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734A -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 Google Patents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734A
KR20150123734A KR1020150057205A KR20150057205A KR20150123734A KR 20150123734 A KR20150123734 A KR 20150123734A KR 1020150057205 A KR1020150057205 A KR 1020150057205A KR 20150057205 A KR20150057205 A KR 20150057205A KR 20150123734 A KR20150123734 A KR 2015012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thrust member
region
devi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575B1 (ko
Inventor
알로이스 예니
Original Assignee
예니 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니 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예니 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12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Abstract

하우징의 오목부(2) 내로 도입되는 케이블(12, 12a)을 위한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에 관한 것이며, 변형 방지구는 하우징의 오목부(2)에서 방사상으로 변위될 수 있는 트러스트 부재(3)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측 클램핑 스크루(9)에 의해 편향되어, 트러스트 부재 반대편의 하우징측 몰드 표면(14)을 향해 케이블(12)의 케이블 피복제를 프레싱하며, 오목부(2)는 그 벽 영역에 상기 트러스트 부재(3)가 배열되는 하우징의 디바이스 벽(1)을 통과하고, 트러스트 부재(3) 반대편의 하우징측 몰드 표면(14)은, 몰드 표면(14)과 비교하여 확장된 디바이스 벽(1)에 있는 오목부(2) 내로 이행하는 케이블 피복제의 지름에 거의 맞추어진 몰드 표면(14)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ELECTRICALLY CONDUCTIVE HOUSING WITH CABLE STRAIN RELIEF AND SHIELD CONNEC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서문에 따른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제1항의 서문에 따른 요지는 DE 28 01 483 C2에 의해 공지되어 만들어졌다. 납땜 인두와 같은 전기 디바이스의 핸들 내로 케이블의 도입에 대하여 변형 방지구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전기 디바이스는 케이블을 위한 관통 보어를 가진다. 케이블은 케이블 상의 과잉 좌굴 응력을 방지하는 비결함(anti-kink) 슬리브에 의해 봉입된다.
공지된 변형 방지구는, 트러스트 부재로서 작용하고 핸들의 나사공에 배열된 클램핑 스크루에 의해 형성된다. 트러스트 부재는, 구형 방식으로 그 자유 단부에서 확장되고 클램핑 스크루의 볼트측 상의 중앙 구멍에 배열되는 스템(stem) 형상 돌출부를 가진다. 결합의 부위는 클램핑 스크루의 볼트측 단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전기 케이블을 위한 이러한 변형 방지구가 그 가치를 증명하였지만, 변형 방지구가 정교한 디자인을 가지고 그 축선 길이라는 면에서 많은 공간을 점유한다는 결점을 가진다.
트러스트 부재의 압축을 위해 요구되는 클램핑 스크루는 록킹 방식으로 트러스트 부재의 관련 구형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 볼트측 단부에서 슬롯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러스트 부재는 연계되지만 압력을 전달하도록 클램핑 스크루에 부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은 또한 큰 축선 공간 요구를 가지는 정교한 구성이며; 결국, 트러스트 부재는 하우징에 있는 오목부를 통한 종방향 연장에 평행한 그 종방향 연장과 정렬된다.
공지된 장치의 또 다른 결점은 비결함 슬리브에 의해 보호되는 케이블이 빠듯한 굽힘 반경(tight bending radius)으로 하우징과 디바이스 벽으로부터 외부로 통할 수 없으며, 이는 빠듯한 설치 공간(tight installation space)에서 이러한 하우징의 설치를 막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종방향으로 하우징에 배열된 변형 방지구가 적은 설치 공간을 점유하여서, 하우징이 빠듯한 설치 공간에서도 그 안에 배열되는 응력 방지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도록, DE 28 01 483 C2에 따른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기술적 교시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본질적인 특징은 변형 방지구 자체가 하우징의 디바이스 벽의 오목부에 지금 배열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하우징에서 스템 또는 슬리브의 방식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이 그 안에 배열되었고, 이는 케이블의 축선 방향으로 긴 설치 길이와 관련되기 때문에, DE 28 01 483 C2와 상당한 차이를 구성한다.
