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664A -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664A
KR20080041664A KR1020087004275A KR20087004275A KR20080041664A KR 20080041664 A KR20080041664 A KR 20080041664A KR 1020087004275 A KR1020087004275 A KR 1020087004275A KR 20087004275 A KR20087004275 A KR 20087004275A KR 20080041664 A KR20080041664 A KR 2008004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cable
connection assembly
fastene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392B1 (ko
Inventor
윌리엄 알. 스태지
조지 알베
제임스 스틸
Original Assignee
유틸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틸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틸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4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0Connections between or with tubul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Abstract

장치(106, 206, 또는 306)에 케이블(102, 104, 204, 302, 또는 304)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 200, 또는 300)가 개시된다.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장치를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된 칼라(108, 110, 210, 308, 또는 310)를 포함하고, 이 칼라는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과 잠금 계합으로 칼라를 회전함으로써 케이블과 칼라를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144)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7004275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밀봉 계합, 칼라, 파스너.

Description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본 발명의 서술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제1케이블을 제1케이블 데드 엔드 실과 같은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종,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연결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1케이블(11)을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2케이블(13)에 연결하기 위한 이미 개발된 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는 제1케이블(11)의 제1도체(12)와 제2케이블(13)의 제2도체(14)를 연결하기 위해 클림프되는 클림프 커넥터(1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도체(12 및 14)는 제1 및 제2케이블(11 및 13)의 절연 도관(18 및 20)을 각각 동축으로 관통한다. 절연 도관(18 및 20)은 각각 연결 칼라(22 및 24)를 미끄러져 관통한다. 연결 칼라(22 및 24)는 나사가공된(threaded) 부분(26 및 28)을 포함한다. 나사가공된 부분(26 및 28)은 다양한 벽 두께 및 나사가공된 부분(30 및 32)을 가지도록 기계가공된, 속이 빈 실린더형 부재인 슬리브(34)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나사가공된 부분(30 및 32)과 인터페이싱하도록 조절된다.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는 또한 한 쌍의 실 어셈블리(36 및 38)를 포함한다. 각각의 실 어셈블리(36 및 38)는 한 쌍의 고리형 와셔(40) 및 압축 실(4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와셔(40)가 서로를 향하여 프레싱될 때, 와셔(40) 사이에 배치된 압축 실(42)은 슬리브(34)와 밀봉 계합하도록 바깥으로, 그리고 절연 도관(18 및 20)의 바깥 표면과 밀봉 계합하도록 안쪽으로 확장된다. 한 쌍의 와셔(40)를 서로를 향해 가압하기 위해, 각각의 연결 칼라(22 및 24)는 숄더(44)를 포함하고, 슬리브(34)의 각 끝부는 숄더(46)를 포함한다. 연결 칼라(22 및 24)가 슬리브(34)상에 나사가공된 때, 마주한 숄더(44 및 46)는 와셔(40)를 서로를 향해 가압하고, 슬리브(34)와 절연 도관(18)과 밀봉 관계로 압축 실(42)을 가압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는 당업자들에게 주지된 바와 같이, 절연층으로 둘러싸거나/피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는 효과적이지만,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는 연결될 각각의 케이블에 대하여 주문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절연 도관(18 및 20)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적절하게 밀봉하기 위한 실 어셈블리(36 및 38)에 대하여,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의 일부분이 실 어셈블리(36 및 38)가 절연 도관(18 및 20)와 슬리브(34)에 대하여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 위해 절연 도관(18 및 20)의 정확한 직경을 알고 있어야 한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의 주문 설계는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적합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가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또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 리(10)는 부분적으로 다수의 파트로 인한, 슬리브(34)가 칼라(22 및 24) 위로 미끄러짐 이동할 수 없다는 점, 칼라(22 및 24)가 슬리브(34) 내에 나사가공되어야 한다는 점, 및 적절하게 밀봉하기 위해 그들에 대한 압축 실(42)에 적절한 크기의 압축력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으로 인해 어셈블리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광범위한 도체 및/또는 절연체 직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제조비용이 싸고, 신뢰성 있고, 어셈블리가 쉬우며, 밀봉이 잘되는 개선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가 개시된다.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장치와 밀봉 계합되도록 조절된 칼라,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과 잠금 계합으로 칼라를 회전함으로써 칼라를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를 갖춘 칼라를 포함한다.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가 개시된다.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칼라 파스너를 갖춘 칼라를 포함하고, 이 칼라 파스너는 케이블에 대하여 칼라 파스너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에 연결하도록 조절된다. 또한,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칼라와 밀봉 계합하고, 그로 인해 케이블의 일 끝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절되어 있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가 개시된다.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전류 전송용 제1도체와 전류 전송용 제2도체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1도체는 제1도관 파스너를 가진 제1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고, 제2도체는 제2도관 파스너를 가진 제2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된다.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외부 표면, 제1도체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제1칼라를 통해 축방향으로 패싱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 제1도관 파스너에 대하여 제1칼라 파스너의 회전에 의해 제1도관 파스너와 연결되도록 조절된 제1칼라 파스너, 외부 표면에 배치된 실을 갖춘 제1칼라를 포함한다.
