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781B1 - 케이블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781B1
KR101311781B1 KR1020110143986A KR20110143986A KR101311781B1 KR 101311781 B1 KR101311781 B1 KR 101311781B1 KR 1020110143986 A KR1020110143986 A KR 1020110143986A KR 20110143986 A KR20110143986 A KR 20110143986A KR 101311781 B1 KR101311781 B1 KR 10131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cable
structural cable
structural
watertigh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585A (ko
Inventor
성택룡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7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상에 설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고정장착되는 앵커블럭 및 상기 장치몸체에서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블럭에 의해 가압되어 구조용 케이블을 따라 유입되는 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제공되는 수밀수단를 포함하는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용 케이블이 장착되는 앵커블럭을 이용하여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구조용 케이블을 따라 흐르는 물 등의 장치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정착장치{Fixing Mechanism Of Structural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조용 케이블이 장착되는 앵커블럭을 이용하여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물 등의 장치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토록 구성된 케이블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용 케이블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주요 요소에 사용되는 케이블로, 다수의 케이블 가닥들을 포함하고 그 끝단은 정착장치에 의해 건설 요소에 고정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조용 케이블 정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면, 구조용 케이블(10)의 정착부(8)와 정착전단부(2)에는, 연선(1)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왁스와 같은 충진재가 주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정작장치는 연선(1)과 충진재 사이의 공극을 통해 충진재가 정착전단부(2)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포성 충진재와 패킹부재(3)를 가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즉, 가압나사(6)를 돌려주어 가압플레이트(5)를 가압함으로써, 패킹부재(3)를 압착하고, 이로 인해 패킹부재(3)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며 연선(1)을 가압함으로써 연선(1)과 충진재 사이의 공극을 통해 누출되는 충진재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가압을 통해 구조용 케이블(10)를 타고 흐르는 물 등의 장치 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용 케이블 정착장치는 충진재의 누출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가압나사(6)를 일일이 돌려 잠그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케이블를 따라 흐르는 물 등이 외부로부터 장치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종래와는 다르게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앵커블럭을 당겨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장치 내부를 수밀토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케이블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케이블 정착장치는 구조물상에 설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고정장착되는 앵커블럭 및 상기 장치몸체에서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블럭에 의해 가압되어 구조용 케이블을 따라 유입되는 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제공되는 수밀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블럭은 상기 앵커블럭의 내부를 이루고, 구조용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이 복수로 구비된 천공부와 상기 앵커블럭의 후단에 장착되고, 상기 천공부에 삽입된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웨지블럭 및 상기 앵커블럭의 선단을 이루고,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상기 앵커블럭 이동시 상기 수밀수단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밀수단은 구조용 케이블이 관통하며 지나도록 복수의 홀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플레이트 및 구조용 케이블에 밀착되어 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부재가 제공되되, 상기 천공플레이트는 상기 장치몸체에서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는 측에 밀착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수밀수단은 상기 앵커블럭에 의해 가압될 때 발생되는 부하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하중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블럭에 의해 상기 수밀수단이 가압될 때, 일정부하가 인가되도록 상기 앵커블럭과 상기 장치몸체간에 연계되어 제공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치몸체에서 상기 수밀수단의 후단측에 일정거리를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톱홈 및 상기 앵커블럭에 구비되고 상기 스톱홈에 간극을 두고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앵커블럭의 후단측에 제공되고 상기 장치몸체의 걸림턱부에 접촉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와 상기 장치몸체간에 연계되고 상기 돌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케이블 정착장치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패킹부재를 별도의 장치없이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당겨지는 앵커블럭를 이용하여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장치 내부를 수밀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정착장치의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케이블 정착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앵커블럭의 가압부가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하여 수밀수단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앵커블럭이 당겨져 패킹부재가 압축되며 장치 내부가 수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케이블 정착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구조용 케이블이 장착되는 앵커블럭을 이용하여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물 등의 장치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토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케이블 정착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앵커블럭의 가압부가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하여 수밀수단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앵커블럭이 