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771B1 - 케이블 그랜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그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771B1
KR101428771B1 KR1020130034537A KR20130034537A KR101428771B1 KR 101428771 B1 KR101428771 B1 KR 101428771B1 KR 1020130034537 A KR1020130034537 A KR 1020130034537A KR 20130034537 A KR20130034537 A KR 20130034537A KR 101428771 B1 KR101428771 B1 KR 10142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rear end
ho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준
최유식
윤상철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알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01R11/15Hook in the form of a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by an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그랜드가 개시되며, 상기 케이블 그랜드는 종방향으로 제1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 종방향으로 제2 관통구가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몸체의 선단과 체결되는 캡부; 케이블을 감싸는 제1 인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몸체튜브; 및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제2 인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캡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상기 캡부가 체결될 때, 상기 캡튜브의 후단은 상기 몸체튜브의 선단과 압착된다.

Description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
본원은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는 단자함 등의 케이블 결선 작업 시, 단자함에 인입되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단자함과 케이블 간의 방수(water tight)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말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케이블 그랜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그랜드는, 중공 구조이며 양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일단부는 단자함(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고무슬리브(840)가 배치되는 몸체(830), 몸체(830)를 단자함에 고정시키는 락킹 너트(810), 몸체(830)가 관통하도록 단자함에 형성된 홀의 내주와 몸체(830)의 외주 사이를 실링하는 고무패킹(820), 몸체(830)의 타단부와 나사체결되면서 고무슬리브(840)를 압박하는 너트캡(8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그랜드는 너트캡(850)이 몸체(830)의 타단부와 나사체결되면서 고무슬리브(840)를 압박하면 고무슬리브(840)의 내경이 축소되어 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방수 기능이 수행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케이블 그랜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수 기능이 길이가 짧은 고무슬리브(84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고무슬리브(840)가 케이블 그랜드 구조 내부의 일부분에 한하여 케이블의 외주면과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수 기능이 수행되기 어려웠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케이블 그랜드를 보강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는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 그랜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는, 종방향으로 제1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 종방향으로 제2 관통구가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몸체의 선단과 체결되는 캡부; 케이블을 감싸는 제1 인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몸체튜브; 및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제2 인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캡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상기 캡부가 체결될 때, 상기 캡튜브의 후단은 상기 몸체튜브의 선단과 압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몸체튜브가 몸체의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캡튜브가 캡부의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케이블 그랜드 전체에 대하여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어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는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 그랜드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몸체와 캡부가 체결됨으로써 캡튜브의 후단과 몸체튜브의 선단이 압착될 수 있어 캡튜브의 후단과 몸체튜브의 선단 사이에 효과적인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어 방수 효과가 극대화되는 케이블 그랜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그랜드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가 단자함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선단, 후방, 후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한 단부 또는 면이 선단,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한 단부 또는 면이 후단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이하 '본 케이블 그랜드'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가 단자함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케이블 그랜드는 몸체(1)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에는 종방향(선후 방향)으로 제1 관통구가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케이블 그랜드는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몸체튜브(5)를 포함한다.
몸체튜브(5)의 재질은 연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러버(rubber) 재질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튜브(5)는 케이블(93)을 감싸는 제1 인입구(55)를 포함한다. 케이블(93)은 제1 인입구(55)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케이블(93)은 전력 케이블, 광 케이블 등일 수 있다.
몸체튜브(5)는 도 3 및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블(93)의 몸체(1) 외부에 위치하는 일정 부분까지 감쌀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튜브(5)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몸체 압착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 압착부(51)의 선단 상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5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튜브(5)의 후단은 수축튜브(53)로 구비될 수 있다.
수축튜브(53)는 케이블(93)을 압박 밀착하여 감쌀 수 있다. 몸체튜브(5)의 후단이 수축튜브(53)로 구비됨으로써, 몸체튜브(5)의 후단의 내주면과 케이블(93)의 외주면 사이가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또한, 본 케이블 그랜드는 캡부(3)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캡부(3)에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된다. 또한, 캡부(3)는 후단이 몸체(1)의 선단과 체결된다.
뒤에서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캡부(3)는 예시적으로 몸체(1)의 선단과 나사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케이블 그랜드는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캡튜브(7)를 포함한다.
