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885B1 -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885B1
KR102023885B1 KR1020190025740A KR20190025740A KR102023885B1 KR 102023885 B1 KR102023885 B1 KR 102023885B1 KR 1020190025740 A KR1020190025740 A KR 1020190025740A KR 20190025740 A KR20190025740 A KR 20190025740A KR 102023885 B1 KR102023885 B1 KR 10202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plate
socket
fork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호
이세우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관수이앤씨
(주)관수중공업
(주)엔비코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관수이앤씨, (주)관수중공업, (주)엔비코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관수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2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구조물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양 소켓부를 구조물 사이에 핀 연결시키고, 긴장재를 양 소켓부 사이에 긴장 및 정착시켜 설치하는 포크형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 앵커블록을 일체화시켜 포크형 정착장치의 제작상 정밀성을 높이고 내구성 증진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는 소켓부 사이에 위치한 구조물을 관통하는 소켓부핀과 양 소켓부 사이에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긴장 후 정착되는 긴장재에 의하여 구조물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로서, 상기 소켓부는 중공몸통부 배면쪽으로 덕트가 접하여 연결되고, 중공몸통부로부터 전면쪽으로 포크플랜지가 형성된 것으로서 중공몸통부로부터 포크플랜지의 연결부위를 가로지르는 가로판재인 앵커블록이 주물작업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PORK TYPE ANCHORING APPARATUS INTERGRATED ANCHOR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조물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양 소켓부를 구조물 사이에 핀 연결시키고, 긴장재를 양 소켓부 사이에 긴장 및 정착시켜 설치하는 포크형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 앵커블록을 일체화시켜 포크형 정착장치의 제작상 정밀성을 높이고 내구성 증진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콘크리트 매립형 정착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쉬스(11,덕트)의 단부에 정착구(13)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고, 쉬스(11)와 정착구(13)는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이러한 정착구(13)와 쉬스(11)를 긴장재(12)가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정착구(13)는 콘크리트 표면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제작된 원통형부재로서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태의 보강리브(14)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는 긴장재(12)의 긴장 및 정착에 의하여 집중되는 국부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착구(13)에는 앵커블록(20)이 전면에 삽입 지지되는 정착플랜지(16, 정착판)가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앵커블록(20)은 정착판(16)의 표면에 삽입되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원형블록 형태로서 긴장홀(17)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긴장재(12)가 긴장홀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긴장재(12)를 긴장 후 앵커블록(20)의 긴장홀(17)에 정착될 수 있도록 통상 웨지(18)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정착과정에서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는 앵커블록(20)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앵커블록(20)이 삽입 정착되는 정착플랜지(16)에 2차적으로 전달되고, 정착플랜지(16)와 일체화된 원통형부재의 보강리브(14)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최종 전달된다.
이때 긴장재(12)를 앵커블록(20)의 긴장홀(17)에 1개씩 삽입 설치함에 있어 시공오차에 의하여 삽입 설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1a과 같이 종래 앵커블록에는 별도로 형성시킨 고정돌기(19)와 정착플랜지의 고정홈(19a)을 통해 앵커블록(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앵커블록(20)에 세팅되는 긴장재(12)의 위치를 일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앵커블록이 정착판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착플랜지(16)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전면만 노출되도록 세팅할 수도 있고, 정착판 전부가 노출되도록 세팅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원통형부재 매립없이 정착플랜지(16)와 앵커블록(20)만을 설치하여 긴장재(10)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작업도 이루어지기도 한다.
도 1b는 종래 케이블 정착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정착장치는 예컨대 보도교와 같이 작은 규모의 교량에 있어 슬래브가 매달려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을 소켓부에 긴장 후 정착되는 장치로서, 앵커리지 구조물에 핀 연결되는 소켓부(소켓정착부 라고도 함)를 이용하여 달리 콘크리트에 매립되지 않고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일종의 포크형 정착장치이다.