이러한 것은, 하우징의 비교적 얇은 벽 또는 좁은 디바이스 벽에 단지 하나의 오목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입되는 경우에, 변형 방지구가 오목부의 벽 영역에 있는 트러스트 부재와 정렬되어서, 트러스트 부재가 디바이스 벽의 벽 영역을 지나서 돌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변형 방지구가 디바이스 벽의 오목부의 영역에서 단독으로 및 독점적으로 배열되고 하우징 내로 또는 하우징 치수 이상 밖으로 연장하면(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능한 가장 빠듯한 공간에 있는 변형 방지구를 유발한다.
그 안으로 변형 방지될 케이블이 프레싱되는 트러스트 부재 반대편의 하우징측 몰드 표면이 케이블의 형상에 대략 적응되고 바람직하게 그 안으로 클램핑될 케이블이 프레싱되는 대략 반원형 표면으로 이루어지면 특히 유익하다.
이러한 것은, 비교적 평탄한 하우징 벽에 대하여 단지 평탄하게 트러스트 부재 반대편 측부 상에서 케이블이 가압되지 않고(DE 28 01 483 C2에 따라서), 대신 그 안으로 변형 방지될 케이블이 프레싱되는 케이블 피복제의 지름에 대략 적응되는 대략 반원형 몰드 표면이 제공되는 이점을 유발한다. 이러한 것은 변형 방지될 케이블 피복제의 주변에 걸쳐서 큰 접촉 강도를 유발하고, 따라서,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변형 방지 효과를 유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은 원치않는 방식으로 평탄하게 가압되지 않고, 그 프로파일 형상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내부에 배열된 케이블 가닥의 손상이 방지된다.
다른 이점은, 트러스트 부재가 또한 대략 반원형 또는 1/4 원형 차폐물 표면 접촉 영역을 형성하며, 트러스트 부재의 내부 상에 배열되는 이러한 차폐물 표면 접촉 영역은 디바이스 벽에 있는 반원형 오목부의 영역에서 마주한 반원형 몰드 표면 내로 변형 방지될 케이블을 가압하고, 이에 의해, 밀봉 효과 및 증가된 클램핑 효과가 변형 방지될 케이블 상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트러스트 부재의 형상에 의해, 케이블의 프레싱 평탄(pressing-flat)이 이러한 측부 상에서 또한 방지된다.
그러므로, 트러스트 부재는 케이블 피복제의 한쪽 측부에 대해 관련 클램핑 스크루에 의해 비교적 작은 양의 힘으로만 프레싱되어야만 하여서, 케이블은 디바이스 벽에 있는 대략 반원형 오목부 내에서 마주하는 측부가 이러한 낮은 프레싱력으로 프레싱되어, 추가로 콤팩트화되고 거기에서 압축된다.
그러므로, 강한 클램핑 효과가 가장 작은 공간에서 적은 작동력으로 케이블을 위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처음으로 비교적 얇은 디바이스 벽에 변형 방지구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블의 변형 방지구 뒤에, (가능하게 큰) 굽힘 반경으로 디바이스 벽으로부터 직접 이를 밖으로 이끄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변형 방지 슬리브와 유사한 불필요한 비결함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변형 방지된 케이블이 선택적으로 큰 굽힘 반경으로 및 가장 작은 공간에서 디바이스로부터 밖으로 이끌려질 수 있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을 처음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러스트 부재의 종방향축의 영역에서 트러스트 부재 상에서 서로 인접하고 동일 평면으로 결합하는, 서로 일정 거리에 배열된 2개의 클램핑 스크루를 통하여 트러스트 부재의 반경 쉬프팅이 일어나는 준비가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2개의 클램핑 스크루의 균일한 조임을 통하여, 트러스트 부재는 클램핑될 케이블의 이전에 도입된 케이블 피복제에 대해 균일하게 프레싱될 수 있으며, 케이블은 그런 다음 하우징 벽 내로 트러스트 부재 반대편의 몰드 표면의 대략 반원형의 프로파일 개구 내로 균일하게 프레싱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러스트 부재는 돌출부들이 양측부 상에서 대칭으로 형성되는 저부 벽으로 이루어진 대략 C-형상의 금속체(metal body)로 이루어져서, 트러스트 부재는 대체로 대략 C-형상의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력 증가 프로파일이 C-프로파일의 영역에, 즉 트러스트 부재의 차폐 표면 접촉 영역의 영역에 배열되는 준비가 만들어진다.
