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175B1 -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175B1
KR101190175B1 KR1020120065496A KR20120065496A KR101190175B1 KR 101190175 B1 KR101190175 B1 KR 101190175B1 KR 1020120065496 A KR1020120065496 A KR 1020120065496A KR 20120065496 A KR20120065496 A KR 20120065496A KR 101190175 B1 KR101190175 B1 KR 10119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tension
buried pipe
sp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파워텍
Priority to KR102012006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관 내부에서 신축성을 갖고 변형될 수 있도록 LED 등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내선을 배선하고, 이 내선의 상단에 캡에 의해 지지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캡과 결합되면서 단자와 접속되는 별도의 내선하우징을 구비하되, 내선하우징에는 배전함과 연결되는 전원내선 및 누전, 합선시 이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기를 캡 내부에 더 구비하여 과전류 검출시 배전함의 누전차단기를 동작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에 매설한 매설관에 충분한 길이의 내선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보호하면서, 내선을 필요한 만큼 충분히 당겨 인출할 수 있고, 누전이나 합선시 이를 즉시 검출하여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POWER DISTRIBUTING BOARD FOR PROTECTING SHORT CIRCUIT OF LED WITH WIRED ELECTRICAL LINE AT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간의 합선을 미리 방지하여 화재를 비롯한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구역의 경우 소비전력의 감소를 위해 효율이 좋은 엘이디(LED)를 조명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엘이디 조명등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배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통상, 공동주택의 경우 사용하는 전력량이 매우 크므로 각 세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일부분에 직경이 큰 관을 설치하여 배전선을 관 내부에 설치하고, 인출하여 벽체나, 기둥, 천정이나 바닥 등을 통해 건축물 내부로 인입된 후 배전반에 접속되고, 배전반에 접속된 전원내선을 통해 건축물 내부로 여러 공간으로 외부전력이 송전된다.
특히, 주로 현관문 등의 출입구 쪽에 많이 설치되는 엘이디는 전원내선으로부터 인출된 후 그 말단이 연결되어 배선됨으로써 점등되게 된다.
그런데, 배선 작업이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전원내선을 심하게 당길 경우 단선의 위험이 있고, 그 과정에서 피복이 벗겨지거나 파손되거나 혹은 노화로 인해 피복이 벗겨지면서 합선될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해 감전, 누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등록특허 제0748265호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누전차단기에 엘이디를 설치하고, 압력센서를 통해 피복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여 엘이디를 점등시킴으로써 어느 전원내선에서 합선이 일어났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에 불과할 뿐 합선 자체를 방지하는 기술은 아니다.
더구나, 저전력 고효율화에 따라 사용이 늘어가고 있는 LED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합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부합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 LED 등과 같은 전기기구와의 연결작업시 작업자의 당김에도 충분한 인출 길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기기구와 내선 간의 안정된 통전 및 연결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단선이나 합선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배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토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선이 관통해 출구로 인출되는 중공을 갖추고, 상단에는 내선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 쌍의 수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벽체에 세로방향으로 매설되는 매설관; 매설관에 배선된 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매설관의 상단을 덮어 폐구하는 캡; 수용홈에 각각 탑재되는 탄발스프링과, 탄발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발하면서 수용홈 내에 수용되고 저면에는 이동로가 형성된 탄발대를 구비한 한 쌍의 푸쉬어; 상단이 탄발대와 맞물려서 이동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매설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에 나란히 배치되어 탄발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 일단이 연결축을 매개로 지지대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축을 매개로 매설관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지지대와 연동하여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다수 개가 각 지지대를 따라 교대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서, 내선이 타단과 맞물려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관을 관통하도록 하고, 타단에 맞물린 내선이 마찰없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내선과 접촉해 내선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활차를 구비하는 다수의 회동체;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감싸는 캡의 상단이 연장된 원통형상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양측에 'ㄴ'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결합홈; 상기 캡의 중앙에서 상기 단자를 사이에 두고 안착된 과전류검출기; 상기 과전류검출기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단자 상면에 접촉 안착된 검출단자; 상기 과전류검출기의 상단면에서 상향 돌출된 송신단자; 상기 연장부 속으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 고정되는 돌기를 갖는 내선하우징; 상기 내선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송신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 일단은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인출된 뒤 배전함의 누전차단기와 연결된 배전함연결검출선;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 상에 각각 삽입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공간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유동되며, 상기 검출단자와 접촉되는 내선단자; 상기 내선단자와 연결되고 스프링 중앙과 내선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전함에 연결된 전원내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에 매설한 매설관에 충분한 길이의 내선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보호하면서, 내선을 필요한 만큼 충분히 당겨 인출할 수 있고, 누전이나 합선시 이를 즉시 검출하여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선보호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선보호대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 및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A,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79135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79135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7913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단자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한 내용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7913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단자 연결부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보호대(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선보호대(100)는 내선(30)이 통과하는 중공을 갖추고 벽체(10)에 매설되는 매설관(110)과, 내선(30)이 삽입되는 통로(11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푸쉬어(120)와, 푸쉬어(120)에 하방으로 탄발되며 매설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40, 140')와, 한 쌍의 지지대(140, 140')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며 지지대(140, 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다수의 회동체(130, 130', 130")와, 내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아 형상의 단자(151)를 구비하고 매설관(110)의 상단을 덮어 폐구하는 캡(150)을 포함한다.
