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069B1 -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069B1
KR101566069B1 KR1020130015628A KR20130015628A KR101566069B1 KR 101566069 B1 KR101566069 B1 KR 101566069B1 KR 1020130015628 A KR1020130015628 A KR 1020130015628A KR 20130015628 A KR20130015628 A KR 20130015628A KR 101566069 B1 KR101566069 B1 KR 101566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r
tab bar
gui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406A (ko
Inventor
박재훈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069B1/ko
Priority to CN201310300337.XA priority patent/CN103997003B/zh
Publication of KR2014010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Abstract

부스덕트용 분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에 따르면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의 전기접속을 정확히 수행하고 접속불량을 쉽게 확인하여 화재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접속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대용량 부스덕트에 있어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덕트용 분기장치{diverging device for bus du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접속불량을 쉽게 확인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부스덕트(bus duct)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원래, 전력 배선 방식에 있어서는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에서는 점차적으로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 또는 고무를 사용하지만 부스덕트는 대용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절연체로서 직접 보호하기 어려워서 절연체를 부스바에 피복함과 동시에 부스바를 금속 덕트 안에 내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예전에 비해서 지금의 건축물의 전기공급 시스템은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안전하고 에너지 손실이 적은 부스덕트의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부스덕트는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 LCD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의 다양한 분야의 시설물에 적용되고 있다.
부스덕트 내부에 구비된 부스바는 통상적으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소정 크기의 덕트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된 후 설치하고자 하는 시설 및 배전 설계에 맞추어 연결 시공된다.
그런데, 복잡한 구조를 갖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수많은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스덕트 자체의 연결만으로 배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부스덕트에서 전기를 분기시킬 수 있는 분기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분기장치로는 통상적으로 피에이치 박스(PH box: Plug in Hole box)가 사용된다.
피에이치 박스는 플러그인 유닛(PIU: Plug In Unit) 또는 탭박스(Tap-off box)라고도 불리우며 상기 부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다수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필요한 곳에 분기된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분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부스덕트와의 전기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접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전기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으므로 정상 접속 여부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대용량의 부스덕트에 연결되는 분기장치일수록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접속위치에 배치하기가 쉽지 않으며, 접속부의 강성 또한 증가하므로 눌러서 끼우는데 매우 큰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전기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접속불량을 쉽게 확인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의 전기접속을 정확히 수행하고 접속불량을 쉽게 확인하여 화재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접속위치에 배치하여 신속한 작업 수행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대용량 부스덕트에 있어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bus duct) 내의 부스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 및, 상기 탭바가 상기 접속부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탭바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이동하는 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탭바의 끝단과 접촉하여 상기 탭바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표지부를 이동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탭바가 삽입되어 상기 표지부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변형하며, 상기 탭바가 상기 접속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표지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변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탭바 또는 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탭바 또는 접속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면, 상기 탭바가 접속부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탭바의 일단은 상기 접속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용 모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탭바의 타단은 상기 부스바와의 용접연결을 위한 용접모재용 모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탭바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하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부스덕트 상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로 조임으로써 상기 탭바를 상기 접속부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부스덕트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 상에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가 상기 부스덕트 상면에 안착된 후 상기 몸체를 상기 부스덕트에 고정시키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은 일단에 삽입팁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이 회동하면 상기 삽입팁이 부스덕트에 구비된 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와 볼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이동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몸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몸체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삽입돌기가 가이드공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을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외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bus