제1 실시예에서, 트러스트 부재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연속 바(continuous bar)가 이 영역에 배열되는 준비가 만들어질 수 있다. 연속 바 대신에, 다수의 리브, 프로파일 너브(profile nub)들 또는 팁(tip)들이 또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케이블을 위한 변형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케이블 피복제가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그런 다음 노출된 브라이드(braid)가 케이블 피복제 주위에서 뒤집혀서, 브라이드가 케이블 피복제의 외부에 기대고, 이러한 방식으로 준비된 차폐된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디바이스 벽 내로 끼워져서, 노출된 브라이드가 트러스트 부재와 전기 접촉되기 때문에, 차폐된 케이블을 위한 변형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특별히 가치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트러스트 부재 및 하우징 벽에 있는 반대편 몰드 표면의 내주변과 브라이드의 확실한 접촉은, (상기된 바와 같이) 트러스트 부재가 반원형 하우징 개구 내로 압축의 방식으로 변형 방지될 케이블을 프레싱하고, 이에 의해 케이블이 이러한 반원형 하우징 개구에 끼워지게 되고(wedged), 그러므로, 그 안에 위치된 차폐 브라이드의 가닥과 하우징 벽 상의 전기 접촉 표면의 최적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달성된다.
디바이스 벽에 있는 반원형 오목부에서 케이블의 끼워짐(wedging) 또는 클램핑 효과 이외에, 관련된 전기 전도성 하우징 벽들과 차폐 브라이드의 우수한 접촉이 또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개에서, 마찰 또는 접촉 향상 조치들이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벽에 있는 반원형 오목부의 이러한 하우징 벽들의 영역에서 추가로 실행되는 준비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마찰 또는 접촉 향상 조치들은 예를 들어 차례로 바, 팁, 프로파일 너브 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트러스트 부재의 저부면 상의 관련 막힌 구멍에 결합하는 2개의 마주한 클램핑 스크루의 도움으로, 트러스트 부재가 디바이스 벽에서 마주하는 대략 반원형의 하우징 개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및 균일하게 변위된 것이 도시된다.
이러한 것은 거기에서 프레싱된 케이블 피복제의 설명된 클램핑 및 끼워짐 효과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지 단일의 클램핑 스크루가 사용될 수 있도록, 트러스트 부재가 한쪽 측부 상에 선회-장착되는 준비가 만들어진다. 클램핑 스크루 대신에, 인장 스크루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트러스트 부재의 한쪽 단부는 예를 들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디바이스 벽의 한쪽 측부에서 지지되는데 반하여, 트러스트 부재의 반대편 측부는 케이블 피복제를 향해 단일 클램핑 스크루(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에 의해 프레싱된다.
제3 실시예에서, 지지 로드 상에서 설명된 선회 마운트 대신에, 트러스트 부재가 디바이스 벽에 있는 슬롯에 연장된 편심 단부와 결합하고 회전 가능하고 위치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거기에 수용되는 준비가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단일 클램핑 스크루만이 사용된다.
제3 실시예에서, 중앙 클램핑 스크루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벽에 있는 마주한 반원형 몰드 표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트러스트 부재가 구현되는 준비가 만들어질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발명은 굽혀지지 않고 비가요성인 트러스트 부재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트러스트 부재가 굽힘 가능하도록 굽힘 가능한 금속재 또는 금속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준비가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개별적인 청구항의 요지로부터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청구항들의 서로의 조합으로부터 따른다.
