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560Y1 -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560Y1
KR200338560Y1 KR20-2003-0032604U KR20030032604U KR200338560Y1 KR 200338560 Y1 KR200338560 Y1 KR 200338560Y1 KR 20030032604 U KR20030032604 U KR 20030032604U KR 200338560 Y1 KR200338560 Y1 KR 200338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mpet
concrete panel
tension
fixing device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학
김선주
유승민
류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빌테크
김선주
유승민
김우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226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3856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빌테크, 김선주, 유승민, 김우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빌테크
Priority to KR20-2003-0032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강재 빔(10)과 콘크리트 패널(20)이 합성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패널(20)에 배치된 긴장재(21)를 정착하게 되는 긴장재 정착장치로서, 콘크리트 패널(20)의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압판(111), 및 상기 지압판(111)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판(111)을 지지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 지지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20)의 단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강재 빔(10)의 하부플랜지(13)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긴장재(21)의 정착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110)와; 합성빔의 단부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압판(111)에 형성된 삽입공에 그 외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측에는 쉬스관이 연결되는 플라스틱 트럼펫부재(121), 및 상기 지압판(111)의 트럼펫부재 삽입공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압판(111)의 외부 정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럼펫부재(121) 내부에 배치되는 긴장재(21)의 단부를 웨지(127)로 물어 웨지홀(128)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긴장재(21)를 정착하게 되는 앵커헤드(1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착부재(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서의 긴장재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Anchor Device for Tendon in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본 고안은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재 빔의 하부플랜지를 콘크리트 패널에 매립하여 제작하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 있어서, 콘크리트 패널에 배치되는 긴장재를 정착하기 위하여 합성빔의 단부에 설치되는 긴장재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되어 이루어진 합성빔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강재 빔이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패널과 합성되는 경우의 것인데,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 패널(20)의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 패널(20)의 내부에 상기 강재 빔(10)의 하부플랜지(13)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패널(20)을 제작하므로써 강재 빔(10)과 콘크리트 패널(20)이 합성된다. 한편, 도 4b는 강재 빔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합성되는 경우의 것인데, 상면에 오목부(14)가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사전 제작하고, 강재 빔(10)의 하부 플랜지(13)를 상기 오목부(14)에 설치한 후 2차 콘크리트를 오목부에 채워 경화시키므로써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이 합성된다.
위와 같이 강재 빔(10)과 콘크리트 패널(20)이 합성되는 합성빔의 경우, 상기 콘크리트 패널(20)의 인장측에는 긴장재(21)가 배치되어, 상기 긴장재(21)를 긴장하여 정착하므로써 콘크리트 패널(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게 된다. 상기 긴장재(21)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주철(鑄鐵)제 정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는 종래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서 긴장재를 정착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주철제 긴장재 정착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긴장재 정착장치를 앞서 살펴본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 적용하는 경우, 종래의 긴장재 정착장치는 개별적인 정착장치 이므로 패널의 단부에 과도하게 응력이 집중되어 패널의 손상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합성빔의 긴장재를 긴장함에 있어서, 단계적인 긴장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위와 같은 종래의 긴장재 정착장치의 경우, 이러한 단계적인 긴장에 적합하지 않다. 그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긴장재 정착장치는 테이퍼진 형태를 가진 소위 "트럼펫부재" 및 그에 일체로 형성된 지압판이 주철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무게가 커서 합성빔의 자중을 증가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위와 같은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 적합하며, 종래의 긴장재 정착장치를 사용함으로 인한 문제점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긴장재 정착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고, 패널 단부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철제 정착장치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녹스는 것, 무거운 자중, 성형의 어려움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긴장재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근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긴장재 정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합성빔 단부에 설치된 형상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c는 합성빔 단부에 설치된 형상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착부재의 일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긴장재의 정착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긴장재를 정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착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의 긴장재 정착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되어 이루어진 합성빔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4a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빔이 합성된 경우이고, 도 4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빔이 합성되는 경우이다.
