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077B1 -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077B1
KR101448077B1 KR1020140005924A KR20140005924A KR101448077B1 KR 101448077 B1 KR101448077 B1 KR 101448077B1 KR 1020140005924 A KR1020140005924 A KR 1020140005924A KR 20140005924 A KR20140005924 A KR 20140005924A KR 101448077 B1 KR101448077 B1 KR 10144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errule
tightening nut
inner periphery
plu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제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방 내주에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후방 내주에는 밀착턱을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와 밀착턱 사이에는 단턱을 형성한 조임너트; 상기 조임너트의 단턱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후면에 형성하고, 전면에는 제1가압경사면을 형성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페룰; 상기 조임너트의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조임너트의 내주에 나사결합되며, 후단에는 제2가압경사면을 형성한 플러그몸체; 상기 제1, 2가압경사면에 대응되는 제1, 2밀폐경사턱을 형성하여 페룰과 플러그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돌부와, 상기 밀폐돌부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페룰의 내주에 끼워지는 고정부로 구성된 몰딩; 상기 몰딩의 고정부 내주에 끼워지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몸체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의 조임에 따라 페룰과 플러그몸체 사이에 배치된 밀폐돌부가 가압고정됨과 동시에, 고정부가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가압되어 케이블의 가압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The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설치시간의 단축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너트의 조임시 고무재질의 밀폐돌부가 페룰과 플러그몸체에 의해 가압고정되므로 별도의 방수부재 없이도 내부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으며, 고무재질의 고정부가 케이블을 견고하게 가압고정하는 것을 통해 케이블의 견고한 고정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거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케이블의 견고한 고정상태 유지는 물론, 파손이 예방되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의 전송매체인 광섬유의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광커넥터는 각종 통신기기, 정밀계측기, 오디오 및 비디오기기, 센서 등의 광링크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광커넥터는 그 종단처리 및 조립이 대부분 제조 공장 내에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FTTH(Fiber To The Home : 광가입자망) 서비스의 확대로 인해 다수의 광선로 연결시 선로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광커넥터의 일부분을 미리 가공 및 조립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광섬유나 광케이블 등의 간단한 탈피 및 절단만으로도 광커넥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일례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광커넥터를 살펴보면, 그 핵심 부품으로서 광섬유들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페룰과 결합되는 접속구와, 케이블의 광섬유를 관통시켜 상기 페룰의 광섬유로 안내하기 위한 연결구와, 케이블과 밀착된 상태로 덮어 씌워져 있고 연결구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부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광섬유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종래의 광커넥터에는 광섬유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구의 선단부에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광섬유 보호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로의 급작스런 외력 발생시 접속구 선단부에서 광섬유가 급격하게 휘어지면서 광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부트가 단순히 케이블과 밀착되는 정도의 결합상태에서 연결구와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과 연결구 간의 연결상태가 불안하여 결과적으로 접속구에서의 광섬유 간의 접속상태도 불안하게 되어 광섬유 간의 정렬 상태가 어긋나게 되는 등의 접속 성능이 상당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플러그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케이블과 접점이 연결되는 부위가 배치된 커넥터 내부 공간이 기밀 유지되도록 하는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특허가 등록특허 제10-1150472호에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플러그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그립부가 그립몸체와, 탄성가압체와, 끼움홀로 분할구성되어 조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웠으며, 제작의 난이성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넥터의 내부 공간을 기밀 유지하기 위해서는 패킹 및 개스킷을 장착해야 하므로, 제작 및 설치를 위한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설치시간의 단축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너트의 조임시 고무재질의 밀폐돌부가 페룰과 플러그몸체에 의해 가압고정되므로 별도의 방수부재 없이도 내부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으며, 고무재질의 고정부가 케이블을 가압고정하는 것을 통해 케이블의 견고한 