또한,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외부 표면, 제2도체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제2칼라를 통해 축방향으로 패싱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 제2도관 파스너에 대하여 제2칼라 파스너의 회전에 의해 제2도관 패스트와 연결되도록 조절된 제2칼라 파스너, 외부 표면에 배치된 실을 갖춘 제2칼라를 포함한다. 또한, 본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는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슬리브를 포함하고, 통로는 제1 및 제2도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조절되어 있고, 슬리브는 제1칼라의 외부 표면에 패치된 실과 제2칼라의 외부표면에 배치된 실을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가 개시된다. 본 방법은 칼라의 파스너가 케이블과 잠금 계합하고 장치와 칼라를 밀봉 계합하도록 칼라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형태 및 다양한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이전에 개발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부분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의 부분적인 단면의 분해 입면도(elevational view)이고,
도 3은 어셈블리 이전의 도 2의 케이블과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부분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부분적인 단면의 조립된 입면도이고,
도 5는 케이블의 끝부를 단말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대안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단면의 조립된 입면도이고,
도 6은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의 대안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단면의 분해 입면도이고,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되는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의 입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1케이블(102)과 제1케이블(102)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연결 어셈 블리(100)는 슬리브(106), 제1칼라(108), 제2칼라(110), 및 케이블 커넥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케이블(102)과 제2케이블(104)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께 동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케이블(102 및 104)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각각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도체(114 및 115), 및 도체(114 및 115)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도관(116 및 117)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체(114 및 115)는 헬리컬 형으로 연선된 멀티-스트랜드 와이어이지만, 도체(114 및 115)는 전류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및 설계일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며, 몇몇 적합한 예로서, 알루미늄 또는 구리 기반의 솔리드 코어 또는 멀티 스트랜드 와이어일 수 있다.
절연 도관(116 및 117)은 절연 도관(116 및 117)을 동축으로 관통하는 통로(118)를 가지기 위한 튜브 형상일 수 있고, 통로(118)는 도체(114 및 115)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이다. 절연 도관(116 및 117)은 각각 절연 도관(116 및 117)의 나머지 정상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감소된 직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감소된 직경부에 배치된 도관 파스너는 일 세트의 수나사산(122, external threads) 형태이다. 숄더(124)는 절연 도관(116 및 117)의 직경이 절연 도관(116 및 117)의 정상 직경에서 감소된 직경부(120)로 전환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절연 도관(116 및 117)은 주지된 또는 개발된 임의의 적합한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몇몇 적합한 예로서, 고분자 폴리에틸렌(HMWPE) 및 가교 폴리에틸렌(XLPE)일 수 있다.
슬리브(106)는 내부 캐비티(128)를 형성하는 내측면(126) 및 슬리브(106)의 벽 두께만큼 내측면(126)으로부터 떨어진 외측면(130)을 갖춘, 길쭉한 속이 빈, 튜브형 장치일 수 있다. 슬리브(106)의 끝부(132 및 134)는 개방된다. 슬리브(106)는 슬리브(106)의 개방 끝부(132 및 134)를 통해 슬리브(106)의 내부 캐비티(128)로 제1 및 제2도체(114 및 115)의 프리 끝부를 수용하도록 조절된다. 슬리브(106)는 이음매가 없는(seamless) 파이프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한 동작 실시예에서, 대략 50psi 이상과 같은 높은 압력, 또는 70psi, 90psi, 100psi 이상과 같은, 더 높은 압력에서도 견딜 수 있는 이음매가 없는 알루미늄 파이프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106)는 매끈한 내측면 및 외측면(126 및 130)을 가진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 및 직경의 파이프 벽을 가진 파이프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실시예의 슬리브(106)는 나사산, 오목부, 또는 다양한 벽 두께 또는 직경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계가공을 요구하지 않는 표준 파이프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슬리브(106)는 낮은 비용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매끈한 벽 파이프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슬리브(106)는 대안으로써 원형이 아닐 수도 있고, 다양한 벽 두께 또는 직경, 오목부, 나사산, 채널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지금부터, 칼라(108 및 110)를 참조하면, 칼라(108 및 110)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간략함을 위해, 하나의 칼라만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고, 당업자들은 칼라 중 하나의 설명이 다른 칼라에도 동일하게 잘 적용됨을 이해할 것 이다. 칼라(110)는 고리 형상이고, 칼라(110)를 동축으로 관통하는 통로(136)를 포함한다. 통로(136)는 도체(115)가 통로를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사이징된다.
