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138B1 -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138B1
KR100844138B1 KR1020080031182A KR20080031182A KR100844138B1 KR 100844138 B1 KR100844138 B1 KR 100844138B1 KR 1020080031182 A KR1020080031182 A KR 1020080031182A KR 20080031182 A KR20080031182 A KR 20080031182A KR 100844138 B1 KR100844138 B1 KR 10084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opening
sto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희
Original Assignee
(주)삼화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삼화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8003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을 따라 안내수단(114b)이 형성되며 개구된 관통홈(114a)을 갖는 보강대(114)와, 둘레면이 안내수단(114b)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보강대(114)에 내설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118a)을 구비한 구획관(118)과, 구획관(118)의 회전중심과 나란한 회전중심으로 관통홈(114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둘레면이 구획관(118)의 둘레면과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구획관(118)과 연동하는 롤러(117)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되되, 전단에는 스토퍼(113c)와 탄발하는 탄발부재(132)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면 개구부를 폐구할 시에 스토퍼(113c)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도록 하는 하중체(133)가 구비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로 이루어진 배관(100):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덮은 덮개(130)의 후단과 스토퍼(113c)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스토퍼(113c)에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제1압전소자(210);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덮개(130)의 후단과 걸림턱(121)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걸림턱(121)에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제2압전소자(220)로 이루어진 감지부(200): 및 감지부(200)의 전기신호를 수신하여서 해당 감지부(200)가 설치된 배관(100)과 해당 배관(100)의 제1,2압전소자(210, 220)를 확인하는 수신수단(310); 수신수단(310)이 수신한 전기신호의 수신형태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를 결정하는 확인수단(320); 확인수단(320)이 이상으로 결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출력수단(340)을 매개로 통지하는 알람수단(330)으로 이루어진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Sensing system for bnormality of pipe protecting the grounded cable}
본 발명은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 설비는 전주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전선을 가공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초기 설비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종래에 널리 활용되던 설치방식이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도심지의 미화개선을 위해 전선을 지중에 매설시켜서, 외관으로는 전선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지중설비방식이 대세이다.
지중설비는 전선을 매립하는 방식이므로, 전선의 매립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선은 송전을 위한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것이므로, 외부와는 차단된 공간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배전선의 설비구조를 보면, 지하에 건축한 지하공간에 배전선을 별도의 절연처리 없이 선반에 얹어 배치한 상태로만 관리되면서,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한 전기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컸고, 배전선들을 서로 밀집 배치하면서 현장에서 배전선의 식별이 용이치 못해 보수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전선의 안전한 매설위치를 확보하여 고압의 배전선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고, 정돈된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배전선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지지대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와, 지지대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을 이루되 가이드홈을 개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레일과, 한 쌍의 지지대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를 서로 연결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을 따라 안내수단이 형성되며 개구된 관통홈을 갖는 보강대와, 둘레면이 안내수단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보강대에 내설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을 구비한 구획관과, 구획관의 회전중심과 나란한 회전중심으로 관통홈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둘레면이 구획관의 둘레면과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구획관과 연동하는 롤러로 구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 망; 하우징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와 맞닿으면서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와 맞닿으면서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되되, 전단에는 스토퍼와 탄발하는 탄발부재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면 개구부를 폐구할 시에 스토퍼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도록 하는 하중체가 구비된 덮개; 및 개구부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를 구속하는 걸림턱과, 걸림턱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의 말단을 지지대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로 된 고정대로 이루어진 배관: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를 덮은 덮개의 후단과 스토퍼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스토퍼에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제1압전소자;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덮개의 후단과 걸림턱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걸림턱에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제2압전소자로 이루어진 감지부: 및
감지부의 전기신호를 수신하여서 해당 감지부가 설치된 배관과 해당 배관의 제1,2압전소자를 확인하는 수신수단; 수신수단이 수신한 전기신호의 수신형태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를 결정하는 확인수단; 확인수단이 이상으로 결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출력수단을 매개로 통지하는 알람수단으로 이루어진 관리부:
를 포함하는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다수의 배전선을 외부와 격리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보수 및 교체 등과 같은 전선의 관리를 위해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구할 수 있는 덮개를 갖추면서 배전선 별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100, 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면서 내측에 배전선(C)을 삽입 보관할 수 있는 중공을 확보하고, 상기 중공에 보관된 배전선(C)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덮개(130)를 갖춘 관 형상을 이룬다.
