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342A -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 Google Patents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342A
KR20110104342A KR1020100023435A KR20100023435A KR20110104342A KR 20110104342 A KR20110104342 A KR 20110104342A KR 1020100023435 A KR1020100023435 A KR 1020100023435A KR 20100023435 A KR20100023435 A KR 20100023435A KR 20110104342 A KR20110104342 A KR 2011010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p
cable
fixing
fibers
frp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572B1 (ko
Inventor
박종섭
정우태
박영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57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7The tensile members being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다수의 섬유를 수지로 서로 결속시켜 형성시킨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에 있는 섬유들을 서로 분리시켜 형성된 섬유펼침부; 및 상기 섬유펼침부가 시작되는 선단부에서, 펼쳐진 섬유들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선단부에 펼쳐진 섬유들을 보강하기 위하여 쐐기 또는 핀 형태의 섬유펼침부 보강재;를 포함하여 에프알피 케이블의 정착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FRP CABLE ANCHORING CAPABILITY IMPROVING METHOD AND STRUCTURE}
본 발명은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수의 FRP 섬유(Fiber)를 수지로 서로 결합시켜 예컨대 봉 형태로 형성시킨 섬유보강복합재료(FRP;Fiber Reinforced Polymer)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사용되는 케이블의 재료로는 PS 강연선이 주축을 이루고 있으나,
최근 탄소섬유재나 유리섬유재와 같은 신소재를 재료로 한 FRP 케이블(섬유보강복합재료(FIBER REINFORCED POLYMER) 케이블)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탄소섬유보강복합재료(CFRP)를 이용한 FRP 케이블이 있다.
이러한 FRP 케이블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긴장력 도입이 필요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FRP 케이블을 긴장 후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정의 긴장력(압축 프리스트레스)을 도입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FRP 케이블의 정착에 있어 종래 PS 강연선의 정착 시에 사용되어 온 쐐기형 정착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FRP 케이블은 1방향 인장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는 반면에 국부응력, 전단응력에는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 종래 쐐기형 정착장치를 구성하는 쐐기의 조임력에 의해 FRP 케이블의 단면이 쉽게 손상되고,
이에 긴장력을 증대시키면 증대시킬수록 FRP 케이블의 단면손상은 더욱 증가하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FRP 케이블의 최대 인장강도에 이르기도 전에 FRP 케이블이 파괴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그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FRP 케이블의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정착용 몰드(10)에 원형 봉 형태의 FRP 케이블(20)를 삽입하고 그 사이 공간에 접착용 충전재(30, 미 도시)를 채워 넣어 FRP 케이블(20)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부착형 정착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부착형 정착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부착형 정착장치는 FRP 케이블(20), FRP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정착용 몰드(10), 정착용 몰드 양 단부에 형성된 패킹재(40) 및 정착용 몰드 내부에 형성되는 충전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FRP 케이블의 정착이 FRP 케이블(20)와 정착용 몰드(10) 사이의 부착력, 특히 FRP 케이블(20)와 충전재(30) 사이의 부착력에 의존하게 되므로,
긴장력이 부착력을 초과하게 되면 FRP 케이블이 정착장치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큰 접착력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착용 몰드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 PS 강연선용 쐐기형 정착장치보다 부착형 정착장치는 정착 길이가 약 5배 정도 길게 형성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부착형 정착장치는 결국 FRP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이에 도 1b와 같이, 원통형상의 정착용 몰드(10) 내부공간(S)의 형상을 콘형으로 형성시켜, 상기 콘형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에 충진된 충진재가 FRP 케이블의 정착구로써 기능하도록 하는 예가 소개된 바도 있고,
도 1c와 같이, FRP 케이블 단부에 압착돌기(40)가 형성되도록 하여 FRP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기술도 소개된 바 있었다.