통로(136)는 큰 직경 섹션(138) 및 작은 직경 섹션(140)을 포함하고, 그로 인해 통로(136)의 내측면이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으로 변환하는 부분에 숄더를 형성한다. 큰 직경 섹션(13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 세트의 암나사산(144) 형태인 칼라 파스너가 배치된다. 암나사산(144)은 절연 도관(117)의 수나사산(122)과 밀봉 계합하기 위한 크기이고 형상이다.
칼라(110)의 외측면에 오목부(146)가 배치된다. 도 4로 돌아가서, 오목부(146)는 칼라(110)의 원주 주변에 배치된 고리형 채널이다. 오목부(146)는 슬리브(106)와 칼라(110)의 연결을 돕기 위해 슬리브(106)의 변형부(148)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106)는 슬리브(106)가 오목부(146) 내로 변형되게 하기 위해 오목부(146) 위치에서 크림프될 수 있다.
오목부(146)가 도시되어 있으나, 오목부(146)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칼라(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오목부(146)가 슬리브(106)와 칼라(1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칼라(1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기 원한다면, 슬리브(106)는 오목부(146)로 슬리브(106)를 변형하는 것과 다른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몇 가지 적합한 예로서, 접착제, 용접, 및 고정나사와 같은 기계적 파스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칼라(110)의 외측면은 실(150)을 포함한다. 실(150)은 칼라(110)와 슬리브(106) 사이에 압력 실을 제공하기 위해 칼라(110)와 슬리브(106)를 모두 밀봉 계합하기 위한 크기이고 형상이다. 그러므로, 슬리브(106)는 슬리브(106) 내에 가압된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압력 용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보수 컴파운드가 제1케이블(102)로 펌핑될 때, 슬리브(106)는 케이블 사이에 보수 컴파운드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제1케이블(102)과 제2케이블(104)을 밀봉하고, 또한 슬리브(106)는 습기가 도체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150)은 칼라(110)의 원둘레에 위치한 고리형 채널(152) 내에 배치된 O-링이다. 실(150)은 채널 내에 배치된 O-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스켓 타입의 실, 또는 채널과 함께 또는 채널없이 사용되는 액체 응용 실란트(liquid applied sealant)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는 도관 엔드 실(160)을 포함한다. 도관 엔드 실(160)은 칼라(110)와 절연 도관(117)을 밀봉하도록 조절된다. 예를 들어, 도관 엔드 실(160)은 절연 도관(117)의 끝단면(162)과 칼라(110)의 숄더(142)를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되고, 그로 인해 절연 도관(117)과 칼라(110)가 밀봉된다. 그러므로, 보수 컴파운드 또는 다른 유체가 도체(115)의 길이를 따라 주입될 때, 칼라(110)와 절연 도관(117) 사이의 나사 연결이 그 내에 유체를 밀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칼라(110)와 절연 도관(117) 사이의 연결에서 유체는 누수없이 칼라(110) 를 통해 흐를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관 엔드 실(160)을 O-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관 엔드 실(160)는 압축 가스켓 및/또는 액체 응용 가스켓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케이블 커넥터(112)는 두 도체(114 및 115)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 커넥터(112)는 두 도체(114 및 115)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112)가 크림핑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히 유연한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크림프 스타일의 커넥터이다. 커넥터(112)는 전류가 한 도체(114)로부터 다른 도체(115)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소정의 인장력을 견디기 위해 두 도체(114 및 115)를 모두 연결한다.