또한, 이웃하는 배관(100, 100')은 플랜지(111, 111')에 끼워지는 고정수단(미도시함)을 매개로 견고하면서도 긴밀히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핀, 볼트,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배관(100, 100')의 저면은 통기 가능한 지지망(140)으로 폐구되어서, 배관(100, 100') 중공의 환기와 배수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100)은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저면을 폐구하는 지지망(14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면을 폐구하는 덮 개(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단에 플랜지(111)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111, 111')의 일면에는 플랜지(111)를 따라 지지대(116, 116')가 중공을 갖도록 돌출형성되고, 지지대(116, 116')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지점에 레일(113)이 돌출형성된다. 결국, 지지대(116, 116')와 레일(113) 사이의 이격공간에 가이드홈(113a)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113)은 가이드홈(113a)의 개구를 위한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일정거리만큼 매꾸는 스토퍼(113c;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한 쌍의 지지대(116, 116')는 바아 형상의 뼈대(115)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뼈대(115)는 배관(100)이 관 형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면과 저면이 각각 개구되는 최소한의 개수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관(100)은 보강대(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대(114)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배관(100)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뼈대(115) 만으로 그 형상이 유지됨으로서 약해지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16, 116')와 같이 관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상면이 개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방으로 개구된 상기 배관(100)의 저면은 지지망(140)으로 덮여 폐구된다. 상기 지지망(140)은 배관(100)의 중공에서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배관(100)은 방수처리된 것이 아니므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각 종 수분이 배관(100)의 내면에 결로되어 발생한 이슬을 효율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지망(140)은 배전선(C)이 누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수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배관(100)의 개구된 상면은 덮개(130)를 매개로 폐구되고, 이 덮개(130)는 관리자의 조작으로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지하공간은 한정된 공간으로, 이곳에 많은 배전선(C)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관(100)이 지하공간에 설치될 경우, 다른 배관 간의 배치간격이 협소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덮개(130)의 개폐는 여유공간이 요구되는 여닫이 방식이 아닌 미닫이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덮개(130)는 곡면형상을 이룬다. 물론, 지지대(116, 116')와 보강대(114)의 외면은 덮개(130)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곡면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플랜지(111, 111')와 마주하는 덮개(130)의 좌우 양단은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즉, 레일(113)과 지지대(116, 116')를 따라 곡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3a)을 타고 곡면의 덮개(130)가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덮개(130)를 이동시켜서 상면 개구부를 연 후, 중공에 배치된 배전선(C)에 대한 보수 및 관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덮개(130)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덮개(130)의 외면에는 손잡이(1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덮개(130)는 좌우 양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에 끼워져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 개구부가 완전히 개구되면 고정대(120)에 걸려 움직이 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정대(120)는 상기 개구부(113b)에 형성된 회동축(1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가이드홈(113a)을 막거나 여는 한 쌍의 걸림턱(121)과 이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배관(100)의 외곽에 드러나는 핸들(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21)은 가이드홈(113a)을 항시 막는 모습이 되도록 토션스프링(미도시함)을 매개로 회동축(112)과 연결된다. 즉, 걸림턱(121)의 말단은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이에 상응하여 핸들(122)은 압력을 받아 회동할 수 있도록 배관(100)의 외곽에 돌출될 것이다.