캡튜브(7)의 재질은 예시적으로 러버(rubber) 재질일 수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튜브(7)는 케이블(93)을 감싸는 제2 인입구(75)를 포함한다. 케이블(93)은 제2 인입구(75)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케이블(93)은 전력 케이블, 광 케이블 등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튜브(7)의 후단에는 몸체 압착부(51)의 선단과 맞물리도록 둘레를 따라 캡 압착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 압착부(71)의 후단 상에는 전술한 돌기(511)가 끼움 체결되는 홈(711)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 체결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돌기(511)가 홈(711)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끼움 체결은 돌기(511)의 외주가 홈(711)의 내주와 마찰 접촉되도록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돌기(511)와 홈(711)이 끼움 체결됨으로써 후술할 몸체 압착부(51)와 캡 압착부(71)의 압착 시에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마찰 접촉을 통한 끼움 체결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돌기(511)와 홈(711)은 연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연성 재질이라 함은, 돌기(511)와 홈(711)의 끼움 체결 시에 돌기(511)와 홈(711)이 용이하게 맞물려 체결될 수 있도록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을 말한다. 예시적으로, 돌기(511)는 그 외주가 홈(711)의 내주와 마찰 접촉될 수 있도록 공차를 가져 홈(711)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돌기(511)와 홈(711)이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면, 끼움 체결 시에 돌기(511) 및 홈(711)이 탄성 변형하여 서로 맞물림으로써 끼움체결이 보다 기밀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성 재질은 러버(rubber)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튜브(7)는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캡튜브 몸체(7a)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튜브 몸체(7a)는 케이블(93)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다. 또한, 캡튜브 몸체(7a)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블(93)의 캡부(3) 외부에 위치하는 일정 부분까지 감쌀 수 있다.
또한, 캡튜브(7)는 캡튜브 몸체(7a)의 후단과 연결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외경 확장부(7b)를 포함할 수 있다.
외경 확장부(7b)의 외경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술할 눌림블록(33)의 내경 이상으로 점차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경 확장부(7b)의 전측 부분(전방 쪽에 위치한 부분)의 내경은 캡튜브 몸체(7a)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고, 후측 부분(후방 쪽에 위치한 부분)의 내경은 캡튜브 몸체(7a)의 내경보다 소정 이상 클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술한 캡 압착부(71)는 외경 확장부(7b)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튜브(7)의 선단은 수축튜브(73)로 구비될 수 있다.
수축튜브(73)는 케이블(93)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다. 캡튜브(7)의 선단이 수축튜브(73)로 구비됨으로써, 캡튜브(7)의 후단의 내주면과 케이블(93)의 외주면 사이가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와 캡부(3)가 체결될 때, 캡튜브(7)의 후단은 몸체튜브(5)의 선단과 압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착이라 함은 캡튜브(7)의 후단과 몸체튜브(5)의 선단이 접촉된 상태 이상으로 서로에 대해 가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압착되는 캡튜브(7)의 후단은 전술한 캡 압착부(71)이고, 압착되는 몸체튜브(5)의 선단은 전술한 몸체 압착부(51)일 수 있다. 이러한 압착은 몸체(1)와 캡부(3)가 체결될 때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2 관통구의 내주는 캡튜브 몸체(7b)의 외주에 접촉되고, 도 3의 (c)를 참조하면, 캡부(3)는 그 후단과 몸체(1)의 선단 사이의 체결이 진행될수록 후방으로 이동되며 외경 확장부(7b)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는 선단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수나사산(11)을 포함하고, 캡부(3)는 몸체(1)와 나사체결되도록 후단에 내주를 따라 형성된 암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부(3)의 내부에는 캡튜브 몸체(7a)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경 확장부(7b)를 가압하는 눌림블록(33)이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캡 압착부(71)와 몸체 압착부(51)는 몸체(1)와 캡부(3)의 나사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서로 압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나사체결이 진행된다는 것은, 캡부(3)가 그 암나사산이 몸체(1)의 수나사산(11)과 나가 결합으로 맞물리면서 나사체결이 온전히 이루어지도록 점차 후방(몸체(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3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 압착부(51)와 캡 압착부(71)를 서로에 대하여 맞물리게 한 후, 도 3의 (b) 및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사체결을 진행시키면, 캡부(3)는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눌림블록(33)은 외경 확장부(7b) 및 서로 맞물려있는 몸체 압착부(51)와 캡 압착부(71)를 가압하며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외경 확장부(7b)의 외경이 전술한 바와 같이, 눌림블록(33)의 내경보다 소정 이상으로 점차 커지는 형상인 바, 나사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눌림블록(33)은 외경 확장부(7b)의 외주의 가압을 통해 캡 압착부(71)를 몸체 압착부(51) 쪽으로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눌림블록(33)의 가압에 의해 캡 압착부(71)와 몸체 압착부(51) 사이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캡 튜브(7)와 몸체튜브(51) 사이에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나사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눌림블록(33)은 외경 확장부(7b)의 외주에 더욱 밀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관통구의 내주와 캡튜브(7) 사이의 실링 또한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눌림블록(33)은 필요에 따라 그 두께를 변화시킨 눌림블록(33)으로 교체함으로써, 캡 튜브(7)와 몸체튜브(51) 사이의 압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두꺼운 눌림블록(33)을 사용하게 되면, 동일한 나사체결량에 대한 압착 정도가 늘어날 수 있다. 