고정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룰에 구성되는 제2경사부로 하여금 조임너트의 제1경사부에 밀착된 상태로 몰딩의 고정부를 추가로 가압고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에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블의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정부의 후단부가 케이블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조임너트의 밀착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이중 밀폐가 이루어져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이 상하좌우로 움직인다 하더라도 케이블을 감싸는 고정부가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과도한 마찰 없이 유연하게 움직이므로 케이블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 내주에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후방 내주에는 밀착턱을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와 밀착턱 사이에는 단턱을 형성한 조임너트; 상기 조임너트의 단턱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후면에 형성하고, 전면에는 제1가압경사면을 형성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페룰; 상기 조임너트의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조임너트의 내주에 나사결합되며, 후단에는 제2가압경사면을 형성한 플러그몸체; 상기 제1, 2가압경사면에 대응되는 제1, 2밀폐경사턱을 형성하여 페룰과 플러그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돌부와, 상기 밀폐돌부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페룰의 내주에 끼워지는 고정부로 구성된 몰딩; 상기 몰딩의 고정부 내주에 끼워지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몸체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의 조임에 따라 페룰과 플러그몸체 사이에 배치된 밀폐돌부가 가압고정됨과 동시에, 고정부가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가압되어 케이블의 가압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설치시간의 단축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너트의 조임시 고무재질의 밀폐돌부가 페룰과 플러그몸체에 의해 가압고정되므로 별도의 방수부재 없이도 내부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으며, 고무재질의 고정부가 케이블을 가압고정하는 것을 통해 케이블의 견고한 고정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룰에 구성되는 제2경사부로 하여금 조임너트의 제1경사부에 밀착된 상태로 몰딩의 고정부를 추가로 가압고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에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블의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정부의 후단부가 케이블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조임너트의 밀착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이중 밀폐가 이루어져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이 상하좌우로 움직인다 하더라도 케이블을 감싸는 고정부가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과도한 마찰 없이 유연하게 움직이므로 케이블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페룰에 제2경사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의 단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케이블(1)을 접점한 상태로 안전하게 고정설치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1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너트(10)와, 페룰(20)과, 플러그몸체(30)와, 몰딩(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몰딩(40)의 내부에는 케이블(1)이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첫째, 조임너트(10)는 본 발명에 구성된 구성품들의 수납 및 체결을 위한 구성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전,후가 관통된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10)의 외주에는 플러그몸체(30)와 나사결합을 이루는 조임너트(10)를 손쉽게 조일 수 있도록 통상의 널링(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임너트(10)의 전방 내주에는 조임을 위한 암나사(11)가 형성되고, 조임너트(10)의 후방 내주에는 밀폐를 위한 밀착턱(13)이 형성되는데, 상기 밀착턱(13)은 몰딩(40)의 고정부(45)와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우수한 방수효과가 발휘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조임너트(10)의 상기 암나사(11)와 밀착턱(13) 사이에는 단턱(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턱(15)은 페룰(20)을 밀착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페룰(20)이 조임너트(10)의 내주로 용이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단턱(15)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단턱(15)의 내주가 암나사(11)의 내주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덧붙여, 상기 조임너트(10)에 구성된 밀착턱(13)은 몰딩(40)을 이용한 밀폐를 철저하게 이룰 수 있도록 단턱(15)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단턱(15)과 밀착턱(13) 사이의 공간에는 단턱(15)에서 밀착턱(13)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제1경사부(17)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1)의 가압고정을 더욱 견고히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페룰(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너트(10)의 내주에 설치되어 조임너트(10)의 조임에 따라 