도 5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에 사용되던 종래의 일반적인 주철제 정착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재 빔 20 : 콘크리트 패널
21 : 긴장재 100 : 긴장재 정착장치
110 : 보강부재 120 : 정착부재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패널에 배치된 긴장재를 정착하게 되는 긴장재 정착장치로서, 콘크리트 패널의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압판, 및 상기 지압판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판을 지지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단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강재 빔의 하부플랜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긴장재의 정착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와; 합성빔의 단부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압판에 형성된 삽입공에 그 외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측에는 쉬스관이 연결되는 플라스틱 트럼펫부재, 및 상기 지압판의 트럼펫부재 삽입공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압판의 외부 정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럼펫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긴장재의 단부를 웨지로 물어 웨지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긴장재를 정착하게 되는 앵커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서의 긴장재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긴장재 정착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트럼펫부재 내에 긴장재가 배치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앵커헤드 대신에, 보호용 캡이 상기 삽입공에 끼워진 트럼펫부재의 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트럼펫부재의 내부를 막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장치가 제공되며,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트럼펫부재가 플라스틱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트럼펫부재에는 지압판의 배면에서 스토퍼기능 및 지지기능을 하게 되는 브래킷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므로써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긴장재 정착장치(100)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긴장재 정착장치(100)와 강재 빔(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정착장치(100)가 합성빔의 단부에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c는 상기 정착장치(100)가 합성빔의 단부에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편의상 패널(20)에 설치되는 철근 등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특히 도 1c에서는 강재 빔(10)의 도시도 생략하였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고안의 긴장재 정착장치(100)는 강재 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110)와, 상기 보강부재(110)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삽입된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보강부재(110)를 이용하여 정착하는 정착부재(120)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보강부재(1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보강부재(110)는, 합성빔의 콘크리트 패널(20)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압판(111)과, 상기 지압판(111)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판(111)을 지지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판(1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 지지판(112)은 소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판(11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정착부재(120)가 설치된다.
합성빔의 콘크리트 패널(20) 단부의 하부에는 소울 플레이트(sole plate)(113)가 구비되는데, 도면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압판(111)의 하면과 상기 수직 지지판(112)의 하면을 상기 소울 플레이트(113)의 상면에 각각 수직하게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 지지판(112)의 상면은 합성빔에 구비되는 강재 빔(10)의 하부플랜지(13)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도면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 지지판(112)의 상면에 수평한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연결판(114)을 결합하여 설치하고, 상기 연결판(114)을 강재 빔(10)의 하부플랜지(13)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 지지판(112)에는 콘크리트가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유입공(115)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114)의 상면에도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유입공(115)이 다수개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강부재(1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빔의 단부에서 콘크리트 패널(20) 내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콘크리트 패널(20)이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우선 강재 빔(10)의 하부플랜지(13)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보강부재(110)는 강재 빔(10)과 연결된 상태로 콘크리트 패널(20) 내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이에 비하여 콘크리트 패널(20)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되는 경우는, 우선 보강부재(110)의 수직 지지판(112) 또는 그 상부의 연결판(114)이 노출되는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보강부재(110)가 콘크리트 패널(20)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한 후, 강재 빔(10)을 콘크리트 패널(20)과 합성할 때, 상기 강재 빔(10)의 하부플랜지(13) 단부와 상기 노출된 보강부재(110)의 수직 지지판(112) 또는 그 상부의 연결판(114)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한다. 도 1b 및 도 1c에서 외곽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콘크리트 패널(20)을 나타내며, 도 1c의 연결판(114) 내에 도시된 점선은 수직 지지판(112)을 나타낸다. 도 1b에서 정착부재(120) 및 긴장재(21)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다음에서는 트럼펫부재를 구비한 정착부재(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정착부재(120)의 일실시예에 대한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도 2a는 긴장재(21)를 정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는 긴장재(21)가 정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재(20)는, 합성빔의 단부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그 내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진 플라스틱 재질의 트럼펫부재(1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럼펫부재(121)의 내측방향 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직선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직선구간의 단부에는 쉬스관(129)이 연결된다. 상기 쉬스관(129)을 지나온 긴장재(21) 들은 트럼펫부재(121) 내에서 펼쳐져서 단부에서 정착된다. 쉬스관(129)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밀봉테이프로 밀봉 처리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몰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보강부재(110)의 지압판(111)에 상기 트럼펫부재(121)의 외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트럼펫부재(121)의 외측 단부를 지압판(111)의 삽입공에 끼움으로써 상기 트럼펫부재(121)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지압판(111)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트럼펫부재(121)의 외면에는, 스토퍼로서의 기능과 지지기능을 동시에 하는 브래킷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부(122)는 예를 들어 그 단부로부터 지압판(111)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후방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래킷부(122)가 트럼펫부재(121)의 주변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판부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럼펫부재(121)의 외면에는, 트럼펫부재(121)의 강도 증진과 콘크리트와의 마찰력 증진을 위하여 요철보강부(123)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트럼펫부재(121)에는 그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와 같은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우팅 주입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라우팅 주입구(124)에는, 지압판(111)의 그라우팅 파이프 관통홀(116)을 지나온 연성재질의 그라우팅 파이프(130)가 연결되어, 나중에 긴장재(21)의 긴장 및 정착이 완료된 후에 그라우팅 재료가 공급되어 트럼펫부재(121) 및 쉬스관(129)의 내부에 충진된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아직 긴장재가 배치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트럼펫부재(121)의 외측 단부에 보호용 캡(125)을 설치한다. 