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146A - 케이블 정착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146A
KR20130134146A KR1020120057441A KR20120057441A KR20130134146A KR 20130134146 A KR20130134146 A KR 20130134146A KR 1020120057441 A KR1020120057441 A KR 1020120057441A KR 20120057441 A KR20120057441 A KR 20120057441A KR 20130134146 A KR20130134146 A KR 2013013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acking member
anchor block
cable fix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957B1 (ko
Inventor
성택룡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앵커블록과, 상기 앵커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앵커블록의 개구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블록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로의 물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인장시 압착되도록 마련되는 수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른 작업 공정 없이 프리스트레싱 과정만으로 수밀성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정착 장치{APPARATUS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인장시키는 과정에서 수밀부가 압착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케이블 가닥들을 포함하며, 그 단부는 정착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11)의 정착부(20)와 정착전단부(30)에는 케이블(11)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왁스와 같은 충진물(40)이 주입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종래의 케이블 정착장치(10)는 케이블(11)과 발포성 충진재(50) 사이의 공극을 통해 충진물(40)이 정착전단부(3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압나사(70)를 이용하여 발포성 충진재(50)와 탄성부재(60)를 가압하는 방법이 이용되었었다.
즉, 가압나사(70)를 돌려주어 가압플레이트(71)를 가압함으로써, 탄성부재(60)를 압착하고, 이로 인해 탄성부재(60)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케이블(11)을 가압하여 케이블(11)과 발포성 충진재(50) 사이의 공극을 감소시키며, 케이블(11)과 발포성 충진재(50) 사이의 공극으로 충진물(40)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였었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정착장치(10)는 충진물(40)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해 가압나사(70)를 돌려 잠그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케이블의 인장을 통해 물 유입의 방지가 가능하므로, 가압나사가 필요없으며, 이를 통해,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 소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케이블 정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앵커블록와, 상기 앵커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앵커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로의 물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인장시 압착되도록 마련되는 수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에서 상기 앵커블록에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앵커블록의 개구에 삽입된 후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앵커블록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에서 상기 수밀부는, 상기 케이블고정부의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방수를 위해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의 인장시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패킹부재가압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에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앵커블록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앵커블록의 개구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내측으로 지나가도록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에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제거로 인해 상기 케이블의 직경에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의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상기 패킹부재가압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에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와 상기 케이블고정부 사이 또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와 상기 패킹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균형적인 가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접촉연결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에서 상기 패킹부재는 천연고무, 탄성중합체, 실리콘고무 또는 합성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는 케이블의 인장력을 통해 패킹부재가압부가 패킹부재를 가압하므로, 다른 작업 공정 없이 프리스트레싱 과정만으로 수밀성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로인해, 작업이 간단해지고 작업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는 가압나사가 필요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해져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정착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케이블 정착 장치(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는 케이블(c)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앵커블록(11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는 상기 앵커블록(110)에 연결되며, 상기 앵커블록(11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케이블(c)이 설치되는 본체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는 상기 본체부(120)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c)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블록(110)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c)에 연결되는 케이블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는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20) 내부로의 물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c)의 인장시 압착되도록 마련되는 수밀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앵커블록(110)은 케이블(c)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앵커블록(110)에는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11)를 통해 케이블(c)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블록(110)에 형성된 개구(111)에는 케이블고정부(13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130)는 상기 개구(111)를 통해 삽입된 케이블(c)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c)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앵커블록(110)의 일측은 본체부(12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어 고정된 케이블(c)이 상기 앵커블록(110)에 형성된 개구(111)에 삽입된 후 상기 본체부(120)에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110)의 타측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캡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170)와 상기 앵커블록(110) 사이의 공간에는 케이블(c)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충진재(F)가 채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c)은 여러 소선들이 꼬여진 형태의 연선으로 구성되는데, 물 또는 공기 등과의 접촉으로부터 산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선은 외피에 의해 보호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앵커블록(110)에 형성된 개구(111)에 삽입 후 고정되기 위해서는 케이블(c) 단부의 외피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어야 하며, 외피가 제거된 케이블(c)의 단부는 공기 또는 물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부식의 염려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c)의 외피가 제거된 부분, 즉, 연선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캡부재(170)와 상기 앵커블록(110) 사이의 공간에 충진재(F)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F)는 상기 캡부재(170)에 형성된 플러그(171)를 통해 상기 캡부재(170)와 상기 앵커블록(110) 사이의 공간 내부로 유입되어 외피가 벗겨진 케이블(c)의 단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충진제(F)는 