당겨져 패킹부재가 압축되며 장치 내부가 수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케이블 정착장치(100)는 구조물상에 설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장치몸체(110)와 상기 장치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고정장착되는 앵커블럭(200) 및 상기 장치몸체(110)에서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블럭(200)에 의해 가압되어 구조용 케이블을 따라 유입되는 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제공되는 수밀수단(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몸체(110)는 상기 앵커블럭(200)과 수밀수단(300)이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는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실린더블럭(120) 및 상기 실린더블럭(120)과 연계되고 구조물의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블럭(120)이 구조용 케이블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블럭(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몸체(110)의 후단에 밀봉결합되고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를 보호토록 충진재가 투입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캡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블럭(130)은 구조용 케이블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토록 구조용 케이블이 장착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구조물의 지지플레이트에 접촉되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130)과 상기 실린더블럭(120)은 나사선 등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블럭(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앵커블럭(200)이 구조용 케이블에 의해 받게 되는 하중을 상기 지지블럭(130)에 의해 지지토록 배치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20)은 상기 지지블럭(130)과 나사선에 의해 결합된 후단부에서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 장착되는 선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120)의 후단에는 캡부재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캡부재에는 플러그가 장착되는데, 상기 플러그는 상기 장치몸체(110)에 투입 장착되는 구조용 케이블이 공기나 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포성 충진재가 투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플러그는 오리피스(orifice)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포성 충진재가 투입된 후 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용 케이블은 다수의 소선들이 꼬아진 형태로 마련되며, 부식을방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다수의 소선, 즉 연선 외부 둘레에 따라 외피를 두루고 있으나, 상기 앵커블럭(2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의 외피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외피 제거시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는 공기와 물 등에 노출되어 산화,부식될 염려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진재를 투입한다. 충진재는 구조용 케이블의 외피가 벗겨진 단부에서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투입되는 것으로, 대략 100~200℃ 정도의 고온 상태의 액상으로 상기 플러그를 통해 투입되며, 상기 장치몸체(1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식으며 고형화 되어진다.
충진재가 상기 장치몸체(110)내부에서 단단히 굳으며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로의 공기나 물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장치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앵커블럭(200)은 상기 앵커블럭(200)의 내부를 이루고, 구조용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이 복수로 구비된 천공부(210)와 상기 앵커블럭(200)의 후단에 장착되고, 상기 천공부(210)에 삽입된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웨지블럭(wedge block, 220) 및 상기 앵커블럭(200)의 선단을 이루고,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상기 앵커블럭(200) 이동시 상기 수밀수단(300)을 가압하는 가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앵커블럭(200)의 내부에는 구조용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천공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천공를 통해 상기 장치몸체(110)의 선단부에서 투입되는 각각의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고 상기 앵커블럭(200)에 장착된다.
상기 앵커블럭(200)의 후단부에는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된다.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앵커블럭(200)의 후단부에 고정되기 위해 외피가 벗겨진 상태이며, 각각의 구조용 케이블은 상기 앵커블럭(200)의 후단부에서 웨지블럭(22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블럭(200)의 전단부는 평평한 면의 행태를 가진다. 이는 구조용 케이블에 의해 상기 앵커블럭(200)에 인가되는 하중를 이용하여 상기 수밀수단(300)을 효과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형태이다.
한편, 상기 앵커블럭(200)의 전단부에서 양측 둘레에 따라 스토퍼부(400)가 제공되되, 상기 스토퍼부(400)는 상기 장치몸체(110)에서 상기 수밀수단(300)의 후단측에 일정거리를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톱홈(410) 및 상기 앵커블럭(200)에 구비되고 상기 스톱홈(410)에 간극(A)을 두고 삽입되는 돌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블럭(200)에 구조용 케이블이 개별 장착되고, 구조용 케이블에 의해 상기 앵커블럭(200)에 인가되는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수밀수단(300)을 가압할 때, 지나친 하중으로 인해 상기 수밀수단(300)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앵커블럭(200)에 의해 상기 수밀수단(300)에 가압하는 힘을 상기 수밀수단(300)이 파단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스토퍼부(400)는 상기 앵커블럭(200)과 상기 실린더블럭(120)간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블럭(200)이 상기 수밀수단(300)에 가압하는 힘을 일정범위내에서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블럭(200)의 외부 둘레에 따라 블럭형태의 돌출부(420)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420)는 상기 실린더블럭(120)의 스톱홈(410)에 삽입된다. 이제 상기 앵커블럭(200)에 장착된 구조용 케이블에 의해 상기 앵커블럭(200)에 인장력이 미쳐 상기 앵커블럭(200)은 상기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블럭(200)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앵커블럭(200)의 전단부는 상기 수밀수단(300)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420)는 상기 스톱홈(410)에서 양측 면에서 모두 띄어져 있게 된다. 즉, 아직 스톱홈(410)의 다른 일면에 접촉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앵커블럭(200)은 계속하여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320)의 두께는 L1이 된다.