하지만, 종래 FRP 케이블의 제조공종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도 1d와 같이 봉 형상(bar)으로 FRP 케이블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FRP 섬유들을 수지에 함침시켜 이러한 섬유들을 모아지도록 하고, 열을 가하여 수지를 경화시켜 최종 봉 형상으로써 섬유들이 모아진 FRP 케이블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FRP 케이블에 도 1c와 같이 압착돌기(40)를 형성시키는 작업공종이 당초 FRP 케이블 제조공종과 연속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다소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다수의 섬유가 수지와 일체로 경화되어 있는 FRP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도 1e는 FRP 케이블의 정착성능 증진에 대한 것이 아닌 PS 강연선의 정착성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PS 강연선의 일부를 풀어헤쳐 각각의 소선이 스페이서(50)에 의하여 구분되도록 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예컨대, 콘크리트 내부(공시체)에 배치된 단부가 펼쳐진 PS 강연재의 부착성능이 증진되도록 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강재 소선을 꼬아 제작되는 PS 강연선으로써,
본 발명과 같이 횡방향 전단력에 매우 취약한 물성을 가진 FRP 케이블을 위 PS 강연선과 같이 펼쳐지도록 배치하는 경우 각 섬유가 펼쳐지는 부위(선단부)에서는 수지가 제거되어 더 이상 복합재료로 거동하지 못하므로 성능이 매우 취약해지기 때문에 FRP 케이블이 하중에 의하여 파단되기 이전에 상기 선단부 섬유가 먼저 파단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되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f와 같이, FRP 케이블의 각 섬유들이 매우 얇고 가늘기 때문에 종래 PS 강연선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와 같이 각각의 소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 스페이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FRP 케이블에 있어 부착형 정착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FRP 케이블의 정착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되, 이로 인하여 FRP 케이블이 쉽게 파단되지 않도록 보강효과를 가질 수 있으면서도 정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첫째, 다수의 FRP 섬유를 수지를 이용하여 모아 제작된 FRP 케이블용 부착형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FRP 케이블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FPR 케이블이 정착되는 정착부에 있어 상기 섬유들이 풀어 헤쳐지도록 하여 이를 통해 섬유와 정착용 몰드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마찰면적이 증가되도록 하여 FRP 케이블의 부착성능이 증진되도록 하되,
상기 풀어 헤쳐진 FRP 케이블 부위(섬유펼침부의 선단부가 시작부위가 됨)에 있어 횡방향 전단력 등에 의한 하중 작용에 의하여 섬유들이 파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섬유펼침부의 선단부에서, 펼쳐진 섬유들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선단부에 펼쳐진 섬유들을 보강하기 위하여 쐐기 또는 핀 형태의 섬유펼침부 보강재가 펼쳐진 섬유들의 사이 사이에 끼워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에 펼쳐진 섬유들이 보강재에 의하여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횡방향 전단력에 특히 취약한 FRP 케이블의 정착성능을 확보하면서도 하중 작용에 의하여 섬유들이 파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FRP 케이블의 단부 일부, 선단부 및 섬유펼침부 보강재는 FRP 쉬트와 수지를 이용하여 감싸지도록 하여 보강성능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FRP 쉬트에 의하여 감싸진 부위 역시 쐐기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작용하중에 대한 분산효과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정착용 몰드의 경우 예컨대 원통형태로 중공부를 형성시킴에 있어 상기 중공부가 쐐기와 같이 단면직경이 점증적으로 커지도록 하여(일종의 테이퍼링 처리) 섬유들이 펼쳐진 FRP 케이블의 펼침부가 정착용 몰드에 있어 쐐기의 정착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정착용 몰드는 특히 FRP 케이블용으로 사용되는 부착형 정착장치로써 내부에 배치되는 FRP 케이블의 섬유를 풀어 헤쳐 기본적으로 마찰저항능력을 증진시켜 FRP 케이블의 정착성능이 증진되도록 하되,
이와 같이 FRP 케이블 단부의 섬유들이 펼쳐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펼침부와 같이 작용하중에 매우 취약한 형태로 되어 있어도 이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정착성능 및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FRP 케이블의 정착방법 개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FRP 케이블 정착에 사용되는 부착형 정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종래 부착형 정착장치의 다른 예들에 대한 구성도,
도 1d 및 도 1e는 종래 FRP 케이블의 제조공종도 및 PS 강연선의 부착성능 증진을 위한 펼침도이다.