몰딩(40)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몰딩에 구성되는 고정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페룰(20)의 후면에는 밀착면(21)이 형성되어 상기 밀착면(21)이 조임너트(10)의 단턱(15)에 밀착되고, 전면에는 몰딩(40)에 밀착되는 제1가압경사면(23)이 형성되는데, 상기 페룰(20)은 제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통상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룰(20)에는 밀착면(21)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몰딩(40)에 구성된 고정부(45)를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경사부(27)가 더 포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제2경사부(27)는 조임너트(10)의 제1경사부(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페룰(20)의 제2경사부(27)로 하여금 고정부(45)를 더욱 견고히 가압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4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1)이 페룰(20)의 제2경사부(27)에 의해 더욱 강하게 가압고정되므로 상기 케이블(1)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케이블(1)의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셋째, 플러그몸체(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너트(10)에 나사결합되어 조임너트(10)의 조임에 따라 몰딩(40)을 가압고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임너트(10)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임너트(10)의 암나사(11)에 대응되는 수나사(31)를 형성하여 조임너트(10)의 내주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몸체(30)의 후단에는 몰딩(40)에 밀착되는 제2가압경사면(33)을 형성되며, 플러그몸체(30)의 내부에는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절연체(미도시)가 형성되어 케이블(1)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절연체와 접점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넷째, 몰딩(40)은 상기 페룰(20)과 플러그몸체(30) 사이에 배치되어 방수 및 절연 작용을 함과 동시에, 내주에 삽입된 케이블(1)의 고정을 이루는 구성으로, 밀폐돌부(43)와 고정부(45)로 구성되며, 상기한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몰딩(40)의 밀폐돌부(43)는 제1, 2밀폐경사턱(41, 42)을 전, 후면에 형성하여 페룰(20)과 플러그몸체(3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밀폐경사턱(41)은 페룰(20)의 제1가압경사면(23)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밀폐경사턱(42)은 플러그몸체(30)의 제2가압경사면(33)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몰딩(40)의 고정부(45)는 상기 밀폐돌부(43)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페룰(20)의 내주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고정부(45)의 내주에는 고정설치되는 케이블(1)이 끼워져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몸체(30)와 나사결합을 이루는 조임너트(10)를 조이면, 상기 조임너트(10)의 단턱(15)에 밀착되어 있는 페룰(20)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 인해 상기 페룰(20)의 제1가압경사면(23)이 제1밀폐경사턱(41)을 가압하는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러그몸체(30)의 제2가압경사면(33)이 제2밀폐경사턱(42)을 가압하는 작용이 이루어져, 고무재질로 제작된 밀폐돌부(43)의 신축력에 의해 상기 페눌(20)과 플러그몸체(30)와 밀폐돌부(43)가 견고하게 밀폐결합되어 방수 및 절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임너트(10)에 의해 페룰(20)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페룰(20)의 내경과 몰딩(40)의 고정부(45) 외경이 서로 가압되어 상기 고정부(45)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발생하게 되므로, 고정부(45)의 내주에 끼워져 있는 케이블(1)의 견고한 가압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케이블(1)은 통상의 케이블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며, 피복이 벗겨진 일측이 전방에 위치하여 플러그몸체(30)의 절연체와 접점을 이루도록 몰딩(40)의 고정부(45) 내주에 삽입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1)은 몰딩(40)을 사출성형시 케이블(1)을 넣은 상태로 인서트사출을 하는 것을 통해 상기 몰딩(40)의 내주에 케이블(1)이 일체로 형성 즉, 케이블(1)의 외주에 몰딩(4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르면, 상기 몰딩(40)과 케이블(1)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1)에 당겨지는 힘이 크게 작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블(1)이 몰딩(40)의 고정부(45)에서는 분리되는 현상을 막을 있으며, 고정부(45)의 내주와 케이블(1)의 외주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현상까지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몰딩(40)에 구성된 고정부(45)는 페룰(20)의 제1가압경사면(23)이 몰딩(40)의 제1밀폐경사턱(41)에 밀착되었을 때에 상기 페룰(20)이 고정부(45)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고정부(45)의 테이퍼 경사각은 조임너트(10)의 밀착턱(13) 내주에 형성된 경사와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임너트(10)를 조이면 고정부(45)의 후단부가 밀착턱(13)의 내주에 견고하게 끼워져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고정부(45)의 후단부로 밀착턱(13)의 내주을 밀폐하면 몰딩(40)에 의한 방수가 이중으로 이루어지므로 수분이 다분한 지역에서도 안전한 사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너트(10)와 마찰을 일으키던 케이블(1)의 일부를 고무재질로 감싸고 있으므로 케이블(1)이 상하좌우로 크게 움직인다 하더라도 케이블(1)의 파손이 생기지 않게 된다.