지속적으로 움직이던, 상기 앵커블럭(200)은 상기 돌출부(420)가 상기 스톱홈(410)의 다른 일면에 접촉하게 되면 더이상이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이때 상기 수밀수단(300)은 어느 정도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블럭(200)이 상기 스톱홈(410)의 다른 일면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수밀수단(300)은 가압된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320)의 두께는 L1에서 L2까지 수축하게 된다.
위와 같은 효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블럭(200)의 후단부, 즉 상기 웨지블럭(220)의 양측면에 상기 돌기부(430)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몸체(110)의 후단 걸림턱부(160)에 걸리면서 상기 패킹부재(320)에 가압되는 하중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430)과 상기 장치몸체(110) 사이에 연계되는 체결부재(440)에 의해 상기 앵커블럭(200)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밀수단(300)은 구조용 케이블이 관통하며 지나도록 복수의 홀이 구비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천공플레이트(310) 및 구조용 케이블에 밀착되어 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부재(320)가 제공되되, 상기 천공플레이트(310)와 패킹부재(320)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밀수단(300)은 상기 앵커블럭(200)에 의해 가압될 때 발생되는 부하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하중지지판(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플레이트(310)의 재질은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고, 상기 패킹부재(320)의 재질은 탄성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앵커블럭(200)이 스톱홈(410)의 다른 일면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수밀수단(300)에 인가되는 하중은 상기 수밀수단(300)이 파단되지 않을 범위내에서 제한될 것이나, 상기 수밀수단(300)은 어느 정도는 가압된 상태에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재(320)는 탄성중합체로서 일정한 종방향 힘을 받게되면, 압축되며 상기 구조용 케이블에 더 단단히 밀착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공플레이트(310)는 구조용 케이블이 관통하며 지나갈 수 있도록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고 있으며, 일반 플라스틱 재질과 달리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천공플레이트(310)가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뤄지더라도, 스틸 등의 재질로 이뤄지는 상기 앵커블럭(200)의 하중을 장시간 견딜 수는 없다. 따라서, 상기 앵커블럭(200)의 하중을 극복할 수 있으며, 상기 패킹부재(320)는 적절히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중지지판(330)이 요구되며, 상기 하중지지판(330)은 상기 앵커블럭(200)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스틸 등의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케이블 정착장치(100)는 종래의 수밀방식과는 달리 상기 앵커블럭(200)에 인가되는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앵커블럭(200)의 선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밀수단(300)을 가압함으로써, 공기 또는 물 등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며 수밀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케이블 정착장치(100)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10...장치몸체 120...실린더블럭
130...지지블럭 200...앵커블럭
210...천공부 220...웨지블럭
230...가압부 300...수밀수단
310...천공플레이트 320...패킹부재
330...하중지지판 400...스토퍼부
410...스톱홈 420...돌출부

Claims (7)

  1. 구조물상에 설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장치몸체(110);
    상기 장치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가 개별적으로 고정장착되는 앵커블럭(200);
    상기 장치몸체(110)에서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블럭(200)에 의해 가압되어 구조용 케이블을 따라 유입되는 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제공되는 수밀수단(300); 및
    상기 앵커블럭(200)에 의해 상기 수밀수단(300)이 가압될 때, 일정부하가 인가되도록 상기 앵커블럭(200)과 상기 장치몸체(110)간에 연계되어 제공되는 스토퍼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럭(200)은,
    상기 앵커블럭(200)의 내부를 이루고, 구조용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이 복수로 구비된 천공부(210);
    상기 앵커블럭(200)의 후단에 장착되고, 상기 천공부(210)에 삽입된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웨지블럭(220); 및
    상기 앵커블럭(200)의 선단을 이루고,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상기 앵커블럭(200) 이동시 상기 수밀수단(300)을 가압하는 가압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수단(300)은,
    구조용 케이블이 관통하며 지나도록 복수의 홀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플레이트(310); 및
    구조용 케이블에 밀착되어 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부재(320); 가 제공되되,