요약서, 특히 도면에 도시된 공간적 실시예에서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정보 및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종래의 관점에서 신규한 것들인 한 본 발명에 대해 본질적인 것으로서 청구된다.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대해 본질적인 특징 및 이점은 그 도면 및 설명으로부터 따른다.
도 1은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의 디바이스 벽을 통한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는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3은 추가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 1에 따른 도면의 확대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트러스트 부재의 저부측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트러스트 부재의 측면도,
도 6은 트러스트 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도 5에 있는 선 7-7을 따르는 트러스트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트러스트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서의 트러스트 부재의 개략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서의 트러스트 부재의 개략도,
도 11은 제4 실시예에서의 트러스트 부재의 개략도,
도 12는 차폐 브라이드를 구비한 케이블의 조립 전에 삽입된 트러스트 부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에 있는 디바이스 벽의 사시도,
도 13은 변형 방지구를 위해 제공된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과 비교하여 변형된 변형 방지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 및 도 15와 비교하여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트러스트 부재 및 단일 클램핑 스크루를 구비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클램핑 방식으로 둥근 프로파일을 구비한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디바이스 벽에 있는 다각형 몰드 표면을 구비한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 및 도 20은 도 1 및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21은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구비한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변형 방지구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바람직하게 차폐된 케이블(12)이 변형 방지된 방식으로 가이드되는 폐쇄된 하우징 본체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하우징(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의 디바이스 벽(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대략 타원형인 오목부(2)가 디바이스 벽(1)에 배치되며, 디바이스 벽(1)을 통과하며 그 상부 영역에서 반원형 몰드 표면(14)으로서 지정된 대략 반원형의 추가의 오목부 내로 이행한다.
트러스트 부재(3)는 대략 타원형인 오목부(2)의 영역에 삽입되고, 나사공(13)들에 삽입된 2개의 클램핑 스크루(9)들의 도움으로 그 저부측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러므로 둥근 프로파일을 가지는 몰드 표면(14)의 상부측을 향하여 오목부(2) 및 몰드 표면(14)에 배치된 차폐된 케이블(12)을 프레싱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폐된 케이블(12)은 케이블(12)의 외피(5) 위에 배치되므로 변형 방지구의 영역에서 케이블(12)의 외주변을 형성하는 케이블 차폐물(4)로서, 및 전기 전도성 케이블 차폐물(6)에 의해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봉입된 케이블(12)의 내부에 배열된 케이블 가닥들로서 존재한다.
절연층(7)들은 케이블 가닥(8)들 사이에 공지의 방식으로 배열된다.
그 내주면에서, 트러스트 부재(3)는 차폐 표면 접촉 영역(10)을 형성하고, 이러한 접촉 영역은 적응된 프로파일로, 외피(5) 뿐만 아니라 임시(laid-over) 케이블 차폐물(4)을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싱한다.
그러므로, 도 3에 따라서, 트러스트 부재(3)는 오목부(2) 및 그러므로 또한 몰드 표면(14)에서 방사상으로 화살표 방향(21)으로 변위되어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 스크루(9)들은 바람직하게 트러스트 부재(3)의 저부 벽(27)의 관련 막힌 구멍(16)(도 9, 도 11 및 도 14 참조)에서 그 팁과 결합하는 원뿔형으로 테이퍼진 세트 스크루로서 구현된다.