1 : 케이블
10 : 조임너트
11 : 암나사 13 : 밀착턱 15 : 단턱 17 : 제1경사부
20 : 페룰
21 : 밀착면 23 : 제1가압경사면 27 : 제2경사부
30 : 플러그몸체 31 : 수나사 33 : 제2가압경사면
40 : 몰딩
41, 42 : 제1, 2밀폐경사턱 43 : 밀폐돌부 45 : 고정부
100 :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Claims (5)

  1. 전방 내주에는 암나사(11)를 형성하고, 후방 내주에는 밀착턱(13)을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11)와 밀착턱(13) 사이에는 단턱(15)을 형성한 조임너트(10);
    상기 조임너트(10)의 단턱(15)에 밀착되는 밀착면(21)을 후면에 형성하고, 전면에는 제1가압경사면(23)을 형성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페룰(20);
    상기 조임너트(10)의 암나사(11)에 대응되는 수나사(31)를 형성하여 조임너트(10)의 내주에 나사결합되며, 후단에는 제2가압경사면(33)을 형성한 플러그몸체(30);
    상기 제1, 2가압경사면(23, 33)에 대응되는 제1, 2밀폐경사턱(41, 42)을 형성하여 페룰(20)과 플러그몸체(30)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돌부(43)와, 상기 밀폐돌부(43)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페룰(20)의 내주에 끼워지는 고정부(45)로 구성된 몰딩(40);
    상기 몰딩(40)의 고정부(45) 내주에 끼워지는 케이블(1);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몸체(30)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10)의 조임에 따라 페룰(20)과 플러그몸체(30) 사이에 배치된 밀폐돌부(43)가 가압고정됨과 동시에, 고정부(45)가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가압되어 케이블(1)의 가압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10)에는 단턱(15)에서 밀착턱(13)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제1경사부(1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페룰(20)에는 제1경사부(17)에 대응되는 제2경사부(2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40)은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40)은 인서트사출에 의해 케이블(1)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40)에 구성된 고정부(45)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너트(10)의 밀착턱(13)에는 고정부(45)에 대응되는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밀착턱(13)의 내주에 고정부(45)의 후단부가 끼워져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KR1020140005924A 2014-01-17 2014-01-17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KR10144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24A KR101448077B1 (ko) 2014-01-17 2014-01-17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24A KR101448077B1 (ko) 2014-01-17 2014-01-17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077B1 true KR101448077B1 (ko) 2014-10-08

Family

ID=5199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924A KR101448077B1 (ko) 2014-01-17 2014-01-17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08B1 (ko) * 2015-11-10 2017-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중 고정요소가 구비된 광섬유 커넥터
KR102284391B1 (ko) * 2021-03-23 2021-08-02 윤지영 고압 전력용 커넥터
KR102516444B1 (ko) *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426A (ja) 2000-01-26 2001-08-03 American Denki Co Ltd 防水形配線器具
KR200322028Y1 (ko) 2003-05-06 2003-07-31 이용업 방수용 케이블 튜브
KR20040017760A (ko) * 2002-08-23 2004-02-27 황길연 유체 이송용 관의 연결장치
KR101158500B1 (ko) 2011-04-22 2012-06-21 주식회사 엘스콤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426A (ja) 2000-01-26 2001-08-03 American Denki Co Ltd 防水形配線器具
KR20040017760A (ko) * 2002-08-23 2004-02-27 황길연 유체 이송용 관의 연결장치
KR200322028Y1 (ko) 2003-05-06 2003-07-31 이용업 방수용 케이블 튜브
KR101158500B1 (ko) 2011-04-22 2012-06-21 주식회사 엘스콤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08B1 (ko) * 2015-11-10 2017-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중 고정요소가 구비된 광섬유 커넥터
KR102284391B1 (ko) * 2021-03-23 2021-08-02 윤지영 고압 전력용 커넥터
WO2022203159A1 (ko) * 2021-03-23 2022-09-29 김정호 고압 전력용 커넥터
KR102516444B1 (ko) *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0069B1 (en) Connector with retaining ring for coaxial cable and associated methods
US7887354B2 (en) Thread lock for cable connectors
US10505352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KR101448077B1 (ko)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US6683253B1 (en) Coaxial cable joint
CA2658099C (en) Weather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RU2475904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с захватной муфтой
US4549755A (en) Armored cable connector
JP4775907B2 (ja) 防水型コネクタ及び中継コネクタ
US8055114B2 (en) Cable sleeve for the structured storage and handling of optical waveguides guided in optical waveguide cables
US20080045082A1 (en) Electrical connector
FR2612342A1 (fr) Connecteur pour lignes coaxiales a conducteur exterieur ondule ou pour guide d'ondes a tube ondule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JP3889730B2 (ja) 導線の連接装置
KR101428771B1 (ko) 케이블 그랜드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TWI694650B (zh) 具有密封組件的電纜保持裝置
KR20000076339A (ko) 케이블 접속 폐쇄장치용 외부 접지 절연 커넥터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JP3262305B2 (ja) 防水コネクタプラグ及びソケット
JP2602079Y2 (ja) ケーブルグランド
US20210399538A1 (en) Cable screw connection
EP2348593B1 (en) Sealing of fittings to cables, pipes and other lines
KR20150123734A (ko)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JP3159878U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の改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