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023B1 -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023B1
KR101557023B1 KR1020150054542A KR20150054542A KR101557023B1 KR 101557023 B1 KR101557023 B1 KR 101557023B1 KR 1020150054542 A KR1020150054542 A KR 1020150054542A KR 20150054542 A KR20150054542 A KR 20150054542A KR 101557023 B1 KR101557023 B1 KR 10155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mpound
connector
pack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수영
Original Assignee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배전반이나 통신함 등의 장치 케이싱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기밀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케이싱에 케이블을 기밀 고정함에 있어,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하나의 케이블 실링장치에 고정 및 그 기밀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케이블 실링장치 설치에 따른 전기기기 케이승의 간소화 및 소형화의 적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비교적 직경이 굵은 전력선의 적용은 물론, 무수한 가닥으로 구성되는 통신 케이블 까지도 그 적용이 가능하여 그 사용 범위의 확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Cable sealing device of airtight structure that using compound and packing}
본 발명은 각종 산업시설 및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콘트롤판넬, 배전반, 통신함 등의 장치 케이싱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기밀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장치 케이싱에 기밀 고정함에 있어, 다수 가닥의 케이블 까지도 틈새없이 기밀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등 하나의 케이블 실링장치로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일시에 기밀 고정 가능하게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실링장치는 전기기기 등 각종 장치의 케이싱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케이싱 일측에 고정함과 함께 케이싱 내외측을 기밀 차단시켜 방수, 방염, 방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실링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개시된 바 있는데, 특허등록 제10-806705호, 실용신안등록 제20-376324호 등에서와 같이 바디 일측의 내부 단차홈으로 패킹을 삽입하고 서포트 부싱을 나사 결합하여 가압하므로 내부를 지나는 케이블을 수축 고정하고, 상기 서포트 부싱 외측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부싱를 지지부싱 외측의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캡 너트를 바디 일측의 외부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케이블 실링장치는 케이싱에 바디, 서포트 부싱, 지지지부싱, 캡너트가 상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장치의 케이싱에서 인출된 케이블의 방향을 굴곡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 실링장치가 장치의 케이싱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굴곡 변형이 곤란함은 물론 케이블의 응력이 크게 작용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 케이블 실링장치는 바디, 서포트 부싱, 지지지부싱, 캡너트가 일렬 및 내외측으로 중첩되게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하면서 케이블 실링장치의 전체 직경 사이즈를 크게 형성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1접속수단과 제2접속수단을
플랙시블 튜브로 연결하여 상기 제1,2접속수단 및 플랙시블 튜브 내부에서 케이블을 기밀 고정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굴곡 변형 안내 및 기밀 고정이 우수함은 물론 상기 제1,2접속수단의 각 구성 부품을 일렬 조립 구조에 의해 직경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다수를 인접 설치하거나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 작업성을 우수하게 하고자 특허출원등록 제10-1310982호와 같은 케이블 실링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실링장치는 각각의 케이블 실링장치에 대하여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한 가닥의 케이블을 기밀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케이블 실링장치가 적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케이블 실링장치 설치를 위해 불필요하게 전기기기 케이싱이 대형화 되어야 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실링장치는 대부분 비교적 굵은 전력선 등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인바, 그 사용범위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806705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376324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109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장치 