도 4는 상호 나란한 막힌 구멍(16)들을 구비한 저부 벽(27)을 도시하는데 반하여, 도 5 및 도 6은 트러스트 부재(3)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융기된 리브(23)들이 대략 반원형 프로파일을 구비한 정면 접촉 영역(10)의 영역에 제공되고, 융기 리브(23)는 트러스트 부재(3)의 종방향 축(26)에 평행하게 진행하고, 전체 차폐 표면 접촉 영역(10)을 건너뛰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리브(23) 대신에, 몇개의 인접한 리브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리브(23)들은 또한 너브들 또는 다른 마찰 향상 수단에 의해 차단되거나 또는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차폐 표면 접촉 영역(10)이 또한 완전히 매끄럽게 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도 10은 차폐 표면 접촉 영역이 마찰 향상 팁(15) 등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 11은 트러스트 부재(3)가 이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디바이스 벽(1)의 오목부(2)에 있는 슬롯(20) 내로 편심 굽힘 단부(18)가 일측부 상에서 선회-장착되고 화살표 방향(19)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거기에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단일 클램핑 스크루가 막힌 구멍(16)에 결합하면, 트러스트 부재(3b)의 자유, 회전 가능한 단부는 화살표 방향(19)으로 위를 향해 프레싱되고, 그러므로 몰드 표면(14) 내로 케이블(12)의 케이블 피복제를 프레싱한다.
대조적으로, 도 10은 화살표 방향(19)으로 회전 운동 대신에, 화살표 방향(21)으로 동시 방사상 슬라이딩 움직임이 또한 트러스트 부재(3a) 또는 도 3에 따른 트러스트 부재(3)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구를 지금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디바이스 벽(1)에 있는 변형 방지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3에 도시된 차폐된 케이블(12)이 지금 외피(5)로부터 해제되고, 그 아래 위치된 케이블 차폐물(6)이 임시 케이블 차폐물(4)로서 지금 다시 꺽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프레싱 표면(25)의 영역에 있는 트러스트 부재(3, 3a, 3b)의 차폐 표면 접촉 영역(10)을 임시 케이블 차폐물(4) 상으로 프레싱하기 위한 프레싱 표면(25)을 초래한다.
도 13에 따른 조립된 위치에서, 케이블(12)은 특히 트러스트 부재(3)가 그 차폐 표면 접촉 영역(10)이 케이블(12)의 프레싱 표면(25)의 밑에 놓이는 동시에, 케이블(12)의 상부측이 몰드 표면(14)의 내주변에 기대도록 도 12에 따라서 준비된 변형 방지구 내로 끼워진다.
이러한 것은 변형 방지구의 영역에서 임시 케이블 차폐물(4)의 모든 측부에서 포괄적인 접촉을 유발하며, 이는 종래와 비교하여 우수한 케이블 차폐물(4)의 작동적으로 신뢰 가능한 접촉을 이끈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폐된 케이블(12)을 위한 변형 방지구로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블 차폐물(4, 6)를 가지지 않는 다른 케이블들이 또한 변형 방지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 및 비차폐형 단일 또는 멀티 코어 케이블 및 가닥들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트러스트 부재(3, 3a, 3b)가 가요성, 절연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클램핑 스크루(9)들이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준비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 도면에 따른 이상적인 본 발명의 다양한 전개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변형 방지구가 또한 오버헤드 배열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5는 그 주위에서 트러스트 부재(3)가 화살표 방향(19)으로 회전될 수 있는 선회 마운트(22)가 한쪽 측부에서 회전 가능한 트러스트 부재의 지지부를 도시하고, 이는 그런 다음 단지 단일 클램핑 스크루(9)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반하여, 도 16은 트러스트 부재가 상부 오목부의 영역에서 케이블 피복제에 적합한 몰드 표면(14) 내로 클램핑되도록(12) 케이브를 프레싱하고 이를 거기에 끼우기 위하여 단일 클램핑 스크루(9)에 의해서만 대칭 부분으로서 또한 편향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 4 내지 도 8에 따라서, 트러스트 부재(3)가 금속 부분, 바람직하게 경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상호 대칭인 돌출부(28)들이 저부 벽(27) 상으로 몰딩되고, 그러므로 트러스트 부재(3)로서 대략 전체적으로 C-형상인 프로파일 부분을 유발하면 바람직하다.