크림프 스타일의 커넥터(112)가 도시되고 서술되었으나, 다른 타입의 커넥터(112)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당업자들은 이해해야 한다. 몇 가지 적함한 예는 두 도체(114 및 115) 사이에 임의의 실질적인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지 않는 커넥터(112), 커넥터와 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나사를 사용하는 튜브 형태의 커넥터 등이다. 도 3은 크림핑되기 이전의 커넥터(112)를 도시한다. 도 2 및 4는 크림핑 후의 커넥터(112)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을 고려하여, 지금부터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의 설치 및 사용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에서, 절연 도관(116 및 117)은 도체(114 및 115)의 프리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절단된다. 절연 도관(116 및 117)의 작은 직경 부분은 절연 도관(116 및 117)으로 절단되고, 수나사산(122)을 가지도록 나사가공된다. 실(150)은 칼라(110)의 감소된 직경부(120) 위로 푸싱된다. 칼라(108 및 110)의 암나사산(144)은 절연 도관(116 및 117)에 대하여 칼라(108 및 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절연 도관(116 및 117)의 수나사산(122)과 나사결합한다. 그 다음, 슬리브(106)는 칼라(110)와 같은, 하나의 칼라 뒤로 미끄러짐 이동된다. 이것은 실(150)이 칼라(110) 위를 대신하여 절연 도관(117)의 감소된 직경부(120)에 배치된 칼라(110)와 연관되기 때문에 더 쉽게 이루어진다.
그 다음, 도체(114 및 115)의 프리 끝부는 엔드-투-엔드 관계로 케이블 커넥터(112)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 커넥터(112)는 두 도체(114 및 115)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유체 기밀 실을 야기하기 위해 주지된 바와 같이 크림핑된다. 그 다음, 슬리브(106)는 실(150)이 칼라(110)의 채널(152)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칼라(110) 위로 칼라(110)를 지나 미끄러짐 이동된다. 그 다음, 슬리브(106)는 슬리브(106)가 제1칼라(108)와 연관된 실(150)과 제2칼라(110)와 연관된 실(150)을 밀봉 계합하고, 그로 인해 커넥터(112)를 하우징하는 압력 용기를 형성하도록 이동된다.
또한, 형성된 압력 용기는 보수 컴파운드와 같은, 유체가 연결 어셈블리(100)로부터 누수되는 것,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연결 어셈블리(10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어셈블리는 25psi 이상의 유체 압력, 또는 심지어, 50psi, 75psi, 또는 100psi 이상과 같은 더 높은 압력도 견딜 수 있다. 그 다음, 슬리브(106)는 슬리브(106)의 변형 부(148)(도 4 참조)가 칼라(108 및 110) 내의 오목부(146)로 들어가고, 그로 인해 슬리브(106)와 칼라(108 및 110)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예컨대 크림핑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제1 및 제2칼라(108 및 110)는 절연 도관(116 및 117)에 스레딩되고, 그로 인해 끝부 표면(162)과 숄더(142) 사이에 엔드 실이 생성된다. 또한, 칼라(108 및 110)와 절연 도관(116 및 117) 사이의 나사 계합으로 인한, 결과적인 부착은 기존 설계보다 더 단단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끝부 표면(162)와 숄더(142) 사이의 실은 절연 도관 내의 온도 변화와 같은, 다이나믹한 변화 동안 유지된다. 칼라(108 및 110)가 절연 도관(116 및 117)에 나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절연 도관의 임의의 변화 또는 이동은 칼라의 대응 이동을 야기한다. 이것은 끝부 표면(162)과 숄더(142) 사이의 단단한 엔드 실을 유지한다.
상기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의 도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도체 및 절연 도관 직경을 가진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절연 도관은 수나사산(122)을 가진 감소된 직경부(120)를 형성하기 위해 제조 후 절단되기 때문에, 칼라와 절연 도관 사이의 실이 상이한 케이블 사이에서 변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도관의 외부 표면 상에는 형성되지 않고, 감소된 직경부가 절연 도관으로 절단될 때 형성된 소정의 직경을 가진 감소된 직경부(120)에 형성되므로, 절연 도관의 외경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의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는 절연 도관의 정확한 외경을 기초로 반드시 주문 설계되지 않 아도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204)의 한 끝부를 단말처리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200)의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대안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200)는 도 2-4의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고,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본 설명은, 간략함을 위해,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구별되는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200)의 형태만 서술할 것이다.
