의 사용 모드에서, 조립 상태에서, 레일은 하부 연결부 위에 현가되고 상부 연결부는 지지부재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세부 사항 및 이점들은 도면들을 참고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종속 청구범위들에 제공되는 데, 여기에서:
도 1은 단일 거더 서스펜션 크레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영역(Z)의 확대된 부분을 도시하며,
도 3은 두 개의 스프링 커넥터로 형성된 고정 부재 영역으로부터 취한 도 2의 확대된 부분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3의 고정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5의 고정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단일 거더 서스펜션 크레인과 결합된 복수의 서스펜션 기구(1)를 도시한다. 서스펜션 기구(1)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고 아래로 개방된 C-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레일(2)들은, 지지부재(3) 또는 추가적인 레일(2)들 위에 현가된다. 지지부재(3)들은 I-비임들로 형성된다.
현재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단일 거더 서스펜션 크레인에 대한 것이므로, 서로 이격된 배치로 평행으로 실질적으로 수평 방식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제1 레일(2a)들이 제공되며 단일 거더 서스펜션 크레인의 주행 레일들로 사용되며, 크레인 레일을 형성하고 제1 레일(2a)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향하는 제2 레일(2b)은 제1 레일(2a)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제2 레일(2b)은 각각의 경우 도시되지 않았으며 제1 레일(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구 위에 두 개의 서스펜션 기구(1)들을 통해 현가된다.
체인이나 케이블 호이스트와 같은 리프팅 기어(4)는 일반적으로 제2 레일(2b) 위에 현가되고 도시되지 않으나, 추가적인 이송 기구에 의해 제2 레일(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리프팅 기어(4) 위에 현가된 펜던트 스위치(5)에 의해 리프팅 기어(4)는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서스펜션 기구(1)에 관련되는 도 1의 영역(Z)의 확대된 부분을 도시한다. 서스펜션 기구(1)는 기본적으로 하부 장착부(6), 장력 부재(7) 및 상부 장착부(8)로 구성된다. 레일(2a)은 하부 장착부(6)에 의해 서스펜션 기구(1)의 장력 부재(7) 위에 현가된다. 장력부재(7)는 상부 장착부(8)에 의해, 이 경우 콘크리트 슬라브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3)에 부착된다.
C-형상으로 바닥이 개방된 레일에 길이 방향의 일정 위치에서 서스펜션 기구(1)를 제공할 수 있도록, 레일은 상부 영역에서 레일(2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웹(2c)을 포함하며, 이 웹은 레일(2a)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이로써 V-형상으로 위로 연장한다.
하부 장착부(6)는 클램프-방식으로 형성되고 상향으로 확장하는 웹(2c) 둘레에 결합한다. 장력 부재(7)는 웹(2c)에 대향하는 하부 장착부(6)의 상단부에 부착된다. 레일(2a)을 사용하는 국부적 상태와 방식에 따라, 이러한 부착은 견고하게 또는 선회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견고한 연결은 예컨대 대응하는 스크루 연결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선회 연결은 하부 장착부(6) 영역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및 장력 부재(7)의 단부 영역에 볼 결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봉-형상의 장력 부재(7)는 하부 연결부(7a), 나사로드(7b), 및 상부 연결부(7c)를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 연결부(7a, 7c)는 나사로드(7b)를 향하는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나사 슬리브(7d)로서 형성되고 대향 단부들에서 예컨대 견고한 부착의 경우에는 외부 나사 또는 하부 장착부(^) 또는 상부 장착부(8)에의 분절식 연결을 위한 해프-볼 결합부(7e)(도 3 참조)가 제공된다.
나사로드(7b)를 가진 장력 부재(7)로 설계하는 것이 국부적인 상태에 따라 나사로드(7b)가 소정의 서스펜션 길이로 단축될 수 있으며 이어서 장력부재(7)에 하부 연결부(7a)와 상부 연결부(7c)를 나사 결합하여 소정 길이로 조립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하부 연결부(7a)와 나사로드(7b) 사이 및 상부 연결부(7c)와 나사로드(7b) 사이에 나사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 고정 부재(9b)와 하부 고정부재(9a)가 제공된다. 하부 및 상부 고정 부재(9a, 9b)들은 각 경우에 두 개-스프링 커넥터로서 형성된다.
