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987B1 -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 Google Patents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987B1
KR100873987B1 KR1020080031177A KR20080031177A KR100873987B1 KR 100873987 B1 KR100873987 B1 KR 100873987B1 KR 1020080031177 A KR1020080031177 A KR 1020080031177A KR 20080031177 A KR20080031177 A KR 20080031177A KR 100873987 B1 KR100873987 B1 KR 10087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housing
suppor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의정
Original Assignee
(주)전우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우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전우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8003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을 따라 안내수단(114b)이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구(114c)를 갖는 보강대(114)와, 둘레면이 안내수단(114b)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보강대(114)에 내설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118a)을 구비하며 격벽(118a)으로 구획된 공간별로 상기 관통구(114c)와 연통하도록 절개 형성된 출입구(118b)를 갖는 구획관(118)과, 지중전선 케이블(C)과 접하는 지지판(119a)을 밀어내는 탄발스프링(119b)을 갖추면서 해당 지중전선 케이블(C)을 관통구(114c) 및 출입구(118b)를 관통 인출하는 푸쉬어(119)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 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되되, 전단에는 스토퍼(113c)와 탄발하는 탄발부재(132)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면 개구부를 폐구할 시에 스토퍼(113c)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도록 하는 하중체(133)가 구비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Fixing bracket for undergrounded cable}
본 발명은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 설비는 전주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전선을 가공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초기 설비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종래에 널리 활용되던 설치방식이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도심지의 미화개선을 위해 전선을 지중에 매설시켜서, 외관으로는 전선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지중설비방식이 대세이다.
지중설비는 전선을 매립하는 방식이므로, 전선의 매립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선은 송전을 위한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것이므로, 외부와는 차단된 공간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지중전선 케이블의 설비구조를 보면, 지하에 건축한 지하공간에 지중전선 케이블을 별도의 절연처리 없이 선반에 얹어 배치한 상태로만 관리되면서,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한 전기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컸고, 지중전선 케이블들을 서로 밀집 배치하면서 현장에서 지중전선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치 못해 보수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중전선 케이블의 안전한 매설위치를 확보하여 고압의 지중전선 케이블으로부터 관리자를 보호하고, 정돈된 외관을 유지하면서도 지중전선 케이블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지지대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와, 지지대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을 이루되 가이드홈을 개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레일과, 한 쌍의 지지대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를 서로 연결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을 따라 안내수단이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구를 갖는 보강대와, 둘레면이 안내수단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보강대에 내설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을 구비하며 격벽으로 구획된 공간별로 상기 관통구와 연통하도록 절개 형성된 출입구를 갖는 구획관과, 지중전선 케이블과 접하는 지지판을 밀어내는 탄발스프링을 갖추면서 해당 지중전선 케이블을 관통구 및 출입구를 관통 인출 하는 푸쉬어로 구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
하우징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와 맞닿으면서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와 맞닿으면서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되되, 전단에는 스토퍼와 탄발하는 탄발부재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면 개구부를 폐구할 시에 스토퍼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도록 하는 하중체가 구비된 덮개; 및
개구부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를 구속하는 걸림턱과, 걸림턱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의 말단을 지지대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로 된 고정대로 이루어진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다수의 지중전선 케이블을 외부와 격리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보수 및 교체 등과 같은 전선의 관리를 위해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구할 수 있는 덮개를 갖추면서 지중전선 케이블 별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100, 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면서 내측에 지중전선 케이블(C)을 삽입 보관할 수 있는 중공을 확보하고, 상기 중공에 보관된 지중전선 케이블(C)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덮개(130)를 갖춘 관 형상을 이룬다.
