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192A -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192A
KR20150129192A KR1020140055124A KR20140055124A KR20150129192A KR 20150129192 A KR20150129192 A KR 20150129192A KR 1020140055124 A KR1020140055124 A KR 1020140055124A KR 20140055124 A KR20140055124 A KR 20140055124A KR 20150129192 A KR20150129192 A KR 2015012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ring
cable
cable fix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406B1 (ko
Inventor
김기동
고만기
한기장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소켓 내부에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가압링을 결합 체결할 수 있게 파여진 둘레홈인 링결합부와 상기 링결합부에서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에 압착되도록 형성된 관통구인 소켓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의 소켓홈을 관통하여 내부 용융주물에 압축력을 인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케이블 정착장치의 압축력 강화를 통한 성능 개선을 위하여 소켓준비단계, 케이블 정착단계, 가압링 조립단계, 압축력 강화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전단저항과 마찰저항을 극대화하여 케이블의 전단 파괴 및 미끄러짐 파괴를 방지하는 보다 향상된 케이블 정착장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Method of improving performance of the cable fixing apparatus and a cable fix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에 케이블 단부를 삽입하고 용융주물을 주입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추가하여, 상기 소켓의 둘레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가압링을 조립하여 압축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및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다수의 케이블 가닥들을 포함하며, 그 단부는 정착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정착장치란 긴장된 케이블을 구조물에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토목건축 분야에서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이다.
상기 정착장치에 케이블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힘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전단 파괴되거나 힘이 부족한 경우에는 낮은 마찰력으로 인한 미끄러짐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하여도 케이블이 전단 파괴되거나 낮은 마찰력으로 인한 케이블 빠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케이블 정착장치의 전단저항을 강화하기 위하여 케이블 단부를 풀어 헤친 후 소켓에 주물을 넣어서 제조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핫 캐스팅(Hot Casting) 방식이라고 한다.
상기 핫 캐스팅 방식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기술이나, 케이블이 소켓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있고, 케이블 단부를 풀어 헤치는 공정이 필요해서 번거로운 공정을 거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물성분 및 배합비가 불확실하면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주물에 필요한 용광로 등의 설비가 요구되어지며, 재래식 제조 방식이고 소켓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정착장치의 마찰저항을 높이는 기술로는 케이블을 도관의 작은 단면을 통과시키거나 프레스로 힘을 가하여 냉간 압착하는 방식으로서, 콜드 캐스팅(Cold Casting)방식이라고 한다.
상기 콜드 캐스팅 방식은 전단면 압착 방식으로 압착 강도가 큰 장점이 있으나, 타이케이블 방식의 경우 케이블이 커질수록 큰 압착 장비가 필요하고, 프레스로 찍는 방식의 경우 상대적으로 압착 강도가 작은 단점이 있다. 또한, 멀티 스트랜드(Multi Strand)를 사용할 경우 큰 정착구가 필요하고, 압착강도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정착장치의 전단 파괴 및 미끄러짐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저항을 강화하고 마찰저항을 높이기 위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들이 요구되어진다.
