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813A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4813A KR20190014813A KR1020170098769A KR20170098769A KR20190014813A KR 20190014813 A KR20190014813 A KR 20190014813A KR 1020170098769 A KR1020170098769 A KR 1020170098769A KR 20170098769 A KR20170098769 A KR 20170098769A KR 20190014813 A KR20190014813 A KR 201900148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steel bracket
- web
- construction method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존 거더을 변형하거나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도 강재 브래킷의 가설만으로 거더교의 교량상판 중앙부와 캔틸레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각에 얹어 거치된 거더의 웨브에 강재 브래킷을 나열해 가설하는 제1단계; 상기 강재 브래킷 상에 프리캐스트 데크를 얹어 거치하는 제2단계; 상기 거더 및 프리캐스트 데크 상에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존 거더을 변형하거나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도 강재 브래킷의 가설만으로 거더교의 교량상판 중앙부와 캔틸레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란 하천, 호수, 해협, 만(灣),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構築物)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건설되는 고가구조물이다. 이러한 교량은 재질이나 구조 또는 제조공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는데, 특히 근래에 들어 교량을 통한 소통량이 많아지고,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그 시공 및 보수 유지에 유리한 장점과 함께 강도 등의 여러 가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중 하나의 공법에 의한 교량으로 거더(girder)교가 있다.
통상 빔(beam)이라 불리기도 하는 거더(Girder)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교각과 교각사이에 얹어 거치되어서 교량상판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일컫는다.
종래 교량상판은 트러스 강관비계, 장선, 멍에, 거푸집, 작업발판, 안전펜스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별도 가설부재 일일이 구축하고, 콘트리트를 상기 가설부재에 타설하는 방법으로 시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방법은 거더에 다수의 가설부재를 부설하고 콘트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가설부재를 다시 해체하는 공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교량상판 시공에 번거로움이 있고 공기(工期) 또한 연장되며, 가설부재와 인부의 추락사고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 교량상판은 거더와 접하는 중앙부를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패널(precast concrete panel; 이하 '프리캐스트 데크')을 바로 얹어 거치하는 방법으로 시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공법은 교량상판의 중앙부를 프리캐스트 테크로 바로 얹어 거치해 시공할 수는 있어도 거더를 벗어난 양단의 캔틸레버(cantilever)는 전술한 가설부재를 부설해서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트리트를 타설해야 하므로, 교량상판 시공에 따른 번거로움과 공기 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이후, PSC빔 계열교에서 캔틸레버 프리캐스트 데크를 적용하고 있으나, 설치시 거더 본체에 직접 용접과 볼팅 등의 설치작업을 수행하므로 거더에 손상이 우려되며, 프리캐스트 데크가 지지되는 장치를 설치 후 제거하지 않고 영구 구조물로 적용하고 있어서 공사비의 상승과 교량의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03791호(2010.01.1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거더를 변형하거나 가공하지 않고도 거더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재 브래킷을 손쉽게 부설하고, 프리캐스트 테크의 캔틸레버부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시공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에 얹어 거치된 거더의 웨브에 강재 브래킷을 나열해 가설하는 제1단계;
상기 강재 브래킷 상에 프리캐스트 데크를 얹어 거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거더 및 프리캐스트 데크 상에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거더를 변형하거나 가공하지 않고도 거더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재 브래킷을 손쉽게 부설하고, 프리캐스트 데크의 캔틸레버부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기를 크게 감축할 수 있으며, 가설부재 부설 및 해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가설부재와 인부의 추락 재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캔틸레버부의 프리캐스트 데크를 지지하는 강재 브래킷을 해체하고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교량 공사비용을 상대적으로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일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일실시 예에 따른 시공 방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시공된 교량상판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브래킷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일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일실시 예에 따른 시공 방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시공된 교량상판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브래킷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일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시공 방법은, 교량 시공 과정에서 교각(10)을 입설하고, 교각(10)에 거더(20)를 거치한 이후, 교각(10)에 얹어 거치된 거더(20)의 웨브(21)에 강재 브래킷(30)을 나열해 가설하는 강재 브래킷 가설 단계(S30)와, 강재 브래킷(30) 상에 프리캐스트 데크(50; 도 4 참고)를 얹어 거치하는 프리캐스트 데크 안착 단계(S40)와, 프리캐스트 데크(50)에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S50)를 포함한다. 더 포함해서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을 완료하면, 강재 브래킷(30)을 해체하는 강재 브래킷 해체 단계(S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시공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10; 교각 입설 단계
주지된 바와 같이 교각(10)은 교량의 하부 구조로, 교량 거더(10)를 지지하고 교량 거더로부터의 하중을 하방으로 전달하는 구조물이다. 교각(10)은 교량이 설치되는 지형과 위치 또는 필요성 등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공법 등이 적용되며, 본 실시의 시공 방법에서는 거더(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와 공법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공법과 디자인 등의 교각(10)이 적용될 수 있다.