또한, 이웃하는 고정 브래킷(100, 100')은 플랜지(111, 111')에 끼워지는 고정수단(미도시함)을 매개로 견고하면서도 긴밀히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핀, 볼트,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브래킷(100, 100')의 저면은 통기 가능한 지지망(140)으로 폐구되어서, 고정 브래킷(100, 100') 중공의 환기와 배수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100)은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저면을 폐구하는 지지망(14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면을 폐구하는 덮개(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단에 플랜지(111)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111, 111')의 일면에는 플랜지(111)를 따라 지지대(116, 116')가 중공을 갖도록 돌출형성되고, 지지대(116, 116')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지점에 레일(113)이 돌출형성된다. 결국, 지지대(116, 116')와 레일(113) 사이의 이격공간 에 가이드홈(113a)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113)은 가이드홈(113a)의 개구를 위한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일정거리만큼 매꾸는 스토퍼(113c;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한 쌍의 지지대(116, 116')는 바아 형상의 뼈대(115)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뼈대(115)는 고정 브래킷(100)이 관 형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면과 저면이 각각 개구되는 최소한의 개수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100)은 보강대(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대(114)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고정 브래킷(100)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뼈대(115) 만으로 그 형상이 유지됨으로서 약해지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16, 116')와 같이 관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상면이 개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보강대(114)는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구(114c)가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구(114c)는 덮개(130)가 개구되면 외부로 드러나고, 고정 브래킷(100) 내에 배치된 지중전선 케이블(C)은 외부로 공개된다.
하방으로 개구된 상기 고정 브래킷(100)의 저면은 지지망(140)으로 덮여 폐구된다. 상기 지지망(140)은 고정 브래킷(100)의 중공에서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100)은 방수처리된 것이 아니므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각종 수분이 고정 브래킷(100)의 내면에 결로되어 발생한 이슬을 효율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지망(140)은 지중전선 케이블(C)이 누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수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고정 브래킷(100)의 개구된 상면은 덮개(130)를 매개로 폐구되고, 이 덮개(130)는 관리자의 조작으로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지하공간은 한정된 공간으로, 이곳에 많은 지중전선 케이블(C)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100)이 지하공간에 설치될 경우, 다른 고정 브래킷 간의 배치간격이 협소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덮개(130)의 개폐는 여유공간이 요구되는 여닫이 방식이 아닌 미닫이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덮개(130)는 곡면형상을 이룬다. 물론, 지지대(116, 116')와 보강대(114)의 외면은 덮개(130)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곡면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플랜지(111, 111')와 마주하는 덮개(130)의 좌우 양단은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즉, 레일(113)과 지지대(116, 116')를 따라 곡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3a)을 타고 곡면의 덮개(130)가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덮개(130)를 이동시켜서 상면 개구부를 연 후, 중공에 배치된 지중전선 케이블(C)에 대한 보수 및 관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덮개(130)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덮개(130)의 외면에는 손잡이(1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덮개(130)는 좌우 양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에 끼워져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 개구부가 완전히 개구되면 고정대(120)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정대(120)는 상기 개구부(113b)에 형성된 회동축(1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가이드홈(113a)을 막거나 여는 한 쌍 의 걸림턱(121)과 이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고정 브래킷(100)의 외곽에 드러나는 핸들(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21)은 가이드홈(113a)을 항시 막는 모습이 되도록 토션스프링(미도시함)을 매개로 회동축(112)과 연결된다. 즉, 걸림턱(121)의 말단은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이에 상응하여 핸들(122)은 압력을 받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 브래킷(100)의 외곽에 돌출될 것이다.