KR 등록특허공보 B1 10-1202418 (2012.11.12.) KR 공개특허공보 A 10-2013-0134146 (2013.12.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단부를 소켓에 삽입하고 정착시키는 주물 용융의 핫 캐스팅 방식의 케이블 정착장치에 추가하여, 상기 소켓의 둘레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가압링을 조립하여 압축력을 더욱 보강하는 콜드 캐스팅 기법을 결합 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링을 이용하여 압축력을 추가로 인가함으로써, 소켓에 의한 전단저항과 압축력으로 인한 마찰저항을 통하여 전단 파괴 및 미끄러짐 파괴를 방지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켓 내부에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가압링을 결합 체결할 수 있게 파여진 둘레홈인 링결합부와, 상기 링결합부에서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에 압착되어 압축력을 더욱 보강하도록 형성된 관통구인 소켓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정착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압링은 상기 소켓의 상기 소켓홈을 관통하여 내부 용융주물에 압축력을 가하게 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소켓의 상기 링결합부와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좌 우 측면의 나사 조임 장치를 통하여 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돌출부가 박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링은 상기 소켓의 상기 링결합부와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둘레에 철선홈을 형성하여 철선을 삽입하고 상기 철선을 감아서 조이는 방식으로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돌출부가 박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에 있어서, 소켓의 내부에 케이블을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케이블은 케이블스트랜드 형태로 가닥을 펼치어 놓고, 소켓홈을 메우기 위하여 상기 소켓의 링결합부에 무형상링을 조립하는 소켓준비단계; 상기 소켓준비단계에서 소켓 내부에 용융주물을 주입하여 굳히는 케이블 정착단계; 상기 케이블 정착단계에서 상기 용융주물이 굳어진 후에 상기 무형상링을 제거하고 가압링을 상기 소켓의 링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상기 가압링의 돌출부를 상기 소켓의 내부로 관통하도록 조립하는 가압링 조립단계; 및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에 결합 조립되어진 상기 가압링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박힘으로써, 상기 소켓 내부의 용융주물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압축력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는 압축력 강화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는 상기 가압링의 좌 우 측면을 조립할 때 좌 우 측면의 나사 조임 장치를 통하여 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박히게 하는 나사 조임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는 상기 가압링의 좌 우 측면을 조립할 때 상기 가압링의 둘레에 철선홈을 형성하여 철선을 삽입하고 상기 철선을 감아서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박히게 하는 철선을 이용한 방식인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켓을 이용한 주물 용융의 케이블 정착장치에 추가하여, 상기 소켓의 둘레에 가압링을 조립하여 압축력을 추가 인가함으로써, 전단저항과 마찰저항을 극대화하여 케이블의 전단 파괴 및 미끄러짐 파괴를 방지하는 보다 향상된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장치는 돌출부가 형성된 가압링을 이용하여 압축력을 추가로 인가함으로써, 압축력으로 인한 마찰저항과 소켓에 의한 전단저항의 효과로 인해 기존 방식보다 소켓의 길이를 짧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소켓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소켓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상링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링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결합부에 나사 조임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압링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결합부에 철선 조임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압링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능 개선 방법이 적용된 케이블 정착장치의 소켓 단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켓 내부의 용융주물에 의한 케이블 단부의 정착에 추가하여 상기 소켓 외주면 둘레에서 가압링을 조립하여 압축력을 가중시키는 진보된 케이블 정착장치를 보이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20)은 일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이 비어있는 원통 모양의 형태로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소켓(20)은 케이블주입구(21), 링결합부(22) 및 소켓홈(2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케이블주입구(21)는 상기 소켓(2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케이블(10)의 단부를 통과하여 삽입하도록 하는 관통 구멍으로써, 상기 케이블(10)이 상기 소켓(20)에 삽입 고정되어 정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결합부(22)는 상기 소켓(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압축력 보강을 위한 가압링(50)을 결합 체결할 수 있게 파여진 둘레홈이다.
상기 소켓홈(23)은 상기 링결합부(22)에서 가압링(50)의 돌출부(53)가 상기 소켓(20)에 압착되어 압축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상링의 평면도로서. 상기 소켓(20)에 케이블(10)을 삽입하고 용융주물(30)을 넣고 굳히는 과정에서 상기 소켓(20)의 링결합부(22)에 따라 조립되어 상기 소켓(20)의 소켓홈(23)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무형상링(40)은 케이블(10)이 정착되도록 용융주물(30)이 주입될 때,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용융주물(30)이 상기 소켓홈(23)의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되, 용융주물(30)이 굳어진 후에는 제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링(50)의 평면도로서, 상기 가압링(50)의 내측에 상기 소켓(20)의 소켓홈(23)을 관통하여 상기 소켓(20)의 내부 용융주물(30)에 압축력을 가하게 하는 돌출부(53)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가압링(50)은 용융주물(30)이 굳어진 상기 소켓(20)의 링결합부(22)에 조립되어 상기 소켓홈(23)에 상기 돌출부(53)가 박힘으로써, 케이블 정착장치의 상기 용융주물(30)을 압박하여 압축력을 보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결합부에 나사 조임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압링의 조립 전 후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결합부에 철선을 이용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압링의 조립 전 후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와 도 6에 따라 상기 가압링(50)의 조립에 있어서 상기 소켓(20)의 용융주물(30)에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53)가 박힐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나사 조임 방식과 철선을 이용한 방식의 가압링(5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사 조임 방식은 상기 가압링(50)의 좌 우 측면을 조립할 때 좌 우 측면의 나사 조임 장치(51)를 통하여 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50)이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53)가 박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 조임 장치(51)는 턴버클 형태의 나사 조임 장치(5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선을 이용한 방식은 상기 가압링(50)의 둘레 중앙에 철선홈(52)을 형성하여 철선을 삽입하고 상기 철선을 감아서 조이는 방식으로 압축력을 도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능 개선 방법이 적용된 케이블 정착장치의 소켓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정착장치의 압축력 강화를 통한 성능 개선을 위하여 소켓준비단계(S100), 케이블 정착단계(S200), 가압링 조립단계(S300), 압축력 강화단계(S400)를 포함하여 진행되어진다.