도 5의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200)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204)을 단말처리하거나 데드 엔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케이블(204)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칼라(110)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술된 실시예와 달리, 도 5의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200)의 슬리브(206)는 슬리브(206)의 말단 끝을 밀봉하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207)를 포함하고, 그로 인해 슬리브(206)는 데드 엔드 실로서 동작한다. 부가적으로, 슬리브(206)는 유체가 슬리브(206)로 펌핑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커넥터(20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절연 도관(217)의 절연 특성을 보수하기 위해 슬리브(206)로 보수 컴파운드를 펌핑할 수 있다. 슬리브(206)는 압력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칼라(210)와 밀봉 계합하고, 이 압력 용기는 유체가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200)로부터 누수되거나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특정 형상 및 형태를 가진 데드 엔드 실 형태의 슬리브를 도시하지만, 도시된 데드 엔드 실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제한하고자 함이 아님을 당업자들은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시된 데드 엔드 실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데드 엔드 실의 일 예일 뿐이고, 데드 엔드 실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 지 않고 도시되고 서술된 형상 및 형태와 다른 다양한 형상 및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관 파스너에 대하여 칼라 파스너의 회전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나사형 파스너인 칼라 및 도관 파스너를 도시하고 서술하지만, 다른 칼라 및 도관 파스너도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 적합함을 이해해야하며, 몇 가지 예는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칼라 및 도관 파스너를 회전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퀵 커넥트 파스너, 및 베이요넷(bayonet) 타입의 파스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1케이블(302)과 제2케이블(304)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300)의 대안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단면의 분해 입면도가 도시되고 서술되어 있다.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300)는 도 2-4에 대하여 도시되고 서술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므로, 간략함을 위해, 본 설명은 앞서 서술된 내용과 구별되는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300)의 형태에 초점을 둘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300)는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300)의 칼라(308 및 310)가 각각 칼라(308 및 310)와 도체(314 및 315)를 직접 연결하기 위한 파스닝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는 점이 앞서 서술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또한, 칼라(308 및 310) 각각은 연결 보디(306)와 전기적 연속적으로 칼라(308 및 310)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칼라(308 및 310)의 파스닝 어셈블리(400)를 보면, 파스닝 어셈블 리(400)는 칼라(308 및 310)와 도체(114 및 115)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스너(40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스너(402)는 칼라(308 및 310)의 원주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방사상 방향인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를 포함한다. 고정나사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것은 고정나사가 칼라(308 및 310)와 도체(114 및 115)를 계합하고 잠그기 위해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파스닝 어셈블리(400)는 칼라(308 및 310)와 도체(114 및 115) 사이의 파지티브 전기적 연속을 보장한다. 따라서, 파스닝 어셈블리(400)는 절연 도관(116 및 117)의 끝부에 대한 칼라(308 및 310)의 위치를 유지하고, 그로 인해, 엔드 실(360)이 압축되고, 칼라(308 및 310)와 절연 도관(116 및 117)의 엔드 표면(362)과의 밀봉 관계를 유지함을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500)는 칼라(308 및 310)를 슬리브(306)와 전기적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500)는 유지 디바이스(502) 및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5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디바이스(502)는 원형으로 형성된 일 조각의 와이어로 형성된 스냅 링이다. 스냅 링은 칼라(308 및 310) 주변에 위치하고 벌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칼라(308 및 310) 주변에 원주형으로 배치된 채널(506) 내에 설정된다. 채널(506) 내에 위치된 후, 스냅 링은 그것의 오리지날의, 벌어지지 않은 형태로 맞추려할 것이고, 그로 인해 채널(506) 내에 스냅 링을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인, 전기적 연결 디바이스(504)가 유지 디바이스(502)의 적어도 일부분 주변에 배치된다. 이 스프링의 직경은 연결 보디(306)가 칼라(308 및 310) 상에 설치될 때, 스프링이 연결 보디(306)와 칼라(308 및 310) 모두에 대하여 압축되고, 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스냅 링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속성 연결 어셈블리(500)로 도시되고 서술되어있으나, 당업자들은 전기적 연속성 연결 어셈블리(500)가 본 발명에 범위에 속하는,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다양한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속성 연결 어셈블리(500)는 채널(506) 내에 스트레칭되고 릴리즈되는 끝없는 원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프링의 직경은 연결 보디(306)가 칼라(308 및 310) 상에 놓일 때, 스프링이 연결 보디(306) 및 칼라(308 및 310) 모두에 대하여 압축되고, 이 둘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파스너가 이 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서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1)

  1.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로서,
    상기 장치와 상기 케이블을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된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케이블 중 적어도 일부분과 잠금 계합하도록 상기 칼라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칼라를 상기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다른 케이블에 밀봉 연결되도록 조절된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데드 엔드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케이블의 둘레 주변에 뻗은 수나사산 가공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칼라의 내측 통로 내에 형성된,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수나사산 가공된 부분과 함께 잠금 계합을 위해 조절된 암나사산 가공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슬리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칼라와 밀봉 계합될 때 압축되고 상기 칼라를 상기 슬리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조절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칼라를 상기 케이블의 도체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파스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9.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로서,
