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500B1 -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500B1
KR101158500B1 KR1020110037772A KR20110037772A KR101158500B1 KR 101158500 B1 KR101158500 B1 KR 101158500B1 KR 1020110037772 A KR1020110037772 A KR 1020110037772A KR 20110037772 A KR20110037772 A KR 20110037772A KR 101158500 B1 KR101158500 B1 KR 101158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ocket
solar cell
plug
cell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스콤
Priority to KR102011003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5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H10F19/90Structures for connecting between photovoltaic cells, e.g. interconnections or insulating spac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의 일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내측에 원뿔형 삽입공이 구비되는 소켓과, 태양전지모듈의 타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에 상기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삽입되는 원뿔형 삽입부가 구비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소켓의 선단부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밀폐캡으로 구성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의 연결작업시 일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타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플러그의 원뿔형 삽입부를 삽입한 후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밀폐캡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웨지물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케이블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습지나 해상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부위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Moisture and water proof cable connector for a 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의 일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내측에 원뿔형 삽입공이 구비되는 소켓과, 태양전지모듈의 타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에 상기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삽입되는 원뿔형 삽입부가 구비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소켓의 선단부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밀폐캡으로 구성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의 연결작업시 일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타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플러그의 원뿔형 삽입부를 삽입한 후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밀폐캡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웨지물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케이블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습지나 해상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부위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태양전지모듈(Photovoltaic Module)은 도 1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된 베이스판(101)의 상면에 박편도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태양전지(solar cell)(102)가 장착되고, 그 상부에는 투명한 재질로 된 커버판(103)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101)의 후면부에는 베이스판(101)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된 박편도체와 배전용 케이블(105)(106)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함(104)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태양전지모듈(100)은 필요한 발전량에 따라 다수개의 태양전지모듈(100)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다수개의 태양전지모듈(100)을 서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수부재(107a)(107b)로 이루어져 배전용 케이블(105)(106)의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케이블 커넥터(107)를 이용하여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태양전지모듈(100)의 배전용 케이블(105)(106)에 장착되는 케이블 커넥터(107)는 일측 배전용 케이블(105)의 끝단부에 장착된 암부재(107b)에 타측 배전용 케이블(106)의 끝단부에 장착된 수부재(107a)를 끼워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 케이블 커넥터(107)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짐으로 따라 배전용 케이블간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취약해지고 불안정하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태양전지모듈(100)을 습지나 해상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 커넥터(107)의 연결부위로 습기나 물이 쉽게 유입됨에 따라 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쉽게 노후되거나 손상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의 일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내측에 원뿔형 삽입공이 구비되는 소켓과, 태양전지모듈의 타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부에 상기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삽입되는 원뿔형 삽입부가 구비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소켓의 선단부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밀폐캡으로 구성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의 연결작업시 일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타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플러그의 원뿔형 삽입부를 삽입한 후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밀폐캡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웨지물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케이블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습지나 해상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부위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에 연결되는 일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단부내측에는 케이블삽입공이 형성되고 후단부내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원뿔형 삽입공이 형성되며 후단부외주면에는 캡체결용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삽입공의 후단부내주면에는 밀폐링삽입홈이 형성되는 소켓과,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에 