케이싱에 케이블을 기밀 고정함에 있어,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하나의 케이블 실링장치에 고정 및 그 기밀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케이블 실링장치 설치에 따른 전기기기 케이승의 간소화 및 소형화의 적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비교적 직경이 굵은 전력선의 적용은 물론, 무수한 가닥으로 구성되는 통신 케이블 까지도 그 적용이 가능하여 그 사용 범위의 확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각종 장치의 케이싱 내부에서 기기에 접속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기밀 고정하는 케이블 실링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콤파운드가 충전되어 한가닥 이상의 케이블의 기밀 고정력을 부여하는 선단측 케이싱 장착부와,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후단측 케이블 가압부로 된 제1 콘넥터; 케이블 가압부 내측에 내입되는 관통형 고무재로 된 패킹과, 패킹 후단에서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관통형 가압편으로 된 가압수단; 선단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케이블 가압부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패킹을 가압하며, 후단에는 절개홈이 형성 및 그 절개홈에는 볼트 체결되어 케이블을 구속하는 케이블 구속편이 형성된 케이블 가압부싱; 선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제1 콘넥터의 케이블 가압부에 결합되고,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조인트부싱; 및 제1 조인트부싱의 선단으로부터 내입되어 후단으로 돌출되고, 선단 둘레에는 제1 걸림턱에 걸림 지지되는 제1 지지턱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 튜브연결관을 포함하여 된 제1 접속구; 및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선단측 관 연결부와,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후단측 튜브 연결부로 된 제2 콘넥터;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제2 콘넥터의 관 연결부에 결합되고,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된 제2 조인트부싱; 및 제2 조인트부싱의 선단으로부터 내입되어 후단으로 돌출되고, 선단 둘레에는 제2 걸림턱에 걸림 지지되는 제1 지지턱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2 튜브연결관을 포함하여 된 제2 접속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1 콘넥터에 케이블을 내입한 상태에서 제1 콘넥터의 케이싱 장착부 내부에 콤파운드 반죽을 충전시켜 제1 콘넥터 내부를 마감 및 케이블의 기밀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는, 케이블이 통과 및 장치의 케이싱에 결합 고정되는 제1 콘넥터의 내부를 콤파운드로 마감하여 케이블들간의 사이 틈새를 완전히 마감함으로써,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수용하더라도 그 케이블들 간의 틈새에 대하여 완전한 기밀유지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장치 케이싱에 대하여 다수의 케이블 실링장치의 필요없이 소량의 케이블 그랜도 설치로도 다수의 케이블의 기밀고정이 가능하며, 특히, 장치 케이싱에 설치되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수량 감소에 따른 장치 케이싱의 소형화 적용과 설시 시공에 따른 경제적인 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굵은 전력선에서부터 얇은 통신선까지 다양한 케이블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여 그 케이블 실링장치 사용범위의 확대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제1 접속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제2 접속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콤파운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콤파운드 충전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분할링
도 11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기밀 고정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제1 접속구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제2 접속구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1)는, 제1 접속구(100)와, 제2 접속구(200)로 구성되며, 하기하는 설명중 선단은 도면중 상부를 칭하고, 후단은 도면중 하부를 칭한다.
여기서, 제1 접속구(10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케이블 실링장치(1)를 장치 케이싱 연결 및 장치 케이싱 내부에서 기기에 접속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다수 가닥의 케이블(10)을 케이싱에 기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콘넥터(110)와, 가압수단(120)과, 케이블 가압부싱(130)과, 제1 조인트부싱(140)과, 제1 튜브연결관(1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콘넥터(110)는, 케이블(10)이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케이블(10)을 장치 케이싱에 기밀 고정하기 위한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중심으로부터 선단측은 외주면에 수나사부(1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콤파운드(160)가 충전되어 케이블(10)을 기밀하는 케이싱 장착부(111)를 이룬다.