매설관(110)은 벽체(10)에 매설 및 배선되는 내선(30)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이고, 벽체(10)에 세로방향으로 매설된다. 이때, 상기 내선(30)은 매설관(110)의 상단에 위치한 통로(112)를 통해 삽입되어 LED(20)를 포함한 전기기기를 향해 개구된 출구(113)로 인출돼 해당 LED(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도 1에서는 LED(20)가 핵심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단순하게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푸쉬어(120)는 통로(11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나란히 배치되어서, 하방으로 미는 힘을 가한다. 이를 위해 푸쉬어(120)는 매설관(110)의 상단에 고정 배치되는 한 쌍의 탄발스프링(121)과, 탄발스프링(121)의 하단에 고정되는 탄발대(122)로 구성된다. 참고로, 매설관(110)은 통로(112)의 양측에 각각 탄발스프링(121)을 수용하는 수용홈(111, 111')을 형성해서, 탄발스프링(121)이 튕김없이 탄발대(122)를 하방으로 안정되게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발대(122)는 하중을 갖는 지지대(140)와 연결되므로, 수용홈(111, 111')은 탄발대(122)가 지지대(140, 140')의 하중에 의해 일정높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지지대(140, 140')는 매설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막대형상으로 되어서, 상단이 각각 푸쉬어(120)에 연결된다.
회동체(130, 130', 130"; 이하 130)는 지지대(140, 14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연결축(14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매설관(110)과 회동축(131)을 매개로 고정된다. 즉, 지지대(140, 140')가 상하로 이동하면, 일단이 연결축(141)을 매개로 고정된 회동체(130)는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한편, 지지대(140, 140') 각각에 배치되는 회동체(130, 13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대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통로(112)로 삽입되어 출구(113)로 인출되는 내선(30)은 회동체(130)의 타단과 하나하나 맞물리고,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회동체(130)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선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내선보호대(100)는 내선(3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시킴으로서, 매설관(110)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내선(30)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출구(113)로 인출된 내선(30)이 장력을 받지 않는다면, 탄발스프링(121)은 지지대(140)를 하방으로 밀어내면서 다수의 회동체(130, 130', 130")를 수평하게 배치시키고, 교대로 수평 배치된 회동체(130, 130', 130")는 내선(30)을 지그재그 형태로 강제 절곡할 수 있는 충분한 탄발력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콘센트(20)를 설치 및 해체할 때는 내선(30)이 장력을 받아 당겨질 수 있는데, 내선(30)이 탄발스프링(121)의 탄발력 이상의 장력을 받는다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내선(30)은 곧게 펴지고, 내선(30)이 펴지려는 힘은 회동체(130)의 타단을 밀어내면서 회동체(130)의 타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내선(30)은 출구(113)를 통해 충분히 인출되면서, 작업자가 필요한 작업을 내선(30)의 훼손없이 원활히 할 수 있다.