연결되는 타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된 몸체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삽입되는 원뿔형 삽입부가 형성되고 원뿔형 삽입부의 후단부외주면에는 상기 소켓의 밀폐링삽입홈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는 밀폐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원뿔형 삽입부의 내측에는 케이블삽입공이 전후방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몸체부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의 캡체결용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전단부내주면에는 상기 소켓의 캡체결용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후단부내주면에는 상기 플러그의 밀폐용 플랜지의 후면에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밀폐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는 태양전지모듈의 연결작업시 일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소켓의 원뿔형 삽입공에 내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타측 배전용 케이블에 장착된 플러그의 원뿔형 삽입부를 삽입한 후 외측밀폐링을 개재한 상태로 밀폐캡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웨지물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케이블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습지나 해상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부위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나)는 일반적인 태양전지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태양전지모듈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켓(2), 플러그(7), 밀폐캡(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2)은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에 연결되는 일측 배전용 케이블(105)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단부내측에는 케이블삽입공(3)이 형성되고, 후단부내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원뿔형 삽입공(4)이 형성되며, 후단부외주면에는 캡체결용 수나사부(5)가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삽입공(4)의 후단부내주면에는 밀폐링삽입홈(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소켓(2)은 배전용 케이블(105)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소켓(2)의 전단부내측에 형성된 케이블삽입공(3)의 내주면과 배전용 케이블(105)의 외주면이 완전히 융착됨에 따라 배전용 케이블(105)의 끝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소켓(2)과 배전용 케이블(105)사이에 전혀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므로 소켓(2)과 배전용 케이블(105)사이의 틈새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러그(7)는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에 연결되는 타측 배전용 케이블(106)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된 몸체부(8)의 전단부에는 상기 소켓(2)의 원뿔형 삽입공(4)에 삽입되는 원뿔형 삽입부(9)가 형성되고, 원뿔형 삽입부(9)의 후단부외주면에는 상기 소켓(2)의 밀폐링삽입홈(6)에 내측밀폐링(12)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는 밀폐용 플랜지(1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8)와 원뿔형 삽입부(9)의 내측에는 전후방을 관통하는 케이블삽입공(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플러그(7)는 배전용 케이블(106)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플러그(7)의 내측에 형성된 케이블삽입공(11)의 내주면과 배전용 케이블(106)의 외주면이 완전히 융착됨에 따라 배전용 케이블(106)의 끝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플러그(7)와 배전용 케이블(106)사이에 전혀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므로 플러그(7)와 배전용 케이블(106)사이의 틈새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밀폐링(12)은 소켓(2)과 플러그(7)사이의 틈새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측밀폐링(12)으로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된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캡(13)은 상기 플러그(7)의 몸체부(8)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2)의 캡체결용 수나사부(5)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전단부내주면에는 상기 소켓(2)의 캡체결용 수나사부(5)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고, 후단부내주면에는 상기 플러그(7)의 밀폐용 플랜지(10)의 후면에 외측밀폐링(16)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는 걸림턱(1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외측밀폐링(16)은 플러그(7)와 밀폐캡(13)사이의 틈새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측밀폐링(16)으로는 내측밀폐링(12)과 동일하게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된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를 사용하여 태양전지모듈을 서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태양전지모듈의 배전용 케이블(105)에 장착된 소켓(2)에 내측밀폐링(12)을 개재한 상태로 타측 태양전지모듈의 배전케이블(106)에 장착된 플러그(7)를 삽입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소켓(2)의 원뿔형 삽입공(4)에 플러그(7)의 원뿔형 삽입부(9)가 삽입됨에 따라 소켓(2)의 케이블삽입공(3)에 삽입된 배전용 케이블(105)의 선단부에 장착된 접속단자(105a)에 플러그(7)의 케이블삽입공(11)에 삽입된 배전용 케이블(016)의 접속단자(106a)가 끼워지게 됨으로써 배전용 케이블(105)과 배전용 케이블(106)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배전용 케이블(106)의 외측에 삽입된 밀폐캡(13)을 외측밀폐링(16)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플러그(7)의 몸체부(8)의 외측에 삽입한 후 소켓(2)의 캡체결용 수나사부(5)에 나사식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캡(13)을 소켓(2)의 캡체결용 수나사부(5)에 나사식으로 체결하게 되면, 밀폐캡(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4)가 소켓(2)의 캡체결용 수나사부(5)에 체결됨에 따라 플러그(7)의 원뿔형 삽입부(9)가 소켓(2)의 원뿔형 삽입공(4)에 쐐기식으로 강하게 삽입되면서 배전용 케이블(105)의 접속단자(105a)와 배전용 케이블(106)의 접속단자(106a)의 결합부위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케이블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소켓(2)과 플러그(7)사이에 개재된 내측밀폐링(12)이 소켓(2)의 밀폐링삽입홈(6)과 플러그(7)의 밀폐용 플랜지(10)의 전면사이에 밀착되면서 소켓(2)과 플러그(7)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동시에 플러그(7)와 밀폐캡(13)사이에 개재된 외측밀폐링(16)이 플러그(7)의 밀폐용 플랜지(10)의 후면과 밀폐캡(13)의 걸림턱(15)사이에 밀착되면서 플러그(7)와 밀폐캡(13)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게 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1)의 내부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1)는 태양전지모듈의 연결작업시 일측 배전용 케이블(105)에 장착된 소켓(2)의 원뿔형 삽입공(4)에 내측밀폐링(12)을 개재한 상태로 타측 배전용 케이블(106)에 장착된 플러그(7)의 원뿔형 삽입부(9)를 삽입한 후 외측밀폐링(16)을 개재한 상태로 밀폐캡(13)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웨지물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케이블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습지나 해상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 커넥터의 연결부위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케이블 커넥터 2 : 소켓