도 1b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정착장치는 내주면이 고정을 하고자 하는 케이블(1)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웨지(10), 상기 웨지(10)에 케이블(1)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이 상기 웨지(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웨지블록(21),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30),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일단부는 상기 웨지블록(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웨지블록(21)이 상기 케이블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은 허용하고 그 반대방향의 이동은 제한하도록 결합하며 타단부는 상기 고정블록(30)의 타단부 외주면과 나사결합하는 이동블록(40), 상기 웨지(10)의 상기 고정블록(30) 반대쪽에는 상기 케이블을 둘러싸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디비에이터(50) 및 상기 디비에이터(50)의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싱(6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외부에 노출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있어서도 웨지에 의하여 긴장재가 물려지는 앵커블록으로서 웨지블록(21,앵커블록)을 별도로 채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종래 긴장재 또는 케이블용 정착장치에 있어 앵커블록은 긴장재가 웨지에 의하여 물려지는 블록으로서 테이퍼링 처리된 긴장홀이 형성된 것인데, 형태는 상이하더라도 블록 형태로 별도로 제작, 설치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특히 포크형 정착장치의 경우 다수의 긴장재를 배치하기 때문에 상기 웨지블록을 이용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2510호(발명의 명칭: 긴장재 정착 장치, 공개일자: 2012년05월03일) 대한민국 특허 제10-1202418호(발명의 명칭: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공개일자: 2012년11월21일)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긴장재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긴장후 정착되는 앵커블록이 소켓부에 일체화되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적인 프리스트레스 유지가 가능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켓부 사이에 위치한 구조물을 관통하는 소켓부핀과 양 소켓부 사이에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긴장 후 정착되는 긴장재에 의하여 구조물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로서, 상기 소켓부는 중공몸통부 배면에 덕트가 접하여 연결되고, 중공몸통부로부터 전면쪽으로 포크플랜지가 형성된 것으로서 중공몸통부로부터 포크플랜지의 연결부위를 가로지르는 가로판재인 앵커블록이 주물작업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형성시키며,
상기 긴장재에 물려진 웨지가 하중작용에 의하여 앵커블록부에 형성된 긴장재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앵커블록부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긴장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장재홀이 형성된 가로판재인 가압판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의 체결홀을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앵커블록부 전면에 체결되며, 가압판과 앵커블록부 전면 사이에는 고정스프링을 형성시켜 위치 세팅과 가압판의 가압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스프링은 가압판 제작 시 미리 일단이 매립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가압판에는 긴장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장재홀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 전면에 이격시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판 전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 전면에 고정 세팅되는 것으로서 가압판의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가로판재로서 체결볼트가 가압판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와셔기능을 가지면서 가압판을 보호하도록 고정판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는 앵커블록을 소켓부에 일체화시킴에 있어 소켓부를 주물작업으로 제작함으로서 정밀성을 높이고 내구성 증진 효과를 가질 수 있어 효율적인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는 소켓부에 일체화된 앵커블록의 긴장홀로부터 웨지가 풀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소켓부에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긴장재 유지관리가 가능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콘크리트 매립형 정착장치의 구성도.
도 1b는 종래 케이블 정착장치의 구성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이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의 구성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시공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 ]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의 구성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는 양 소켓부(130)를 구조물(200)에 사이에 소켓부핀(135)으로 연결시킨 후, 덕트 내부를 경유하여 설치된 긴장재의 일단은 덕트 일단에 장착된 소켓부(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덕트 타단에 장착된 소켓부(130)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여 구조물이 매달아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정착 장치이다.