반대로, 보다 얇은 두께의 눌림블록(33)을 사용하게 되면, 동일한 나사체결량에 대한 압착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눌림블록(33)은 캡부(3)의 내주에 눌림블록(33)의 외주 형상이 맞물리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눌림블록(33)을 캡부(3)의 내부에 다양한 공지의 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한 고정 또는 완전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캡부(3)에 있어서, 암나사산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 너트부(31)에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눌림블록(33)은 캡 너트부(31)와 분리 형태(조립하는 방식)로 포함될 수 있다.
몸체(1)는 대상체의 플레이트(91)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체는 예시적으로 전장장비, 자동화 시스템 장비, 단자함 등일 수 있고, 플레이트(91)는 이러한 대상체의 한쪽 면을 형성하는 판재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는 플레이트(91)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턱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턱부(13)와 플레이트(91)간의 체결을 통해 본 케이블 그랜드는 플레이트(91)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은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핀(8)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핀은 예를 들면 나사 등일 수 있다.
또한, 몸체(1)는 지지턱부(13)와 플레이트(91)의 일면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는 플레이트(91)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패킹(15)은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91)에 형성된 홀의 내주와 몸체(1)의 외주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패킹(15)은 예시적으로 러버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러버 재질인 패킹(15)에 의해 플레이트(91)의 일면과 몸체(1)의 지지턱부(13)간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어 플레이트(91)에 대한 본 케이블 그랜드의 기밀성뿐만 아니라 고정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패킹(15)이 지지턱부(13)와 플레이트(91)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핀(8)이 지지턱(13) 및 패킹(15)을 관통하여 플레이트(91)에 삽입됨으로써 본 케이블 그랜드와 플레이트(91)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몸체 11: 수나사산
13: 지지턱부 15: 패킹
3: 캡부 33: 눌림블록
5: 몸체튜브 51: 몸체 압착부
53: 수축튜브 55: 제1 인입구
7: 캡튜브 71: 캡 압착부
711: 홈 73: 수축튜브
75: 제2 인입구 77: 외경 확장부
8: 체결핀 91: 플레이트
93: 케이블 511: 돌기
31: 캡 너트부

Claims (8)

  1. 케이블 그랜드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제1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
    종방향으로 제2 관통구가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몸체의 선단과 체결되는 캡부;
    케이블을 감싸는 제1 인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몸체튜브; 및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제2 인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캡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와 상기 캡부가 체결될 때, 상기 캡튜브의 후단은 상기 몸체튜브의 선단과 압착되는 것인 케이블 그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튜브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몸체 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튜브의 후단에는 상기 몸체 압착부의 선단과 맞물리도록 둘레를 따라 캡 압착부가 형성되는 것인 케이블 그랜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압착부의 선단 상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캡 압착부의 후단 상에는 상기 돌기가 끼움 체결되는 홈이 형성된 것인 케이블 그랜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튜브는,
    상기 제2 관통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캡튜브 몸체; 및
    상기 캡튜브 몸체의 후단과 연결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외경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압착부는 상기 외경 확장부의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구의 내주는 상기 캡튜브 몸체의 외주에 접촉되고,
    상기 캡부는 그 후단과 상기 몸체의 선단 사이의 체결이 진행될수록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외경 확장부를 가압하는 것인 케이블 그랜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부에는 상기 캡튜브 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경 확장부를 가압하는 눌림블록이 탑재되는 것인 케이블 그랜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선단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수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몸체와 나사체결되도록 후단에 내주를 따라 형성된 암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캡 압착부와 상기 몸체 압착부는, 상기 몸체와 상기 캡부의 나사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서로 압착되는 것인 케이블 그랜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대상체의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경우,
    상기 몸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턱부 및 상기 지지턱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인 케이블 그랜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튜브는 후단과 상기 캡튜브의 선단은 각각 수축튜브로 구비되는 것인 케이블 그랜드.
