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224B1 -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224B1
KR101840224B1 KR1020160010772A KR20160010772A KR101840224B1 KR 101840224 B1 KR101840224 B1 KR 101840224B1 KR 1020160010772 A KR1020160010772 A KR 1020160010772A KR 20160010772 A KR20160010772 A KR 20160010772A KR 101840224 B1 KR101840224 B1 KR 10184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able plate
fixing
cabl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203A (ko
Inventor
유원경
이현숙
Original Assignee
퓨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2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7Sealing by means of a joint of the quick-acting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장교 등에서 케이블의 정착을 위한 케이블 정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내부구성을 적용하여 케이블 정착구 내부에 채워진 충진재의 외부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는, 교량 구조체에 지지되는 정착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강성 튜브와; 강성 튜브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과; 고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로 강연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보호 파이프와; 가동판을 고정판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서 강연선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를 통해 가동판이 고정판 측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가동판에 의해 실링부재가 가압되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Anchorage apparatus for cabl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장교 등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정착하기 위한 케이블 정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내부구성을 적용하여 케이블 정착구 내부에 채워진 충진재의 외부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교나 사장교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량에서는 인장력을 받고 있는 케이블을 구조물 요소(예를 들어, 주탑 또는 상판 부분)에 정착시켜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구조물 요소에 고정되는 케이블은 서로 평행한 하나의 다발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강연선(strand)들로 구성되고, 상기 각 강연선은 복수의 금속 와이어가 보호피복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케이블을 교량의 주탑 부분에 고정할 경우에는,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의 강연선을 주탑에 설치된 케이블 정착구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케이블 정착구에는 강연선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끝단 피복이 박리된 강연선의 단부를 삽입한 다음, 인장기를 이용하여 삽입된 강연선을 인장한 후, 상기 관통구멍 내에 구비된 원추형 쐐기부재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정착된다.
그러나, 케이블 정착구 내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강연선은 인장작업을 위해 인장기에 물릴 수 있도록 강연선의 끝단 일부분이 벗겨진 상태로 공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공기 또는 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강연선의 부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피복이 벗겨진 강연선 단부가 공기나 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외부로 노출된 강연선의 단부 주위에 보호캡을 씌워 외부와 격리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캡의 내부공간으로 부식방지 기능이 있는 그리스나 왁스 등의 충진재를 채워넣어 강연선의 노출된 단부가 공기 중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강연선 부식방지 구조가 적용되어 있는 종래의 주탑 구조물에 설치되는 케이블 정착구는 중력 등의 영향으로 오랜 기간이 지나면 보호캡 내부로 충진된 충진재가 케이블 정착구 외부로 누설되어 충진재가 고갈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복이 박리된 강연선의 단부가 또 다시 공기 중에 노출되어 부식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케이블 정착구 내에서 강연선이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강연선 사이의 좁은 틈 사이로 충진재가 빠져나와 누설될 수 있고, 또한, 강연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들 사이에도 미세한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틈 사이로 충진재가 서서히 빠져나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에 적용된 부식방지 구조로는 충진재의 누설현상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없어 케이블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46844호(2015.08.1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해 케이블 정착구 내에 채워지게 되는 충진재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케이블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 정착구 내에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적용하여 충진재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정착구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충전재 누설방지를 위한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는, 교량 구조체에 지지되는 정착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강성 튜브와; 강성 튜브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과; 고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내부로 강연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보호 파이프와; 가동판을 고정판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서 강연선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를 통해 가동판이 고정판 측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가동판에 의해 실링부재가 가압되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실링부재는 가동판에서 고정판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원뿔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 파이프가 관통되는 고정판의 관통홀 내면과 실링부재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직선형태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호 파이프가 관통되는 고정판의 관통홀의 내면과 실링부재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만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링부재는 원주방향과 수직한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동판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판을 관통하는 형태로 가이드 파이프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파이프가 