S20; 거더 거치 단계
주지된 바와 같이 거더(20)는 교량의 상부구조물로서, 주행의 구성에 의해 분류되며 이속에는 빔(beam), 플레이트(plate)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거더(20)는 일렬로 입설된 다수의 교각(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안착되며, 보행 또는 차량 통행 등을 위한 교량상판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거더(20)는 크레인 등을 통해 교각(10) 상에 안착해 설치되며, 교량상판을 거치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므로, 구조역학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설계와 디자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거더(20)는 크레인과의 연결을 위해서 좌우 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동바리 고리(23)가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동바리 고리(23)는 거더(20)의 측면부인 웨브(21) 상단에 배치되어서, 크레인이 거더(20)의 상단에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거더(20)의 동바리 고리(23)는 크레인의 와이어 후크가 걸 수 있는 홀(23a)을 형성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거더(20)는 측면을 이루는 웨브(21)와 상면을 이루는 플랜지(22)를 포함하는데, 웨브(21)와 플랜지(22)의 경계부가 박스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이룬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일실시 예에 따른 시공 방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S30; 강재 브래킷 가설 단계
교각(10) 및 거더(20)가 모두 설치되면, 도 3에서 보인 대로 강재 브래킷(30)을 거더(20)의 동바리 고리(23)에 체결한다. 여기서 강재 브래킷(30)은, 거더(20)의 웨브(21)에 밀착하도록 일측면이 평면을 이루고, 저면이 경사면을 이루어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본체(31)를 포함한다. 본체(31)는 중량의 프리캐스트 데크(50)를 받치므로, 수직력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과 분산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체(31)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평판 형상을 이루고, 분산력을 높이기 위해서 거더(20)의 웨브(21)와 밀착하는 일측면은 평판을 이루며,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룬다. 이를 통해 프리캐스트 데크(50)가 강재 브래킷(30)에 가하는 하중은 본체(31) 전체가 분담하면서 상기 일측면을 통해 거더(20)의 웨브(21)로 전달한다.
한편, 곧은 평판 형상의 본체(31)를 구성한 강재 브래킷(30)은 그 상단면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강재 브래킷(30)과 맞닿는 프리캐스트 데크(50)의 저면에 압력을 집중시켜서 프리캐스트 데크(50) 자체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더욱이 프리캐스트 데크(50)를 강재 브래킷(30)에 얹을 때에 정확성을 상실하면 강재 브래킷(30) 자체가 뒤틀려서 지지구조를 상실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데크(50)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정밀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강재 브래킷(30)은 프리캐스트 데크(50)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확장된 폭을 갖는 평판(32)이 본체(31) 상단에 형성된다. 결국, 강재 브래킷(30)의 본체(31)는 웨브 구조를 이루고, 평판(32)은 플랜지 구조를 이루면서 프리캐스트 데크(50)가 가하는 수직력에 대한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고, 현장에서도 작업자가 평판(32)과 프리캐스트 데크(50)를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강재 브래킷(30)의 본체(31)에는 동바리 고리(23)와의 체결을 위한 고정홀(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강재 브래킷(30)의 고정홀(31a)을 동바리 고리(23)의 홀(23a)에 맞춰 배치하고, 별도의 결속핀(41)을 고정홀(31a) 및 홀(23a)에 관통시켜서 강재 브래킷(30)과 동바리 고리(23)를 결속시킬 수 있다. 참고로, 강재 브래킷(30)의 고정홀(31a)은 본체(31)의 일측 상단에 배치되어서, 강재 브래킷(30)이 설치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프리캐스트 데크(50)가 가하는 하중에 의해 강재 브래킷(30)에 토크가 가해져 일측면이 거더(20)의 웨브(21)에 분담되도록 한다.