3 : 케이블삽입공 4 : 원뿔형 삽입공
5 : 캡체결용 수나사부 6 : 밀폐링삽입홈
7 : 플러그 8 : 몸체부
9 : 원뿔형 삽입부 10 : 밀폐용 플랜지
11 : 케이블삽입공 12 : 내측밀폐링
13 : 밀폐캡 14 : 암나사부
15 : 걸림턱 16 : 외측밀폐링

Claims (1)

  1.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에 연결되는 일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단부내측에는 케이블삽입공(3)이 형성되고 후단부내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원뿔형 삽입공(4)이 형성되며 후단부외주면에는 캡체결용 수나사부(5)가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 삽입공(4)의 후단부내주면에는 밀폐링삽입홈(6)이 형성되는 소켓(2)과,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에 연결되는 타측 배전용 케이블의 끝단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된 몸체부(8)의 전단부에는 상기 소켓(2)의 원뿔형 삽입공(4)에 삽입되는 원뿔형 삽입부(9)가 형성되고 원뿔형 삽입부(9)의 후단부외주면에는 상기 소켓(2)의 밀폐링삽입홈(6)에 내측밀폐링(12)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는 밀폐용 플랜지(1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8)와 원뿔형 삽입부(9)의 내측에는 케이블삽입공(11)이 전후방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7)와,
    상기 플러그(7)의 몸체부(8)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2)의 캡체결용 수나사부(5)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전단부내주면에는 상기 소켓(2)의 캡체결용 수나사부(5)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고 후단부내주면에는 상기 플러그(7)의 밀폐용 플랜지(10)의 후면에 외측밀폐링(16)을 개재한 상태로 밀착되는 걸림턱(15)이 형성되는 밀폐캡(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KR1020110037772A 2011-04-22 2011-04-22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158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72A KR101158500B1 (ko) 2011-04-22 2011-04-22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72A KR101158500B1 (ko) 2011-04-22 2011-04-22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500B1 true KR101158500B1 (ko) 2012-06-21

Family

ID=4668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7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8500B1 (ko) 2011-04-22 2011-04-22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77B1 (ko) 2014-01-17 2014-10-08 제릭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CN114142292A (zh) * 2021-12-31 2022-03-04 常熟市福莱德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海面专用光伏连接器
KR20230059530A (ko) 2021-10-26 2023-05-03 상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 전지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버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9326A (ja) 2000-06-26 2002-01-1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二極防水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配線構造
JP2003510857A (ja) 1999-09-28 2003-03-18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周囲密封式の計器ループ用アダプタ
KR20050109179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시디에스코리아 수중 초음파 검사 시스템
JP2007537462A (ja) 2004-03-29 2007-12-2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内部ラッチ機構を有する防水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857A (ja) 1999-09-28 2003-03-18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周囲密封式の計器ループ用アダプタ
JP2002009326A (ja) 2000-06-26 2002-01-1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二極防水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配線構造
JP2007537462A (ja) 2004-03-29 2007-12-2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内部ラッチ機構を有する防水電気コネクタ
KR20050109179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시디에스코리아 수중 초음파 검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77B1 (ko) 2014-01-17 2014-10-08 제릭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KR20230059530A (ko) 2021-10-26 2023-05-03 상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 전지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버부재
WO2023074969A1 (ko) 2021-10-26 2023-05-04 샹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 전지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버부재
CN114142292A (zh) * 2021-12-31 2022-03-04 常熟市福莱德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海面专用光伏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8519U (ja) 太陽光発電組立体
TWI398997B (zh) 防水型連接器及太陽光發電裝置
CN201690055U (zh) 一种太阳能光伏组件连接器
US20110097917A1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photovoltaic systems
CN202111117U (zh) 太阳能电池板接线模块
KR101158500B1 (ko) 태양전지모듈용 완전 방습방수형 케이블 커넥터
CN204793377U (zh) 一种插头与插座整合为一体式的防水连接器
CN205790687U (zh) 一种连接器
KR101160636B1 (ko) 태양광모듈의 단자박스 케이블의 암수컨넥터
DE60010436D1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verformbarem einsatz
CN102299497B (zh) 太阳能发电系统的接线模块
CN206893893U (zh) 具有防水功能的连接器
CN205488927U (zh) 太阳能保险丝多功能转接头
CN210723522U (zh) 一种可适应不同线径的光伏组件连接器
CN201234037Y (zh) 太阳能连接器公座
CN201044294Y (zh) 太阳能接线盒导线连接器
CN202205960U (zh) 一种太阳能光伏连接器
CN201112863Y (zh) 防水连接器结构
CN203134740U (zh) 保险管连接器
CN206775458U (zh) 光伏连接器组合
CN103490214A (zh) 线缆连接器组件
CN201667478U (zh) 转接器
CN201541100U (zh) 接线盒
CN208797258U (zh) 一种防水连接器
CN206098901U (zh) 一种防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