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506B1 -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506B1
KR101468506B1 KR20140022611A KR20140022611A KR101468506B1 KR 101468506 B1 KR101468506 B1 KR 101468506B1 KR 20140022611 A KR20140022611 A KR 20140022611A KR 20140022611 A KR20140022611 A KR 20140022611A KR 101468506 B1 KR101468506 B1 KR 10146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erminal
power
connection terminal
overcurren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2014002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내선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배전반을 통해 벽체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전원내선 배전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내선 배전반에 과전압 또는 과부하가 발생시 문제가 발생한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만을 단선시켜 전체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전반이 누전 등에 의해 다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 내부에 다수 설치되는 전원내선 배전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내선 배전반에서 과전압 또는 과부하가 발생시, 과전류검출기의 제어에 의해 회전모터와 축 결합하는 회전판을 회전시켜 전원내선과 내선을 서로 단선시켜 문제가 발생한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만을 차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전원을 인하는 배전반의 전원이 다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POWER DISTRIBUTING BOARD FOR PROTECTING SHORT CIRCUIT OF LED WITH WIRED ELECTRICAL LINE AT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전원내선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배전반을 통해 벽체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전원내선 배전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내선 배전반에 과전압 또는 과부하가 발생시 문제가 발생한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만을 단선시켜 전체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전반이 누전 등에 의해 다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구역의 경우 소비전력의 감소를 위해 효율이 좋은 엘이디(LED)를 조명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엘이디 조명등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배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통상, 공동주택의 경우 사용하는 전력량이 매우 크므로 각 세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일부분에 직경이 큰 관을 설치하여 배전선을 관 내부에 설치하고, 인출하여 벽체나, 기둥, 천정이나 바닥 등을 통해 건축물 내부로 인입된 후 배전반에 접속되고, 배전반에 접속된 전원내선을 통해 건축물 내부로 여러 공간으로 외부전력이 송전된다.
특히, 주로 현관문 등의 출입구 쪽에 많이 설치되는 엘이디는 전원내선으로부터 인출된 후 그 말단이 연결되어 배선됨으로써 점등되게 된다.
그런데, 배선 작업이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전원내선을 심하게 당길 경우 단선의 위험이 있고, 그 과정에서 피복이 벗겨지거나 파손되거나 혹은 노화로 인해 피복이 벗겨지면서 합선될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해 감전, 누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190175호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가 개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합선이 발생시에 배전반의 퓨즈를 차단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벽체 내부에 다수 설치된 전원내선 배전반 전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전반 자체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다수의 전원내선 배전반들 중 합선 또는 누전 등의 문제가 발생한 전원내선 배전반 이외에도 정상동작하는 다른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도 차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190175호(등록일자:2012.10.05), 발명의 명칭: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 벽체 내부에 다수 설치되는 전원내선 배전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내선 배전반에서 누전 또는 합선 등의 문제가 발생시에 다수의 전원내선 배전반들 중 문제가 발생한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을 단선시켜 배전반 전체에 전원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내선(30)이 관통해 출구(113)로 인출되는 중공을 갖추고, 상단에는 내선(30)이 통과하는 통로(112)가 형성되도록 한 쌍의 수용홈(111, 111')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벽체(10)에 세로방향으로 매설되는 매설관(110);와, 매설관(110)에 배선된 내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151)를 구비하고 매설관(110)의 상단을 덮어 폐구하는 캡(150); 수용홈(111, 111')에 각각 탑재되는 탄발스프링(121)과, 탄발스프링(121)에 의해 하방으로 탄발하면서 수용홈(111, 111') 내에 수용되고 저면에는 이동로(122a)가 형성된 탄발대(122)를 구비한 한 쌍의 푸쉬어(120);와, 상단이 탄발대(122)와 맞물려서 이동로(122a)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매설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에 나란히 배치되어 탄발대(1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140, 140');와, 일단이 연결축(141)을 매개로 지지대(140, 14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축(131)을 매개로 매설관(110)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지지대(140, 140')와 연동하여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되, 다수 개가 각 지지대(140, 140')를 따라 교대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서, 내선(30)이 타단과 맞물려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관(110)을 관통하도록 하고, 타단에 맞물린 내선(30)이 마찰없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내선(30)과 접촉해 