도 1f는 종래 FRP 케이블의 단부를 풀어헤친 상태의 사진,
도 2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착용 몰드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FRP 케이블의 사시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FRP 케이블의 단부 사시도들,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FRP 케이블과 정착용 몰드의 배치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착성능을 종래 PS 강연선을 이용한 쐐기형 정착장치와 부착형 정착장치의 정착성능 비교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을 기준으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FRP 케이블을 정착시키기 위한 부착형 정착장치(100)는 정착용 몰드(110), FRP 케이블(120) 및 섬유펼침부 보강재(13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정착용 몰드(110)는 도 2a와 같이, 예컨대, FRP 케이블(120)가 삽입되도록 중공부(S)가 형성된 일단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몸통부(111), 몸통부 삽입부에 형성된 패킹재(112) 및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충전재(113)로 구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몰트(110) 내부에 FRP 케이블(120)의 정착단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데, 따라서 본 발명에 설치되는 FRP 케이블(120)은 도 2b와 같이 기본적으로 다수의 섬유를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예컨대 봉 형태의 케이블이 이용된다.
이를 위해 먼저, FRP 케이블(120)는 도 2b와 같이 정착단부(A)에 위치한 섬유들이 서로 풀어헤쳐지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FRP 케이블(120)의 정착단부(A)를 풀어헤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첫째는 FRP 케이블(120)의 정착 단부(A)를 구성하는 다수의 섬유에 열을 가하여 정착단부에 형성된 수지를 녹이고, 모아진 섬유들이 서로 펼쳐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FRP 케이블(120)의 정착단부면을 스파이크와 같은 부재를 대고 타격하여 다수의 섬유들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FRP 섬유와 수지의 복합재료인 FRP 케이블은 단부를 펼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FRP 케이블을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섬유와 결합된 수지를 제거하거나 수지 일부를 잘라내어 펼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장, 단점이 있으므로 현장여건, FRP 케이블(120)의 분리상황에 따라 결정하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지를 녹이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에 FRP 케이블(120)의 섬유들(D)이 펼쳐지기 시작하는 부위를 선단부(N)라 하고, 섬유들이 펼쳐진 부위를 섬유펼침부(P)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섬유펼침부(P)에서 펼쳐진 상태의 각 섬유들은 정착용 몰드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113)와의 마찰에 의한 부착작용을 통해 FRP 케이블(120)이 소요의 정착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섬유들은 표면이 충진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서로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종의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섬유들(D)이 펼쳐지기 시작하는 부위를 선단부(N)는 섬유들이 풀어져 오히려 하중 작용에 의한 구조적 안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고, 특히 횡방향 전단력에 취약한 FRP 케이블(120)에 있어 상기 선단부는 보강의 필요성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SPACER) 기능을 가지면서 선단부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 섬유펼침부 보강재(130)이다. 이는 도 2c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섬유펼침부 보강재(130)로써, 예컨대 선단부(N)에서 펼쳐지기 시작한 섬유들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핀 또는 쐐기 형태의 스파이크(일종의 쐐기 못)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선단부(N) 단면에 풀어져 나오는 섬유들 사이에 섬유펼침부 보강재(130)를 설치하여, 각 섬유들이 서로 겹쳐지거나 섬유펼침부(P)에 있어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페이서 기능을 가지면서,
상기 섬유펼침부 보강재(130)에 의하여 섬유들이 펼쳐지기 시작함으로써 하중에 취약한 선단부를 섬유펼침부 보강재에 의하여 보강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섬유펼침부 보강재(130)의 설치개수는 섬유들의 간격 및 개수 등에 의하여 정하면 된다.