관통되는 가동판의 관통홀은 내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는, 고정판과 가동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주면에 정착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과; 가동판의 후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나사봉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의 설치방법은, 강성 튜브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동판과, 고정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보호 파이프와,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에 강연선이 관통되는 실링부재와, 가동판을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설치된 케이블 정착구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와; 사전 제작된 케이블 정착구를 교량 구조체에 설치하는 단계와; 피복이 박리된 강연선의 단부를 실링부재와 보호 파이프 내부로 차례로 관통시켜 삽입한 후 정착부 부분에 정착시키는 단계와; 가압부재를 통해 가동판을 고정판 측으로 가압하여 실링부재를 통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정착구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강성 튜브의 내면과 보호 파이프의 외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그라우트재가 채워져 양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강연선의 외면을 감싸며 보호하는 보호 파이프를 고정판 및 가동판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 상기 강연선을 감싸는 형태로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가압부재를 통해 가동판을 고정판 측으로 가압하여 실링부재가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좁은 틈 사이로 압밀되면서 견고한 밀폐구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정착구 내에 충진된 충진재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케이블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정착부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나사봉을 회전시켜 가동판을 고정판 측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 공간을 실링부재로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진재 누설방지를 위한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가동판이 고정판 측으로 가압되어 실링부재의 변형을 통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 공간을 압밀하도록 하는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적용하여 충진재의 누설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정착구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 파이프의 외면과 강성 튜브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그라우트가 충진됨에 따라, 강성 튜브 내에서 보호 파이프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호 파이프들 간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의 형상을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좁은 틈새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원뿔형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정판의 관통홀 내면과 실링부재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직선형태의 경사면, 또는 만곡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실링부재에 의한 압밀 효과를 높여 충진재의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가 관통되는 가동판의 관통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실링부재가 압착될 경우 실링부재의 외면이 가동판의 관통홀에 형성된 경사면 구조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져 구속되기 때문에 실링부재가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좁은 틈새 공간으로 원활하게 압밀되어 밀봉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동판의 관통홀 내부에 가동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가 설치됨으로써, 가동판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정확한 이동궤적으로 안정적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의 외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가동판이 고정판측으로 가압되어 실링부재를 통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 공간이 밀봉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가동판이 고정판측으로 가압되어 실링부재를 통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 공간이 밀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정판의 관통홀 형상과 실링부재의 형상에 의한 밀봉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판의 관통홀 형상과 실링부재의 형상에 의한 밀봉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케이블 정착구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100)는 교량의 형태 중 하나인 사장교의 주탑과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인 상판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정착시키기 위한 구조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히 주탑 구조물 부분에 설치되는 케이블 정착구의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100)는, 정착부(110), 강성 튜브(120), 보호 파이프(130), 고정판(140), 가동판(150), 실링부재(160), 가압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부(110)는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체로서, 내부에는 끝단부 피복이 박리된 강연선(102)의 단부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멍(11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링 너트(180)가 결합된다.
그리고, 관통구멍(112)에는 피복이 박리된 강연선(102)의 단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쐐기부재(114)가 구비된다.
상기 쐐기부재(114)는 관통구멍(112)으로 삽입된 강연선(102)의 단부(104)가 보호캡(190)이 위치한 전방측으로 이동을 허용하나, 그 반대편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은 허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강연선(102)의 단부가 상기 쐐기부재(114)에 의해 물린 상태로 정착부(110)상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착부(110)는 주탑 구조물(10)에 형성된 개구부(부호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음)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하나 이상의 강연선(102) 단부를 정착부(110)에 고정시키는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주지된 다른 여러 구성을 적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정착부(110)의 후방 측에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관 형상의 강성 튜브(120)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강성 튜브(120)의 내부 공간에는 각 강연선(102)의 외면을 개별적으로 감싸며 보호해줄 수 있는 복수의 보호 파이프(130)가 설치된다.