트러스트 부재가 디바이스 벽(1)의 오목부(2)에서 착좌된 동일 평면이거나 또는 정면 또는 후면으로 디바이스 벽(1)으로부터 외부로 트러스트 부재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벽(1)의 두께보다 한층 좁도록, 트러스트 부재(3)의 종방향 축(28)이 오목부(2)의 횡방향 축(29)(도 3 참조)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것은 (디바이스 벽(1)의 두께에 대응하는) 가장 작은 공간에서 케이블(12)의 확실한 변형 방지를 가능하게 하고, 케이블(12)은 적은 힘으로 180°보다 작은 원주 방향 각도를 봉입하는 몰드 표면(14) 내로 작동되어 거기에 끼워질 수 있는 트러스트 부재가 프레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지구의 오버헤드 조립체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트러스트 부재(3)가 도 1 내지 도 13에서처럼 서있는 방식으로 뿐만 아니라 매달린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트러스트 부재(3)에서 결합하는 클램핑 스크루(9)들의 팁이 트러스트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준비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Seeger 링(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들이 클램핑 스크루(9)들과 이와 결합된 트러스트 부재(3)들 사이의 회전 가능한 하중 전달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트러스트 부재 상의 각각의 오목부(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결합하는 팁 상에 배열되도록 행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트러스트 부재(3)는 클램핑 스크루(9) 상에 매달린다.
그러나, 도 14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클램핑 스크루(9)들의 방향으로 매달린 트러스트 부재(3) 상의 하중 전달 연결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트러스트 부재는 클램핑 스크루들로부터 분리되도록 구현된다.
도 1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트러스트 부재(3)가 디바이스 벽(1) 상의 오목부(2)에서 한쪽 측부 선회 마운트(22)의 영역에 선회 장착되고 트러스트 부재(3)의 단지 회전 가능한 자유 단부가 클램핑 스크루(9)에 의해 편향되는 준비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러스트 부재(3)는 케이블을 클램핑 및 해제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벽(1)에 있는 마주하는 몰드 표면(14)의 방향으로 화살표 방향(19)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6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180°보다 큰 원주 각도로 클램핑 케이블(12)을 봉입하는 단지 하나의 트러스트 부재(3b)가 제공된다.
도 17은 트러스트 부재(3)가 180°보다 작은 원주 각도로 케이블(12)을 봉입하는 도 16과 비교하여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블(12)이 다각형 프로파일을 가지는 몰드 표면(14a)에 또한 클램핑될 수 있다는 것이 도시된다.
다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몰드 표면(14a)의 실시예는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클램핑된 케이블(12)이 몰드 표면(14a)에서 의도하지 않은 비틀림과 비교하여 한층 양호하게 보호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케이블(12)은 말하자면 다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몰드 표면(14a)에서 유연하게 몰딩되고, 몰드 표면(14a)의 다각형 가장자리에 적응되고, 그런 다음 포지티브 및 논포지티브 방식으로 프레싱된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 및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 설명은 또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8의 도면에 관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몰드 표면(14, 14a)의 프로파일링을 케이블(12)의 프로파일링에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것은 케이블(12)의 프로파일이 몰드 표면(14)의 프로파일과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블(12)은 그런 다음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몰드 표면(14)에 수용되는데 반하여, 케이블(12)의 다각형 프로파일은 적합하게 프로파일링된 몰드 표면(14a)에 수용된다.
이러한 예는 도 21에 도시된다. 도면에서,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블(12) 대신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섬유 케이블로서 구현되는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블(12a)이 또한 클램핑될 수 있다. 직사각형 프로파일은 단지 클램핑될 케이블의 수많은 가능한 프로파일 형상의 대표로서 도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블의 변형 방지구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블을 위한 변형 방지구를 포함하며, 이는 케이블(12, 12a)에 접합하는 트러스트 부재(3, 3a)의 적응 표면(프레싱 표면)이 케이블의 프로파일에 적응되며 이에 대응하는 도 18 및 도 21로부터 따른다.