이와 같은 섬유펼침부 보강재(130)를 설치한 후에는 도 2d와 같이 FRP 케이블(120)의 단부 일부 및 선단부 일부를 FRP 쉬트(140)를 이용하여 감싸 다시 선단부가 보강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수지를 이용하여 FRP 쉬트(140)의 감싸진 형태가 자연스럽게 원추 형상(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FRP 쉬트(140)의 감싸진 형태가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섬유들이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FRP 쉬트(140)를 선단부에 있어 감싸게 되면 자연스럽게 쐐기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쐐기 형태로 형성된 FRP 쉬트(140)는 후술되는 몰드(110)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일종의 쐐기 역할을 할 수 있어, FRP 케이블의 정착성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FRP 케이블(120)를 선단부에서 섬유펼침부를 거쳐 펼쳐 지도록 배치하고 상기 선단부를 섬유펼침부 보강재(130)로 보강한 이후에는 도 2d와 같이 펼쳐진 단부만을 서로 묶어지도록 밴드와 같은 단부 고정부(150)로 마감하여 펼쳐진 섬유들이 중앙부가 펼쳐진 상태로 하여 몰드(1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펼쳐진 FRP 케이블(120)를 몰드(110)의 단부를 통해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몰드(110)의 내부 중공부(S)는 FRP 케이블의 삽입부에서부터 단부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단면 확장된 쐐기형상의 중공부(S)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도 2e와 같이 FRP 케이블(120)가 인발되려고 할때, 인방저항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FRP 쉬트도 쐐기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선단부에 위치한 FRP 쉬트에 하중이 작용할 때, FRP 쉬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FRP 쉬트를 통해 쐐기 형태의 중공부로 분산 전달 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FRP 케이블(120)가 몰드(110)에 삽입 설치된 이후에는 패킹재(112)를 장착하여 몰드를 단부를 마감하고, 패킹재 설치 이전에 상기 중공부로 몰탈과 같은 충진재(113)를 주입하여 FRP 케이블이 몰드 내부에서 정착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FRP 케이블(120)의 단부 고정부(150)는 충진재(113)에 매립되어 인발 저항시 일종의 고정단 역할을 할 수 있어 더 더욱 인발저항 성능을 증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FRP 케이블의 정착단부를 단순히 풀고 단부에 옥사이드 코팅처리(정착작용을 위하여 풀어진 정착단부를 옥사이드로 쐐기형태로써 인위적으로 형성시킨 것)한 상태에서 정착성능을 인장강도로써 측정하고(bond type),
FRP 케이블을 종래 쐐기형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그 정착성능을 역시 인장강도로써 측정하고(wedge type),
FRP 케이블을 본 발명의 섬유펼침부 보강재가 구비된 펼쳐진 부착형 정착장치(m-bond type)를 이용하여 그 정착성능을 인장강도로써 측정한 비교그래프인데,
단순히 옥사이드 코팅 처리한 상태에서 정착성능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에 의한 정착성능이 개략 3배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종래 PS 강연선의 쐐기형 정착장치에 의한 정착성능보다도 오히려 정착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100: 부착형 정착장치
110: 정착용 몰드
111: 몰드의 몸통부
112: 패킹재
113: 충진재
120: FRP 케이블
130: 섬유펼침부 보강재
140: FRP 쉬트 150: 단부 고정부

Claims (7)

  1. 에프알피 케이블, 에프알피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정착용 몰드, 정착용 몰드 단부에 설치된 패킹재 및 정착용 몰드 내부에 형성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며 다수의 섬유를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에프알피 케이블용 부착형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프알피 케이블을 정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섬유들을 서로 분리시켜 섬유펼침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섬유펼침부가 시작되는 선단부에, 펼쳐진 섬유들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선단부에 펼쳐진 섬유들을 보강하기 위하여 쐐기 또는 핀 형태의 섬유펼침부 보강재를 펼쳐진 섬유들의 사이사이에 끼워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알피 케이블의 선단부와 섬유펼침부 보강재는 에프알피 쉬트와 수지를 이용하여 쐐기형으로 감싸지도록 하여 보강되도록 하되, 상기 에프알피 케이블은 적어도 1개 이상 에프알피 쉬트에 의하여 한꺼번에 감싸지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용 몰드의 중공부는 정착용 몰드 단부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단면 확장된 중공부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알피 케이블의 펼쳐진 단부는 서로 묶어 단부 고정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방법.