KR1020130034537A 2013-03-29 2013-03-29 케이블 그랜드 KR10142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537A KR101428771B1 (ko) 2013-03-29 2013-03-29 케이블 그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537A KR101428771B1 (ko) 2013-03-29 2013-03-29 케이블 그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771B1 true KR101428771B1 (ko) 2014-08-11

Family

ID=5175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537A KR101428771B1 (ko) 2013-03-29 2013-03-29 케이블 그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7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08B1 (ko) * 2016-08-12 2017-01-20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내장형 정션박스 및 이를 갖는 방폭등
KR20190097283A (ko) * 2017-01-04 2019-08-20 씨엠피 프로덕츠 리미티드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JP2020188536A (ja) * 2019-05-10 2020-11-19 株式会社デンソー 防滴ボックスの防水構造
US10923897B2 (en) 2017-03-20 2021-02-16 Pentair Flow Services Ag Cable sealing gla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24Y1 (ko) 2003-10-17 2004-01-24 변희선 케이블 그랜드
US20110226084A1 (en) 2010-03-19 2011-09-22 Avc Industrial Corp. Cable gland and gasket ring assembly
WO2011135425A1 (en) 2010-04-26 2011-11-03 Nicholas Franz Edward Lackinger Water resistant electrical cable gl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24Y1 (ko) 2003-10-17 2004-01-24 변희선 케이블 그랜드
US20110226084A1 (en) 2010-03-19 2011-09-22 Avc Industrial Corp. Cable gland and gasket ring assembly
WO2011135425A1 (en) 2010-04-26 2011-11-03 Nicholas Franz Edward Lackinger Water resistant electrical cable gland
KR20130101981A (ko) * 2010-04-26 2013-09-16 씨씨지 오스트렐레이시아 피티와이 엘티디 내수성 전기 케이블 글랜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08B1 (ko) * 2016-08-12 2017-01-20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내장형 정션박스 및 이를 갖는 방폭등
KR20190097283A (ko) * 2017-01-04 2019-08-20 씨엠피 프로덕츠 리미티드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KR102606711B1 (ko) 2017-01-04 2023-11-27 씨엠피 프로덕츠 리미티드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US10923897B2 (en) 2017-03-20 2021-02-16 Pentair Flow Services Ag Cable sealing gland
JP2020188536A (ja) * 2019-05-10 2020-11-19 株式会社デンソー 防滴ボックスの防水構造
JP7247737B2 (ja) 2019-05-10 2023-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防滴ボックスの防水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771B1 (ko) 케이블 그랜드
US20100035457A1 (en) Thread Lock for Cable Connectors
KR101399070B1 (ko) 수중케이블커넥터
US8609990B2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KR20080041664A (ko)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KR101728442B1 (ko) 케이블 그랜드
CN109841996B (zh) 屏蔽的圆形插拔连接器
KR101448077B1 (ko)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JP2004039637A (ja) 導線の連接装置
KR102277839B1 (ko) 고전압 커넥터
WO2015068674A1 (ja) コネクタの止水構造
JP5369980B2 (ja) コネクタ
KR20140023016A (ko) 패킹 압착구조를 갖는 전선 그랜드
KR101704575B1 (ko)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CA2436552C (en) Sealing device
KR102584226B1 (ko) 격벽의 오리피스의 밀봉된 피드쓰루를 위한 글랜드
US20140024238A1 (en) Contacting System for Produc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Cable and a Sensor
JPH11336961A (ja) シールコネクタ
JP631799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6433723B2 (ja) 中継コネクタ用防水カバー
EP1526620A3 (de) Kabelverschraubung mit variablem Schirmkontaktelement
JP2012069375A (ja) 防水コネクタ
KR102410363B1 (ko)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CN210040584U (zh) 电缆组件及其电缆接头
JP6184211B2 (ja) ケーブル導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