    (a) 파스너를 포함한 칼라; 및
    (b) 상기 칼라와 밀봉 계합하고, 그로 인해 상기 케이블의 끝부가 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조절된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조절된 슬리브를 포함 하고, 그리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케이블에 대한 상기 파스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조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칼라에 의해 미끄러지게 수용되도록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슬리브 내에 완전하게 미끄러지도록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슬리브의 일부분이 상기 슬리브를 상기 칼라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로 뻗도록 상기 슬리브가 선택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암나사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칼라를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된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칼라를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된 추가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슬리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칼라와 밀봉 계합될 때 상기 칼라를 상기 슬리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압축되도록 조절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칼라를 상기 케이블의 도체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파스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19. 제1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1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1도체와 제2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2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 2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로서,
    (a) 제1칼라로서,
    (i) 외측면,
    (ii) 상기 제1도체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칼라를 통해 축방향으로 패싱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내측면,
    (iii) 상기 제1도관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제1칼라 파스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도관 파스너에 연결되도록 조절된 제1칼라 파스너,
    (iv) 상기 외측면에 배치된 실을 포함하는 제1칼라;
    (b) 제2칼라로서,
    (i) 외측면,
    (ii) 상기 제2도체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2칼라를 통해 축방향으로 패싱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내측면,
    (iii) 상기 제2도관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제2칼라 파스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도관 파스너에 연결되도록 조절된 제2칼라 파스너,
    (iv) 상기 외측면에 배치된 실을 포함하는 제2칼라; 및
    (c)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 및 제2도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조절되어 있고, 상기 실리브는 상기 제1칼라의 외측면에 배치된 상기 실과 상기 제2칼라의 외측면에 배치된 상기 실을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1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1도체와 제2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2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2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칼라 파스너는 암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1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1도체와 제2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2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2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는 상기 제1칼라와 상기 제1절연 도관을 밀봉 계합하도록 조절된 추가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1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1도체와 제2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2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2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와 상기 슬리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를 갖춘 전기적 연속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1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1도체와 제2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2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2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칼라와 상기 제1도체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파스닝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1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1도체와 제2도관 파스너를 갖춘 제2절연 도관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전류 전송용 제2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24.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a) 칼라의 파스너가 상기 케이블과 잠금 계합하도록 칼라를 회전시키는 단계;
    (b) 상기 칼라에 상기 장치를 밀봉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장치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를 상기 칼라와 밀봉 계합으로 미끄러짐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상기 파스너가 상기 케이블과 연관된 일 세트의 나사산과 잠금 계합하도록 상기 칼라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제1케이블을 제2칼라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를 상기 제2칼라에 밀봉 계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데드 엔드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및 상기 칼라와 밀봉 계합하는 추가 실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압축가능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슬리브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와 상기 제1도체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파스너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 방법.