이에 상기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긴장재(110), 덕트(120), 소켓부(130), 가압판(140), 고정판(150), 소켓부캡(160), 배면마감판(170), 충진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긴장재(11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덕트(120) 내부에 삽입되어 덕트 양 단부에 일체화된 소켓부(130)에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긴장 후 정착시키게 된다,
기본적으로 1개의 긴장재 사용도 가능하지만 다수개를 설치하여 소켓부(130)의 긴장홀에 웨지(111)를 이용하여 고정 및 정착시킴으로서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긴장재(110)로서 PC강연선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강봉 등을 사용해도 상관은 없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12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내부에 긴장재(110)가 삽입되도록 하는 관부재로서 HDPE 재질등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면 되고, 양 단부는 소켓부(130)의 단부면이 접하도록 하여 연결플랜지(121), 연결브라켓(122)과 체결볼트(123)를 이용하여 소켓부(130)와 덕트(120)를 연결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플랜지(121)의 확장플랜지 전면은 소켓부(130)의 배면과 접하도록 하고, 확장플랜지 내경을 가지도록 연장된 연결관부는 덕트(120)의 전면에 접하도록 세팅시키고,
연결플랜지(121)의 확장플랜지와 연결관부를 감싸도록 밴드 형태의 연결브라켓(122)을 덕트 단부에 설치하고,
연결브라켓(122) 외부로부터 체결볼트(123)가 서로 접하고 있는 연결브라켓(122)과 연결플랜지(121)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확장플랜지의 전면과 접하도록 세팅된 소켓부(130)의 단부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도록 하여,
덕트(120)를 소켓부(130)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덕트(12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것을 이용하되 커플러 또는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연결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켓부(13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일단은 덕트(120)의 연결플랜지(121)에 연결브라켓(122)과 체결볼트(123)에 의하여 연결되는 중공몸통부(131), 타단은 중공몸통부로부터 포크형태로 갈라진 포크플랜지(132)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몸통부와 포크플랜지의 연결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앵커블록(1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앵커블록(133)이 소켓부(130) 내부의 상기 연결부에 직교하는 판 형태(길이방향의 직교방향으로서 가로판재)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앵커블록(133)에는 다수의 테이퍼링 된 긴장재홀(134)이 형성되어 있어 긴장재(110)가 상기 긴장재홀(134)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구조물 사이에 소켓부핀(135)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므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긴장재의 배치형태, 위치결정에 변화가 거의 없어 앵커블록(133)를 소켓부(130)에 일체화시킬 수 있음을 이용한 것이다.
이로서 중공몸통부(131)로부터 포크형태로 갈라진 포크플랜지(132) 및 앵커블록(133)을 주물작업(거푸집에 녹인 금속을 부어 넣어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제작함으로서 앵커블록(133)의 제작상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앵커블록을 일체로 제작함에 따라 내구성도 증진될 수 있으며, 작용하중이 집중되는 앵커블록이 소켓부(130)에 일체화됨에 따라 구조적 성능도 증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블록(133)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긴장재홀(134)에 웨지(111)가 물려지면서 발생하는 국부응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두
께를 가지도록 형성시켜 앵커블록(133)에 작용하는 국부응력은 중공몸통부(131)와 포크플랜지(132)로 분산되어 저항된다.
이러한 앵커블록(133)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가압판(140), 고정판(150), 소켓부캡(160), 배면마감판(170)이 체결볼트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포크플랜지(132)에는 소켓부핀(135)이 관통되도록 소켓부관통홀(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부핀(135)은 구조물(200)의 연결부위를 관통하도록 세팅되어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가 구조물 사이에 핀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소켓부핀(135)은 소켓부핀캡(137)이 양 측면에 볼트와 와셔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여 포크플랜지(132)는 보빈 형태의 소켓부핀(135)에 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위치 변동(회전등)을 허락하게 된다.
즉, 소켓부핀(135)의 양 측면은 설치를 위한 설치홈등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소켓부핀캡(137)으로 마감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판(140)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긴장재에 물려진 웨지(111)가 하중작용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에 형성된 긴장재홀(13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앵커블록부(133)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 가로판재이다.