이 경우, 보호 파이프(130)는 상호 일정한 이격을 두고 강성 튜브(12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보호 파이프(130)의 전단은 정착부(110)의 관통구멍(112) 후단 주위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보호 파이프(130)의 후단은 강성 튜브(120)의 후방측에 고정된 고정판(140)의 관통홀(142)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강연선(102)의 단부(104)가 정착부(110) 부분에 완전히 정착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모습과 같이 보호 파이프(130)의 내부에서는 강연선(102)의 피복이 박리된 부분과 피복이 입혀진 부분이 함께 공존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파이프(130)의 후단측에는 상기 보호 파이프(130)와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고정판(14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40)은 강성 튜브(120)의 내면 형상과 대응되는 원판 형상의 금속판으로서,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보호 파이프(130)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홀(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판(140)은 보호 파이프(130)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강성 튜브(120)의 내주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정착부(110)의 후면과 고정판(140)의 전면, 그리고 강성 튜브(120)의 내면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는 강연선(102)이 공기나 습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진재(G)가 주입된다.
이 경우, 보호 파이프(130)의 외부공간에 주입되는 충진재(G)로는 그라우트(grout)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보호 파이프(130)의 외부공간에 충진재(G)로 그라우트를 채워넣게 되면 보호 파이프(130)를 공기나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라우트가 양생되어 굳어진 이후에는 보호 파이프(130)가 움직임이 구속되기 때문에 보호 파이프(130)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강성 튜브(120) 내부에서 고정판(140)과 일정거리 이격된 후방측에는 가압부재(170)를 통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판(140)이 있는 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판(150)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판(150)은 고정판(140)과 대응되는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1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복수의 보호 파이프(130)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홀(152)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152)이 형성된 가동판(150)의 전면측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우수한 밀봉기능을 갖는 실링부재(16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실링부재(160)는 고정판(140)과 가동판(150)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가동판(150)과 고정판(140)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홀(152,142)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강연선(102)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가동판(150)에 고정된다.
이때, 실링부재(16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형태와 같이, 가동판(150)에서 고정판(14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의 원뿔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실링부재(160)의 형상을 원뿔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판(150)이 고정판(140) 측으로 이동되어 실링부재(160)가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160)의 뾰족한 끝단부가 보호 파이프(130)의 후단측 내면과 강연선(102)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좁은 틈새로 원활하게 삽입되며 압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보호 파이프(130)와 강연선(102) 사이의 틈새 공간을 견고한 구조로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70)의 가압에 따른 가동판(150)의 안정적인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판(150)의 관통홀(152) 부분에는 가동판(15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는 가이드 파이프(1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파이프(135)는 보호 파이프(1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동판(150)의 관통홀(152)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동판(150)의 가압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135)의 외면을 타고 상기 가동판(150)이 전방측으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있어 상기한 가이드 파이프(135)는 가동판(150)의 작동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170)는 가동판(150)을 고정판(14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사봉(172), 걸림헤드(174), 작동너트(1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부(110)와 고정판(140) 사이에는 나사봉(172)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관(171)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관(171)은 상기 나사봉(172)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강성 튜브(120) 내부로 충진되는 충진재(G)가 상기 나사봉(172)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사봉(172)은 외면 일측에 나사부(175)가 형성된 봉체로서, 가동판(150)과 고정판(140)과 삽입관(171) 및 정착부(1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그 전단부가 정착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나사봉(172)이 관통되는 정착부(110)의 관통구멍(113)은 나사구조가 없는 매끈한 내주면을 형성한다.
또한, 나사봉(172)의 후단에는 가동판(150)의 후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는 걸림헤드(1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정착부(110)의 전방측으로 노출된 나사봉(172)의 전단부에는 외면의 나사부(175)에 나사체결되는 작동너트(176)가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너트(176)에 공구를 물려 회전시키면 나사봉(172)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나사봉(172) 끝단에 구비된 걸림헤드(174)를 통해 가동판(150)이 고정판(140) 측으로 잡아 당겨져 실링부재(16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160)의 뾰족한 끝단이 보호 파이프(130)의 내면과 강연선(102)의 외면 사이의 좁은 틈새 사이로 압입되어 압착됨으로써 충진재(W)가 누설될 수 없는 견고한 밀폐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170)는 상기 가동판(150)을 고정판(140) 측으로 용이하게 가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구적 구성을 적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은 갖는 본 발명의 케이블 정착구(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착부(110)와 일체로 결합된 강성 튜브(120)의 내부공간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고정판(140), 가동판(150), 보호 파이프(130), 실링부재(160), 가압부재(170)가 설치된 케이블 정착구(100)를 사전 제작한다.