한편, 케이싱 장착부(111)의 내주면에는 다수열의 콤파운드 유입홈(113)이 더 형성된 것으로, 콤파운드 유입홈(113)은 콤파운드(160)가 충전되어 케이블(10)을 기밀 고정하는 과정에서 콤파운드(160)가 콤파운드 유입홈(113)에 유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콘넥터(110)의 후단측은, 외주면에 수나사부(116)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7)가 형성된 케이블 가압부(115)를 이룬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120)은, 제1 콘넥터(110)의 케이블 가압부(115) 내측에서 케이블(10)에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가압수단(120)은 케이블 가압부(115) 내측에 삽입되어 케이블(10)을 감싸는 고무재 패킹(12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수단(120)은, 패킹(121)의 후단에 밀착되어 패킹(121)에 고르게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한 관통형 가압편(1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압부싱(130)은, 제1 콘넥터(110)에 결합되어 패킹(121)에 가압력을 가하는 한편, 케이블을 구속하기 위한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케이블 가압부싱(130)의 선단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제1 콘넥터(110)의 케이블 가압부(115)의 암나사부(117)에 나사 체결되는 한편, 체결시 가압편(122)을 통해 패킹(121)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그 패킹(121)의 가압에 의해 케이블(10)을 고정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후단에는 케이블 가압부싱(130)의 내측이 노출되도록 절개 형성한 절개홈(132)이 형성된 것으로, 그 절개홈(132)에는 케이블 구속편(133)이 체결되어 케이블(10)이 사방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때, 케이블 구속편(133)은, 중앙이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판체 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단이 절개홈(132) 양측에 볼트(N) 체결되어 오목부에 의해 케이블(10)을 감싸주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조인트부싱(140)은, 제1 콘넥터(110)의 케이블 가압부(115)에 결합되어 케이블 가압부싱(130)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제1 조인트부싱(140)의 선단에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141)가 형성되어, 케이블 가압부싱(130)을 감싸면서 제1 콘넥터(110)의 케이블 가압부(115)에 형성된 수나사부(116)에 체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조인트부싱(140)의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튜브연결관(150)은, 제1 조인트부싱(140)과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선단 외둘레에는 제1 지지턱(151)이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5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튜브연결관(150)은, 후단이 제1 조인트부싱(140)의 선단으로부터 제1 조인트부싱(1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편, 그 후단이 제1 조인트부싱(140)의 후단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이때 제1 지지턱(151)을 통해 제1 조인트부싱(140)의 제1 걸림턱(142)에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되게 구성된다.
한편, 제1 접속구(100)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케이블 분할링(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분할링(170)은, 중앙에 관통홀(171)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17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케이블 분할홈(172)(172')이 형성된 것으로, 제1 콘넥터(110)에 콤파운드(160)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케이싱 장착부(111) 선단에 위치되어 각각의 케이블 분할홈(172)(172')을 통해 케이블(10)을 분할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접속구(100)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18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82)가 형성된 캡너트(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캡너트(180)는, 제1 콘넥터(110)의 케이싱 장착부(111)에 형성된 수나사부(112)에 체결되어 케이싱 장착부(111)의 선단에서 콤파운드(160)에 가압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제1 접속구(100)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가압수단(120)의 패킹(121) 내주면에 콤파운드 충전홈(125)을 더 형성하되, 그 콤파운드 충전홈(125)에는 반죽 형태의 콤파운드(160)를 충전 및 연질의 보호막(126)으로 마감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콤파운드(160)를 구성함에 있어 유리섬유(16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결집력의 향상과 방염, 방폭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구(20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케이블 실링장치(1)를 케이블(10)이 연장 수용되는 별도의 연장관(도면중 미도시함)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콘넥터(210)와, 제2 조인트부싱(240)과, 제2 튜브연결관(2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콘넥터(210)는, 케이블(10)이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선단측은 외주면에 수나사부(212)가 형성된 관 연결부(211)를 이룬다.
그리고, 제2 콘넥트(210)의 후단측은, 외주면에 수나사부(216)가 형성된 튜브 연결부(215)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2 조인트부싱(240)은, 제2 콘넥터(210)의 튜브 연결부(215)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선단측은 내주면에 암나사부(241)가 형성되어 제2 콘넥터(210)의 튜브 연결부(215)에 형성된 수나사부(216)에 체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조인트부싱(240)의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턱(2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튜브연결관(250)은, 제2 조인트부싱(240)과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선단 둘레에는 제2 지지턱(251)이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52)가 형성된다.