즉, 웨지(111)는 긴장재홀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여 웨지가 가압판(140)에 의하여 정착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체결볼트는 가압판(140)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체결되며, 가압판(140)과 앵커블록부(133) 전면 사이에는 고정스프링(141)을 더 형성시켜 위치 세팅과 가압판의 가압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스프링(141)은 가압판(140) 제작시 미리 일단이 매립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가압판(140)에는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장재홀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이격시켜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판(150)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가압판(140) 전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고정 세팅되는 것으로서 가압판(140)의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가로판재이다. 체결볼트가 가압판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와셔기능을 가지게 되고 가압판을 보호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소켓부캡(160)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가압판(140), 고정판(15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마감하는 캡 형태로서 역시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고정 세팅되며, 왁스와 같은 충진재(180)가 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검안용 마개(161)가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볼트는 가압판(140), 고정판(150)의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소켓부캡(160)은 가압판(140), 고정판(150)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 역할을 하면서 충진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면마감판(170)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가압판(140), 고정판(150)이 앵커블록(133)의 전면에 위치하여 긴장재(110)의 긴장 및 정착을 위한 것이라면 앵커블록(133) 후면에 위치하여 충진재(180)를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배면마감판(170)도 충진재를 수용하는 역할을 위한 2개의 가로판재(171,172)로 형성되도록 하고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133) 후면에 장착되도록 하게 되며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긴장재홀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배면마감판(170)도 역시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긴장홀과 체결볼트용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 가로판재를 이용하되 웨지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충진재(180)는 미도시 하였지만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소켓부캡(160)과 배면마감판(170) 사이의 앵커블록부(133), 웨지(111)가 매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물질 유입,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한 왁스 등을 이용하게 된다.
[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 시공방법]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상기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의 시공순서도이다.
상기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 시공방법은 미리 제작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를 소켓부핀(135)을 이용하여 구조물(200)과 구조물(200) 사이에 연결하고 긴장재를 긴장 및 정착시키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구조물(200)은 예컨대 보도교로서 슬래브가 될 수 있다.
이에 먼저, 도 3a와 같이,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세팅되어 있고, 소켓부핀(135)은 별도로 준비하게 된다.
상기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는 도 3a에 의하면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긴장재(110), 덕트(120), 소켓부(130), 가압판(140), 고정판(150), 소켓부캡(160), 배면마감판(170)이 세팅된 상태이고 긴장재(110)의 긴장 및 정착만 미루어진 상태이다.
이에 매달려 지지되는 구조물(200)에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의 소켓부(130)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앵커리지(210)를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앵커리지(210)가 소켓부의 포크플랜지(13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소켓부핀(135)이 앵커리지(210)와 포크플랜지(132)를 관통하도록 한 후, 소켓부핀캡(137)이 양 측면에 볼트와 와셔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의 일단은 고정단이고, 타단은 긴장단이지만 연결 설치 자체는 소켓부핀에 의하여 진행되므로 긴장작업과 소켓부핀 작업은 서로 분리되어 실시된다.
이에 도 3b와 같이, 최종 구조물(200) 사이에 본 발명의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100)가 소켓부핀(135)과 소켓부핀캡(137)에 의하여 최종 설치됨으로서 구조물(200)은 최종 매달려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미도시된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소켓부(130)의 앵커블록(133) 사이에 연장 배치된 긴장재(110)의 일단은 웨지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타단은 긴장 후, 앵커블록(133)에 웨지로 정착시키게 된다.