이때, 정착부(110)와 고정판(140) 및 강성 튜브(120)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는 충진재(G)로서 그라우트가 충진된다.
상기 그라우트는 양생 후 굳어져 보호 파이프(130)의 주변이 공기나 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호 파이프(130)의 피복 효과를 발휘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그라우트에 의해 보호 파이프(130)의 고정이 이루어져 보호 파이프(130)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사전 제작된 케이블 정착구(100)는 크레인을 통해 주탑 구조물(10)의 개구부의 전방 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주탑 구조물(10)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런 다음, 케이블 정착구(100)의 강성 튜브(120)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보호 파이프(130) 내부로 피복이 박리된 강연선(102)의 단부(104)를 삽입하여 정착부(110)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노출된 강연선(102)의 단부(104)를 인장기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잡아당겨 인장하여 강연선(102)의 단부(104)가 복수의 쐐기부재(114)를 통해 정착부(110)에 물려 정착되도록 한다.
이어서, 정착부(110)의 전방측에서 나사봉(172) 전단에 구비된 작동너트(176)에 공구를 물려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너트(176)와 나사결합된 나사봉(172)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나사봉(172) 끝단의 걸림헤드(174)를 통해 가동판(150)이 고정판(140) 측으로 잡아 당겨져 실링부재(160)를 가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실링부재(160)의 뾰족한 끝단이 보호 파이프(130)의 후단 내면과 강연선(102)의 사이의 좁은 틈새 사이로 압입되어 압착됨에 따라 상기 틈새 공간이 견고하게 메워져 충진재(W)가 누설될 수 없는 완벽한 밀폐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링부재(160)에 의한 보호 파이프(130) 후단부의 밀폐작업이 모두 완료된 다음에는, 정착부(110)에서 강연선(104)과 쐐기부재(114) 사이의 유격 공간으로 그리스나 왁스 등의 충진재(W)를 소정의 충진장비를 사용하여 압밀한다. 이때 충진재(W)는 관통구멍(112)과 보호 파이프(130)를 채우게 된다.
이후 정착부(110)의 전방측에 보호캡(190)을 결합한 후 상기 보호캡(190)에 구비된 유입구(192)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그리스나 왁스 등의 충진재(W)를 채워넣어 충진하게 되면 케이블 정착구(100)의 설치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케이블 정착구(10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보호 파이이프(130) 내부에 채워진 충진재(W)가 강연선(102)의 단부(104)와 정착부(110)의 관통구멍(112) 사이의 틈새를 따라 빠져나와 보호 파이프(130)와 강연선(102)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더라도 보호 파이프(130)의 후단측에서 보호 파이프(130)와 강연선(102) 사이의 틈새 공간에 압입되어 견고한 밀폐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링부재(160)를 통해 충진재(W)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가동판의 가압시 링형 실링부재를 통해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 공간이 밀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100)는 전술된 제1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전반적으로 동일하며, 단지, 실링부재(161)의 형상과 가동판(150)의 관통홀(142) 형상 부분에서만 차별화된 구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100)는 고정판(140)의 관통홀(142) 주변에 압착되어 밀폐구조를 형성시키는 실링부재(161)가 원주방향과 수직한 횡단면이 원형 형상을 갖는 고무링과 같은 링형(ring type)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링형 실링부재(161)는 보호 파이프(130)의 후방측에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135)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전술된 제1실시 예의 원뿔형 실링부재(160)는 가동판(150) 부분에 고정되어 가동판(150)과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반해, 제2실시 예에 따른 링형 실링부재(161)는 가동판(150)과 분리 설치되어 가동판(150)이 고정판(140)측으로 가압될 경우 가이드 파이프(135)의 외면을 타고 전방 측으로 이동되어 압착된다.