한편, 결속핀(41)은 일반 핀 타입일 수도 있으나, 너트(42)와 짝을 이뤄 결합하는 볼트 타입일 수도 있다.
동바리 고리(23)는 다수 개가 거더(20)의 웨브(2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이에 맞춰서 다수 개의 강재 브래킷(30)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참고로, 본 실시에서는 프리캐스트 데크(50)의 사이즈를 고려해 배치하며, 해당 간격은 2.5m이다.
S40; 프리캐스트 데크 안착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데크는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하는 기술이 아닌, 완전 정비된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제품을 뜻하는 것으로, 본 실시의 시공 방법에서는 교량상판의 기초를 이루는 파트를 프리캐스트 데크로 구성한다.
본 실시의 프리캐스트 데크(50)는 거더(20)에 직접 받쳐지지 않는 양측 사이드 부분인 캔틸레버부(51)에 해당하며, 본 실시의 강재 브래킷(30)은 캔틸레버부(51)를 직접 받친다. 결국, 프리캐스트 데크(50)의 캔틸레버부(51)가 강재 브래킷(30)에 지지되므로, 프리캐스트 데크(50)가 안정된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강재 브래킷(30)만을 설치함으로써 교량상판의 바닥부분을 이루는 프리캐스트 데크(50)를 바로 설치하므로, 공정은 물론 공기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의 프리캐스트 데크(50)는 추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 측면을 따라 거푸집 펜스(52)를 구성하고, 추가로 작업자 또는 영구적인 안전 펜스(53)을 구성할 수 있다.
S50;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프리캐스트 데크(50)의 거치가 완료하면, 거더(20) 및 프리캐스트 데크(5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을 통해 경화해서 교량상판의 상층(60)을 이룬다.
S60; 강재 브래킷 해체 단계
교량상판 시공이 완료하면, 필요에 따라 강재 브래킷(30)을 해체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데크(50)의 캔틸레버부(51) 상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을 통해 견고한 교량상판의 상층(60)을 이루었으므로, 교량상판의 상층(60)을 지지할 별도의 강재 브래킷(30)은 불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재 브래킷(30)의 해체는 동바리 고리(23)와의 연결을 분리함으로써 손쉽게 완료할 수 있고, 해체된 강재 브래킷(30)은 다른 교량 시공에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시공 방법은 거더(20)의 웨브(21)와 강재 브래킷(30) 사이에 마찰성 지압판(33)을 보강한다.
강재 브래킷(30)은 동바리 고리(23)를 중심으로 거더(20)에 고정되므로, 프리캐스트 데크(50)가 강재 브래킷(30)에 하중을 가하면, 강재 브래킷(30)은 동바리 고리(23)를 중심으로 토크가 발생하면서 일측면이 거더(20)의 웨브(21)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서 강재 브래킷(30)은 프리캐스트 데크(50)가 직접 가하는 수직력을 받으므로, 일측면이 웨브(21)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의 이동력을 받게 된다.
본 실시의 시공 방법은 상기 토크에 의한 압력과 프리캐스트 데크의 수직력에 의한 이동력을 완충하면서도 그 힘이 웨브(21)에 집중하도록, 본체(31)의 일측면과 웨브(21) 사이에 마찰성 지압판(33)을 보강한다. 이를 통해 본체(31)의 일측면이 가하는 토크를 지압판(33)이 고르게 분산시켜서 웨브(21)에 전달하고, 상기 이동력은 지압판(33)의 마찰 성질에 의해 효과적으로 전달받아서 웨브(21)에 전달한다.
결국, 프리캐스트 데크(50)가 강재 브래킷(30)에 가하는 힘은 웨브(21)에 효과적으로 전달해서 지지하게 하므로, 교량의 캔틸레버를 이루는 프리캐스트 데크(50)의 변형 또는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지압판(33)을 연결축(41)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치해서, 강재 브래킷(30)이 연결축(41)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한다. 물론, 기울어진 강재 브래킷(30) 상에 프리캐스트 데크(50)를 얹으면, 프리캐스트 데크(50) 또한 기울어져서 교량상판의 상층(60) 형태도 함께 변형된다.