이때, 제2 튜브연결관(250)은, 후단이 제2 조인트부싱(240)의 선단으로부터 제2 조인트부싱(2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편, 그 후단이 제2 조인트부싱(240)의 후단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이때 제2 지지턱(251)을 통해 제2 조인트부싱(240)의 후단 제2 걸림턱(242)에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 접속구(100)(200)을 연결하는 한편, 내부에 케이블(10)이 수용되는 플렉시블 튜브(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플렉시블 튜브(300)는, 양단에 각각 수나사부(311)를 갖는 제1,2 체결구(310)(310')가 형성되어 상기 제1,2 접속구(100)(200)의 제1,2 튜브연결관(150)(250)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1)는,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전기기기나 통신기기 등이 설치되는 장치 케이싱(20)에 장착되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다수 가닥의 케이블(10)을 기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1 접속구(100)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 제1 접속구(100)는, 제1 콘넥터(110)를 통해 장치 케이싱(20)에 고정되는 한편, 케이블(10)의 기밀 고정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앞서 제1 접속구(100)와, 플렉시블 튜브(300)와, 제2 접속구(200)의 중앙에는 케이블(10)이 관통되어 지나간 상태를 이루게 하면 된다.
이에, 제1 콘넥터(110)의 케이싱 장착부(111)를 통해 장치 케이싱(20)의 외측(도면중에는 하부)으로부터 장착공(도면중 미도시함)에 삽입 및 내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제1 콘넥터(110)는, 케이싱 장착부(111)에 대하여 수나사부(112)에는 통상의 록크너트(N)을 통해 장치 케이싱(20)의 내,외측에서 가압 체결 하면 된다.
또한, 케이싱 장착부(111)의 내측에는 콤파운드(160)가 충진되어 케이블(10)의 기밀 고정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충전시에는 반죽 형태의 콤파운드(160)를 충전시켜 응고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케이싱 장착부(111)의 내측에 콤파운드(160)가 충전되게 되면, 그 콤파운드(160)는 케이싱 장착부(111)를 마감하는 한편, 다수 가닥의 케이블(10) 틈새로 진입하여 그 틈새를 메워 기밀을 유지 및 응고시 케이블(10)을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충전되는 콤파운드(160)는, 케이싱 장착부(111)의 선단에서 돔 형태로 덮을 정도로 충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콤파운드(160)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그 콤파운드(160)는 케이싱 장착부(111)의 내주면에서 다수열 형성된 콤파운드 유입홈(113)으로 유입 충전되는 것인바, 콤파운드(160)가 결집되어 응고되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긴밀한 기밀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싱 장착부(111)에는 캡너트(180)를 체결 가능하되, 캡너트(180)는 암나사부(182)를 통해 케이싱 장착부(111)의 수나사부(112)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그 상단에 형성된 지지돌부(181)가 제1 콘넥터(110)의 케이싱 장착부(111)의 단부를 가압하여 줌으로 충전된 콤파운드(160)에 압력을 가해 보다 긴밀한 충전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케이블(10)의 기밀 고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분할링(17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분할링(170)은 케이싱 장착부(111)에 위치되되, 그 중앙의 관통홀(171)을 통해 케이블(10)을 진입시키고, 그 관통홀(171)의 내주면에 형성된 케이블 분할홈(172)(172')에 각각의 케이블(10)을 끼워 고정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다수 가닥의 케이블(10)이 분할된 상태에서 콤파운드(160)를 충전하되, 충전시에는 분할링(170)의 관통홀(171)을 통해 충전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각각의 케이블(10) 분할에 따른 각각의 케이블(10) 간의 틈새가 벌어져 콤파운드(160)가 원활히 진입 및 틈새를 완벽히 메울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할링(170)을 이용한 콤파운드(160) 충전시에는 전술한바와 같이 캡너트(18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그 캡너트(180)의 지지돌부(181)가 분할링(170)을 가압 및 콤파운드(160)에 가압력을 부여하여 더욱 긴밀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가압수단(120)의 패킹(121) 및 가압편(122)을 순서대로 제1 콘넥터(110)의 케이블 가압부(115)에 내입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가압부싱(130)을 결합하면 된다.