내선(3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활차(133)를 구비하는 다수의 회동체(130);와, 상기 단자(151)를 감싸는 캡(150)의 상단이 연장된 원통형상의 연장부(152);와, 상기 연장부(152)의 외주면 양측에 'ㄴ'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결합홈(153);과, 상기 캡(150)의 중앙에서 상기 단자(151)를 사이에 두고 안착된 과전류검출기(300);와,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단자(151) 상면에 접촉 안착된 검출단자(310);와,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상단면에서 상향 돌출된 송신단자(320);와, 상기 연장부(152) 속으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53)에 끼움 고정되는 돌기(218);가 형성된 내선하우징(210)을 포함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내선하우징(210)은 상기 내선하우징(21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송신단자(320)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홈(211);과,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송신단자(320)와 연결되게 상기 단자삽입홈(211) 내벽에 구비되는 접속단자(216);와,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상기 접속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내선하우징(210)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내선하우징(210) 상부로 구동축(213a)이 돌출형성된 회전모터(213);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상기 구동축(213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214);과, 상기 회전판(214) 상면 및 하면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며, 상면에는 상기 전원내선(200)과 연결되고, 하면은 상기 연결단자(212)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2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단자(212)와 연결되거나 단선되는 회전단자(215);와, 상기 내선하우징(210) 내부에 탄성 복원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링(217)과, 상기 스프링(217)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단자(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검출단자(310)와 연결되는 내선단자(219); 및 상기 내선하우징(210) 외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52)에 형성된 결합홈(153)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돌기(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 내부에 다수 설치되는 전원내선 배전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내선 배전반에서 과전압 또는 과부하가 발생시, 과전류검출기의 제어에 의해 회전모터와 축 결합하는 회전판을 회전시켜 전원내선과 내선을 서로 단선시켜 문제가 발생한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만을 차단함으로써, 배전반 전체의 전원이 다운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내선보호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내선보호대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회동체 및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A,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의 설치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회전판을 저면 및 평면에서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내선하우징의 작용관계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90175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90175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9017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단자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한 내용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9017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단자 연결부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보호대(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선보호대(100)는 내선(30)이 통과하는 중공을 갖추고 벽체(10)에 매설되는 매설관(110)과, 내선(30)이 삽입되는 통로(11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푸쉬어(120)와, 푸쉬어(120)에 하방으로 탄발되며 매설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40, 140')와, 한 쌍의 지지대(140, 140')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며 지지대(140, 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다수의 회동체(130, 130', 130")와, 내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아 형상의 단자(151)를 구비하고 매설관(110)의 상단을 덮어 폐구하는 캡(150)을 포함한다.
매설관(110)은 벽체(10)에 매설 및 배선되는 내선(30)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이고, 벽체(10)에 세로방향으로 매설된다. 이때, 상기 내선(30)은 매설관(110)의 상단에 위치한 통로(112)를 통해 삽입되어 LED(20)를 포함한 전기기기를 향해 개구된 출구(113)로 인출돼 해당 LED(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도 1에서는 LED(20)가 핵심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단순하게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푸쉬어(120)는 통로(11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나란히 배치되어서, 하방으로 미는 힘을 가한다. 이를 위해 푸쉬어(120)는 매설관(110)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는 한 쌍의 탄발스프링(121)과, 탄발스프링(121)의 하단에 고정되는 탄발대(122)로 구성된다. 참고로, 매설관(110)은 통로(112)의 양측에 각각 탄발스프링(121)을 수용하는 수용홈(111, 111')을 형성해서, 탄발스프링(121)이 튕김없이 탄발대(122)를 하방으로 안정되게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발대(122)는 하중을 갖는 지지대(140)와 연결되므로, 수용홈(111, 111')은 탄발대(122)가 지지대(140,140')의 하중에 의해 일정높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지지대(140, 140')는 매설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막대형상으로 되어서, 상단이 각각 푸쉬어(120)에 연결된다.