상기 소켓준비단계(S100)는 본 발명의 상기 소켓(20)의 내부에 케이블주입구(21)를 통하여 상기 케이블(10)을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케이블(10)을 케이블스트랜드(11) 형태의 소선 가닥으로 펼치어 놓고, 상기 소켓홈(23)을 메우기 위하여 상기 소켓(20)의 링결합부(22)에 무형상링(40)을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케이블 정착단계(S200)는 상기 소켓준비단계(S100)에서의 소켓(20) 내부에 용융주물(30)을 주입하여 굳히는 단계이다.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S300)는 상기 케이블 정착단계(S200)에서 용융주물(30)이 굳어진 후에 상기 무형상링(40)을 제거하고 본 발명의 가압링(50)을 상기 소켓(20)의 링결합부(22)에 결합하고,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가압링(50)의 돌출부(53)를 상기 소켓(20)의 내부로 관통하도록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S300)는 상기 가압링(50)의 좌 우 측면을 조립할 때 좌 우 측면의 나사 조임 장치(51)를 통하여 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50)이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53)가 박히게 하는 나사 조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S300)는 상기 가압링(50)의 좌 우 측면을 조립할 때 상기 가압링(50)의 둘레에 철선홈(52)을 형성하여 철선을 삽입하고 상기 철선을 감아서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50)이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53)가 박히게 하는 철선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여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을 할 수 있다.
상기 압축력 강화단계(S400)는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S300)에 결합 조립되어진 가압링(50)을 나사 조임 방식 또는 철선을 이용한 방식으로 상기 가압링(50)의 돌출부(53)가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박힘으로써, 상기 소켓(20) 내부의 용융주물(30)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압축력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소켓(20) 내부의 케이블(10)은 용융주물(30)에 의하여 정착되는 동시에 가압링(50)의 압축력으로 더욱 성능이 강화된 케이블 정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블
11 : 케이블스트랜드
20 : 소켓
21 : 케이블주입구
22 : 링결합부
23 : 소켓홈
30 : 용융주물
40 : 무형상링
50 : 가압링
51 : 나사 조임 장치
52 : 철선홈
53 : 돌출부

Claims (8)

  1. 소켓 내부에 케이블을 정착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 내부에는 전단저항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단부가 풀어 헤쳐진 후 주물을 넣어서 상기 케이블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소켓의 외부에는 가압링이 상기 소켓을 압착하여 압축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상기 가압링을 결합 체결할 수 있게 파여진 둘레홈인 링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링결합부에는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에 압착되어 압축력을 더욱 보강하도록 형성된 관통구인 소켓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링은 상기 소켓홈을 관통하여 내부 용융주물에 압축력을 가하게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상기 소켓의 상기 링결합부와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좌 우 측면의 나사 조임 장치를 통하여 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박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상기 소켓의 상기 링결합부와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둘레에 철선홈을 형성하여 철선을 삽입하고 상기 철선을 감아서 조이는 방식으로 상기 가압링이 상기 소켓홈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박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6.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에 있어서
    소켓(20)의 내부에 케이블(10)을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케이블(10)은 케이블스트랜드(11) 형태로 가닥을 펼치어 놓고, 소켓홈(23)을 메우기 위하여 상기 소켓(20)의 링결합부(22)에 무형상링(40)을 조립하는 소켓준비단계(S100);
    상기 소켓준비단계(S100)에서 소켓(20) 내부에 용융주물(30)을 주입하여 굳히는 케이블 정착단계(S200);