보호용 캡(125)을 설치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여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럼펫부재(121)의 외측 단부인 지압판(111) 관통부위 내측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용 캡(125)의 외측에도 대응 나사부를 형성하여 보호용 캡(125)을 트럼펫부재(121)에 나사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보호용 캡(125)의 외면에는 회전용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호용 캡(125)을 설치하게 되면, 트럼펫부재(121)를 설치한 후 패널(20)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트럼펫부재(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패널(20)의 양생시 물을 살수하는 경우, 상기 보호용 캡(125)으로 트럼펫부재(121)의 입구를 막아둘 수 있으므로, 살수된 물이 트럼펫부재(121)로 흘러들어 쉬스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시간 긴장재를 긴장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도 상기 보호용 캡(125)은 트럼펫부재(12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긴장재(21)를 긴장하여 정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트럼펫부재(121)가 삽입되는 지압판(111)의 삽입공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앵커헤드(126)가 지압판(111)의 외부에 설치된다. 앵커헤드(126)에는, 긴장재(21)의 단부를 물게 되는 웨지(127)가 삽입되는 웨지홀(128)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쉬스관(129)과 트럼펫부재(121) 내에 배치된 긴장재(21)를 긴장하여 단부에웨지(127)를 물린 상태로 놓게 되면 긴장력에 의하여 웨지(127)가 웨지홀(128)에 끼워지므로써 긴장재(21)가 정착된다. 도 2b에서는 긴장재(21)의 후방이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위의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착장치(12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10)의 수직 지지판(11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강부재(110)의 지압판(111)에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정착장치(120)의 트럼펫부재(121) 외측 단부를 상기 삽입공에 삽입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상기 정착장치(1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트럼펫부재(121)는 종래의 일반적인 주철제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재료로 제작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PVC, PP와 같은 경량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정착장치에서는 앵커헤드가 트럼펫부재의 외측 단부와 직접 밀착된 상태에서 긴장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트럼펫부재가 긴장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해야 하며, 이러한 이유에서 종래의 정착장치는 주철제 재질로 제작되었다(도 5 참조).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는, 긴장재(21)의 긴장력이 앵커헤드(126)을 통해 지압판(111)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트럼펫부재(121)를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하여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트럼펫부재(121)를 플라스틱재료로 제작하게 되면, 우선 종래의 주철제 정착장치에 비하여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성형에 소요되는 경비도 절감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장기 보관에 따른 녹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취급 부주위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적어진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주철제 정착장치에 비하여 경량이므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합성빔의 자중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착장치(120)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2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트럼펫부재(121)에 설치되어 지압판(111)의 배면에서 스토퍼기능 및 지지기능을 담당하는 브래킷부(122)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트럼펫부재(121)의 외면이 절곡되어 상기 지압판(111)의 배면에 닿게 됨으로써 브래킷부(12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는바, 그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된 합성빔에 적합한 구조의 긴장재 정착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정착장치에 의하면 강재 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110)가 긴장재를 지지하게 되므로. 긴장재의 정착으로 인하여 패널의 단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보강부재(110)로 분산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패널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패널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긴장재 정착장치에는 상기한 보강부재(110)에 더하여 플라스틱재료로 제작된 트럼펫부재(121)로 이루어진 정착부재(1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한 정착부재(120)는 트럼펫부재(121)의 외측 단부를 상기 보강부재(110)의 지압판(111)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보강부재(110)에 조립되므로, 제작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트럼펫부재(121)가 플라스틱재료로 제작되는데, 그에 따라 종래의 주철제 정착장치에 비하여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성형이 용이하여 성형에 소요되는 경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정착장치를 장기 보관함에 따른 녹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취급 부주위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적어질 뿐만 아니라, 주철제 정착장치에 비하여 경량이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합성빔의 자중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강재 빔(10)과 콘크리트 패널(20)이 합성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패널(20)에 배치된 긴장재(21)를 정착하게 되는 긴장재 정착장치로서,
    콘크리트 패널(20)의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압판(111), 및 상기 지압판(111)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판(111)을 지지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 지지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20)의 단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강재 빔(10)의 하부플랜지(13)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긴장재(21)의 정착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110)와;
    합성빔의 단부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압판(111)에 형성된 삽입공에 그 외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측에는 쉬스관이 연결되는 플라스틱 트럼펫부재(121), 및 상기 지압판(111)의 트럼펫부재 삽입공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압판(111)의 외부 정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럼펫부재(121) 내부에 배치되는 긴장재(21)의 단부를 웨지(127)로 물어 웨지홀(128)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긴장재(21)를 정착하게 되는 앵커헤드(1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착부재(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서의 긴장재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럼펫부재(121) 내에 긴장재(21)가 배치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앵커헤드(126) 대신에, 보호용 캡(125)이 상기 삽입공에 끼워져 트럼펫부재(121)의 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트럼펫부재(121)의 내부를 막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서의 긴장재 정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럼펫부재(121)는 플라스틱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트럼펫부재(121)에는 지압판(111)의 배면에서 스토퍼기능 및 지지기능을 하게 되는 브래킷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의 합성빔에서의 긴장재 정착장치.