회동체(130, 130', 130"; 이하 130)는 지지대(140, 14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연결축(14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매설관(110)과 회동축(131)을 매개로 고정된다. 즉, 지지대(140, 140')가 상하로 이동하면, 일단이 연결축(141)을 매개로 고정된 회동체(130)는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한편, 지지대(140, 140') 각각에 배치되는 회동체(130, 13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대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통로(112)로 삽입되어 출구(113)로 인출되는 내선(30)은 회동체(130)의 타단과 하나하나 맞물리고,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회동체(130)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선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내선보호대(100)는 내선(3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시킴으로서, 매설관(110)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내선(30)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출구(113)로 인출된 내선(30)이 장력을 받지 않는다면, 탄발스프링(121)은 지지대(140)를 하방으로 밀어내면서 다수의 회동체(130, 130', 130")를 수평하게 배치시키고, 교대로 수평 배치된 회동체(130, 130', 130")는 내선(30)을 지그재그 형태로 강제 절곡할 수 있는 충분한 탄발력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콘센트(20)를 설치 및 해체할 때는 내선(30)이 장력을 받아 당겨질 수 있는데, 내선(30)이 탄발스프링(121)의 탄발력 이상의 장력을 받는다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내선(30)은 곧게 펴지고, 내선(30)이 펴지려는 힘은 회동체(130)의 타단을 밀어내면서 회동체(130)의 타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내선(30)은 출구(113)를 통해 충분히 인출되면서, 작업자가 필요한 작업을 내선(30)의 훼손없이 원활히 할 수 있다.
물론, 작업이 완료된 후 내선(30)에 가하는 장력을 중단하면(손을 놓으면), 탄발스프링(121)의 탄발력으로 푸쉬어(120)가 지지대(140, 140')를 하방으로 밀어내고, 회동체(130)는 연결축(141)이 연결된 일단이 힘을 받아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해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도 1 참조). 결국, 내선(30)은 다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내선(3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회동체(130)에 지지를 받아 절곡되면서, 출구(113)로 인출된 내선(30)의 말단은 결국 매설관(110)으로 인입돼 정돈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 및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A,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체(130)의 타단은 내선(30)과 맞물려서 내선(30)의 장력변화에 따라 회동한다. 즉, 작업자가 내선(30)을 당기면 팽팽해지는 내선(30)의 힘에 의해 회동체(130)가 회동하면서 타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이때, 회동체(130)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면 일단은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일단과 연결축(141)을 매개로 연결된 지지대(140, 140')는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계속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지지대(140, 140')는 푸쉬어(12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런데, 지지대(140, 140')는 상방이동과 더불어 수평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이는 지지대(140, 140')가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체(130) 일단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푸쉬어(120)에서 상하로만 이동하는 탄발대(122)와 상하이동은 물론 수평으로도 이동하는 지지대(140,140')의 원활한 결속을 위해, 탄발대(122)는 지지대(140, 140')의 수평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이동로(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해 탄발대(122)와 연결되는 지지대(140, 140')의 상단에는 이동로(122a)와 맞물리는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즉, 걸림턱(142)은 이동로(122a)에 삽입된 지지대(140, 140')의 상단이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대(140, 140')와 탄발대(122)를 결속시킨다. 물론, 이동로(122a)는 걸림턱(142)이 걸리는 턱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40, 140')는 회동체(130)의 회동방향에 따라 [0037] 상하로 이동하고, 한 쌍이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런데, 내선(30)은 장력방향에 따라 치우치는 방향이 편중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대(140, 140')는 서로 독립하게 동작해야 하고, 독립된 지지대(140, 140')를 개별적으로 탄발하기 위해 푸쉬어(120) 또한 독립하게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회동체(130)의 타단에는 활차(133)가 더 포함된다. 활차(133)는 회동체(130)의 타단에서 내선(3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내선(30)과의 맞물림시 회동체(130)와 내선(30) 간의 슬라이딩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즉, 작업자는 내선(30)을 당기더라도 회동체(130)의 회동으로 쉽게 당겨짐은 물론, 활차(133)에 의해 최소한의 훼손까지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동체(130)의 타단에는 활차(133)가 삽입되는 회전홈(132)이 형성되고, 회전홈(132)에 삽입된 활차(133)는 회전축(13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때 활차(133)의 둘레부는 내선(30)과의 맞물림을 위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될 것이다.