계속해서, 지압판(33)의 배치 위치로 인해 강재 브래킷(30)의 자세가 변하게 되면, 지압판(33) 역시 전체가 거더(20)에 모두 밀착하거나, 강재 브래킷(30)에 모두 밀착한다. 즉, 배치자세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지압판(33)의 기본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거더(20)의 웹브(21)와 지압판(33) 사이에 충진재(34)를 강재 삽입한다. 따라서 지압판(33)의 전면은 충진재(34)에 밀착하고, 충진재(34)의 전면은 거더(20)에 밀착하며, 강재 브래킷(30)의 배치 자세 또한 안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충진재(34)는 일반 탄성재질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재 브래킷(30)이 가하는 토크를 완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강재 브래킷이 거더에 가설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시공된 교량상판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거더(2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웨브(21)와 플랜지(22)가 바로 절곡된 박스 형태였으나, 이외에도 플랜지(22)가 측방으로 돌출한 돌기(22a)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거더(20)에서 플랜지(22)의 측방 돌기(22a)와 강재 브래킷(30)의 의 상단이 밀착하도록 배치해서, 강재 브래킷(30)에 발생한 토크가 돌기(22a)로도 분담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의 강재 브래킷(30)은 거더(20)의 측방 돌기(22a)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서 강재 브래킷(30)의 일측 상단이 절개되어 맞물림홈(31b)을 형성한다. 이는 거더(20)의 형상 등에 따라 강재 브래킷(30)을 구분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특히 돌기(22a)가 웨브(21)로부터 돌출한 형태에서도 거더(20)에 안착되는 프리캐스트 데크(50)의 형태 또는 강재 브래킷(30)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강재 브래킷(30)의 맞물림홈(31b)으로 플랜지(22)의 측방 돌기(22a)가 삽입되므로, 강재 브래킷(30)이 돌기(22a)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거더(2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브래킷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강재 브래킷(30)의 평판(32)은 프리캐스트 데크(50)를 받치고, 본체(31)는 평판(32)이 받은 프리캐스트 데크(50)의 하중을 집중해 받아 지지한다. 하지만 본체(31)는 프리캐스트 데크(50)의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으면 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구조학적으로 본체(31)와 비교해 확장된 폭을 갖는 밑판(35)을 본체(31)의 하단에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밑판(35)의 선단은 거더(20)의 웨브(21)와 맞닿도록 해서, 본체(31)가 가하는 토크를 웨브(21)에 그대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결국, 프래캐스트 데크(50)가 가하는 하중은 평판(32)과 본체(31) 및 밑판(35) 순으로 전달되어서 거더(20)가 이를 받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교각
20; 거더
21; 웨브
22; 플랜지 22a; 돌기 23; 동바리 고리
23a; 홀 30; 강재 브래킷 31; 본체
31a; 고정홀 31b; 맞물림홈 32; 평판
50; 프래캐스트 데크 51; 캔틸레버부
52; 거푸집 펜스 53; 안전 펜스 60; 상층
22; 플랜지 22a; 돌기 23; 동바리 고리
23a; 홀 30; 강재 브래킷 31; 본체
31a; 고정홀 31b; 맞물림홈 32; 평판
50; 프래캐스트 데크 51; 캔틸레버부
52; 거푸집 펜스 53; 안전 펜스 60; 상층
Claims (10)
- 교각에 얹어 거치된 거더의 웨브에 강재 브래킷을 나열해 가설하는 제1단계;
상기 강재 브래킷 상에 프리캐스트 데크를 얹어 거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거더 및 프리캐스트 데크 상에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거더의 웨브 상단에 구성된 동바리 고리에 상기 강재 브래킷을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브래킷은,
상기 거더의 웨브에 밀착하도록 일측면이 평면을 이루고, 저면이 경사면을 이루어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브래킷은,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와 비교해 확장된 폭을 갖는 평판이 상기 본체 상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서 상기 강재 브래킷의 일측 상단이 절개되어 맞물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비교해 확장된 폭을 갖는 밑판을 본체의 하단에 보강하되, 상기 밑판의 선단이 상기 거더의 웨브와 맞닿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이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거더의 웨브와 강재 브래킷 사이에 마찰성 지압판을 보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브래킷이 경사진 자세를 이루도록 상기 강재 브래킷의 하부에 지압판을 배치하고, 상기 지압판이 상기 강재 브래킷과 밀착하도록 상기 지압판과 웨브 사이에 충진재를 보강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을 완료하면, 상기 강재 브래킷을 해체하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거더에서 플랜지의 측방 돌기와 상기 강재 브래킷의 일측 상면이 밀착하도록 배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8769A KR102080492B1 (ko) | 2017-08-04 | 2017-08-04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8769A KR102080492B1 (ko) | 2017-08-04 | 2017-08-04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4813A true KR20190014813A (ko) | 2019-02-13 |
KR102080492B1 KR102080492B1 (ko) | 2020-02-24 |