이때, 가이드 파이프(135)는 상기 실링부재(161)를 비롯하여 상기 가동판(150)이 원활한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161)가 가이드 파이프(135)의 외면을 타고 이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 파이프(135) 외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파이프(135)의 외면에는 마찰력 감소를 위한 적절한 윤활수단이 도포될 수 있다.
한편, 가동판(150)이 고정판(140)측으로 이동되어 실링부재(161)가 압착될 경우에는 실링부재(161)가 가동판(150)과 고정판(140) 사이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면서 직경방향으로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고정판(140)의 관통홀(142) 주변부 틈새를 완벽하게 밀폐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파이프(135)가 관통되는 가동판(150)의 관통홀(152) 전단측에는 실링부재(161)가 고정판(140)가 가동판(150) 사이에서 압착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161)의 변형을 구속하여 상기 실링부재(161)가 직경방향으로 늘어나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사면(15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161)와 인접한 가동판(150)의 관통홀(152) 부분에 경사면(153)이 형성됨에 따라, 실링부재(161)가 고정판(140)과 가동판(150) 사이에서 압착될 경우 상기 실링부재(161)의 일부가 상기 경사면(153)을 타고 관통홀(152) 안쪽으로 인입되어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실링부재(161)가 보호 파이프(130)와 강연선(102) 사이의 틈새와, 고정판(140)의 관통홀(142)과 보호 파이프(130) 사이의 좁은 틈새 사이로 조밀하게 압입됨으로써 완벽한 밀봉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고정판의 관통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실링부재의 외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실링부재가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 공간에 압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100)는 전술된 제1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전반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실링부재(162)의 형상과 고정판(140)의 관통홀(142) 형상에서 상기 제1실시 예와 차별화된 구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100)는 보호 파이프(130)가 관통되는 고정판(140)의 관통홀(143) 내면이 가동판(150)측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직선형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판(150)에 고정되는 실링부재(162)는 전술된 제1실시 예의 실링부재(160) 형상과 같이 원뿔형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원뿔형 실링부재(162)의 외면은 직경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판(140)의 관통홀(143)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원뿔형 실링부재(162)의 외면을 직경방향으로 볼록한 만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가동판(150)에 의한 실링부재(162)의 가압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162)의 원뿔형 끝단이 고정판(140)의 관통홀(143) 내측 경사면을 타고 상기 관통홀(143) 내부로 깊숙이 인입되어 압밀되는 동시에 상기 실링부재(162)의 볼록한 외면이 상기 경사면 부분에 타이트하게 밀착되어 보호 파이프(130)와 강연선(102) 사이의 틈새 공간을 완벽하게 밀폐시켜주기 때문에 보호 파이프(130)와 강연선(102) 사이의 좁은 틈새 공간을 통해 충진재(W)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제3실시 예에서는 고정판(140)의 관통홀(143) 내면을 직선형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실링부재(162)의 외면을 만곡면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보호 파이프(130)와 강연선(102) 사이의 틈새 공간으로 실링부재(162)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면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관통홀(144)의 내면을 만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실링부재(163)의 외면이 전술된 제1실시 예의 형태와 같이 직선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40)의 관통홀 내면과 실링부재의 외면 양측을 모두 곡면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케이블 정착구 102 : 강연선
110 : 정착부 112,113 : 관통구멍
114 : 쐐기부재 120 : 강성 튜브
130 : 보호 파이프 135 : 가이드 파이프
140 : 고정판 142,143,144,152 : 관통홀
150 : 가동판 153 : 경사면
160,161,162,163 : 실링부재 170 : 가압부재
171 : 삽입관 172 : 나사봉
174 : 걸림헤드 175 : 나사부
176 : 작동너트 180 : 링 너트
190 : 보호캡 192 : 유입구

Claims (10)

  1. 링 너트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정착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교량 구조체의 개구부에 관통 설치되는 강성 튜브;
    상기 강성 튜브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강성 튜브의 내주면을 따라 진퇴운동을 하는 가동판;
    전단이 정착부의 관통구멍 후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강성 튜브의 후방측에 고정된 고정판의 관통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내부로 강연선이 삽입되는 복수의 보호 파이프;
    상기 가동판과 고정판 및 정착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그 전단부가 상기 정착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정착부 부분에 위치하는 전단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
    상기 정착부와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나사봉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가동판의 후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헤드;