한편, 캡(150)은 단자(151)를 포함하면서 캡(150) 상부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연장부(15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52)의 내부 중앙, 다시 말해 상기 단자(151)들 사이에는 과전류검출기(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양측에는 각각 판상의 검출단자(310)가 돌출되고, 상기 검출단자(310)는 상기 단자(151)의 상단면에 각각 접지된다.
아울러,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상단면에는 송신단자(320)가 돌출되고, 상기 송신단자(320)는 상기 접속단자(216)와 결합된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선등록특허 제1190175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52)에 끼움 결합하는 내선하우징(21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과전류검출기(300)는 내선(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분석하므로, 누전 또는 합선이 검출되면 문제가 있는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내선(200)과 내선(30)을 서로 단선시켜 누전차단기에 의해 배전반 전체에 전압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전반(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된 전원내선(200)은 내선하우징(210)을 관통하여 각각 내선단자(219)에 접지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선단자(219)는 +,- 2개지만 단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여기서, 내선하우징(210)은 과전류검출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캡(15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누전 또는 합선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시에 전원내선(200)을 통해 내선(30)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단자삽입홈(211), 연결단자(212), 회전모터(213), 회전판(214), 회전단자(215), 접속단자(216), 스프링(217), 돌기(218) 및 내선단자(219)를 포함한다.
단자삽입홈(211)은 내선하우징(210) 하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 송신단자(320)가 삽입되어 접속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단자삽입홈(211)의 길이는 송신단자(320)의 돌출된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단자(212)는 내선하우징(210) 상면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선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판(214)이 회전시에 상기 회전판(214)에 형성된 회전단자(215)와 연결되거나 단선 되도록 한다.
회전모터(213)는 내선하우징(210) 내부에 고정구비되며, 상부에 구동축(213a)이 돌출형성되어 회전판(214)과 축 결합한다. 이때 회전모터(213)는 과전류검출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전류가 인가시에 회전판(214)을 회전시켜 내선(30)과 전원내선(20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선시킬 수 있도록 과전류검출기(3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214)은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회전모터(213)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내선하우징(210) 상부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연결단자(212)와 회전단자(215)가 서로 연결 또는 단선 되도록 한다.(도 6 참조)
회전단자(215)는 회전판(214)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회전판(214)에 관통 구비되며, 회전단자(215) 상면은 전원내선(200)과 연결되고, 회전단자(215) 하면은 내선하우징(210) 상면에 노출된 연결단자(212)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접속단자(216)는 회전모터(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삽입홈(211)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삽입홈(211)에 삽입되는 송신단자(320)와 연결되어 과전류검출기(300)로 출력되는 결과를 통해 회전모터(213)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스프링(217)은 내선하우징(210) 내측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내선단자(219)가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선단자(219)가 검출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돌기(218)는 내선하우징(210) 외면에 돌출형성되며, 연장부(152)에 형성된 결합홈(153)과 끼움 결합한다.
내선단자(219)는 스프링(217)의 탄성력에 의해 검출단자(31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내선하우징(210) 하부에 돌출형성된다. 이때 내선단자(219)는 검출단자(310)와 접촉시에 상기 내선하우징(210)과 서로 이탈되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하며, 연결단자(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단자(215)를 통해 내선(30)으로 전원내선(200)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내선하우징(210)의 구성을 통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전류검출기(300)에 누전 또는 합선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과전류검출기(300)는 회전모터(213)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판(214)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판(214)의 회전에 의해 연결단자(212)와 회전단자(215)를 서로 단선시켜 전원내선(200)과 내선(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도록 하여 합선 또는 누전 등의 문제가 발생한 전원내선 배전반의 전원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00 : 전원내선 210 : 내선하우징
211: 단자삽입홈 212: 연결단자
213: 회전모터 214: 회전판
215: 회전단자 216: 접속단자
217: 스프링 218: 돌기
219: 내선단자 300: 과전류검출기

Claims (1)

  1. 내선(30)이 관통해 출구(113)로 인출되는 중공을 갖추고, 상단에는 내선(30)이 통과하는 통로(112)가 형성되도록 한 쌍의 수용홈(111, 111')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벽체(10)에 세로방향으로 매설되는 매설관(110);와, 매설관(110)에 배선된 내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151)를 구비하고 매설관(110)의 상단을 덮어 폐구하는 캡(150); 수용홈(111, 111')에 각각 탑재되는 탄발스프링(121)과, 탄발스프링(121)에 의해 하방으로 탄발하면서 수용홈(111, 111') 내에 수용되고 저면에는 이동로(122a)가 형성된 탄발대(122)를 구비한 한 쌍의 푸쉬어(120);와, 상단이 탄발대(122)와 맞물려서 이동로(122a)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매설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에 나란히 배치되어 탄발대(1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140, 140');와, 일단이 연결축(141)을 매개로 지지대(140, 14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축(131)을 매개로 매설관(110)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지지대(140, 140')와 