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80B1 -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80B1
KR101701880B1 KR1020160092680A KR20160092680A KR101701880B1 KR 101701880 B1 KR101701880 B1 KR 101701880B1 KR 1020160092680 A KR1020160092680 A KR 1020160092680A KR 20160092680 A KR20160092680 A KR 20160092680A KR 101701880 B1 KR101701880 B1 KR 10170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ortions
ball
body portion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대
Original Assignee
김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대 filed Critical 김형대
Priority to KR102016009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케이스에 전선고정판을 결속하여 제1,2본체부의 분리, 결합에 따라 제1,2바디부가 제1,2본체부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UNDERGROUND LINE CONNECTOR FOR DISTRIBUTING POWER}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케이스에 전선고정판을 결속하여 제1, 2 본체부의 분리와 결합에 따라 제1, 2 바디부가 제1, 2 본체부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관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중관로의 내부에 구비된 절연대에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분기 되어져 각 건물 또는 주택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전선은 지중에 매설되기 위해서 지중배전선 보호관 내에서 배전선 간의 접속을 이루게 되는데, 배전선 간의 접속시 작업자의 실수나 혹은 외부의 압력 등에 의해서 배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접속재에 고정된 배전선이 외부로 분리되면서 단선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의 피복을 돌기가 파고들어 도전체에 접촉해야 하므로 도전체의 외면이 손상되기 쉽고, 피복 역시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이를 차단할 만한 수단이 전혀 없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69002호(2015.11.20.)에는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성방지를 위한 접속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성방지를 위한 접속대는 절연케이스에 전선고정판을 결속할 수 없기 때문에 제1,2본체부의 분리, 결합에 따라 제1,2 바디부가 제1,2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면서 분리,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23286호(2015.05.28.)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성방지를 위한 접속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케이스에 전선고정판을 결속하여 제1,2본체부의 분리, 결합에 따라 제1,2바디부가 제1,2본체부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의 금속선이 각각 압입 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U'자 형상의 홈을 갖는 금속선안치부와, 금속선안치부의 'U'자 곡면에 형성되어 금속선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와, 금속선안치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배전선의 피복을 가압하는 가압편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배전선의 금속선을 감싸 고정하는 제1,2바디부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 제1,2바디부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와,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실링부재 또는 실링부재가 인입되는 결합홈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실링부재와 결합홈을 매개로 결합되는 제1,2본체부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스; 및 체결부와 상호 체결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체결부의 내주면에 맞대어지는 지지부와, 내부에 형성되며 가압편이 오므려지도록 가이드하는 만곡부를 갖추고서, 배전선에 각각 끼워지며 절연케이스를 고정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로써, 상기 절연케이스에 상기 전선고정판을 결속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2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2바디부를 가압 결속하는 복수의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바디부를 상기 제1,2본체부에 결속하여 상기 제1,2본체부의 분리, 결합시에 따른 상기 제1,2본체부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가압볼; 상기 제1,2본체부를 이루는 내측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2바디부의 둘레와 대향되는 일측에 유출입구가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가압볼이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으로 수용되어 상기 가압볼을 가압하면서 상기 가압볼이 상기 유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2바디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스프링; 및 상기 가압볼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가압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가압볼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판; 및 일단부는 상기 가압볼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압판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바를 포함하고, 상가 가압바는,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판과 상기 가압볼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며, 상기 제1,2바디부에는, 상기 가압볼이 인입되는 인입공 및 상기 가압볼을 상기 인입공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의 단선문제를 해소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본체부의 분리, 결합에 따라 제1,2바디부가 제1,2본체부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도 도 3에서 결속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서 가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전달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에서 실링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523286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523286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52328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는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로 대체하고, 절연케이스에 전선고정판을 결속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52328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는 전선고정판(10)과 절연케이스(20) 및 결합구(30)로 구성된 것으로써, 이에 의하면 지중 배전선(L,L')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지중 배전선(L,L')에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단선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선고정판(10)은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로 분할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의 블록으로써, 압입고정된‘U’자형의 배전선(L,L')을 감싸 고정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2바디부(11,12)는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 '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홈을 낸 금속선안치부(11a,12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부(11)에는 한 쌍의 금속선안치부(11a)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되,‘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 역시 제1바디부(11)의 금속선안치부(11a)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1바디부(11) 위로 제2바디부(12)를 얹혀준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를 향해 두드려 가압하게 되면 금속선안치부(11a)에 압입고정된 금속선(w)의 노출된 부분이 제2바디부(12)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는 'U'자 형태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을 '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에 압입하여 고정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더욱더 견고하게 배전선(L,L')이 고정되기 때문에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종래와 같이 맞대어 연결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금속선(w)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금속선안치부(11a,12a)의 'U'자 곡면에는 삼각형상의 마찰돌기(11b,12b)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돌기(11b,12b)는 배전선(L,L')의 금속선(w) 외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금속선(w)이 외부로 빠지려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로 인해 더욱더 큰 고정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L,L')이 외부로 빠져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외면, 좀더 명확하게는 '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부에는 반원형상의 가압편(11c,12c)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편(11c,12c)은 두께가 얇은 편으로 결합구(30)의 지지부(32)를 따라 이동되어 만곡부(33)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전선(L,L')의 금속선(w)은 금속선안치부(11a,12a)와 마찰돌기(11b,12b)에 의해 고정되고, 피복(c)은 가압편(11c,12c)에 의해 고정되면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로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압편(11c,12c)의 말단부는 둥글게 되어 있어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더라도 피복(c)이 손상되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상기 절연케이스(20)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함으로써,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합선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2본체부(21,22)는 대략 사각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제1,2바디부(11,12)가 삽입되어 안치될 수 있도록 수용부(21a,22a)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11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상호 맞대게 되면 반원형의 체결부(21b,22b)는 하나의 원통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 하나의 원통을 이루는 체결부(21b,22b)의 외주면으로 결합구(30)가 체결된다.