계속해서, 덮개(130)의 전,후단에는 각각 탄발부재(132)와 하중체(133)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대(120)와 탄발부재(132) 및 하중체(13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16, 116')와 뼈대(115) 및 보강대(114)로 이루어진 관 형상에서 저면 개구부에는 지지망(140)이 배치되어 저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상면 개구부에는 덮개(130)가 배치되어 상면 개구부를 개폐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면, 덮개(130)의 하중이 전후방으로 고르게 분산되므로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안정적으로 덮어 폐구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덮개(130)를 밀어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고 작업을 수행할 경우, 덮개(130)가 가이드홈(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가려 폐구할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의 작업에 방해를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번 열린 덮개(130)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현 위치(상면 개구부 전체를 개구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관(100)은 가이드홈(113a)의 일지점을 막도록 형성되어서 해당 방향으로는 덮개(130)가 이동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스토퍼(113c)를 더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전술한 고정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20)의 걸림턱(121)은 스토퍼(113c)와 대향하게 배치되어서,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 사이에 덮개(130)의 전,후단이 각각 맞닿도록 한다. 즉, 덮개(130)는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에 의해 그 진행이 차단되므로 관리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이상 현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개구하면, 덮개(130)의 후단이 걸림턱(121)을 지나게 되고, 걸림턱(121)은 토션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턱(121)이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130)는 걸림턱(121)에 막혀 상면 개구부로 이동할 수 없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핸들(122)을 밀고, 이에 상응하여 걸림턱(121)은 지지대(116)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덮개(130)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관리자는 손잡이(131)를 잡고 덮 개(130)를 밀고, 이 힘을 받은 덮개(130)는 가이드홈(113a)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폐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130)의 전단에는 탄발부재(132)가 구비된다. 탄발부재(132)는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개구하면서 걸림턱(121)에 걸리면, 스토퍼(113c)와 덮개(130)의 전단 사이에 탄발력을 가하여 덮개(130)가 다시 상면 개구부를 덮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덮개(130)의 후단은 걸림턱(121)에 걸려 지지되므로, 현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이후, 관리자가 핸들(122)을 눌러 걸림턱(121)이 덮개(130)의 후단을 구속하는 상태를 해제하면, 덮개(130)는 탄발부재(132)의 탄발력으로 인해 가이드홈(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의 일부를 폐구한다.
한편, 덮개(130)의 후단에는 하중체(133)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중체(133)는 덮개(130)의 하중이 하중체(133)가 위치한 후단에 편중되도록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탄발부재(132)의 탄발력이 덮개(130)의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만날 수 있도록 밀어낼 만큼 충분치 않을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체(133)의 위치가 최고점을 경유하여 스토퍼(113c) 쪽으로 치우칠 정도로만 밀어내면 관리자의 별도 조작없이도 자체 하중에 의해 덮개(130)가 슬라이딩하면서 후단이 스토퍼(113c)와 접하게 되고, 결국 덮개(130)는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폐구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고정대(120)의 핸들(122)를 눌러 조작하는 것만으로, 개구된 덮개(130)를 덮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대의 분해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100)의 보강대(114)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내면을 따라 홈 또는 레일 형상의 안내수단(114b)이 형성된다. 한편, 이 안내수단(114b)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구획관(118)이 더 포함된다.
상기 구획관(118)은 원형을 이루는 보강대(11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함은 물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118a)에 의해 내부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격실된다.
이렇게 격실된 공간으로 일정한 수의 배전선(C)이 지나면서, 동일한 배관(100)에 보관된 다수의 배전선(C)이 간섭없이 정렬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관(118)은 보강대(114)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수단(114b)을 따라 회전가능하므로, 유사시 관리자는 구획관(118)을 회전시켜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에 관리대상인 해당 배전선이 곧바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한다.
구획관(118)의 회전은 구획관(118)의 둘레면과 맞물리는 롤러(117)를 이용해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117)는 보강대(114)에 형성된 관통홈(114a) 내에 구획관(118)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회전되도록 배치 고정되고, 롤러(117)의 둘레면이 구획관(118)의 둘레면과 밀착되면서, 관리자가 롤러(117)를 회전시키면 구획관(118)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117)는 구획관(118)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합성)고무 같은 탄성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감지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도 7과 더불어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감지시스템은 전술한 덮개(130)의 개폐상태를 확인하여 각종 사고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이상감지시스템은 덮개(130)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감지부(200)와, 감지부(20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배관(100)의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부(300)를 더 포함한다.