이에 긴장재를 소켓부에 최종 긴장 후 정착시킨 다음 충진재(180)를 채운 후, 소켓부캡(160)로 마감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정착장치
110: 긴장재 111: 웨지
120: 덕트 121: 연결플랜지
122: 연결브라켓 123: 체결볼트
124: 커플러 130: 소켓부
131: 중공몸통부 132: 포크플랜지
133: 앵커블록 134: 긴장재홀
135: 소켓부핀 136: 소켓부관통홀
137: 소켓부핀캡
140: 가압판 150: 고정판
160: 소켓부캡 161: 검안용 마개
170: 배면마감판 180: 충진재

Claims (10)

  1. 소켓부(130) 사이에 위치한 구조물(200)을 관통하는 소켓부핀(135)과 양 소켓부 사이에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긴장 후 정착되는 긴장재(110)에 의하여 구조물(200)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100)로서,
    상기 소켓부(130)는 중공몸통부(131) 배면쪽으로 덕트(120)가 접하여 연결되고, 중공몸통부(131)로부터 전면쪽으로 포크플랜지(132)가 형성된 것으로서 중공몸통부(131)로부터 포크플랜지(132)의 연결부위를 가로지르는 가로판재인 앵커블록(133)이 주물작업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110)에 물려진 웨지(111)가 하중작용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에 형성된 긴장재홀(13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앵커블록부(133)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장재홀이 형성된 가로판재인 가압판(140)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140)의 체결홀을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체결되며, 가압판(140)과 앵커블록부(133) 전면 사이에는 고정스프링(141)을 형성시켜 위치 세팅과 가압판의 가압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스프링(141)은 가압판(140) 제작 시 미리 일단이 매립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가압판(140)에는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장재홀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이격시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판(140) 전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고정 세팅되는 것으로서 가압판(140)의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가로판재로서 체결볼트가 가압판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와셔기능을 가지면서 가압판을 보호하도록 고정판(150)이 형성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30)와 덕트(120)의 연결은,
    연결플랜지(121)의 확장플랜지 전면은 소켓부(130)의 배면과 접하도록 하고, 확장플랜지 내경을 가지도록 연장된 연결관부는 덕트(120)의 전면에 접하도록 세팅시키고, 연결플랜지(121)의 확장플랜지와 연결관부를 감싸도록 밴드 형태의 연결브라켓(122)을 덕트 단부에 설치하고, 연결브라켓(122) 외부로부터 체결볼트(123)가 접하고 있는 연결브라켓(122)과 연결플랜지(121)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확장플랜지의 전면과 접하도록 세팅된 소켓부(130)의 단부면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플랜지(132)에는 소켓부핀(135)이 관통되도록 소켓부관통홀(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부핀(135)은 소켓부핀캡(137)이 양 측면에 볼트와 와셔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여 포크플랜지(132)는 보빈 형태의 소켓부핀(135)에 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위치 변동을 허락하며서, 소켓부핀(135)의 양 측면은 소켓부핀캡(137)에 의하여 마감되도록 하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40), 고정판(15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마감하는 캡 형태로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고정 세팅되며 충진재(180)가 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검안용 마개(161)가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압판(140), 고정판(150)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역할을 하면서 충진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는 소켓부캡(160)이 더 형성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133) 후면에 위치하여 충진재(180)를 수용하기 위하여 2개의 가로판재(171,172)로 형성되도록 하고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133) 후면에 장착되도록 하게 되며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긴장재홀이 형성된 배면마감판(170)이 더 형성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8. (a) 소켓부 사이에 위치한 구조물을 관통하는 소켓부핀과 양 소켓부 사이에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긴장 후 정착되는 긴장재에 의하여 구조물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로서, 상기 소켓부는 중공몸통부 배면에 덕트가 접하여 연결되고, 중공몸통부로부터 전면쪽으로 포크플랜지가 형성된 것으로서 중공몸통부로부터 포크플랜지의 연결부위를 가로지르는 가로판재인 앵커블록이 주물작업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100)를 구비하는 단계;
    (b) 구조물(200)의 앵커리지(210)가 상기 소켓부의 포크플랜지(13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소켓부핀(135)이 앵커리지(210)와 포크플랜지(132)를 관통하도록 하여 구조물 사이에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소켓부(130)의 앵커블록(133) 사이에 연장 배치된 긴장재(110)의 일단은 웨지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타단은 긴장 후, 앵커블록(133)에 웨지로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앵커블록(130)은 긴장재홀이 다수 형성되어 긴장재가 삽입되도록 하여 긴장된 긴장재가 웨지(111)에 의하여 상기 긴장재홀에 정착되도록 하되, 상기 긴장재에 물려진 웨지(111)가 하중작용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에 형성된 긴장재홀(13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앵커블록부(133)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장재홀이 형성된 가로판재인 가압판(140)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140)의 체결홀을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체결되며, 가압판(140)과 앵커블록부(133) 전면 사이에는 고정스프링(141)을 형성시켜 위치 세팅과 가압판의 가압력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스프링(141)은 가압판(140) 제작 시 미리 일단이 매립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가압판(140)에는 긴장재(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긴장재홀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이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시공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40) 전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고정 세팅되는 것으로서 가압판(140)의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가로판재로서 체결볼트가 가압판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와셔기능을 가지면서 가압판을 보호하도록 고정판(150)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140), 고정판(15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마감하는 캡 형태로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앵커블록부(133) 전면에 고정 세팅되며 충진재(180)가 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검안용 마개(161)가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압판(140), 고정판(150)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역할을 하면서 충진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는 소켓부캡(160)이 더 형성된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시공방법.