계속해서, 덮개(130)의 전,후단에는 각각 탄발부재(132)와 하중체(133)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대(120)와 탄발부재(132) 및 하중체(13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16, 116')와 뼈대(115) 및 보강대(114)로 이루어진 관 형상에서 저면 개구부에는 지지망(140)이 배치되어 저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상면 개구부에는 덮개(130)가 배치되어 상면 개구부를 개폐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면, 덮개(130)의 하중이 전후방으로 고르게 분산되므로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안정적으로 덮어 폐구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덮개(130)를 밀어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고 작업을 수행할 경우, 덮개(130)가 가이드 홈(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가려 폐구할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의 작업에 방해를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번 열린 덮개(130)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현 위치(상면 개구부 전체를 개구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100)은 가이드홈(113a)의 일지점을 막도록 형성되어서 해당 방향으로는 덮개(130)가 이동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스토퍼(113c)를 더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전술한 고정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20)의 걸림턱(121)은 스토퍼(113c)와 대향하게 배치되어서,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 사이에 덮개(130)의 전,후단이 각각 맞닿도록 한다. 즉, 덮개(130)는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에 의해 그 진행이 차단되므로 관리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이상 현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개구하면, 덮개(130)의 후단이 걸림턱(121)을 지나게 되고, 걸림턱(121)은 토션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턱(121)이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130)는 걸림턱(121)에 막혀 상면 개구부로 이동할 수 없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핸들(122)을 밀고, 이에 상응하여 걸림턱(121)은 지지대(116)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덮개(130)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관리자는 손잡이(131)를 잡고 덮개(130)를 밀고, 이 힘을 받은 덮개(130)는 가이드홈(113a)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폐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130)의 전단에는 탄발부재(132)가 구비된다. 탄발부재(132)는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개구하면서 걸림턱(121)에 걸리면, 스토퍼(113c)와 덮개(130)의 전단 사이에 탄발력을 가하여 덮개(130)가 다시 상면 개구부를 덮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덮개(130)의 후단은 걸림턱(121)에 걸려 지지되므로, 현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이후, 관리자가 핸들(122)을 눌러 걸림턱(121)이 덮개(130)의 후단을 구속하는 상태를 해제하면, 덮개(130)는 탄발부재(132)의 탄발력으로 인해 가이드홈(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의 일부를 폐구한다.
한편, 덮개(130)의 후단에는 하중체(133)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중체(133)는 덮개(130)의 하중이 하중체(133)가 위치한 후단에 편중되도록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탄발부재(132)의 탄발력이 덮개(130)의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만날 수 있도록 밀어낼 만큼 충분치 않을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체(133)의 위치가 최고점을 경유하여 스토퍼(113c) 쪽으로 치우칠 정도로만 밀어내면 관리자의 별도 조작없이도 자체 하중에 의해 덮개(130)가 슬라이딩하면서 후단이 스토퍼(113c)와 접하게 되고, 결국 덮개(130)는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폐구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고정대(120)의 핸들(122)를 눌러 조작하는 것만으로, 개구된 덮개(130)를 덮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대의 분해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100)의 보강대(114)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내면을 따라 홈 또는 레일 형상의 안내수단(114b)이 형성된다. 한편, 이 안내수단(114b)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구획관(118)이 더 포함된다.
상기 구획관(118)은 원형을 이루는 보강대(11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함은 물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118a)에 의해 내부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격실된다.
이렇게 격실된 공간으로 일정한 수의 지중전선 케이블(C)이 지나면서, 동일한 고정 브래킷(100)에 보관된 다수의 지중전선 케이블(C)이 간섭없이 정렬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관(118)은 보강대(114)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수단(114b)을 따라 회전가능하므로, 유사시 관리자는 구획관(118)을 회전시켜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에 관리대상인 해당 지중전선 케이블이 곧바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강대(114)는 관통구(114c)를 갖추고, 이에 상응하여 구획관(118)은 격실된 공간별로 출입구(118b)가 형성되면서, 지중전선 케이블(C)이 막힘없이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또한, 구획관(118)의 격실된 공간에는 각각 푸쉬어(119)가 설치되어서, 지중전선 케이블(C)을 탄발 지지한다.