KR1020087004275A 2005-08-23 2006-04-18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KR101041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10,149 US7544105B2 (en) 2005-08-23 2005-08-23 Cable and cable connection assembly
US11/210,149 2005-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664A true KR20080041664A (ko) 2008-05-13
KR101041392B1 KR101041392B1 (ko) 2011-06-15

Family

ID=3777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275A KR101041392B1 (ko) 2005-08-23 2006-04-18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544105B2 (ko)
EP (3) EP2299545B1 (ko)
JP (1) JP4838310B2 (ko)
KR (1) KR101041392B1 (ko)
AT (1) ATE537579T1 (ko)
AU (1) AU2006282081C1 (ko)
CA (1) CA2617412C (ko)
TW (1) TWI321882B (ko)
WO (1) WO20070242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1721A (zh) * 2021-06-09 2021-08-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10kV配电网电缆接线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8270A1 (de) * 2008-08-20 2010-04-01 Utilx Corp., Kent Kabelspleissverbindungsaufbau
US8226328B2 (en) * 2008-09-03 2012-07-24 Fairfield Industries Incorporated Seismic cable with adjustable buoyancy
US7933165B2 (en) * 2008-09-03 2011-04-26 Fairfield Industries Incorporated Connector for seismic cable
DE102008055124A1 (de) * 2008-12-23 2010-07-01 Robert Bosch Gmbh Dichtung für wenigstens eine elektrische Leitung
GB2469487B (en) * 2009-04-15 2012-08-15 Tyco Electronics Ltd Uk Coaxial cable connector and associated method
US8209855B2 (en) 2010-10-26 2012-07-03 M.C. Miller Co. Method of splicing electrical cables
NO338323B1 (no) * 2014-05-14 2016-08-08 Aker Solutions As Kabel for et elektrisk nedsenkbart pumpearrangement
CN108551152B (zh) * 2018-04-28 2023-05-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用防水连接头
CN108808344A (zh) * 2018-07-20 2018-11-13 佛山长意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通讯线缆接口保护装置
CN110752456B (zh) * 2019-10-31 2021-03-16 湖南海燕建设工程有限公司 电缆的安全连接装置
CN111725772B (zh) * 2020-07-05 2021-12-31 广西阳工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抗氧化电缆
CN116387918B (zh) * 2023-06-05 2023-09-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珠海供电局 一种电缆延长冷压接头夹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6660A (en) * 1924-04-15 1927-10-25 American Mine Door Co Cable splice
US1965540A (en) * 1929-01-04 1934-07-03 Gen Cable Corp Cable installation
US2087384A (en) * 1935-07-09 1937-07-20 Burndy Engineering Co Inc Cable connecter
US2209620A (en) * 1937-11-11 1940-07-30 Electroline Company Composite strand connector
US2187007A (en) * 1938-03-29 1940-01-16 Lane Wells Co Releasable cable head
US2279508A (en) * 1940-06-19 1942-04-14 Thomas & Betts Corp Wire connector
US2463144A (en) * 1945-09-15 1949-03-01 Buchanan Electrical Prod Corp Cable lock connector
US2825039A (en) 1954-03-24 1958-02-25 California Research Corp Connector for detector cable
US3444507A (en) 1967-10-23 1969-05-13 Burndy Corp Electrical connectors for semi-solid conductors
US3508188A (en) 1968-08-27 1970-04-21 Jon R Buck Underwater electrical quick disconnect
US3633155A (en) 1970-04-13 1972-01-04 Us Navy Pressure-balanced electrical assembly
JPS5038486B1 (ko) * 1970-08-15 1975-12-10
US4003620A (en) 1970-10-12 1977-01-18 D. G. O'brien, Inc. Pressure compensated marine electrical cable apparatus
US3633315A (en) * 1970-11-02 1972-01-11 Massey Ferguson Inc Closure controller
US3845450A (en) 1972-12-26 1974-10-29 Bendix Corp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or
GB1470049A (en) * 1973-03-21 1977-04-14 Rachem Corp Splicing method and heat-recoverable article
US4192569A (en) 1978-12-07 1980-03-11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Underwater connector
GB2060278B (en) * 1979-10-05 1983-04-13 Victor Products Ltd Gland for metal sheathed cable
US4374607A (en) * 1981-04-29 1983-02-2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pin and socket connector
DE3236064A1 (de) * 1982-09-29 1984-03-2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abelmuffen aus schrumpfbarem material
JPS618864A (ja) * 1984-06-23 1986-01-16 アンリツ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GB2168500B (en) 1984-12-12 1988-09-07 Stc Plc Optical fibre connector
US4752252A (en) * 1986-09-29 1988-06-21 Amp Incorporated Axial grip connector having eccentric jaws
US4927386A (en) 1988-08-22 1990-05-22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able connector for use in oil wells
US5035660A (en) * 1988-11-29 1991-07-30 Amp Incorporated Eccentric electrical cable connecting device
JP2873234B2 (ja) * 1988-11-30 1999-03-24 ローム株式会社 メロディ再生用ハイブリッドicの検査方法
DE3914936A1 (de) * 1989-05-06 1990-11-08 Messerschmitt Boelkow Blohm Endgehaeuse fuer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erbinder
JPH02150783U (ko) * 1989-05-25 1990-12-27
US5051103A (en) 1990-10-09 1991-09-24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upling assembly for hot, high pressure service
US5197064A (en) * 1990-11-26 1993-03-23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Distributed modular packet switch employing recursive partitioning