    상기 천공플레이트(310)는 상기 장치몸체(110)에서 구조용 케이블이 투입되는 측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수단(300)은 상기 앵커블럭(200)에 의해 가압될 때 발생되는 부하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하중지지판(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400)는,
    상기 장치몸체(110)에서 상기 수밀수단(300)의 후단측에 일정거리를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톱홈(410); 및
    상기 앵커블럭(200)에 구비되고 상기 스톱홈(410)에 간극(A)을 두고 삽입되는 돌출부(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400)는,
    상기 앵커블럭(200)의 후단측에 제공되고 상기 장치몸체(110)의 걸림턱부에 접촉되는 돌기부(430); 및
    상기 돌기부(430)과 상기 장치몸체(110)간에 연계되고 상기 돌기부(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체결부재(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장치.
KR1020110143986A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장치 KR10131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986A KR101311781B1 (ko)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986A KR101311781B1 (ko)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585A KR20130075585A (ko) 2013-07-05
KR101311781B1 true KR101311781B1 (ko) 2013-09-25

Family

ID=4898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986A KR101311781B1 (ko)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7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48B1 (ko) * 1999-09-15 2006-11-17 프레이씨네 구조용 케이블을 건설 요소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JP2007040001A (ja) * 2005-08-04 2007-02-15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止水用弾性体および止水構造ならびに止水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48B1 (ko) * 1999-09-15 2006-11-17 프레이씨네 구조용 케이블을 건설 요소에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
JP2007040001A (ja) * 2005-08-04 2007-02-15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止水用弾性体および止水構造ならびに止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585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0651B2 (en) Individual seal arrangement for cable anchorage
JP6235041B2 (ja) 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および端末定着具付きロープ、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に用いる端末金具
JP4683876B2 (ja)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用の防食引張部材、特に緊張部材
KR101856957B1 (ko) 케이블 정착 장치
KR100949196B1 (ko) 강연선 재인장 장치
US6634147B2 (e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and tensioning of a brace having a false bearing, in particular a stay cable for a cable-stayed bridge and anchoring device with which to carry out the process
KR101757406B1 (ko) 향상된 가닥 안내 장치
EP2410222B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Abdichten einer durch eine Wandöffnung einer Gebäudewand führenden Leitung
DE102015111083A1 (de) Straffvorrichtung mit Dichtungsvorrichtung
US87699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he end of an anchored cable
CN104843558A (zh) 电梯
KR101311781B1 (ko) 케이블 정착장치
WO2019119900A1 (zh) 一种降低预应力损失的低张拉锚索施工方法
KR101036013B1 (ko) 강연선 재인장 장치
KR20130075586A (ko) 수밀구조가 향상된 케이블 정착장치
CA2970576C (en) A reinforcement system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structure with a tendon
JP2005048586A (ja) 構造体を補強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固定ユニット
KR101840224B1 (ko)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JP2014173407A (ja) 移動制限装置
KR20130005340A (ko) 어스앵커용 인장장치
KR101949021B1 (ko) 부식시험장치
RU2000407C1 (ru) Анк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канатной арматуры
KR200482333Y1 (ko) 긴장재의 긴장에 의해 자동적으로 부식방지제의 밀봉구조가 형성되는 긴장재 정착장치
JP7449789B2 (ja) 除去式アンカー工法の止水方法、除去式アンカー工法におけるストランドの除去方法
EP3004462B1 (en) Individual seal arrangement for cable anchorage, method of replacing a strand of a cable in an axial channel of such a cable anchorage and insertion tool for displacing a seal element in such a cable anch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