KR1020190025740A 2019-03-06 2019-03-06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2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740A KR102023885B1 (ko) 2019-03-06 2019-03-06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740A KR102023885B1 (ko) 2019-03-06 2019-03-06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885B1 true KR102023885B1 (ko) 2019-09-23

Family

ID=6806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740A KR102023885B1 (ko) 2019-03-06 2019-03-06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7276A (zh) * 2023-03-29 2023-07-14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缆索吊装系统承重索预应力锚固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489A (ko) * 2006-04-11 2007-10-17 프리씨네 구조물 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120042510A (ko) 2010-10-25 2012-05-0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긴장재 정착 장치
KR101202418B1 (ko) 2012-08-23 2012-11-21 김성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489A (ko) * 2006-04-11 2007-10-17 프리씨네 구조물 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120042510A (ko) 2010-10-25 2012-05-0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긴장재 정착 장치
KR101202418B1 (ko) 2012-08-23 2012-11-21 김성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7276A (zh) * 2023-03-29 2023-07-14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缆索吊装系统承重索预应力锚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002B1 (en) Connector assembly for intermediate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US7874035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ecast deck slab with a beam on a bridg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lab with the beam using the same
FI78760B (fi) Mellanfoerankringsanordning foer foerspaenning av i flere byggnadsskeden framstaellda byggnadsdelar och et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saodan mellanfoerankringsanordning.
US9009899B2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brace, in particular a stay cable,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extent thereof
KR100858397B1 (ko) 거더의 상연이 블록 아웃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사용되는 정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2078267B1 (ko) 교량 점검시설 고정용 철근 고정식 선매립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23885B1 (ko) 앵커블록 일체형 포크형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4823937B2 (ja) 落橋防止構造
KR20190014813A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JP2006233498A (ja) 落橋防止装置
KR102079574B1 (ko) 정착구 마감용 복합 멀티캡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06157B1 (ko)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KR100441209B1 (ko) 긴장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구조와 방법 및 그에이용되는 긴장재 정착장치와 반력대 장치
KR101775583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KR100400980B1 (ko)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20150010421A (ko) 캡빔 구조체
KR20140048487A (ko)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20130120096A (ko) 교량용 프리 텐션 빔 거더
KR200338560Y1 (ko)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EP3317471B1 (en) Anchorage assembly for a structure, concrete structure with such an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concrete structure
KR102378877B1 (ko) 분절 ps 콘크리트 거더와 이의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급속 시공 방법
KR102315988B1 (ko) 정착구의 다양한 배치가 가능한 지압판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1389821B1 (ko) 매립형 추가 긴장부가 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 및 보수공법
KR200368755Y1 (ko) 피에스씨 빔 단부정착장치
US20080134598A1 (en) Unbonded Post-Tension Strand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