즉, 케이블 가압부싱(130)은, 선단의 수나사부(131)를 통해 케이블 가압부(115)의 암나사부(117)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그 선단이 가압수단(120)의 가압편(122)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패킹(121)에는 가압력이 부여되어 내주면 팽창 및수용된 케이블(10)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 가압부싱(130)의 후단 절개홈(132)에는, 케이블 구속편(133)을 볼트(N) 체결하여 다수 가닥의 케이블(10)을 정리된 상태로 구속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킹(121)을 이용하여 케이블(10)을 가압 고정하는 과정에서 도 6을 참조하여 패킹(121) 내주면의 콤파운드 충전홈(125)에 콤파운드(160)가 충전된 패킹(121)을 적용시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패킹(121)에 팽창력이 부여되는 과정에서 그 팽창력에 의해 보호막(126)이 파괴되는 것이며, 이때, 콤파운드 충전홈(125)에 충전된 콤파운드(160)가 배출되어 각각의 케이블(10) 틈새를 메워 추가로 케이블(10)의 기밀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다시 도 9로 돌아가 케이블(10)의 기밀 고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조인트부싱(140)을 제1 콘넥터(110)의 케이블 가압부(115)에 결합하되, 이는, 제1 조인트부싱(140)의 암나사부(141)와 케이블 가압부(115)의 수나사부(116)를 통해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케이블 가압부싱(130)을 마감 및 후단에 제1 튜브연결관(150)을 연결하게 된다.
이후, 제1 튜브연결관(150)에는, 플렉시블 튜브(300)를 연결하되, 플렉시블 튜브(300)는 그 일단에 형성된 제1 체결구(310)을 통해 제1 튜브연결관(150)에 결합하되, 이는 제1 체결구(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11)을 제1 튜브연결관(150)의 암나사부(152)에 나사체결하면 된다.
한편, 플렉시블 튜브(300)의 타단에는 제2 접속구(200)가 연결되게 되는 것으로, 제2 접속구(200)는, 제2 콘넥터(210)의 튜브 연결부(215)에 제2 조인트부싱(240)이 수나사부(216)와 암나사부(241)를 통해 체결되며, 이때, 제2 조인트부싱(240)의 후단에는 제2 튜브연결관(250)이 결합되게 된다.
이에, 플렉시블 튜브(300)의 타단을 제2 접속구(200)의 제2 튜브연결관(250)에 연결하되, 플렉시블 튜브(300) 타단의 제1 체결구(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11)을 제2 튜브연결관(250)의 암나사부(252)에 나사체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 케이블 실링장치(1)을 이용한 다수 가닥의 케이블의 기밀 고정이 완료되게 되며, 제2 콘넥터(210)의 관 연결부(211)에는 통상적으로 케이블(10)이 수용되는 연결관(50)이 연결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는, 다수 가닥의 케이블을 하나의 케이블 실링장치에 기밀 고정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케이블 실링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른 장치 케이싱의 소형화 및 경제적인 비용절감 및 케이블 실링장치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되며, 특히, 전력장치는 물론 무수한 가닥의 선들로 이루어진 통신장치 등 그 사용범위의 확대를 가져오게 된다.