연동하여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되, 다수 개가 각 지지대(140, 140')를 따라 교대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서, 내선(30)이 타단과 맞물려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관(110)을 관통하도록 하고, 타단에 맞물린 내선(30)이 마찰없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내선(30)과 접촉해 내선(3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활차(133)를 구비하는 다수의 회동체(130);와, 상기 단자(151)를 감싸는 캡(150)의 상단이 연장된 원통형상의 연장부(152);와, 상기 연장부(152)의 외주면 양측에 'ㄴ'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결합홈(153);과, 상기 캡(150)의 중앙에서 상기 단자(151)를 사이에 두고 안착된 과전류검출기(300);와,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단자(151) 상면에 접촉 안착된 검출단자(310);와,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상단면에서 상향 돌출된 송신단자(320);와, 상기 연장부(152) 속으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53)에 끼움 고정되는 돌기(218);가 형성된 내선하우징(210)을 포함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내선하우징(210)은 상기 내선하우징(21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송신단자(320)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홈(211);과, 상기 송신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삽입홈(211)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과전류검출기(300)로 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접속단자(216);와,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상기 접속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내선하우징(210)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내선하우징(210) 상부로 구동축(213a)이 돌출형성된 회전모터(213);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상기 구동축(213a)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214);과, 상기 회전판(214) 상면 및 하면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며, 상면에는 상기 전원내선(200)과 연결되고, 하면은 연결단자(212)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2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단자(212)와 연결 또는 단선되는 회전단자(215);와, 상기 내선하우징(210) 내부에 탄성 복원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프링(217)과, 상기 스프링(217)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단자(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검출단자(310)와 연결되는 내선단자(219); 및 상기 내선하우징(210) 외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52)에 형성된 결합홈(153)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돌기(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20140022611A 2014-02-26 2014-02-26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46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611A KR101468506B1 (ko) 2014-02-26 2014-02-26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611A KR101468506B1 (ko) 2014-02-26 2014-02-26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506B1 true KR101468506B1 (ko) 2014-12-04

Family

ID=5267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2611A KR101468506B1 (ko) 2014-02-26 2014-02-26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542B1 (ko) * 2020-03-13 2020-08-05 (주)다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75B1 (ko) * 2012-06-19 2012-10-12 주식회사 다인파워텍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306972B1 (ko) * 2013-05-13 2013-09-09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led)의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75B1 (ko) * 2012-06-19 2012-10-12 주식회사 다인파워텍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306972B1 (ko) * 2013-05-13 2013-09-09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led)의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542B1 (ko) * 2020-03-13 2020-08-05 (주)다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670B1 (ko) 안정적 배전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1627142B1 (ko)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EP2354430B1 (en) Electric plug connection between head piece and tubular motor of a winding shaft
KR100633372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US7722389B2 (en) Shock-proof electrical wiring system
JP5389026B2 (ja) リニア駆動装置を組み付ける装置
KR100942605B1 (ko) 조립식 분전반
US7410150B1 (en) Winch safety switch for a hoist
KR200481900Y1 (ko)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US20190123500A1 (en) Electric Connector and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the Electric Connector
KR100864621B1 (ko) 전동 굴삭기의 전원 공급장치
KR101440802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 배전반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468506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02466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송전선 연결기구
CN209913308U (zh) 一种低压快速供电取电连接箱
KR101629732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KR101477514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US11349268B2 (en) Power extension module and modular assembly thereof
CN110518460A (zh) 带负荷刀闸的快速供电取电连接装置
CN219697954U (zh) 一种led电源保护装置及led灯具
CN113853467B (zh) 滑动门组件
US11929637B2 (en) Meter-based transfer switch with lockout
KR100502643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건축물 내장형 전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