대략 100~200℃ 정도의 액상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71)를 통해 상기 캡부재(170)와 상기 앵커블록(110)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식으면서 고형화되어 공기나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므로, 연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20)는 상기 앵커블록(110)에 연결되며, 상기 앵커블록(11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케이블(c)이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본체부(120) 내부에 상기 케이블(c)이 설치되며, 수밀부(140)에 의해 상기 본체부(1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케이블(c)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밀부(140)는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20) 내부로의 물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c)의 인장시 압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밀부(140)는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의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방수를 위해 상기 케이블(c)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패킹부재(141) 및 상기 패킹부재(141)와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c)의 인장시 상기 패킹부재(141)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패킹부재가압부(14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고정부(130)는 상기 본체부(120)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c)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블록(110)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c)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케이블고정부(130)는 상기 앵커블록(110)에 형성된 개구(111)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c)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c)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앵커블록(110)에 형성된 개구(11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는 패킹부재가압부(142)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킹부재(141)는 수밀성의 향상을 위해 상기 케이블(c)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패킹부재(141)는 상기 케이블(c)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는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므로, 프리스트레싱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c)이 인장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고정부(130)는 상기 앵커블록(110)에 형성된 개구(11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고정부(130)가 힘을 받게 되면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에 힘이 전달되며,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에 연결된 상기 패킹부재(141)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천연고무, 탄성중합체, 실리콘고무 또는 합성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는 상기 패킹부재(141)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의 가압력에 의해 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는 수축하게 되고, 상하방향으로는 팽창하게 된다
이로 인해, 팽창된 상기 패킹부재(141)는 상기 본체부(120)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c)과 상기 본체부(12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메워서 막게되며, 상기 케이블(c)과 상기 본체부(120) 사이에 형성된 간극 또는 상기 케이블(c)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한 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즉, 종래 케이블 정착 장치(100)에서 사용되던 가압나사 없이 케이블(c)의 인장을 통해 본체부(12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다른 작업 공정 없이 프리스트레싱 과정만으로 수밀성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로인해, 작업이 간단해지고 작업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재(141)는 천연고무, 탄성중합체, 실리콘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의 가압력을 통해 상기 케이블(c)과 상기 본체부(120) 사이에 형성된 간극 또는 상기 케이블(c)과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메울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포함됨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141)는 합성고무 중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네오프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고정부(130)는 케이블(c)을 고정할 수 있는 쐐기(웨지(wedge))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가이드부(150)는 상기 본체부(120) 내부에서 상기 앵커블록(1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앵커블록(110)의 개구(111)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c)이 내측으로 지나가도록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앵커블록(110)과 상기 본체부(1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나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는 상기 앵커블록(110)과 상기 본체부(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 내측으로 지나가는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20)와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 사이에는 몰타르(M)가 충전되어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절곡부(146)는 상기 케이블(c)의 외피제거로 인해 상기 케이블(c)의 직경에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의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어 고정되기 위해,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케이블(c) 일측의 외피가 제거된 후 상기 케이블(c) 내부의 연선이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c) 일측의 외피가 제거되면, 외피가 제거된 부분과 외피가 제거되지 않은 부분에서 단면적의 직경이 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는 상기 케이블(c)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피 제거로 인해 상기 케이블(c)의 직경이 달라진 경우에도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가 상기 케이블(c)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c)의 직경이 달라지는 부분에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에는 일측으로 구부러진 절곡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촉연결부(160)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균형적인 가압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와 상기 케이블고정부(130) 사이 또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와 상기 패킹부재(141)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팽킹부재가압부와 상기 케이블고정부(130)가 맞닿는 부분의 경우, 접촉면적이 다를 수 있으며, 접촉면적이 다른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고정부(130)로부터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로 힘이 전달되어도,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에 균형적인 힘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연결부(160)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와 상기 케이블고정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고정부(130)로부터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로 전달되는 힘이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의 전체에 균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 즉,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가 상기 패킹부재(141)를 균형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와 상기 패킹부재(141) 사이에도 상기 접촉연결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앵커블록(110)에 형성된 개구(111)를 통해 케이블(c)이 삽입되어 상기 앵커블록(110)의 개구(111)에 장착된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블(c)은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앵커블록(110)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c)은 상기 앵커블록(110)과 연결된 본체부(120) 내부에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c)은 