Family
ID=6536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8769A KR102080492B1 (ko) | 2017-08-04 | 2017-08-04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49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19244A (zh) * | 2019-06-03 | 2019-09-10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缓和曲线处箱梁腹板模板调整装置及其使用方法 |
KR102658930B1 (ko) | 2024-01-03 | 2024-04-18 | (주)효명피씨 |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0432B1 (ko) * | 2020-12-17 | 2021-07-22 | (주)공명 | 처짐 방지용 가변형 강재 거더 구조 |
KR102402326B1 (ko) * | 2021-05-21 | 2022-05-25 | 나성준 |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423B1 (ko) * | 1988-02-19 | 1991-09-26 | 삼환기업 주식회사 | 조정용 브라켙 장치(Bracket)를 이용한 피시-빔(PC-Beam) 교량 가설공법 |
JP2002227133A (ja) * | 2001-01-31 | 2002-08-14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打ち替え合成床版鋼桁橋及び施工方法 |
KR20100003791A (ko) | 2008-07-02 | 2010-01-12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교량의 프리케스트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박스 거더교시공방법 |
KR101101204B1 (ko) * | 2011-06-03 | 2012-01-04 | (주) 효성 |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
KR20130025095A (ko) * | 2011-09-01 | 2013-03-11 | (주)세종에스티 |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
-
2017
- 2017-08-04 KR KR1020170098769A patent/KR1020804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423B1 (ko) * | 1988-02-19 | 1991-09-26 | 삼환기업 주식회사 | 조정용 브라켙 장치(Bracket)를 이용한 피시-빔(PC-Beam) 교량 가설공법 |
JP2002227133A (ja) * | 2001-01-31 | 2002-08-14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打ち替え合成床版鋼桁橋及び施工方法 |
KR20100003791A (ko) | 2008-07-02 | 2010-01-12 |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 교량의 프리케스트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박스 거더교시공방법 |
KR101101204B1 (ko) * | 2011-06-03 | 2012-01-04 | (주) 효성 |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
KR20130025095A (ko) * | 2011-09-01 | 2013-03-11 | (주)세종에스티 |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19244A (zh) * | 2019-06-03 | 2019-09-10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缓和曲线处箱梁腹板模板调整装置及其使用方法 |
KR102658930B1 (ko) | 2024-01-03 | 2024-04-18 | (주)효명피씨 |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0492B1 (ko) | 2020-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4813A (ko) |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 |
JP5937898B2 (ja) | 箱桁橋の構築法 | |
EP0501730B1 (en) |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same | |
KR102206783B1 (ko) | Psc 스플라이스드 거더교의 임시고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sc 스플라이스드 거더교의 시공방법 | |
JP3818020B2 (ja) | 断面分割型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工法 | |
KR101820871B1 (ko) |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JP6491034B2 (ja) | コンクリート床版 | |
JP4551340B2 (ja) | 連続高架橋 | |
JP3877995B2 (ja) | 張弦桁橋の構築方法 | |
JP4056540B2 (ja) | 橋桁の架設方法 | |
JP3847604B2 (ja) | 床版の打替工法 | |
JP4607785B2 (ja) | 連続高架橋 | |
JP4493245B2 (ja) |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 |
KR101458091B1 (ko) | 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케이블교의 시공방법 | |
KR100701197B1 (ko) | 해체 및 층고 절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시스템 | |
KR101071647B1 (ko) | 재사용 지지앵글을 이용한 철골합성 거더 | |
KR101822523B1 (ko) | 하우징 스트롱-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JPH0642039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大梁に取り付く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小梁の端部接合方法およびその接合構造 | |
JPH10140525A (ja) | 橋 桁 | |
JP4375788B2 (ja) |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 |
JP2016108812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を用いた橋梁における連結構造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を用いた既設橋梁における連結工法 | |
JP2004116059A (ja) | 波形鋼板ウェブ橋の架設方法 | |
JP2000129633A (ja) | 橋梁床版の架設工法 | |
JP4452518B2 (ja) | 複合部材の接合構造 | |
JP5973295B2 (ja) | 柱頭部の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