물론, 작업이 완료된 후 내선(30)에 가하는 장력을 중단하면(손을 놓으면), 탄발스프링(121)의 탄발력으로 푸쉬어(120)가 지지대(140, 140')를 하방으로 밀어내고, 회동체(130)는 연결축(141)이 연결된 일단이 힘을 받아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해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도 1 참조). 결국, 내선(30)은 다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내선(3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회동체(130)에 지지를 받아 절곡되면서, 출구(113)로 인출된 내선(30)의 말단은 결국 매설관(110)으로 인입돼 정돈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 및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A,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체(130)의 타단은 내선(30)과 맞물려서 내선(30)의 장력변화에 따라 회동한다. 즉, 작업자가 내선(30)을 당기면 팽팽해지는 내선(30)의 힘에 의해 회동체(130)가 회동하면서 타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이때, 회동체(130)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면 일단은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일단과 연결축(141)을 매개로 연결된 지지대(140, 140')는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계속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지지대(140, 140')는 푸쉬어(12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런데, 지지대(140, 140')는 상방이동과 더불어 수평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이는 지지대(140, 140')가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체(130) 일단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푸쉬어(120)에서 상하로만 이동하는 탄발대(122)와 상하이동은 물론 수평으로도 이동하는 지지대(140, 140')의 원활한 결속을 위해, 탄발대(122)는 지지대(140, 140')의 수평 이동 경로에 상응하는 이동로(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해 탄발대(122)와 연결되는 지지대(140, 140')의 상단에는 이동로(122a)와 맞물리는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즉, 걸림턱(142)은 이동로(122a)에 삽입된 지지대(140, 140')의 상단이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대(140, 140')와 탄발대(122)를 결속시킨다. 물론, 이동로(122a)는 걸림턱(142)이 걸리는 턱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40, 140')는 회동체(130)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한 쌍이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런데, 내선(30)은 장력방향에 따라 치우치는 방향이 편중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대(140, 140')는 서로 독립하게 동작해야 하고, 독립된 지지대(140, 140')를 개별적으로 탄발하기 위해 푸쉬어(120) 또한 독립하게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회동체(130)의 타단에는 활차(133)가 더 포함된다. 활차(133)는 회동체(130)의 타단에서 내선(3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내선(30)과의 맞물림시 회동체(130)와 내선(30) 간의 슬라이딩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즉, 작업자는 내선(30)을 당기더라도 회동체(130)의 회동으로 쉽게 당겨짐은 물론, 활차(133)에 의해 최소한의 훼손까지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동체(130)의 타단에는 활차(133)가 삽입되는 회전홈(132)이 형성되고, 회전홈(132)에 삽입된 활차(133)는 회전축(13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때 활차(133)의 둘레부는 내선(30)과의 맞물림을 위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될 것이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도 5에 도시된 구성이 더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단자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누전, 합선 등을 즉시 감지하고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이나 차단에 의해 발생되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배전반(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된 전원내선(200)은 내선하우징(210)을 관통하여 각각 내선단자(220)에 접지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선단자(220)는 +,- 2개지만 단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때, 내선하우징(210)의 내부 중앙에는 격벽(23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230)에는 상하방향으로 구멍(232)이 뚫려 있고, 이 구멍(232)에는 배전함연결검출선(240)이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격벽(230)이 하단에는 접속단자(250)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단자(250)에는 상기 배전함연결검출선(240)이 일단이 접속되며, 타단은 배전함(미도시)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2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선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는 스프링(260)이 각각 삽입되고, 스프링(260) 위에는 상기 내선단자(220)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내선하우징(210)을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선단자(220)는 탄성유동되면서 전술한 바 형상의 단자(151)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접속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내선하우징(210)의 외주면 적소에는 돌기(270)가 돌출된다.
한편, 캡(150)은 단자(151)를 포함하면서 캡(150) 상부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연장부(15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52)의 내부 중앙, 다시 말해 상기 단자(151)들 사이에는 과전류검출기(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양측에는 각각 판상의 검출단자(310)가 돌출되고, 상기 검출단자(310)는 상기 단자(151)의 상단면에 각각 접지된다.
따라서, 상기 내선단자(220)가 접속될 경우, 상기 검출단자(310)는 상기 단자(151)와 상기 내선단자(220) 사이에 배치되어 통전상태로 놓이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상단면에는 송신단자(320)가 돌출되고, 상기 송신단자(320)는 상기 접속단자(25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선하우징(210)을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152)의 일부에는 대략 'ㄴ'형상의 결합홈(153)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내선하우징(210) 조립시 내선하우징(210)에 구비된 돌기(270)를 상기 결합홈(153)의 일측에 끼운 다음 돌리게 되면 돌기(270)가 완전히 걸린 채로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되며, 동시에 내선단자(220)는 검출단자(310)의 상면과 접촉되고, 송신단자(320)는 접속단자(25)와 접촉되어 검출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누전이나 합선이 발생하면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과전류검출기(300)는 이를 즉시 검출한 다음 송신단자(320)를 통해 신호를 송출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접속단자(250)는 배전함연결검출선(240)을 통해 배전함으로 송신하며, 배전함에서는 누전차단기(미도시)를 내려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150 : 캡 151 : 단자
152 : 연장부 153 : 결합홈
200 : 전원내선 210 : 내선하우징
220 : 내선단자 230 : 격벽
240 : 배전함연결검출선 250 : 접속단자
260 : 스프링 270 : 돌기
300 : 과전류검출기 310 : 검출단자
320 : 송신단자

Claims (1)