duct) 내의 부스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부스덕트에 구비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bus duct) 내의 부스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 및, 상기 몸체를 상기 부스덕트에 고정시키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외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bus duct) 내의 부스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 및, 상기 부스덕트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 상에 안착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의 전기접속을 정확히 수행하고 접속불량을 쉽게 확인하여 화재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접속위치에 배치하여 신속한 작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대용량 부스덕트에 있어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이 모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를 밑에서 바라본 투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접속부가 노출되는 구조를 밑에서 바라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접속부 및 탭바가 부스바에 용접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부분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시각용 식별부재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시각용 식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투시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촉각용 식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알람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의 작동구성을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에서 고정몸체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작동구성을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 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이 모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를 밑에서 바라본 투시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접속부가 노출되는 구조를 밑에서 바라본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는 크게 외형을 이루는 몸체(102)와, 상기 몸체(102)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106)와, 상기 연결단자(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1, bus duct) 내의 부스바(30, 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50, 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102)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150) 및, 상기 탭바(50)가 상기 접속부(150)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스덕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몸체(10)와 조립편(20)이 합체되어 내부에 소정 크기의 통로를 형성하고, 통로 상에 부스바(30)가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덕트몸체(10) 상면과 하면의 양측부에는 마스킹몰드 등 다양한 부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플랜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30)는 다수의 기다란 바 형태의 도체(31)에 절연피복(32)을 씌워 형성될 수 있는데, 부스바(30)의 일단에는 연결단(34)이 형성되어 이를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다른 부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연결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기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102)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몸체커버(104)가 마련되어 내부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2) 내부에는 다수의 연결단자(106)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106)에 케이블이 연결됨으로써 전력 배선이 분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2) 내부 일측에는 상기 연결단자(106)를 통해 분기되는 케이블의 전력 공급을 개폐할 수 있는 파워스위치(10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2) 하부에는 상기 부스덕트(1)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는 상기 몸체(102) 하부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세 개의 U자 형태의 고정부재(40)가 상기 부스덕트(1) 하부로부터 결합되는데, 이 중 두 개의 고정부재(40)가 상기 제1 연결부(110)에 형성된 체결편(116)에 볼트결합되고, 나머지 하나가 제2 연결부(120) 하부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몸체(102)를 부스덕트(1)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0)에는 상기 접속부(150)가 노출될 수 있는 접속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102) 하부면에도 상기 접속공(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뚫린 중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150)가 몸체(102) 하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덕트몸체(10) 상부면에는 상기 접속부(150)에 삽입되는 탭바(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1)는 상기 접속공(111)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11)에는 접지용 탭바(50)까지 합해서 모두 다섯 개의 탭바(50)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공(111)에는 역시 접지용 접속부(150)까지 합해서 모두 다섯 개의 접속부(150)가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속부(15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4, 6, 7 개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 일측에는 결합부커버(60)가 구비되어 결합부(11)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2) 하면에는 가이드핀(114)이 구비되고 상기 부스덕트(1)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핀(114)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홀(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114)은 상기 몸체(102)와 상기 제1 연결부(110)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삽입홀(14)을 통해 상기 덕트몸체(1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몸체(10) 쪽에서 상기 가이드핀(114)에 너트(미도시)를 결합하여 조여주면 상기 몸체(102)가 상기 부스덕트(1) 쪽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탭바(50)가 상기 접속부(15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114)은 상기 삽입홀(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몸체(102)를 부스덕트(1)에 결합할 때 정위치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대용량에 적용되는 접속부(150)의 경우 강성이 증가하여 탭바(50)를 삽입 접속하는데 매우 큰 힘이 필요한데, 상기 가이드핀(114)을 삽입홀(14)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미도시)를 조여주면 상기 몸체(102)가 상기 부스덕트(1) 쪽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탭바(50)가 자연스럽게 상기 접속부(150)에 접속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분기장치는 