    상기 케이블 정착단계(S200)에서 용융주물(30)이 굳어진 후에 상기 무형상링(40)을 제거하고 가압링(50)을 상기 소켓(20)의 링결합부(22)에 결합하고,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가압링(50)의 돌출부(53)를 상기 소켓(20)의 내부로 관통하도록 조립하는 가압링 조립단계(S300);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S300)에 결합 조립되어진 상기 가압링(50)의 상기 돌출부(53)가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박힘으로써, 상기 소켓(20) 내부의 용융주물(30)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압축력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는 압축력 강화단계(S400);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S300)는 상기 가압링(50)의 좌 우 측면을 조립할 때 좌 우 측면의 나사 조임 장치(51)를 통하여 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50)이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53)가 박히게 하는 나사 조임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 조립단계(S300)는 상기 가압링(50)의 좌 우 측면을 조립할 때 상기 가압링(50)의 둘레에 철선홈(52)을 형성하여 철선을 삽입하고 상기 철선을 감아서 조임으로써 상기 가압링(50)이 상기 소켓홈(23)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53)가 박히게 하는 철선을 이용한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KR1020140055124A 2014-05-08 2014-05-08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59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124A KR101598406B1 (ko) 2014-05-08 2014-05-08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124A KR101598406B1 (ko) 2014-05-08 2014-05-08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92A true KR20150129192A (ko) 2015-11-19
KR101598406B1 KR101598406B1 (ko) 2016-03-02

Family

ID=5484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124A KR101598406B1 (ko) 2014-05-08 2014-05-08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848Y1 (ko) * 1989-12-31 1995-05-16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
KR20050025109A (ko) * 2004-11-22 2005-03-11 라병렬 수도꼭지용 호스 연결 클램프구조
KR100727359B1 (ko) * 2006-06-13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20110104342A (ko) * 2010-03-16 2011-09-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KR101202418B1 (ko) 2012-08-23 2012-11-21 김성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30134146A (ko) 2012-05-30 2013-12-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케이블 정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848Y1 (ko) * 1989-12-31 1995-05-16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
KR20050025109A (ko) * 2004-11-22 2005-03-11 라병렬 수도꼭지용 호스 연결 클램프구조
KR100727359B1 (ko) * 2006-06-13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20110104342A (ko) * 2010-03-16 2011-09-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KR20130134146A (ko) 2012-05-30 2013-12-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케이블 정착 장치
KR101202418B1 (ko) 2012-08-23 2012-11-21 김성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406B1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80866A (en) Connector
JP6083702B2 (ja) Pc鋼材の接続方法及び橋梁の拡幅方法
JP2006219912A (ja) Pc鋼より線とソケットとの固着構造及びpc鋼より線とウエッジとのソケットへの圧入固着装置
CN212376149U (zh) 用于后浇带内连接无粘结预应力钢绞线的连接器
KR101902007B1 (ko)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KR101598406B1 (ko)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598586B1 (ko)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JP6721940B2 (ja)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JP2007255149A (ja) 緊張材定着具及び緊張材定着方法
KR20130103981A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의 체결방법
CN109098356A (zh) 用于sfcb的套筒、连接方法和锚固方法
JP3272320B2 (ja) 緊張定着構造及び緊張定着方法
KR101149581B1 (ko) 케이블 인장력 도입 장치
KR101768697B1 (ko) 그립소켓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178574B1 (ko) 압출압착식 그립과 앵커통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N209145156U (zh) 用于sfcb的套筒
KR20120052059A (ko) 와이어 및 정착 고정구를 이용한 부재의 설치 시공 방법 및 와이어 정착 고정구
KR101598404B1 (ko)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A2937027C (en) Strand pressure-pipe anchor
KR101811854B1 (ko) 포스트 텐션 정착구 시스템
JP2016098593A (ja) 緊張材の接続具及び定着具
JP2015021616A (ja) 複合ネジ
KR101158417B1 (ko) 인장재 제거가 가능한 인장분산형 복합앵커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57541B1 (ko) 긴장재 곡률손실 저감용 포스트텐션 정착장치
JP4059380B2 (ja) 自穿孔ロックボルトの施工方法及びアンカ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