  1. 내선(30)이 관통해 출구(113)로 인출되는 중공을 갖추고, 상단에는 내선(30)이 통과하는 통로(112)가 형성되도록 한 쌍의 수용홈(111, 111')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벽체(10)에 세로방향으로 매설되는 매설관(110); 매설관(110)에 배선된 내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151)를 구비하고 매설관(110)의 상단을 덮어 폐구하는 캡(150); 수용홈(111, 111')에 각각 탑재되는 탄발스프링(121)과, 탄발스프링(121)에 의해 하방으로 탄발하면서 수용홈(111, 111') 내에 수용되고 저면에는 이동로(122a)가 형성된 탄발대(122)를 구비한 한 쌍의 푸쉬어(120); 상단이 탄발대(122)와 맞물려서 이동로(122a)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매설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에 나란히 배치되어 탄발대(1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140, 140'); 일단이 연결축(141)을 매개로 지지대(140, 14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축(131)을 매개로 매설관(110)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지지대(140, 140')와 연동하여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되, 다수 개가 각 지지대(140, 140')를 따라 교대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서, 내선(30)이 타단과 맞물려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관(110)을 관통하도록 하고, 타단에 맞물린 내선(30)이 마찰없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내선(30)과 접촉해 내선(3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활차(133)를 구비하는 다수의 회동체(13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단자(151)를 감싸는 캡(150)의 상단이 연장된 원통형상의 연장부(152);
    상기 연장부(152)의 외주면 양측에 'ㄴ'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결합홈(153);
    상기 캡(150)의 중앙에서 상기 단자(151)를 사이에 두고 안착된 과전류검출기(300);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단자(151) 상면에 접촉 안착된 검출단자(310);
    상기 과전류검출기(300)의 상단면에서 상향 돌출된 송신단자(320);
    상기 연장부(152) 속으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53)에 끼움 고정되는 돌기(270)를 갖는 내선하우징(210);
    상기 내선하우징(2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멍(232)이 형성된 격벽(230);
    상기 격벽(230)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송신단자(320)와 접속되는 접속단자(250);
    일단은 상기 접속단자(2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멍(232)을 관통하여 인출된 뒤 배전함의 누전차단기와 연결된 배전함연결검출선(240);
    상기 격벽(230)에 의해 구획된 공간 상에 각각 삽입된 스프링(260);
    상기 스프링(26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공간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유동되며, 상기 검출단자(310)와 접촉되는 내선단자(220);
    상기 내선단자(220)와 연결되고 스프링(260) 중앙과 내선하우징(210)을 관통하여 배전함에 연결된 전원내선(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0120065496A 2012-06-19 2012-06-19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19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496A KR101190175B1 (ko) 2012-06-19 2012-06-19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496A KR101190175B1 (ko) 2012-06-19 2012-06-19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175B1 true KR101190175B1 (ko) 2012-10-12

Family

ID=4728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496A KR101190175B1 (ko) 2012-06-19 2012-06-19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1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72B1 (ko) 2013-05-13 2013-09-09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led)의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468506B1 (ko) * 2014-02-26 2014-12-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477514B1 (ko) * 2014-02-26 2014-12-30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143421B1 (ko) 2019-12-27 2020-08-11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소화 및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307B1 (ko) 2008-07-24 2008-12-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배전용 내선 보호대
KR100877731B1 (ko) 2008-07-25 2009-01-13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절연형 내선연결대
KR100879135B1 (ko) 2008-07-25 2009-01-29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방지를 위한 전원내선 배선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307B1 (ko) 2008-07-24 2008-12-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배전용 내선 보호대
KR100877731B1 (ko) 2008-07-25 2009-01-13 (주)정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절연형 내선연결대
KR100879135B1 (ko) 2008-07-25 2009-01-29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방지를 위한 전원내선 배선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72B1 (ko) 2013-05-13 2013-09-09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led)의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468506B1 (ko) * 2014-02-26 2014-12-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477514B1 (ko) * 2014-02-26 2014-12-30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143421B1 (ko) 2019-12-27 2020-08-11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소화 및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067960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자동 전기차단 안전콘센트
US20140368977A1 (en) Modular Device System for Electrical Wiring
KR101470870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KR102316192B1 (ko)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CN106972293B (zh) 架空线路插拔式连接装置
KR102486190B1 (ko) 변압기를 통과한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 관리 시스템
US20060068608A1 (en) Rotatable outlet adaptor
KR102362838B1 (ko) 변압기용 이동식 기초대
KR100822668B1 (ko)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KR100879135B1 (ko)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방지를 위한 전원내선 배선구조
KR101193117B1 (ko)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733111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WO2017007420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device
CN112595868B (zh) 智慧物联表箱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200394084Y1 (ko)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KR100875307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내선 보호대
KR101468506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CN110011267A (zh) 一种低压电气线路故障电弧监测装置
KR101286696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248881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101941085B1 (ko)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배선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