10 : 케이블 20 : 장치 케이싱
100 : 제1 접속구 110 : 제1 콘넥터
111 : 케이싱 장착부 112 : 수나사부
113 : 콤파운드 유입홈 115 : 케이블 가압부
116 : 수나사부 117 : 암나사부
120 : 가압수단 121 : 패킹
122 : 가압편 125 : 콤파운드 충전홈
126 : 보호막 130 : 가압부싱
131 : 수나사부 132 : 절개홈
133 : 케이블 구속편 140 : 제1 조인트부싱
141 : 암나사부 142 : 제1 걸림턱
150 : 제1 튜브연결관 151 : 제1 지지턱
160 : 콤파운드 170 : 분할링
171 : 관통홀 172,172' : 케이블 분할홈
180 : 록크너트 181 : 지지돌부
182 : 암나사부
200 : 제2 접속구 210 : 제2 콘넥터
211 : 관 연결부 212 : 수나사부
215 : 튜브 연결부 216 : 수나사부
240 : 제2 조인트부싱 241 : 암나사부
242 : 제2 걸림턱 250 : 제2 튜브연결관
251 : 제2 지지턱 300 : 플렉시블 튜브
310,310' : 제1,2 체결구 311 : 수나사부

Claims (7)

  1. 각종 장치의 케이싱 내부에서 기기에 접속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기밀 고정하는 케이블 실링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수나사부(1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콤파운드(160)가 충전되어 한가닥 이상의 케이블(10)의 기밀 고정력을 부여하는 선단측 케이싱 장착부(111)와, 외주면에 수나사부(116)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7)가 형성된 후단측 케이블 가압부(115)로 된 제1 콘넥터(110); 케이블 가압부(115) 내측에 내입되는 관통형 고무재로 된 패킹(121)과, 패킹(121) 후단에서 가압력을 부여하는 중앙 관통형 가압편(122)으로 된 가압수단(120); 선단 외주면에 수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케이블 가압부(115)의 암나사부(117)에 나사 체결되면서 패킹(121)을 가압하며, 후단에는 절개홈(132)이 형성 및 그 절개홈(132)에는 볼트(N) 체결되어 케이블(10)을 구속하는 케이블 구속편(133)이 형성된 케이블 가압부싱(130); 선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1)가 형성되어 제1 콘넥터(110)의 케이블 가압부(115)에 결합되고,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걸림턱(142)이 형성된 제1 조인트부싱(140); 및 제1 조인트부싱(140)의 선단으로부터 내입되어 후단으로 돌출되고, 선단 둘레에는 제1 걸림턱(142)에 걸림 지지되는 제1 지지턱(151)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52)가 형성된 제1 튜브연결관(150)을 포함하여 된 제1 접속구(100); 및
    외주면에 수나사부(212)가 형성된 선단측 관 연결부(211)와, 외주면에 수나사부(216)가 형성된 후단측 튜브 연결부(215)로 된 제2 콘넥터(210);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241)가 형성되어 제2 콘넥터(210)의 관 연결부(211)에 결합되고,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턱(242)이 형성된 제2 조인트부싱(240); 및 제2 조인트부싱(240)의 선단으로부터 내입되어 후단으로 돌출되고, 선단 둘레에는 제2 걸림턱(242)에 걸림 지지되는 제2 지지턱(251)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52)가 형성된 제2 튜브연결관(250)을 포함하여 된 제2 접속구(200); 및
    제1 콘넥터(110)에 케이블(10)을 내입한 상태에서 제1 콘넥터(110)의 케이싱 장착부(111) 내부에 콤파운드(160) 반죽을 충전시켜 제1 콘넥터(110) 내부를 마감 및 케이블(10)의 기밀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콘넥터(110)의 케이싱 장착부(111) 내주면에 다수열의 콤파운드 유입홈(113)이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콘넥터(110)의 케이싱 장착부(111) 단부에 분리 형성되는 케이블 분할링(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케이블 분할링(170)은 중앙에 관통홀(171)이 형성되고, 관통홀(17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케이블 분할홈(172)(172')이 형성되어, 콤파운드(160)를 제1 콘넥터(110)에 충전시 케이블(10)의 분할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18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82)가 형성되어 제1 콘넥터(110)을 장치 케이싱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캡너트(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캡너트(180)는, 케이싱 내부에서 제1 콘넥터(110)의 수나사부(112)에 체결되어 콤파운드(160)가 응고되는 과정에서 압력에 의한 가압 충전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패킹(121)의 내주면에 콤파운드 충전홈(12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그 콤파운드 충전홈(125)에 반죽 형태의 콤파운드(160)를 충전 및 연질의 보호막(126)으로 마감되게 구성하되,
    케이블 제1 조인트부싱(14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패킹(121)에 가압력이 부여시 콤파운드 충전홈(125)에 충전된 콤파운드(160)가 팽창하여 보호막(126)을 파괴 및 케이블(10) 사이에 유입되어 케이블(10)의 기밀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콤파운드(160)에는,