  5.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에 섬유들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섬유펼침부; 및
    상기 섬유펼침부가 시작되는 선단부에, 펼쳐진 섬유들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선단부에 펼쳐진 섬유들을 보강하기 위하여 펼쳐진 섬유들의 사이사이에 끼워 설치된 쐐기 또는 핀 형태의 섬유펼침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알피 케이블의 선단부와 섬유펼침부 보강재에는 에프알피 쉬트와 수지를 이용하여 쐐기형으로 감싸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구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알피 케이블의 펼쳐진 단부는 서로 묶어 단부 고정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구조.
KR1020100023435A 2010-03-16 2010-03-16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KR10117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435A KR101179572B1 (ko) 2010-03-16 2010-03-16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435A KR101179572B1 (ko) 2010-03-16 2010-03-16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342A true KR20110104342A (ko) 2011-09-22
KR101179572B1 KR101179572B1 (ko) 2012-09-05

Family

ID=4495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435A KR101179572B1 (ko) 2010-03-16 2010-03-16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5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92A (ko) * 2014-05-08 2015-1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N107119855A (zh) * 2017-05-27 2017-09-01 东南大学 提高复材筋锚固性能的结构及其挤压成型方法
US11268280B2 (en) * 2017-07-31 2022-03-08 Tokyo Rope Manufacturing Co., Ltd. Anchorage of continuous fiber-reinforced polymer stran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1409B2 (ja) 1987-06-16 1997-09-10 神鋼鋼線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端末定着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03569B2 (ja) 2003-11-21 2009-07-29 株式会社ピーエス三菱 Frp緊張材の定着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92A (ko) * 2014-05-08 2015-1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CN107119855A (zh) * 2017-05-27 2017-09-01 东南大学 提高复材筋锚固性能的结构及其挤压成型方法
US11268280B2 (en) * 2017-07-31 2022-03-08 Tokyo Rope Manufacturing Co., Ltd. Anchorage of continuous fiber-reinforced polymer str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572B1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678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の線条体の端末定着構造および方法
US9869056B2 (en) Rope end-fastening method, rope with end fastener, and end fitting for use in rope end-fastening method
KR101179572B1 (ko)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 구조 및 에프알피 케이블의 단부 정착성능 증진방법
US5904438A (en) Method of terminating a fiber rope
TW200411107A (en) A cable repairing and enhancing method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N102002911A (zh) 碳纤维索股内套管锥形粘结型锚具
KR20090041017A (ko) 절개형 슬리브를 이용한 에프알피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그 시공방법
CN111608418B (zh) 一种带嵌入式锚固装置的frp筋及其应用方法
JP6442104B1 (ja) 連続繊維補強より線の定着具
MXPA97004202A (en) A method of terminating a fibre rope
JP2015508136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フラットストリップ帯状体製の引張部材に力を導入するための器具
JP2884465B2 (ja) Frp補強材の端末定着構造
DK1471192T3 (en) Concrete Component connector
JP2009097292A (ja) 定着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方法
KR101139393B1 (ko) 에프알피 케이블용 부착형 정착장치 및 에프알피 케이블용 부착형 정착장치 설치방법
KR101471478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제거식 앵커
JP4756797B2 (ja) アンカー引張材及びアンカーの構築方法
JP3330107B2 (ja) Pc鋼材の定着部構造およびpc鋼材の定着部における緩衝材の注入方法
CN203905504U (zh) 复合线状体的末端固定结构
KR100742532B1 (ko) 원형 강관으로 섬유긴장재를 보호한 정착장치
KR101598404B1 (ko)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Jung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ensile characteristic for CFRP cable without surface treatments
JP4037041B2 (ja) 繊維複合材の端末加工法及び端末定着方法
JPH1082178A (ja) ケーブル端部定着方法及びケーブル端部定着構造
KR101700794B1 (ko) 양방향 저항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