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037B1 -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 Google Patents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037B1
KR101829037B1 KR1020170045429A KR20170045429A KR101829037B1 KR 101829037 B1 KR101829037 B1 KR 101829037B1 KR 1020170045429 A KR1020170045429 A KR 1020170045429A KR 20170045429 A KR20170045429 A KR 20170045429A KR 101829037 B1 KR101829037 B1 KR 101829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casing
skelet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복
Original Assignee
정동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복 filed Critical 정동복
Priority to KR102017004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전선의 안전한 매설위치를 확보하여 고압의 지중전선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고, 정돈된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지중전선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 또는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FIXER OF BURIED CABL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전선의 안전한 매설위치를 확보하여 고압의 지중전선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고, 정돈된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지중전선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 또는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 설비는 전주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전선을 가공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초기 설비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종래에 널리 활용되던 설치방식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도심지의 미화개선을 위해 전선을 지중에 매설시켜 외관으로 전선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지중설비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지중설비는 전선을 매립하는 방식이므로 전선의 매립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선은 송전을 위한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것이므로 지상인출을 위한 구조를 제외하고 외부와는 차단된 공간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지중전선의 설비구조를 보면, 지하에 건축한 지하공간에 지중전선을 별도의 절연처리 없이 선반에 얹어 배치한 상태로만 관리되면서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한 전기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크고, 지중전선들을 서로 밀집 배치하면서 현장에서 지중전선의 식별이 용이치 못해 보수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9595호(2008.11.21.)에는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는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가 뼈대와 접촉되면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 또는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9595호(2008.11.21.)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전선의 안전한 매설위치를 확보하여 고압의 지중전선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고, 정돈된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지중전선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대(114)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로 구성되는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1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 또는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13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150)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150)는, 가이드볼(151); 일측에 유출입구(152a)가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가이드볼(151)이 수용되며, 가이드볼(151)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뼈대(115)에 매립되는 케이싱(152); 및 케이싱(152)으로 수용되어 가이드볼(151)을 가압하면서 가이드볼(151)이 유출입구(15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스프링(153)을 포함하며, 덮개(130)는, 내측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볼(151)에 접하면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13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31)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볼(151)이 인입되면서 덮개(130)의 슬라이딩이 정지되도록 하는 반원홈(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지중전선을 외부와 격리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보수 및 교체 등과 같은 전선의 관리를 위해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구할 수 있는 덮개를 갖추면서 지중전선 별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서 고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덮개가 슬라이딩되어 하우징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69595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69595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이하 "위치고정대"라 한다)(100, 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면서 내측에 지중전선(C)을 삽입 보관할 수 있는 중공을 확보하고, 상기 중공에 보관된 지중전선(C)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덮개(130)를 갖춘 관 형상을 이룬다.
또한, 이웃하는 위치고정대(100, 100')는 플랜지(111, 111')에 끼워지는 고정수단(미도시함)을 매개로 견고하면서도 긴밀히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핀, 볼트,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위치고정대(100, 100')의 저면은 통기 가능한 지지망(140)으로 폐구되어서, 위치고정대(100, 100') 중공의 환기와 배수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는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저면을 폐구하는 지지망(14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면을 폐구하는 덮개(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단에 플랜지(111)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111, 111')의 일면에는 플랜지(111)를 따라 지지대(116, 116')가 중공을 갖도록 돌출형성되고, 지지대(116, 116')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지점에 레일(113)이 돌출형성된다. 결국, 지지대(116, 116')와 레일(113) 사이의 이격공간에 가이드홈(113a)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113)은 가이드홈(113a)의 개구를 위한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일정거리만큼 매꾸는 스토퍼(113c;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한 쌍의 지지대(116, 116')는 바아 형상의 뼈대(115)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뼈대(115)는 위치고정대(100)이 관 형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면과 저면이 각각 개구되는 최소한의 개수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은 보강대(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대(114)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위치고정대(100)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뼈대(115) 만으로 그 형상이 유지됨으로서 약해지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16, 116')와 같이 관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상면이 개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방으로 개구된 상기 위치고정대(100)의 저면은 지지망(140)으로 덮여 폐구된다. 상기 지지망(140)은 위치고정대(100)의 중공에서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는 방수처리된 것이 아니므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각종 수분이 위치고정대(100)의 내면에 결로되어 발생한 이슬을 효율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지망(140)은 지중전선(C)이 누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수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위치고정대(100)의 개구된 상면은 덮개(130)를 매개로 폐구되고, 이 덮개(130)는 관리자의 조작으로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지하공간은 한정된 공간으로, 이곳에 많은 지중전선(C)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가 지하공간에 설치될 경우, 다른 위치고정대 간의 배치간격이 협소할 수 밖에 없다. 상기 덮개(130)의 개폐는 여유공간이 요구되는 여닫이 방식이 아닌 미닫이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덮개(130)는 곡면형상을 이룬다. 