도 3은 나사로드(7b)와 결합되고 상부 고정 부재(9b)를 통해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7c)의 확대된 도면이다. 상부 연결부(7c)는 하부 나사 슬리부(7d)와 해프-볼 결합부(7e)로 분할된다. 해프-볼 결합부(7e)와 나사 슬리브부(7d)는 일체로 형성되고 해프-볼 결합부(7e)의 곡선면은 나사 슬리브부(7d)를 향한다.
해프-볼 결합부(7e)는 상보적으로 형성된 수용 셀이 서스펜션 기구(1)의 상부 장착부(8)에 배치된 볼-앤-소캣 조인트의 일부이다. 나사 슬리브부(7d)에는 나사로드(7b)의 상단부가 그 외부 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내부 나사가 제공된다.
나사 슬리브부(7d)의 나사로드(7)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 슬리브부(7d)의 벽에는 개구(10)가 제공되고, 그 내부로 상부 고정 부재(9b)의 핀부(9c)가 삽입될 수 있다. 개구(10)는 나사 슬리브부(7d)의 벽을 관통하는 데, 이는 상부 고정 부재(9b)의 핀부(9c)가 나사로드(7b)의 외주와 충돌함을 의미한다.
또한, 나사로드(7b)는 그 길이방향(L)으로 연장하는 홈(11)을 포함하며, 상부 고정 부재(9b)의 핀부(9c)가 이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나사로드(7b)와 상부 연결부(7c)는 이제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두 개-스프링 커넥터에 통상적인 구조에서, 핀부(7c)는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헬리컬 영역(9d)을 구비하며, 이 경우 두 감기부를 가지는 이중 코일로서 스프링 힘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두 헬리컬 영역(9d)들의 각각은 핀부(9c)로부터 시작해서 볼 때, 림브(9e)가 되며, 상부 고정 부재(9b)가 조립 상태에 있으면 이 림브는 외부로부터 원통 형상의 나사 슬리브부(7d)의 둘레면(7f)에 대해 인접한다.
헬리컬 영역(9d)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림브(9e)는 곡선 영역(9f)으로 되며, 곡선 영역(9f)은 나사 슬리브부(7d)의 둘레면(7f)을 따르며 이어서 내부로 굽어진다. 곡선 영역(7f)이 나사 슬리브부(7d)의 둘레의 거의 1/8 영역에서 나사 슬리브부(7d)의 둘레면(7f)에 대해 위치하고 핀부(9e)의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이, 나사 슬리브부(7d)의 후방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두 개의 곡선 영역(9f)들이 길이방향에서, 이로써 나사로드(7b)의 반경방향으로 개구(10)와 홈(11)으로 삽입된 핀부(9c)용 카운터 베어링을 형성한다.
핀부(9c)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림브(9e)는 서로 이격된 배치로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연장한다. 또한 도 3으로부터 두 개-스프링 커넥터 식으로 두 헬리컬 영역(9d)을 각각 따라 핀부(9c)가 전체로서 U-형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또한 동일하게 형성된 하부 연결부(7a)와 결합된 하부 고정 부재(9a)에 적용된다.
도 4는 나사로드(7b)가 결합된 나사 슬리브부(7d) 영역으로부터 취해진 도 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핀부(9c)가 나사 슬리브부(7d)의 개구(10)를 통해 나사로드(7b)의 홈(11)으로 돌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홈(11)만이 나사로드(7b)에 제공된다. 또한 장력 부재(7)의 길이의 더욱 정밀한 조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홈들을 제공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가능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밀리미터 범위로 장력 부재(7)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은 이러한 하나의 홈을 이용하여 이미 가능하였으므로 하나의 홈(11)으로 충분함을 보여주었다.
도 4는 또한 곡선 영역(9f)의 상부 고정 부재(9b)의 림브(9e)가 나사 슬리브부(7d)의 둘레면(7f) 형상을 따르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서 이러한 곡선 영역(9f)에 이어서 대략 90도로 외측으로 굽은 부분이 이어지고 이는 개구 영역(9g)을 형성한다.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들 두 개구 영역(9g)들에 의해 헬리컬 영역(9d)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나사 슬리브부(7d) 위에 고정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고정 부재(9)는 또한 나사 슬리브부(7d) 위에 측면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핀부(9c)는 이어서 이미 개구(10) 내로 돌출하나 홈(11)으로는 돌출하지 않는 데, 개구(10)와 아직 정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사 슬리브부(7d)에 대해 나사로드(7b)를 회전시키면, 홈(11)이 개구(10)와 정렬되면, 핀부(9c)는 고정 부재(9)의 스프링 힘으로 홈(11) 내에 자동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조립 중에 이는 매우 효과적이며 조립 시간을 단축한다.