덮개(130)는 관리자가 지중설비의 일종인 배전선(C)을 보호하고, 합선 및 누전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자가 배전선(C)의 관리를 수행할 시에는 덮개(130)가 확실히 개구되어야 하고, 관리작업이 종료한 상태에서는 개구된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여 배전선(C)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배관(100)은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써, 덮개(130)의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없으므로, 덮개(130)의 상태를 원격지의 관리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될 때 덮개(130)의 후단과 접하는 스토퍼(113c)의 상단에는 덮개(130)와의 접촉시 발생한 압력으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압전소자(210)가 구비되고,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될 때 덮개(130)의 후단과 접촉하는 걸림턱(121)의 일면에는 덮개(130)와의 접촉시 발생한 압력으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압전소자(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2압전소자(210, 220)로 된 감지부(200)는 외부로부터 기준치 이상 의 압력을 받으면 일시적으로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한 전기는 관리부(300)로 전송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하우징(100)의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폐구하면, 덮개(130)의 후단은 스토퍼(113c)와 밀착될 것이고, 따라서, 스토퍼(113c)의 상단에 설치된 제1압전소자(210)는 덮개(130)의 압력을 받아 발생한 전기신호를 관리부(300)로 발신할 것이다. 또한,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개구하면 그 후단이 스토퍼(113c)의 일면과 밀착될 것이므로, 스토퍼(113c)에 설치된 제2압전소자(220)는 덮개(130)로부터 압력을 받아 발생한 전기신호를 관리부(300)로 발신할 것이다.
감지부(200)로부터 전송된 전기신호는 관리부(300)의 수신수단(310)에서 수신하고, 수신수단(310)은 해당 전기신호가 어느 배관(100)에 설치된 감지부(200, 200', 200") 인지를 확인하고, 이와 더불어 확인된 감지부(200, 200', 200")의 제1,2압전소자(210, 210', 210", 220, 220', 220")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전기신호는 감지부(200, 200', 200")에 따라 펄스를 달리하거나 전압을 달리 함으로서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확인수단(320)은 수신수단(310)에서 식별된 전기신호의 내용을 확인하여 위험성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압전소자(210) 또는 제2압전소자(220)에서 기준시간 이내에 지속적으로 전기신호가 수신된다면, 해당 배관(100)의 덮개(130)는 안정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며 외력에 의해 개폐를 반복하는 것으로, 위험요소가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2압전소자(220)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은 후(덮개가 개구되었 음) 일정시간 이내에 제1압전소자(210)로부터 전기신호가 발송되지 않는다면, 덮개(130)는 현재 개구된 상태이므로, 해당 배관(100)에 대한 시정을 지시하게 된다. 하지만, 기준시간을 넘은 감지부(200)의 신호를 수신한다면, 일상적인 해프닝으로 간주하고 해당 전기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예 등에 따라 감지부(200)로부터 발신된 전기신호를 이상으로 간주하면, 확인수단(320)은 출력수단(340)을 조작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이를 시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출력수단(340)은 일반적인 스피커, 관리자의 모바일 또는 이메일 등 다양한 통신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대의 분해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감지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배관 110; 하우징
111, 111'; 플랜지 113; 레일
113a; 가이드홈 113b; 개구부
114; 보강대 115; 뼈대
116; 지지대 120; 고정대
130; 덮개 131; 손잡이
132; 탄발부재 133; 하중체
200; 감지부 210, 220; 제1,2압전소자
300; 관리부 310; 수신수단
320; 확인수단 330; 알람수단

Claims (1)

  1.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을 따라 안내수단(114b)이 형성되며 개구된 관통홈(114a)을 갖는 보강대(114)와, 둘레면이 안내수단(114b)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보강대(114)에 내설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118a)을 구비한 구획관(118)과, 구획관(118)의 회전중심과 나란한 회전중심으로 관통홈(114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둘레면이 구획관(118)의 둘레면과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구획관(118)과 연동하는 롤러(117)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되되, 전단에는 스토퍼(113c)와 탄발하는 탄발부재(132)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면 개구부를 폐구할 시에 스토퍼(113c)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도록 하는 하중체(133)가 구비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로 이루어진 배관(100):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덮은 덮개(130)의 후단과 스토퍼(113c)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스토퍼(113c)에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제1압전소자(210);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덮개(130)의 후단과 걸림턱(121)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걸림턱(121)에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제2압전소자(220)로 이루어진 감지부(200): 및