물론, 지지대(116, 116')와 보강대(114)의 외면은 덮개(130)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곡면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플랜지(111, 111')와 마주하는 덮개(130)의 좌우 양단은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즉, 레일(113)과 지지대(116, 116')를 따라 곡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3a)을 타고 곡면의 덮개(130)가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덮개(130)를 이동시켜서 상면 개구부를 연 후, 중공에 배치된 지중전선(C)에 대한 보수 및 관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덮개(130)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덮개(130)의 외면에는 손잡이(1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덮개(130)는 좌우 양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에 끼워져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 개구부가 완전히 개구되면 고정대(120)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정대(120)는 상기 개구부(113b)에 형성된 회동축(1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가이드홈(113a)을 막거나 여는 한 쌍의 걸림턱(121)과 이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위치고정대(100)의 외곽에 드러나는 핸들(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21)은 가이드홈(113a)을 항시 막는 모습이 되도록 토션스프링(미도시함)을 매개로 회동축(112)과 연결된다. 즉, 걸림턱(121)의 말단은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이에 상응하여 핸들(122)은 압력을 받아 회동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대(100)의 외곽에 돌출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6, 116')와 뼈대(115) 및 보강대(114)로 이루어진 관 형상에서 저면 개구부에는 지지망(140)이 배치되어 저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상면 개구부에는 덮개(130)가 배치되어 상면 개구부를 개폐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면, 덮개(130)의 하중이 전후방으로 고르게 분산되므로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안정적으로 덮어 폐구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덮개(130)를 밀어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고 작업을 수행할 경우, 덮개(130)가 가이드홈(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가려 폐구할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의 작업에 방해를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번 열린 덮개(130)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현 위치(상면 개구부 전체를 개구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은 가이드홈(113a)의 일지점을 막도록 형성되어서 해당 방향으로는 덮개(130)가 이동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스토퍼(113c)를 더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전술한 고정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20)의 걸림턱(121)은 스토퍼(113c)와 대향하게 배치되어서,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 사이에 덮개(130)의 전,후단이 각각 맞닿도록 한다. 즉, 덮개(130)는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에 의해 그 진행이 차단되므로 관리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이상 현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개구하면, 덮개(130)의 후단이 걸림턱(121)을 지나게 되고, 걸림턱(121)은 토션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턱(121)이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130)는 걸림턱(121)에 막혀 상면 개구부로 이동할 수 없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핸들(122)을 밀고, 이에 상응하여 걸림턱(121)은 지지대(116)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덮개(130)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관리자는 손잡이(131)를 잡고 덮개(130)를 밀고, 이 힘을 받은 덮개(130)는 가이드홈(113a)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폐구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1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13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15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고정부(150)는 가이드볼(151), 일단부에 유출입구(152a)가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가이드볼(151)이 수용되며 가이드볼(151)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뼈대(115)에 매립되는 케이싱(152) 및 케이싱(152)으로 수용되어 가이드볼(151)을 가압하면서 가이드볼(151)이 유출입구(15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스프링(153)을 포함한다.
가이드볼(151)은 구 형태를 이루며, 스프링(153)의 가압에 따라 유출입구(152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뼈대(115)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편, 덮개(130)와의 접촉에 의해 케이싱(152)의 내측으로 진행되면서 스프링(153)이 수축되도록 한다.
케이싱(152)은 뼈대(115)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매립될 수 있으며, 뼈대(115)에는 케이싱(152)이 매립되는 매립공(11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50)는 양단부가 개방되며, 매립공(117)으로 결합되는 한편, 내측으로 케이싱(152)이 결합되는 부싱(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싱(154)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케이싱(15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부싱(154)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부싱(154)은 케이싱(152)과 매립공(117)을 이루는 둘레 간의 접촉에 의한 매립공(117)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케이싱(152)의 회전에 따라 뼈대(11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볼(151)의 돌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싱(152)은 타단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타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캡(155)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싱(152)은 타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캡(155)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케이싱(15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부(150)는 케이싱(152)의 내측으로 가이드볼(151) 및 스프링(153)이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이드볼(151)의 마모나 스프링(153)의 탄성력 저하에 따른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케이싱(152)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뼈대(115)의 내측면보다 돌출되면서 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되며, 고정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52)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커버(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156)는 지중전선(C)과의 접촉에 의한 가압이 케이싱(152)으로 전달되면서 케이싱(152)이 뼈대(115)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커버(156)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케이싱(152)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일단부가 뼈대(115)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외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차단되는 형태를 이룬다.
케이싱(152)은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보호커버(15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케이싱(15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보호커버(156)는 일단부가 곡면을 이루면서 뼈대(115)에 안정적으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30)는 내측면에 슬라이딩 방향 즉, 덮개의 전,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볼(151)에 접하면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슬라이드홈(1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볼(151)은 덮개(130)와 뼈대(115)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한편, 덮개(130)와 접한 상태에서 덮개(130)의 슬라이딩시 제자리에서 공회전되면서 덮개(1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덮개(130)는 슬라이드홈(132)의 양단부에 가이드볼(151)이 인입되면서 덮개(130)의 슬라이딩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반원홈(133)이 형성된다.