    상기 정착부의 전방측으로 노출된 나사봉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정착부의 외면에 지지되는 작동너트;
    상기 고정판과 가동판 사이에서 상기 강연선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가동판에서 상기 고정판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원뿔형 구조를 갖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가압부재를 통해 상기 가동판이 상기 고정판 측으로 가압될 경우 상기 가동판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의 뾰족한 끝단이 상기 보호 파이프와 강연선 사이의 틈새 사이로 압입되어 압착됨으로써 충전재가 누설되지 않는 견고한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한 케이블 정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이프가 관통되는 상기 고정판의 관통홀 내면과 상기 실링부재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직선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한 케이블 정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이프가 관통되는 상기 고정판의 관통홀의 내면과 상기 실링부재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만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한 케이블 정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원주방향과 수직한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링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한 케이블 정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한 케이블 정착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관통되는 상기 가동판의 관통홀은 내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부식방지를 위한 케이블 정착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10772A 2016-01-28 2016-01-28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84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72A KR101840224B1 (ko) 2016-01-28 2016-01-28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72A KR101840224B1 (ko) 2016-01-28 2016-01-28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03A KR20170090203A (ko) 2017-08-07
KR101840224B1 true KR101840224B1 (ko) 2018-03-20

Family

ID=5965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772A KR101840224B1 (ko) 2016-01-28 2016-01-28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628A (ko) 2021-01-22 2022-07-29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대시보드를 이용한 차량용 태양광 충전 패널
KR102529810B1 (ko) * 2022-11-01 2023-05-08 (주)삼현비앤이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844B1 (ko) * 2013-07-17 2015-08-24 (주)태성에스엔아이 케이블의 정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844B1 (ko) * 2013-07-17 2015-08-24 (주)태성에스엔아이 케이블의 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03A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5381B2 (ja) 構造用ケーブルを建造物要素に固定する固定装置
US6634147B2 (e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and tensioning of a brace having a false bearing, in particular a stay cable for a cable-stayed bridge and anchoring device with which to carry out the process
KR102187818B1 (ko) 베딩재료를 갖는 케이블 앵커리지
US7275347B2 (en) Post-tension anchor seal cap
US4799307A (en) Anchor apparatus for a tendon in prestressed concrete slab
JP6873230B2 (ja) シール要素を備えたケーブル定着具、そのようなケーブル定着具を含むプレストレスシステム、及びシースを持つ細長要素を設置し緊張力を与えるための方法
US20110162881A1 (en) Well Seal for Electrical Wiring
WO2015199055A1 (ja) シール部材、及び多芯ケーブルのシール構造
KR101840224B1 (ko)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US20140026372A1 (en) Anchoring device for a multi-tendon cable
US20200199831A1 (en) Improved assembly comprising a structural cable and a saddle
KR101994875B1 (ko) 강연선 부식방지용 정착구
KR20180138443A (ko) 케이블 절단부용 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방법
US4928451A (en) Anchor apparatus for a tendon in prestressed concrete slab
KR200485042Y1 (ko) 강연선 부식방지용 정착구
KR102012838B1 (ko) 멀티-텐돈 케이블 단부 보호방법
RU159131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рука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JPH11264135A (ja) アンカー構造体
KR200455943Y1 (ko) 케이블 포설기구
JP5075785B2 (ja) 圧縮流体封入装置の密封度改善方法、および圧縮流体封入装置
KR102111677B1 (ko) 설치가 용이한 사장교 및 그 시공방법
JP2005207218A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JP3602124B1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CN114000427B (zh) 采用双层管形态的拉索密封装置
KR101941873B1 (ko) 영구앵커 상부 정착구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