상기 본체부(120) 내부에서 상기 본체부(120)의 일측과 상기 앵커블록(110)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가이드부(15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c)이 상기 케이블가이드부(150)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 패킹부재(141)가 상기 케이블(c)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킹부재(141)에는 패킹부재가압부(142)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는 상기 케이블고정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블(c)의 인장시, 상기 케이블(c)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고정부(130)가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를 압박하게 되고, 또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가 상기 패킹부재(141)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패킹부재(141)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상기 본체부(120)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c)과 상기 본체부(12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메워서 막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는 상기 케이블(c)의 외피제거로 인해 상기 케이블(c)의 직경에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의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에 절곡부(1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와 상기 케이블고정부(130) 사이 또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142)와 상기 패킹부재(141)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균형적인 가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접촉연결부(160)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 장치(100)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설명순서에 구속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케이블 정착 장치 110 : 앵커블록
111 : 개구 120 : 본체부
130 : 케이블고정부 140 : 수밀부
141 : 패킹부재 142 : 패킹부재가압부
146 : 절곡부 150 : 케이블가이드부
160 : 접촉연결부 170 : 캡부재
171 : 플러그

Claims (9)

  1.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앵커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케이블이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 내부로의 물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의 인장시 압착되도록 마련되는 수밀부;
    를 포함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에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앵커블록의 개구에 삽입된 후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앵커블록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는,
    상기 케이블고정부의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방수를 위해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의 인장시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패킹부재가압부;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부에서 상기 앵커블록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앵커블록의 개구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내측으로 지나가도록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는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외피제거로 인해 상기 케이블의 직경에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의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상기 패킹부재가압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가압부와 상기 케이블고정부 사이 또는 상기 패킹부재가압부와 상기 패킹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균형적인 가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접촉연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9. 제3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천연고무, 탄성중합체, 실리콘고무 또는 합성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 장치.
KR1020120057441A 2012-05-30 2012-05-30 케이블 정착 장치 KR101856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41A KR101856957B1 (ko) 2012-05-30 2012-05-30 케이블 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41A KR101856957B1 (ko) 2012-05-30 2012-05-30 케이블 정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46A true KR20130134146A (ko) 2013-12-10
KR101856957B1 KR101856957B1 (ko) 2018-05-14

Family

ID=4998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41A KR101856957B1 (ko) 2012-05-30 2012-05-30 케이블 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92A (ko) 2014-05-08 2015-1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13497A (ko) 2014-07-26 2016-0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29049A (ko) 2016-02-23 2016-03-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립소켓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2258426B1 (ko) * 2020-10-06 2021-05-28 유형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763B1 (ko) 2020-07-09 2022-05-20 안승환 케이블용 정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8410B1 (fr) 1999-09-15 2001-11-23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ancrage pour fixer un cable de structure a un element de construction
KR101074293B1 (ko) * 2011-02-28 2011-10-18 주식회사 건화 압착형 방식구 및 이를 이용한 정착장치, 정착장치 설치방법, 앵커체 및 앵커체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92A (ko) 2014-05-08 2015-11-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50135559A (ko) 2014-05-22 2015-12-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13497A (ko) 2014-07-26 2016-0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KR20160029049A (ko) 2016-02-23 2016-03-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립소켓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의 성능 개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2258426B1 (ko) * 2020-10-06 2021-05-28 유형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957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146A (ko) 케이블 정착 장치
KR20020063507A (ko) 스테이의 일단부를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장치
JP2016524663A (ja) ケーブル係留装置のための個別密閉構成
PT1131512E (pt) Dispositivo de ancoragem para fixar um cabo de estrutura a um elemento de construcao
KR101557023B1 (ko)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BR112012023677B1 (pt) Disposição de vedação para um elemento de construção e elemento de construção
CN102535342A (zh) 悬索桥吊索索端密封方法
US87699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he end of an anchored cable
JP2013524041A (ja) 撚線案内装置の改善
KR101074293B1 (ko) 압착형 방식구 및 이를 이용한 정착장치, 정착장치 설치방법, 앵커체 및 앵커체 시공방법
EP2834418A1 (en) Seal for cable anchor device of a cable construction
KR101210518B1 (ko)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KR20110106642A (ko) 제거식 유턴 앵커용 내하체
JP3875877B2 (ja) 緊張材の定着具
KR200485042Y1 (ko) 강연선 부식방지용 정착구
KR101491499B1 (ko) 케이블용 정착장치
CN201750118U (zh) 集束电缆分线器
CN205262647U (zh) 一种采空区及边坡稳定性宏观应力监测装置
KR102111677B1 (ko) 설치가 용이한 사장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434370Y1 (ko) 정착구가 설치된 영구앵커
KR101311781B1 (ko) 케이블 정착장치
CN115976862A (zh) 尤其用于静态构建的预紧绳
KR20040006552A (ko) 지압식 압축형 앵커
CN106120557B (zh) 桥托架以及用于保护线股免于在桥托架中腐蚀的方法
JP3706352B2 (ja) プレストレス導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