KR20-2003-0032604U 2003-10-17 2003-10-17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KR200338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04U KR200338560Y1 (ko) 2003-10-17 2003-10-17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04U KR200338560Y1 (ko) 2003-10-17 2003-10-17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560Y1 true KR200338560Y1 (ko) 2004-01-16

Family

ID=4942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604U KR200338560Y1 (ko) 2003-10-17 2003-10-17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56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14B1 (ko) 2006-08-23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하로교 제작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이를 이용한 하로교제작방법
KR100816003B1 (ko) 2006-07-21 2008-03-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1108788B1 (ko) 2011-06-03 2012-02-24 윤주호 다단계 인장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거더가 합성된 합성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정 기구.
KR101260537B1 (ko) * 2005-02-22 2013-05-06 티디에프 금속 관구조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
KR101745432B1 (ko) * 2016-03-03 2017-06-09 진승영 합성 거더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압 패널 구조체
KR102327685B1 (ko) * 2020-11-06 2021-11-16 안응상 외부 텐던 설치를 위한 정착블록 및 이를 이용한 스틸박스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2349439B1 (ko) * 2021-06-10 2022-01-11 주식회사 택한 Cft 보강재가 구비된 강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37B1 (ko) * 2005-02-22 2013-05-06 티디에프 금속 관구조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
KR100816003B1 (ko) 2006-07-21 2008-03-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0727114B1 (ko) 2006-08-23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하로교 제작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이를 이용한 하로교제작방법
KR101108788B1 (ko) 2011-06-03 2012-02-24 윤주호 다단계 인장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거더가 합성된 합성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교정 기구.
KR101745432B1 (ko) * 2016-03-03 2017-06-09 진승영 합성 거더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압 패널 구조체
KR102327685B1 (ko) * 2020-11-06 2021-11-16 안응상 외부 텐던 설치를 위한 정착블록 및 이를 이용한 스틸박스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2349439B1 (ko) * 2021-06-10 2022-01-11 주식회사 택한 Cft 보강재가 구비된 강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1084B2 (ja) 支持部に配設された転向個所の領域における腐食防止された牽引部材、特に斜張橋の橋脚における斜張ケーブルの構造
KR102224991B1 (ko) Psc 포스트텐션 방식의 그라우팅캡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밥법
KR101339946B1 (ko)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JP4998198B2 (ja) 機械式継手のグラウト充填方法、pc部材の接合方法、柱梁接合部の構築方法、柱梁仕口部の構築方法、床部材とpc壁部材の接合方法、pc部材の接合構造、柱梁接合構造、柱梁仕口部構造、床と壁の接合構造
KR200338560Y1 (ko) 강재 빔과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긴장재 정착장치
US58097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two prestressed concrete elements
KR102079574B1 (ko) 정착구 마감용 복합 멀티캡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420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3832312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多径間連続桁構造物の分割施工により構成された桁部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441209B1 (ko) 긴장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구조와 방법 및 그에이용되는 긴장재 정착장치와 반력대 장치
KR100400980B1 (ko)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JP2017101442A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H053963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仕口
KR102332144B1 (ko) 물류 구조물 시공을 위한 pc 기둥과 pc 보의 결합 시공 구조
JP3947622B2 (ja) Pc貯槽の側壁
JP6244191B2 (ja) 柱脚固定用装置及び柱脚固定方法
JP2002235453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貯槽
JP7144341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方法
KR100596072B1 (ko) 하부플랜지 매립 및 일체 연결 구조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JP2000297480A (ja) 鋼管構造柱脚部の補強方法
KR20210026900A (ko) 패널존 일체형 pc보를 이용한 pc보-pc기둥 접합방법
JP2603474B2 (ja) 地山補強構造物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型枠
KR200362688Y1 (ko) 교각용 앵커 구조
JPH0197724A (ja) 馬蹄形既設トンネル内張補修方法
JP2005120593A (ja) ユニット型シ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