상기 가이드플랜지(12)에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홈(112, 122)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112, 122)은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플랜지(12)가 부스덕트(1) 상부 양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가이드홈(112, 122) 또한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120) 각각의 하부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12, 122)은 상기 분기장치의 몸체(102)가 상기 부스덕트(1) 상에 올바르게 좌우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가이드하며 작업자는 이 상태에서 몸체(102)가 어긋나지 않게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접속부 및 탭바가 부스바에 용접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부분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탭바(50)는 덕트몸체(10) 내에 구비된 부스바(30)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스바(30)의 절연피복(32)을 벗겨낸 후 절연피복(32) 내부에 있는 도체(31)에 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탭바(50) 상단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는 접촉방지부(52)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작업 중에 일어날 수 있는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탭바(50)는 상기 접속부(150) 내부로 삽입되어 부스덕트(1)와 분기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부(150)는 접속도체(152)와 변형제한부(154)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도체(152) 외측에 상기 변형제한부(154)가 구비되는데, 상기 탭바(50)가 삽입될 때 상기 접속도체(152)가 탭바(50)의 첨단 폭 이상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변형제한부(154)는 상기 접속도체(152)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도체(152)는 일측이 상기 탭바(50)를 통해 부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연결단자(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도체(15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도체(156)는 상기 연결단자(106)와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단자(106)에 다수의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부스바(3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을 분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도체(152)와 탭바(50)는 선접촉을 통해 서로 맞닿게 되는데, 미시적 관점에서는 다수의 점접촉을 통해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탭바(50) 일단은 상기 접속부(15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용 모따기(S)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용 모따기(S)기는 상기 접속도체(152)의 입구단의 가장 좁은 폭(a)과 삽입용 모따기(S)에 의해 줄어든 탭바(50) 첨단의 폭(b)이 일치하는 정도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탭바(50)의 타단은 상기 부스바(30)와의 용접연결을 위한 용접모재용 모따기(S')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탭바(50)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30)의 절연피복(32)을 벗겨낸 후 노출된 도체(31)와 용접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용접모재용 모따기(S')가 된 부분에 모재를 도포함으로써 용이하게 용접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시각용 식별부재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시각용 식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투시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촉각용 식별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알람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식별부재(160)는 상기 탭바(50)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이동하는 표지부(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탭바(50)가 접속부(150) 제대로 접속되지 않은 경우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정확하게 접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전기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기장치는 상기 탭바(50)가 제대로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식별부재(160)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식별부재(160)는 작업자의 시각, 촉각, 청각 등 여러 가지 감각수단을 통해 탭바(50)의 정상 접속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식별부재(160)는, 상기 탭바(50)의 끝단과 접촉하여 상기 탭바(5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표지부(162)를 이동시키는 접촉부(164)와, 상기 탭바(50)가 삽입되어 상기 표지부(162)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변형하며, 상기 탭바(50)가 상기 접속부(15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표지부(162)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변형부(1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부재(160)는 접속부(150)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9(a)처럼 처음에는 상기 식별부재(160)가 기본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탭바(50)가 접속부(15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접촉부(164)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표지부(162)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9(b)처럼 상기 접속부(150) 상측으로 이동하는 표지부(162) 끝단이 기 설정된 높이까지 도달하면 작업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탭바(50)가 접속부(150)에 정상 접속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지부(16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탄성변형부(166) 일단이 접속부(150) 내부에서 가압되면서 탄성변형하게 되며, 상기 탭바(50)가 접속부(15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변형부(166)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식별부재(160)가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상기 표지부(162), 접촉부(164) 및 탄성변형부(166)로 이루어진 식별부재(160)는 통전 시 발생하는 열에 노출될 수 있고,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발휘하여야 하므로 내열성을 가진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PPO(Polyphenylene Oxide) 또는 그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부재(160)는, 상기 탭바(50) 또는 접속부(15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74)와, 상기 돌출부(74)와 대응되도록 상기 탭바(50) 또는 접속부(15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삽입홈(1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탭바(50) 양측부에는 돌출부몸체(7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속부(150) 양측부에는 삽입홈몸체(1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4)는 