    감지부(200)의 전기신호를 수신하여서 해당 감지부(200)가 설치된 배관(100)과 해당 배관(100)의 제1,2압전소자(210, 220)를 확인하는 수신수단(310); 수신수단(310)이 수신한 전기신호의 수신형태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를 결정하는 확인수단(320); 확인수단(320)이 이상으로 결정하여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출력수단(340)을 매개로 통지하는 알람수단(330)으로 이루어진 관리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KR1020080031182A 2008-04-03 2008-04-03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KR100844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182A KR100844138B1 (ko) 2008-04-03 2008-04-03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182A KR100844138B1 (ko) 2008-04-03 2008-04-03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138B1 true KR100844138B1 (ko) 2008-07-04

Family

ID=3982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182A KR100844138B1 (ko) 2008-04-03 2008-04-03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1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5B1 (ko) 2008-04-03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0906820B1 (ko) 2009-04-20 2009-07-17 주식회사 이린 배전용 가공선로 피복구조
KR101286696B1 (ko) 2013-05-24 2013-07-16 박순섭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453926B1 (ko) * 2014-07-22 2014-10-23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안정성 및 설치용이성을 갖춘 송변전장치
KR101617643B1 (ko) 2015-11-09 2016-05-03 전병철 가공배전용 가공전선 설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946A (ja) 1997-04-24 1998-11-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配管用枕台
KR19990046159A (ko) * 1998-03-07 1999-07-05 박래웅 케이블선로의 이상 유무 검출장치
KR20010001189U (ko) * 1999-06-25 2001-01-15 이긍재 매설용관 보호구
KR20040044575A (ko) * 2002-11-21 2004-05-31 (주)맥컴정보기술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KR20040091241A (ko) * 2003-04-21 2004-10-28 이선희 합성수지관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배관매설공법
KR20070105565A (ko) * 2006-04-26 2007-10-31 (주)지엠지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946A (ja) 1997-04-24 1998-11-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配管用枕台
KR19990046159A (ko) * 1998-03-07 1999-07-05 박래웅 케이블선로의 이상 유무 검출장치
KR20010001189U (ko) * 1999-06-25 2001-01-15 이긍재 매설용관 보호구
KR20040044575A (ko) * 2002-11-21 2004-05-31 (주)맥컴정보기술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KR20040091241A (ko) * 2003-04-21 2004-10-28 이선희 합성수지관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배관매설공법
KR20070105565A (ko) * 2006-04-26 2007-10-31 (주)지엠지 판형 계측 센서를 이용한 파일 연결부의 변형 측정 장치 및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5B1 (ko) 2008-04-03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0906820B1 (ko) 2009-04-20 2009-07-17 주식회사 이린 배전용 가공선로 피복구조
KR101286696B1 (ko) 2013-05-24 2013-07-16 박순섭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453926B1 (ko) * 2014-07-22 2014-10-23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안정성 및 설치용이성을 갖춘 송변전장치
KR101617643B1 (ko) 2015-11-09 2016-05-03 전병철 가공배전용 가공전선 설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138B1 (ko)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US11802920B2 (en) Safety ground wire monitoring and alarm systems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CN104798119A (zh) 用于卷帘百叶窗的警报系统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KR100873987B1 (ko)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KR10177456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WO2013124761A2 (en) Antitheft device for cables, particularly electric cables and in cable ducts or the like
US5371488A (en) Tension sensing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for fencing
ES465307A1 (es) Un aparato para proteccion de una instalacion electrica en un edificio
KR102080629B1 (ko) 스마트 맨홀 뚜껑의 모뎀 설치부 방수 및 매립 구조
DE60012913D1 (de) Kabelintegritätsprüfungstechnik für entfernte haussicherheitsüberwachung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0842352B1 (ko) 매설형 배전선의 간섭방지용 지중관
KR10174256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EP1908031A1 (de) Überwach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von manipulationen an hydranten
ES2667067T3 (es) Unidad para red en anillo con dispositivo de enclavamiento
KR1008423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위치 확보용 고정프레임
KR100766576B1 (ko) 전력 케이블의 보호커버 설치구조
KR101286696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336112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WO2003093586A1 (en) Safety equipment of a manhole
KR100869595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829037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