즉, 한 쌍의 반원홈(133)은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130)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드홈(132)에 위치되는 가이드볼(151)이 자연스럽게 인입되면서 덮개(130)가 슬라이딩 됨이 없이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뼈대(115)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뼈대(115)에 매립되는 케이싱(152)에 구비되는 가이드볼(151)은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반원홈(133)으로 인입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130)는 한 쌍의 반원홈(133)으로 가이드볼(151)이 인입되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됨이 없이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130)는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의 개구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한 쌍의 반원홈(132) 중 어느 하나의 반원홈으로 이웃하는 뼈대에 매립되는 케이싱(152)에 구비되는 가이드볼(151)이 인입되면서 슬라이딩 됨이 없이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0, 100' : 위치고정대 110 : 하우징
111, 111' : 플랜지 113 : 레일
114 : 보강대 115 : 뼈대
116 : 지지대 117 : 매립공
120 : 고정대 130 : 덮개
131 : 손잡이 132 : 가이드홈
133 : 반원홈 140 : 지지망
150 : 고정부 151 : 가이드볼
152 : 케이싱 153 : 스프링
154 : 부싱 155 : 캡
156 : 보호커버

Claims (1)

  1.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대(114)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로 구성되는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있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 개폐시 덮개(13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개구 또는 폐구된 상태에서 덮개(130)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150)를 더 포함하되,
    고정부(150)는,
    가이드볼(151);
    일측에 유출입구(152a)가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가이드볼(151)이 수용되며, 가이드볼(151)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뼈대(115)에 매립되는 케이싱(152);
    케이싱(152)으로 수용되어 가이드볼(151)을 가압하면서 가이드볼(151)이 유출입구(15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스프링(153); 및
    양단부가 개방되며, 매립공(117)으로 결합되는 한편, 내측으로 케이싱(152)이 나사결합되면서 케이싱(152)과 매립공(117)을 이루는 둘레 간의 접촉에 의한 매립공(117)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케이싱(152)의 회전에 따라 뼈대(11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볼(151)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부싱(154)을 포함하며,
    케이싱(152)은,
    타단부가 뼈대(115)의 내측면보다 돌출되면서 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되며,
    고정부(150)는,
    케이싱(152)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보호커버(156)를 더 포함하고,
    보호커버(156)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케이싱(152)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일단부가 뼈대(115)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외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차단되는 한편, 지중전선(C)과의 접촉에 의한 가압이 케이싱(152)으로 전달되면서 케이싱(152)이 뼈대(115)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뼈대(11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뼈대(115)에 매립되는 케이싱(152)의 가이드볼(151)은,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반원홈(133)으로 인입되고,
    덮개(130)는,
    내측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볼(151)에 접하면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13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31)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볼(151)이 인입되면서 덮개(130)의 슬라이딩이 정지되도록 하는 반원홈(132)이 형성되되,
    덮개(130)는,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가 폐구된 상태에서 한 쌍의 반원홈(133)으로 가이드볼(151)이 인입되면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의 개구시, 슬라이딩되면서 한 쌍의 반원홈(132) 중 어느 하나의 반원홈으로 이웃하는 뼈대에 매립되는 케이싱(152)의 가이드볼(151)이 인입되면서 슬라이딩 됨이 없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20170045429A 2017-04-07 2017-04-07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829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29A KR101829037B1 (ko) 2017-04-07 2017-04-07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29A KR101829037B1 (ko) 2017-04-07 2017-04-07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037B1 true KR101829037B1 (ko) 2018-02-13

Family

ID=6123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29A KR101829037B1 (ko) 2017-04-07 2017-04-07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1883A (zh) * 2021-05-20 2021-08-10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具有保护引线功能电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5B1 (ko) * 2008-04-03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701880B1 (ko) * 2016-07-21 2017-02-02 김형대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595B1 (ko) * 2008-04-03 2008-11-21 태형전기(주)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701880B1 (ko) * 2016-07-21 2017-02-02 김형대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1883A (zh) * 2021-05-20 2021-08-10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具有保护引线功能电机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3695C (en) Wildlife guard
CA2607000C (e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sections of a prefabricated electrical canalization to perform adjustment of said canalization in length
US4908482A (en) Cable closure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US4820178A (en) Outlet box for electric busway system
KR101829037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US4812958A (en) Electrical services pole
DE69212410T2 (de) Raum für eine elektrische Anschlussleiste mit Barrierevorrichtung für eine Kabeleinführungsöffnung
US20150076087A1 (en) Adjustable cable managers
KR100873987B1 (ko)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AU709393B2 (en) Connection block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electrical equipment
KR100844138B1 (ko)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KR101256629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US4218579A (en) Electricity distribution column
KR101286696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JPH0241251B2 (ko)
KR100869595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0842352B1 (ko) 매설형 배전선의 간섭방지용 지중관
ES2279249T3 (es) Bisagra de puerta para una disposicion oculta, con la puerta cerrada, entre el cerco de la puerta y la hoja de la puerta con un canal para un cable electrico.
KR1008423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위치 확보용 고정프레임
US11362501B2 (en) Insulator insert for weatherhead and methods of installing
KR20200072044A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CN111711141A (zh) 一种电缆引出防护窗及电力作业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