US5179552A (en) * 1990-11-26 1993-01-1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Crosspoint matrix switching element for a packet switch
US5361255A (en) * 1991-04-29 1994-11-01 Dsc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gh speed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
JPH0766820A (ja) * 1993-08-24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ロー制御方式
US5478970A (en) * 1994-02-03 1995-12-26 D. G. O'brien, Inc. Apparatus for terminating and interconnecting rigid electrical cable and method
US5440073A (en) * 1994-05-02 1995-08-08 Lin; Kuang-Ts'an Lin Electric cable mounting device
JPH0855653A (ja) * 1994-08-15 1996-02-27 Mitsubishi Cable Ind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8138803A (ja) * 1994-11-14 1996-05-31 Fujikura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573423A (en) * 1995-01-18 1996-11-12 Lin; Kuang-Ts'an Innovative distribution cable mounting device
US5645438A (en) 1995-01-20 1997-07-08 Ocean Design, Inc. Underwater-mateable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
US5738535A (en) 1996-03-07 1998-04-14 Ocean Design, Inc. Underwater connector
US6848934B1 (en) * 1996-05-14 2005-02-01 Centerpin Technology, Inc. Battery terminal
US5775934A (en) * 1996-05-15 1998-07-07 Centerpin Technology, Inc. Coaxial cable connector
DE19627840A1 (de) * 1996-07-10 1998-01-15 Roth Technik Gmbh Verbindung
CA2269285A1 (en) * 1996-11-08 1998-05-14 Brian Holden Mechanism to support a utopia interface over a backplane
JP3123447B2 (ja) * 1996-11-13 2001-01-09 日本電気株式会社 Atm交換機のスイッチ制御回路
US5907128A (en) 1997-02-13 1999-05-25 Utilx Corporation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US6356071B1 (en) * 1997-05-02 2002-03-12 Patriot Sensors & Controls, Inc. Self-contained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NO975959A (no) 1997-12-18 1999-01-11 Abb Research Ltd Anordning ved terminering av kabel
JP2000306641A (ja) * 1999-04-22 2000-11-02 Japan Telecom Co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同軸ケーブルの外部導体と、を溶接により接続するための溶接装置
US6227866B1 (en) 1999-07-26 2001-05-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owed array handling system rotary joint
US6736545B2 (en) 1999-10-14 2004-05-18 Ocean Design, Inc. Wet mateable connector
SE9903800L (sv) 1999-10-21 2001-04-22 Kim Silfverberg Kabelkopplingsanordning
US6636949B2 (en) * 2000-06-10 2003-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handling coherence protocol races in a scalable shared memory system based on chip multiprocessing
US6332787B1 (en) 2000-08-18 2001-12-25 Ocean Design, Inc. Wet-mateable electro-optical connector
JP3736338B2 (ja) * 2000-11-13 2006-0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スイッチ
US7014513B2 (en) * 2002-10-09 2006-03-21 Swenco Products, Inc. Weathertight electrical connector
US7274701B2 (en) * 2002-11-04 2007-09-25 Tellabs Operations, Inc. Cell based wrapped wave front arbiter (WWFA) with bandwidth reservation
US7615247B2 (en) 2004-03-01 2009-11-10 Novinium, Inc. Method for treating electrical cable at sustained elevated pressure
CA2557169C (en) 2004-03-01 2014-07-15 Novinium, Inc. High-pressure power cable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1721A (zh) * 2021-06-09 2021-08-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10kV配电网电缆接线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9584A4 (en) 2010-06-30
EP2299545B1 (en) 2012-05-23
JP4838310B2 (ja) 2011-12-14
ATE537579T1 (de) 2011-12-15
EP1929584A1 (en) 2008-06-11
TWI321882B (en) 2010-03-11
CA2617412A1 (en) 2007-03-01
US7544105B2 (en) 2009-06-09
US20070054563A1 (en) 2007-03-08
WO2007024284A1 (en) 2007-03-01
KR101041392B1 (ko) 2011-06-15
EP1929584B1 (en) 2011-12-14
AU2006282081C1 (en) 2010-08-12
EP2299545A1 (en) 2011-03-23
TW200709520A (en) 2007-03-01
EP2400598A2 (en) 2011-12-28
AU2006282081A1 (en) 2007-03-01
CA2617412C (en) 2010-02-02
EP2400598A3 (en) 2012-01-18
EP2400598B1 (en) 2013-02-13
AU2006282081B2 (en) 2010-04-08
US20090209141A1 (en) 2009-08-20
JP2009506497A (ja)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392B1 (ko)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RU2383091C2 (ru) Каб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коаксиального кабеля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такого кабель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7195504B2 (en) High-pressure power cable connector
RU2305886C2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аксиальный каб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способ
US7726996B2 (en) Compression seal for coaxial cable connector and terminal
US9461452B2 (en) Cable glands
US20080026623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nsulated conductive wires encapsulated in protective tubing
AU2010201196A1 (en) Cable connection assembly
CA2387763C (en) A cable coupling device
CN108023224B (zh) 一种防水型高压单芯插接装置
US10250026B2 (en) High voltage joint
US3371150A (en) Vapor proof connector for under-ground electrical leads
RU2535420C1 (ru) Ко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гибкой полимерно-армированной трубы и способ присоединения штуцера к ней
JP2001352655A (ja) 異種ケーブル同士の接続部とその組立方法
JP2009301735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