결국, 구획관(118)을 회전시켜서 출입구(118b)과 관통구(114c)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면, 해당 출입구(118b)의 격실된 공간에 위치한 지중전선 케이블(C)이 푸쉬어(119)의 밀림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관리자는 지중전선 케이블(C)을 용이하게 판독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직접 지중전선 케이블(C)을 들어올리지 않아 도 지중전선 케이블(C)이 그대로 인출되어 조작하기 손쉽게 되므로, 관리자의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푸쉬어(119)는 지중전선 케이블(C)과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판(119a)과, 양단이 각각 지지판(119a)과 격벽(118a)에 접하면서 지지판(119a)을 밀어올리는 탄발스프링(119b)으로 구성된다. 결국, 상기 푸쉬어(119)는 격실된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서, 해당 공간에 있는 지중전선 케이블(C)을 독립적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대의 분해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고정 브래킷 110; 하우징
111, 111'; 플랜지 113; 레일
113a; 가이드홈 113b; 개구부
114; 보강대 115; 뼈대
116; 지지대 119; 푸쉬어
120; 고정대
130; 덮개 131; 손잡이
132; 탄발부재 133; 하중체

Claims (1)

  1.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을 따라 안내수단(114b)이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구(114c)를 갖는 보강대(114)와, 둘레면이 안내수단(114b)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보강대(114)에 내설되는 원형의 관 형상을 이루고 원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118a)을 구비하며 격벽(118a)으로 구획된 공간별로 상기 관통구(114c)와 연통하도록 절개 형성된 출입구(118b)를 갖는 구획관(118)과, 지중전선 케이블(C)과 접하는 지지판(119a)을 밀어내는 탄발스프링(119b)을 갖추면서 해당 지중전선 케이블(C)이 관통구(114c) 및 출입구(118b)를 관통해 인출되도록 지지하는 푸쉬어(119)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되되, 전단에는 스토퍼(113c)와 탄발하는 탄발부재(132)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면 개구부를 폐구할 시에 스토퍼(113c)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도록 하는 하중체(133)가 구비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KR1020080031177A 2008-04-03 2008-04-03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KR10087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177A KR100873987B1 (ko) 2008-04-03 2008-04-03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177A KR100873987B1 (ko) 2008-04-03 2008-04-03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987B1 true KR100873987B1 (ko) 2008-12-17

Family

ID=4037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177A KR100873987B1 (ko) 2008-04-03 2008-04-03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9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46B1 (ko) 2013-01-22 2013-06-05 주식회사 이린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286696B1 (ko) 2013-05-24 2013-07-16 박순섭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291102B1 (ko) 2013-04-29 2013-08-01 박순섭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1522328B1 (ko) * 2014-12-24 2015-05-26 금오테크(주)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2330680B1 (ko) 2020-12-29 2021-12-01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송전케이블 배관의 고정설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75B1 (ko) 2006-10-24 2007-02-20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분할 칸막이형 공동구 배전선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75B1 (ko) 2006-10-24 2007-02-20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분할 칸막이형 공동구 배전선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46B1 (ko) 2013-01-22 2013-06-05 주식회사 이린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291102B1 (ko) 2013-04-29 2013-08-01 박순섭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101286696B1 (ko) 2013-05-24 2013-07-16 박순섭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522328B1 (ko) * 2014-12-24 2015-05-26 금오테크(주)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2330680B1 (ko) 2020-12-29 2021-12-01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송전케이블 배관의 고정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987B1 (ko)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US8975863B2 (en) Charging station for use in charging 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US10971905B2 (en) Exhaust system for switchgear enclosure, and switchgear enclosure having the same
US9515462B2 (en) Shutter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panel, and related switchgear panel
JP4848018B2 (ja) 電力用閉鎖配電盤
KR101134933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100844138B1 (ko)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US3376086A (en) Housing for electrical apparatus
KR100822668B1 (ko)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CN109390862A (zh) 包括防水且防电弧结构的电气机壳的通风盖设备
KR100842352B1 (ko) 매설형 배전선의 간섭방지용 지중관
KR102517740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US7663461B2 (en) Modular tank coupled to a self-assembly cabinet for ground level transformers
KR101431839B1 (ko) 슬라이딩 타입 도어를 구비하는 분전함
KR1008423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위치 확보용 고정프레임
KR100869595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RU97870U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86696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20090026550A (ko) 맨홀 덮개 및 맨홀 덮개 개폐장치
CN207283192U (zh) 一种便于安装维护的智能充电站
KR101829037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20140134134A (ko) 도어 인터록 장치를 가지는 개폐기
TWM577201U (zh) High-voltage distribution box structure improvement
KR101787846B1 (ko) 배전반
ES2364533T3 (es) Casete para montaje en el suelo para aparatos de instalación eléctric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