그러나, 도 18에 관하여,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케이블(12)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벽(1)에 있는 몰드 표면(14a)이 케이블의 주변으로부터 벗어나는 프로파일(예를 들어, 다각형 프로파일)을 가지는데 반하여, 케이블(12)의 외피 상의 반대편 측부를 향해 하중 전달 방식으로 접합하는 트러스트 부재의 프레싱 표면이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준비가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1 디바이스 벽 2 오목부
3 트러스트 부재(3a, 3b) 4 케이블 차폐물(외부)
5 외피 6 케이블 차폐물
7 절연층들 8 케이블 가닥들
9 클램핑 스크루 10 차폐 표면 접촉 영역
11 관통공 12 차폐된 케이블
12a 직사각형 케이블 13 나사공
14 몰드 표면(2에 있는) 14a 몰드 표면(2에 있는)
15 팁들 16 막힌 구멍
17 - 18 굽힘 단부
19 화살표 방향 20 슬롯(1에 있는)
21 화살표 방향 22 선회 마운트
23 리브 24 화살표 방향
25 프레싱 표면 26 종방향축(3의)
27 저부 벽(3의) 28 돌출부(3의)
29 횡방향축(2의)

Claims (10)

  1. 하우징의 오목부(2) 내로 도입되는 케이블(12, 12a)을 위한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으로서,
    상기 변형 방지구가 하우징의 오목부(2)에서 방사상으로 변위될 수 있는 트러스트 부재(3, 3a, 3b)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측 클램핑 스크루(9)에 의해 편향되어, 트러스트 부재(3, 3a, 3b) 반대편의 하우징측 몰드 표면(14, 14a)을 향해 케이블(12, 12a)의 케이블 피복제를 프레싱하며,
    오목부(2)는 그 벽 영역에 트러스트 부재(3, 3a, 3b)가 배열되는 하우징의 디바이스 벽(1)을 통과하고, 트러스트 부재(3, 3a, 3b) 반대편의 하우징측 몰드 표면(14, 14a)은, 몰드 표면(14, 14a)과 비교하여 확장된 디바이스 벽(1)에 있는 오목부(2) 내로 이행하는 케이블 피복제의 지름에 거의 맞추어진 몰드 표면(14, 14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클램핑 스크루(9)들이 트러스트 부재(3, 3a, 3b)를 방사상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트러스트 부재(3) 상에서 서로의 결합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러스트 부재(3, 3a, 3b)는 대략 C-형상 금속체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피복제에 대해 정렬된 금속체의 표면은 케이블 차폐물(4, 6)의 금속성 브라이드(braid)의 접촉을 위한 차폐물 접촉 영역(10)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 피복제의 외주변에 기대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3)는 트러스트 부재(3, 3a, 3b)에 있는 차폐 접촉 영역(10)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케이블 피복제에 대해 정렬된 팁(15)들은 차폐 접촉 영역(10)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러스트 부재(3a)는 한쪽 측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디바이스 벽(1)의 오목부(2)에서 지지되고, 단지 하나의 클램핑 스크루(9)가 트러스트 부재(3)의 자유, 회전 가능한 부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러스트 부재(3a)는 한쪽 측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디바이스 벽(1)에 있는 슬롯(20)에서 지지되고, 단지 하나의 클램핑 스크루(9)가 트러스트 부재(3)의 자유, 회전 가능한 부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러스트 부재(3)의 종방향 축(26)은 디바이스 벽(1)에 있는 오목부(2)의 횡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략 반원형 몰드 표면(14)의 프로파일은 18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5) 위에서 외향하여 놓인 케이블 차폐물(4)의 브라이딩은 디바이스 벽(1)에 있는 전기 전도성 표면(14)을 향하여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인 트러스트 부재(3)에 의해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프레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방지구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KR1020150057205A 2014-04-25 2015-04-23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KR101704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6061.6A DE102014006061B4 (de) 2014-04-25 2014-04-25 Elektrisch leitendes Gehäuse mit Kabelzugentlastung und Schirmanbindung
DE102014006061.6 2014-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734A true KR20150123734A (ko) 2015-11-04
KR101704575B1 KR101704575B1 (ko) 2017-02-08

Family

ID=5426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205A KR101704575B1 (ko) 2014-04-25 2015-04-23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53903B2 (ko)
KR (1) KR101704575B1 (ko)
CN (1) CN105006787B (ko)
DE (1) DE10201400606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4375B (zh) * 2017-09-29 2023-10-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紧固结构
CN117595018B (zh) * 2023-11-13 2024-04-16 广东省东昇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电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8288U1 (de) * 2003-05-27 2003-07-24 Hummel Anton Verwaltung Vorrichtung mit einem Gehäuse und mit zumindest einem Stromanschluß
KR20120099133A (ko) * 2009-12-24 2012-09-06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케이블 접합부
US20140069904A1 (en) * 2012-09-07 2014-03-13 Michael Allen Sammons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system cable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01736A (de) * 1938-07-25 1938-12-15 Grossauer Kramer Vorrichtung an elektrischen Steckkontakten zum Festhalten der Schnur.