    유리섬유(161)가 더 함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제1,2 접속구(100)(200)을 연결하며 자유절곡력을 가지는 플렉시블 튜브(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플렉시블 튜브(300)는, 양단에 각각 수나사부(311)을 갖는 제1,2 체결구(310)(310')이 형성되어, 제1,2 접속구(100)(200)의 제1,2 튜브연결관(150)(250)에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KR1020150054542A 2015-04-17 2015-04-17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KR10155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542A KR101557023B1 (ko) 2015-04-17 2015-04-17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542A KR101557023B1 (ko) 2015-04-17 2015-04-17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023B1 true KR101557023B1 (ko) 2015-10-02

Family

ID=5434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542A KR101557023B1 (ko) 2015-04-17 2015-04-17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0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8742A (zh) * 2017-10-31 2018-02-02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配电箱的电缆孔洞封堵装置
KR101953094B1 (ko) * 2018-06-18 2019-03-05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전선배관 이음용 커플링
KR102242815B1 (ko) * 2021-02-08 2021-04-2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케이블 패킹장치
CN113193521A (zh) * 2021-05-27 2021-07-30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砼内预埋镀锌电线管接头密封施工方法
KR102297743B1 (ko) * 2020-05-06 2021-09-03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꼬임 방지구조를 갖는 방폭배관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324Y1 (ko) 2004-11-15 2005-03-11 삼화기전 주식회사 복합 케이블 커넥터
KR101310982B1 (ko) 2012-04-02 2013-09-25 삼화기전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KR101318238B1 (ko) 2013-08-05 2013-10-15 승진산업 (주) 전선보호용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324Y1 (ko) 2004-11-15 2005-03-11 삼화기전 주식회사 복합 케이블 커넥터
KR101310982B1 (ko) 2012-04-02 2013-09-25 삼화기전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KR101318238B1 (ko) 2013-08-05 2013-10-15 승진산업 (주) 전선보호용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8742A (zh) * 2017-10-31 2018-02-02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配电箱的电缆孔洞封堵装置
KR101953094B1 (ko) * 2018-06-18 2019-03-05 신화산업전기 주식회사 전선배관 이음용 커플링
KR102297743B1 (ko) * 2020-05-06 2021-09-03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꼬임 방지구조를 갖는 방폭배관 연결구
KR102242815B1 (ko) * 2021-02-08 2021-04-2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케이블 패킹장치
CN113193521A (zh) * 2021-05-27 2021-07-30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砼内预埋镀锌电线管接头密封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023B1 (ko)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US10790613B2 (en) Waterproof apparatus for pre-terminated cables
US8033408B2 (en) Enclosure with a lead-through and a grommet
CN101248381B (zh) 用于电信盒的密封和保持线缆附属装置
KR101041392B1 (ko)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US4079193A (en) Central office cable splice enclosure
CN103414146B (zh) 一种海底电缆密封装置
US7751676B2 (en) Cable entry seal
PL196633B1 (pl) Zespół szczelnego wlotu kabla światłowodowego
EP2486635B1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GB2425365A (en) Seal for cable gland assembly and tool therefor
KR101856957B1 (ko) 케이블 정착 장치
JP2017050912A (ja) 中継ボックス
CN1328834C (zh) 包括一单一标准密封接头的缆线密封组件
US5502282A (en) Sleeve head for a cable sleeve having a seal insert composed of elastic material
US20180294633A1 (en) Sealable cable port assemblies for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CN212875359U (zh) 穿线防水结构及智能驾驶车辆
KR101428771B1 (ko) 케이블 그랜드
WO2016167109A1 (ja) 電子制御ユニットの防水構造
RU155936U1 (ru)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кабельный ввод
KR20000076339A (ko) 케이블 접속 폐쇄장치용 외부 접지 절연 커넥터
CN216387502U (zh) 一种光缆接头盒及其光缆进线的连接结构
CN110661227A (zh) 线缆引入装置及防爆设备
KR102584226B1 (ko) 격벽의 오리피스의 밀봉된 피드쓰루를 위한 글랜드
US20210010595A1 (en) Cushion for irregular cable sha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