도 5는 하부 또는 상부 고정 부재(9a, 9b)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핀부(9c)의 u-형상 형성은 이 도면에서 특히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나사 슬리브(7d)의 개구(10)는 원형 보어로서 형성되지 않으며 오히려 길다란 홀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핀부(9c)의 u- 형상 영역은 조립 상태에서 홈(11)의 베이스에 위치되는 웹부(9i)와, 그에 인접하는 대향의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하부 및 상부 웹 림브(9h 및 9j)를 포함한다.
또한 개구(10)가 나사로드(7b)를 향하는 에지와 인접하여 나사로드(7b)의 방향으로 리세스 형태만이 개방하도록 근본적으로 할 수 있다.
도 6은 핀부(c)의 자유 단부 방향에서 도 5로부터의 도면을 도시한다. 특히 이중 헬리컬 영역(9d)들이 U-형상 핀부(9c)로부터 시작하여 상부 또는 바닥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감기므로 이중 헬리컬 영역(9d)에도 불구하고, 나사 슬리브부(7d)에 관련하여 대향하여 배치되는 림브(9e)들이 평면에 배치되고 이로써 핀부(9c)가 개구(10)와 홈(11)에 확실히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핀부가 단지 홈(11)에 삽입되고 나사로드의 관통 보어-그렇지 않으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를 관통하여 삽입되지 않으므로 핀부(9c)는 통상 이용가능한 두 개-스프링 커넥터보다 짧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스펜션 기구(1)는 단일 거더 서스펜션 크레인과 결합하여 설명된다. 물론, 이러한 새로운 서스펜션 기구(1)는 또한 이중 거더 서스펜션 크레인의 레일(2, 2a, 2b)들 및 모노레일과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들의 이동 기구가 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레일(2, 2a, 2b)들을 현가시키기에 적합하다.
고정 부재는 또한 두 개-스프링 커넥터로서 설명된다. 또한 여하튼 단일 스프링 커넥터로서 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나사로드(7b)는 전 길이에 걸쳐 외부 나사를 가진다. 또한 나사로드(7b)가 그 대향 단부 영역들에만 외부 나사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단일 홈(11)에 부가하여, 그 대향 위치에 제2 홈(1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둘레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된 제3 및 제4 홈들이 가능하다. 홈(11)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나사로드(7b)의 유효 길이가 더욱 정밀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 서스펜션 기구 2: 레일
2a: 1차 레일 2b: 2차 레일
2c: 웹 3: 지지부재
4: 리프팅 기어 5: 펜던트 스위치
6: 하부 장착부 7: 장력부재
7a: 하부 연결부 7b: 나사로드
7c: 상부 연결부 7d: 나사 슬리브부
7e: 하프볼 결합부 8: 상부 장착부
9a: 하부 고정부재 9b: 상부 고정부재
9c: 핀부 9d: 나선영역
9e: 림브 9f: 곡선 영역
9g: 개구 영역 9h: 하부핀 림브
9i: 핀웹 9j: 상부핀 림브
10: 개구 11: 홈
L: 길이방향 Z: 확장영역

Claims (9)

  1. 나사로드와, 상기 나사로드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장력부재를 가지며, 상기 나사로드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나사 연결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가지는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용 서스펜션 기구에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9a, 9b)는 핀부(9c)와 같이 홈(11)에 결합하며, 상기 홈은 상기 나사로드(7b)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9a, 9b)는 조립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7a, 7b)의 개구(10)를 통해 상기 핀부(9c)와 같이 상기 홈(11) 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11)은 상기 나사로드(7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11)은 완전한 나사로드(7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9a, 9b)는 두 개의 대향하는 림브(9e)를 가지는 두 개-스프링의 커넥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9a, 9b)의 조립 상태에서, 림브(9b)들은 상기 핀부(9c)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슬리브 형상의 연결부(7a, 7b) 뒤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는 길이 방향 연장부가 상기 나사로드(7b)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길다란 홀로 형성되며, 상기 핀부(9c)는 삽입 방향에 대해 횡으로 보며 상기 나사로드(7b)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으로 보아 u-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재(7)는 상기 나사로드(7b)에 부가하여, 하부 연결부(7a)와 상부 연결부(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 상기 레일(2)은 상기 하부 연결부(7a)에 현가되고, 상기 상부 연결부(7c)는 지지부재(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기구.