DE2801483A1 (de) 1978-01-13 1979-07-19 Cooper Ind Inc Zugentlastung fuer elektrisches kabel
SE469767B (sv) * 1991-09-20 1993-09-06 Tommy Jenving Anordning vid anslutning av ledning
DE19606050C2 (de) * 1996-02-19 2000-03-23 Erni Elektroapp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einem zweiteiligen, abgeschirmten Isoliergehäuse
DE29701117U1 (de) * 1997-01-23 1997-03-20 Rutenbeck Wilhelm Gmbh & Co Elektrisches Installationsmittel
SE528689C2 (sv) * 2005-05-30 2007-01-23 Roxtec Ab Ram med avskärmning vid kabel- och/eller rörgenomföringar i en vägg eller annan skiljedel
CN201134571Y (zh) * 2007-11-30 2008-10-15 韩剑桦 电连接装置及其插头、插座
SE533818C2 (sv) * 2009-02-04 2011-01-25 Roxtec Ab Excentrisk del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DE202011101380U1 (de) 2011-06-01 2011-08-0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abelzugentlastung und Steckverbinder mit Kabelzugentlastung
CN102361176B (zh) * 2011-09-30 2013-11-20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快速接线端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8288U1 (de) * 2003-05-27 2003-07-24 Hummel Anton Verwaltung Vorrichtung mit einem Gehäuse und mit zumindest einem Stromanschluß
KR20120099133A (ko) * 2009-12-24 2012-09-06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케이블 접합부
US20140069904A1 (en) * 2012-09-07 2014-03-13 Michael Allen Sammons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system cable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575B1 (ko) 2017-02-08
DE102014006061A1 (de) 2015-10-29
CN105006787A (zh) 2015-10-28
US20150311690A1 (en) 2015-10-29
DE102014006061B4 (de) 2019-01-17
CN105006787B (zh) 2017-09-22
US9653903B2 (en)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0886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US8262406B2 (en) Connector housing with angled strain relief element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RU2198455C2 (ru) Вставная муфт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шланговых кабеле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одземных горных разработках
US7251409B2 (en) Cable strain relief design for limited space through-hole applications
JP2012508432A (ja) 回転防止同軸コネクタ
JP2013507892A5 (ko)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EP2486635B1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KR101704575B1 (ko)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CN111149258A (zh) 用于电引线的支撑桶
US10254489B2 (en) Connector for optic fiber cable and crimping tool for optic fiber cable
US9419348B2 (en) Connecting arrangement with a crimp connector and a wire fixed in place to the crimp connector
KR101428771B1 (ko) 케이블 그랜드
KR20170016001A (ko) 전기 도전체와 접촉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 종류의 장치를 갖는 연결 또는 연결하는 디바이스
US20100285688A1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clamp
JP2019102448A (ja) シールド丸形プラグインコネクタ
KR101448077B1 (ko) 전기 커넥터의 케이블 접속구조
JPH0454924B2 (ko)
TW201008054A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coaxial connector to a mating component
US10431352B2 (en) Cab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ble
KR20110003503U (ko) 케이블 포설기구
AU773336B2 (en) Electrical cable gland
EP2677602B1 (fr) Connecteur de raccordement pour au moins deux câbles électriques
KR101303393B1 (ko)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