상기 양측 돌출부몸체(7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홈(174)은 상기 삽입홈몸체(172) 중에서 상기 탭바(50)가 정상 접속되었을 때의 상기 돌출부(74)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탭바(50)가 접속부(150) 내부에 정상 접속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74)가 상기 삽입홈(174)에 삽입되면서 소리를 내게 되며, 작업자가 그 소리를 인지하여 상기 탭바(50)의 정상 접속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접속 작업을 수행하면서, 상기 돌출부(74)가 상기 삽입홈(174)에 삽입되는 순간 손에서 느껴지는 감촉으로 정상 접속 여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74) 및 그에 대응되는 삽입홈(174)의 형상은 이러한 소리 및 감촉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탭바(50)의 접속작업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 및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74)가 상기 삽입홈(174) 안착될 때 가압되는 스위치(176)와 상기 스위치(176)와 연결된 전기회로를 통해 상기 탭바(50)가 접속부(150)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부(178)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74)가 상기 삽입홈(174)에 안착되면 상기 스위치(176)가 가압되어 전기회로가 연결되면서 알람부(178)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알람부(178)가 사용자에게 정상 접속 여부를 인지시키는 방법은 경고음을 내어 청각적으로 확인하게 하거나, 경고등을 점등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장치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의 작동구성을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에서 고정몸체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작동구성을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는 상기 몸체(102)가 상기 부스덕트(1) 상면에 안착된 후 상기 몸체(102)를 상기 부스덕트(1)에 고정시키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은 상기 제2 연결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은 일단에 삽입팁(131)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이 타단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삽입팁(131)이 부스덕트(1)에 구비된 고정홈(15)에 안착되면서 상기 몸체(10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을 회동시키면서 제2 연결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몸체(142)와 고정몸체(145)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몸체(142)는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에 형성된 가이드공(133)을 따라 이동하는 삽입돌기(143)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145)는 상기 이동몸체(142)와 볼트(14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이동몸체(14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몸체(142)는 상기 볼트(146)에 결합된 너트(147, 도 2 참조)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몸체(142)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삽입돌기(143)가 가이드공(133)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을 회동시키게 된다.
도 14(a)와 도 15(a)는 상기 너트(147)가 볼트(146)에서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몸체(142)가 상부에 있으므로,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의 삽입팁(131)이 고정홈(15)에 안착된 상태이고, 도 14(b)와 도 15(b)는 상기 너트(147)가 볼트(146) 하부에 위치하여 이동몸체(142)가 하부에 있으므로,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의 삽입팁(131)이 고정홈(15)에 안착되기 전 모습이다.
결국, 사용자가 상기 볼트(146)에 결합된 너트(147)를 조임으로써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130)이 회동하여 상기 몸체(102)를 부스덕트(1)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2)를 부스덕트(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너트(147)를 풀어주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에 따르면 부스덕트용 분기장치의 전기접속을 정확히 수행하고 접속불량을 쉽게 확인하여 화재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부스덕트용 분기장치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접속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대용량 부스덕트에 있어서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부스덕트 10: 덕트몸체
12: 가이드플랜지 14: 삽입홀
30: 부스바 50: 탭바
102: 몸체 110: 제1 연결부
112, 122: 가이드 홈 114: 가이드핀
120: 제2 연결부 130: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

Claims (18)

  1. 외형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bus duct) 내의 부스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
    상기 탭바가 상기 접속부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부재;
    상기 몸체 하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부스덕트 상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로 조임으로써 상기 탭바를 상기 접속부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탭바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이동하는 표지부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탭바의 끝단과 접촉하여 상기 탭바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표지부를 이동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탭바가 삽입되어 상기 표지부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변형하며, 상기 탭바가 상기 접속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표지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변형부를 더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탭바 또는 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탭바 또는 접속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면, 상기 탭바가 접속부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바의 일단은 상기 접속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용 모따기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탭바의 타단은 상기 부스바와의 용접연결을 위한 용접모재용 모따기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바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덕트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 상에 안착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상기 부스덕트 상면에 안착된 후 상기 몸체를 상기 부스덕트에 고정시키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은 일단에 삽입팁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이 회동하면 상기 삽입팁이 부스덕트에 구비된 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와 볼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이동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몸체를 더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몸체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삽입돌기가 가이드공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 및 가이드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16. 삭제