KR1020137001207A 2010-08-30 2011-08-18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 KR101858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7229.3 2010-08-30
DE102010037229A DE102010037229A1 (de) 2010-08-30 2010-08-30 Vor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Schiene, insbesondere einer Schiene eines flurfreien Förderers oder eines Hebezeugs
PCT/EP2011/064242 WO2012028470A1 (de) 2010-08-30 2011-08-18 Vor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schiene, insbesondere einer schiene eines flurfreien förderers oder eines hebe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424A true KR20130113424A (ko) 2013-10-15
KR101858769B1 KR101858769B1 (ko) 2018-05-16

Family

ID=4451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207A KR101858769B1 (ko) 2010-08-30 2011-08-18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139374B2 (ko)
EP (1) EP2576411B1 (ko)
JP (1) JP5848349B2 (ko)
KR (1) KR101858769B1 (ko)
CN (2) CN202226542U (ko)
AU (1) AU2011297772B2 (ko)
BR (1) BR112012033315B1 (ko)
CA (1) CA2802282A1 (ko)
DE (1) DE102010037229A1 (ko)
ES (1) ES2458230T3 (ko)
MX (1) MX2013002319A (ko)
MY (1) MY163633A (ko)
RU (1) RU2013103445A (ko)
SG (1) SG186879A1 (ko)
WO (1) WO20120284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865A (ko) * 2014-07-15 2016-01-25 주식회사 스윕코리아 모노레일 설치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4303B (zh) * 2013-01-29 2016-04-2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基于滑轨的吊挂接头装置
CN103771265B (zh) * 2014-01-16 2016-05-18 山东杭萧钢构有限公司 地轨固定装置
US9527672B2 (en) * 2014-01-24 2016-12-27 Laitram, L.L.C. Cleanable conveyor frame assembly including snap-on components
DE102015101756A1 (de)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5101755A1 (de)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USD777814S1 (en) * 2015-03-31 2017-01-31 Fuji Seal International Inc. Rail
CN105040587B (zh) * 2015-08-18 2017-04-12 北京恒力铁科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桥梁检查车轨道行走挂件以及由其构成的支撑组件
CN105752837A (zh) * 2016-04-15 2016-07-13 藤县顺舟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车间行车导轨支撑装置
DE202018100308U1 (de) * 2018-01-19 2019-04-24 Peri Gmbh Sicherungsbauteil zur Drehsicherung eines Gewindebauteils und Anordnung damit
CN108860173B (zh) * 2018-06-15 2019-10-29 宋听动 一种运输机车运载梁防脱落悬挂装置
CN111348547B (zh) * 2020-03-13 2021-06-29 雷芬菲 一种用于固定吊车梁的压轨装置
CN111646364B (zh) * 2020-04-27 2023-08-08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附着于悬挑结构板上的单轨吊及其应用施工方法
CN112854772B (zh) * 2021-01-04 2022-08-09 昭通高速装配式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装配式墙板安装机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988A (en) * 1922-12-12 Klongerbo Berger Nut lock
US1070094A (en) * 1911-02-25 1913-08-12 John F Chappell Nut-lock.
US1061125A (en) * 1912-11-30 1913-05-06 William H Reighard Nut or bolt locking device.
US1159618A (en) * 1915-07-24 1915-11-09 Edwin R Talley Nut-lock.
US1236838A (en) * 1915-09-08 1917-08-14 George Howard Harris Lock-nut.
US1204548A (en) * 1916-03-06 1916-11-14 Harry Dixon Nut-lock structure.