  17. 외형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bus duct) 내의 부스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탭바의 타단은 상기 부스바와의 용접연결을 위한 용접모재용 모따기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18. 외형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분기되는 다수의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스덕트(bus duct) 내의 부스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tap bar)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접속부; 및
    상기 탭바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KR1020130015628A 2013-02-14 2013-02-14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KR101566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28A KR101566069B1 (ko) 2013-02-14 2013-02-14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CN201310300337.XA CN103997003B (zh) 2013-02-14 2013-07-17 用于母线槽的分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28A KR101566069B1 (ko) 2013-02-14 2013-02-14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06A KR20140102406A (ko) 2014-08-22
KR101566069B1 true KR101566069B1 (ko) 2015-11-04

Family

ID=5131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628A KR101566069B1 (ko) 2013-02-14 2013-02-14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6069B1 (ko)
CN (1) CN1039970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360B1 (ko) 2018-12-19 2020-06-18 극동테크놀로지(주) 피에이치 박스용 클램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피에이치 박스
KR102159296B1 (ko) * 2020-03-02 2020-09-23 대한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907B (zh) * 2015-05-08 2018-05-08 江苏向荣电气有限公司 插接箱固定件
CN107565298A (zh) * 2016-06-30 2018-01-09 巴斯威尔股份有限公司 电力汇流排用插接装置、插入式导通装置及汇流排组件
TWI607610B (zh) * 2016-06-30 2017-12-01 Taiwan Busway Co Ltd Plug connector device, plug-in conduction device and bus bar assembly with plug connector for power transmission busbar
CN107591760A (zh) * 2017-10-19 2018-01-16 江苏瑞仁汽车部件有限公司 共箱封闭母线槽
DE102018103667B3 (de) * 2018-02-19 2019-03-21 PSZ electronic GmbH Verbindungsvorrichtung zur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KR102100057B1 (ko) * 2018-10-18 2020-04-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착탈형 컨택터
WO2023003270A1 (ko) * 2021-07-19 2023-01-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WO2023214780A1 (ko) * 2022-05-04 2023-1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분기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447A (en) 1989-08-31 1990-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power busway plug alignment arrangement
JP2010239673A (ja) * 2009-03-30 2010-10-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プラグイン器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4942Y (zh) * 2000-11-28 2001-10-17 信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电路的连接器
CN2912041Y (zh) * 2006-06-09 2007-06-13 华鹏集团公司 母线插接装置
KR100993099B1 (ko) * 2008-07-25 2010-1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재분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 시설물 내 분전설비
JP5281433B2 (ja) * 2009-02-20 2013-09-04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分岐用接触子
US7819676B1 (en) * 2009-11-12 2010-10-26 Power Distribution Inc.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CN202424060U (zh) * 2011-12-04 2012-09-05 江苏金华厦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母线槽的插接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447A (en) 1989-08-31 1990-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power busway plug alignment arrangement
JP2010239673A (ja) * 2009-03-30 2010-10-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プラグイン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360B1 (ko) 2018-12-19 2020-06-18 극동테크놀로지(주) 피에이치 박스용 클램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피에이치 박스
KR102159296B1 (ko) * 2020-03-02 2020-09-23 대한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97003A (zh) 2014-08-20
CN103997003B (zh) 2016-12-28
KR20140102406A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069B1 (ko)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JP5730445B2 (ja) 電気的シリーズ用端子およびシリーズ端子ブロック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CN110456113B (zh) 一种插拔式电流本质安全端子
CN102027639A (zh) 桥形连接器和由至少两个电接线端子和一个桥形连接器组成的结构单元
CN106068584B (zh) 断接器拼接块和模块化浪涌装置
US20160247651A1 (en) Touch safe panel board system
KR100968588B1 (ko)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KR102124659B1 (ko) 부스덕트 접속부
US20150280414A1 (en) Wiring apparatus
EP3163694A1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KR20100029809A (ko)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
EP2867911B1 (en) Protecting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against overheating
EP2667394B1 (en) Multiple-pole switch and/or circuit breaker for low voltage
JP4882698B2 (ja) テストプラグ
KR101379322B1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20170037360A (ko) 부스덕트 접속부 및 그 접속방법
JP2008130281A (ja) 短絡治具、およびテストプラグ
JP5250789B2 (ja) 2極回路遮断器
US20130329332A1 (en) Power line indicator accessory for fusible circuit protection device array
KR101327233B1 (ko) 부하개폐기 접속 장치
CN107742865A (zh) 一种用于母线槽的分流装置
CN204651738U (zh) 二次端子排防误器
JP2008017674A (ja) テストプラグ
KR200314282Y1 (ko) 지상설치용 케이블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