US1438312A (en) * 1919-10-23 1922-12-12 Arthur C Kerwin Lock nut
US1457736A (en) * 1922-09-18 1923-06-05 Oscar C Johnson Lock nut
US2308605A (en) * 1940-06-15 1943-01-19 Hillstrom Sylvia Cotter pin
BE479217A (ko) * 1944-06-05
US3095174A (en) * 1961-04-03 1963-06-25 Cleveland Crane Eng Overhead monorail track suspension
JPS494899B1 (ko) * 1970-04-06 1974-02-04
JPS4838675Y1 (ko) * 1970-04-14 1973-11-15
JPS513598B2 (ko) 1972-05-08 1976-02-04
JPS52169658U (ko) * 1976-06-16 1977-12-23
JPS6157220U (ko) * 1984-09-20 1986-04-17
GB8624466D0 (en) * 1986-10-13 1986-11-19 Molyneux G M O Weldment for rail anchorage fastener
US5120170A (en) * 1991-08-21 1992-06-09 Hayes Axle, Inc. Apparatus for retaining a nut on a spindle
JP2673130B2 (ja) * 1992-05-20 1997-11-05 株式会社キトー 走行用レールの吊下支持装置
JPH07332340A (ja) * 1994-06-13 1995-12-22 Kameyama Hozumi 締結部の緩み止め構造
US5685681A (en) * 1995-02-06 1997-11-11 Al-Ko Kober Corporation Lubricated spindle and nut system with improved nut retention
DE19727836C2 (de) * 1997-06-24 1999-08-12 Mannesmann Ag Aufhängung einer Fahrschiene für ein Hebezeug
US6135693A (en) * 1999-03-23 2000-10-24 Pivot Point, Inc. Bow tie locking cotter
DE29914578U1 (de) * 1999-08-19 1999-11-11 Kostinek Konrad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Trag- oder Haltebandes
EP1129979A1 (de) * 2000-03-01 2001-09-05 Grapha-Holding Ag Vor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mit einem Tragwerk verbundenen, zur Aufnahme eines Fahrwerks eines Hebezeuges ausgebildeten, kastenförmigen Laufschiene
DE10131183A1 (de) * 2000-11-13 2003-01-09 Werner P Berwald Krafthebelsystem für offene Spannschloßmuttern
DE102005040421B4 (de) 2005-08-25 2007-10-11 Manfred Josef Wallner Kranbahnschienenaufhängung
DE102005047205A1 (de) * 2005-10-01 2007-04-1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Vorrichtung zum Aufhängen einer Schiene, insbesondere einer Fahrschiene eines Hängeförderers oder eines Hebezeugs
KR20090062281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풀림 방지 볼트 너트 결합 구조
DE102008012293A1 (de) * 2008-03-03 2009-09-10 Freigeber, Jürgen Spannschloss zum Festzurren von Ladungen, insbesondere auf Fahrzeugen
JP5604170B2 (ja) * 2010-04-27 2014-10-08 株式会社ターキー 動物用連結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865A (ko) * 2014-07-15 2016-01-25 주식회사 스윕코리아 모노레일 설치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6411A1 (de) 2013-04-10
ES2458230T3 (es) 2014-04-30
MX2013002319A (es) 2013-03-18
DE102010037229A1 (de) 2012-03-01
AU2011297772A1 (en) 2013-02-21
RU2013103445A (ru) 2014-10-10
CN202226542U (zh) 2012-05-23
WO2012028470A1 (de) 2012-03-08
AU2011297772B2 (en) 2014-05-22
CN103079986A (zh) 2013-05-01
BR112012033315B1 (pt) 2020-11-10
US20130153374A1 (en) 2013-06-20
MY163633A (en) 2017-10-13
BR112012033315A2 (pt) 2016-11-22
CN103079986B (zh) 2016-08-10
JP2013536790A (ja) 2013-09-26
EP2576411B1 (de) 2014-03-12
JP5848349B2 (ja) 2016-01-27
SG186879A1 (en) 2013-02-28
CA2802282A1 (en) 2012-03-08
US9139374B2 (en) 2015-09-22
KR101858769B1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3424A (ko) 레일, 특히 오버헤드 컨베어 또는 리프팅 기어의 레일 서스펜션 기구
US3436047A (en) Mounting assembly
KR101937374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0591896B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AU782827B2 (en) Adjustable anchor bearing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JP6552725B2 (ja) ケーブル係留システム
KR101127638B1 (ko) 배전용 전주의 양방향 볼쇄클
DE202013003602U1 (de) Beleuchtungssystem
KR100655134B1 (ko)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JP2007312610A (ja) 鳥害防止具
EP2903927A1 (en) Chain shackle
KR10072179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설비용 슬라이딩 지지행거
KR200416815Y1 (ko)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US6227749B1 (en) Swivel base assembly for connecting insulator to support structure
AU2018202314B2 (en) A cable suspension
CN219429578U (zh) 一种塔式起重机起重臂架安全绳固定装置
KR101098552B1 (ko) 거대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920005467Y1 (ko) 휨방지용 보강철편이 내장된 복수형 커어텐 지지체
KR100517886B1 (ko)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RU62951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анкерной опоры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GB2221742A (en) Chain shortening device
RU2442255C1 (ru) Натяжной клиновой зажим
PL64582Y1 (pl) Maszt
KR20120009288A (ko) 장력조절이 용이한 케이블연결장치
KR20140067519A (ko) 물체고정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