상기 제1,2본체부(21,22)가 상호 맞대어지는 면에는 각각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이 형성되며,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실링부재(21c)는 제1본체부(21)의 수용부(21a)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돌기로써, 제2본체부(22)의 결합홈(22c)에 압입되어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 사이의 경계부분을 밀폐(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본체부(21,22) 사이의 경계가 밀폐(실링)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결합구(30)는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써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져 제1,2본체부(21,22)의 체결부(21b,22b)에 결합되어 제1,2본체부(21,2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구(30)는 전체적으로 관 형태를 이루되, 일측에는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결합부(31)가 형성되고, 결합부(31)의 내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지지부(3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부(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2)는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체결부(21b,22b)가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만곡부(33)는 지지부(32)를 따라 이동하는 가압편(11c)이 구부러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구(30)를 매개로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므로 별도의 체결수단 (예를 들면, 나사 등) 없이도 용이하게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상당히 신속해지면서도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전선(L,L')에 결합구(30)를 각각 끼워 준 상태에서 배전선(L,L')의 금속선(w)을 'U'자 형상으로 구부려 준 다음 이를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1바디부(11)의 '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 상에 배치하고, 금속선(w)을 두드려 '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1a)의 내측으로 압입 고정되도록 하며, 반대편에 배치된 금속선(w) 역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입고정시켜 준다.
그 다음 전선고정판(10)을 구성하는 제2바디부(12)를 제1바디부(11)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2바디부(12)를 두드려주게 되면 제1바디부(11)의 외부로 노출된 금속선(w)이 제2바디부(12)의 'U'자 형상의 금속선안치부(12a)로 압입되면서 고정되며, 이를 매개로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가 상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고정판(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절연케이스(20)를 구성하는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이용하여 전선고정판(10)을 감싸 주며, 이때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는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제1,2본체부(21,22)의 경계부분은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에 의해 차폐된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침투수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케이스(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진 결합구(30)를 이용하여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결합구(30)의 결합부(31)를 절연케이스(20)의 체결부(21b,22b)에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구(30)를 조이게 되면, 결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과 체결부(21b,22b)의 외주면 형성된 나사탭이 상호 체결되고, 이때 결합부(31)의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부(32)의 외주면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을 받쳐 지지하므로 체결과정에 체결부(21b,22b)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30)가 체결되는 과정에 가압편(11c,12c)은 지지부(32)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지지부(32)의 일측에 형성된 만곡부(33)에 의해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배전선(L,L')의 피복(c)을 강하게 가압(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전선(L,L')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배전선(L,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배전선(L,L')이 외부로 인출되어 단선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케이스(20)에 상기 전선고정판(10)을 결속하는 결속부(4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결속부(40)는 상기 제1,2바디부(11,12)를 상기 제1,2본체부(21,22)에 결속하여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분리, 결합시에 따른 제1,2본체부(21,22)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본체부(21,22)에 구비되어 상기 제1,2바디부(11,12)를 가압 결속하는 복수의 가압수단(41)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단(41)은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내측 둘레를 이루는 전후면 또는 양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수단(41)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42), 상기 제1,2본체부(21,22)를 이루는 내측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둘레와 대향되는 일측에 유출입구(43a)가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가압볼(42)이 수용되는 케이싱(43) 및 상기 케이싱(43)으로 수용되어 상기 가압볼(42)을 가압하면서 상기 가압볼(42)이 상기 유출입구(43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2바디부(11,12)를 가압하도록 하는 스프링(44)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43)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2본체부(21,22)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43)이 나사결합되는 결합공(21c,2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43)은 전면에 상기 유출입구(43a)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는 커버(43-1) 및 개방된 상기 커버(43-1)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4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43)의 내측으로 상기 가압볼(42) 및 상기 스프링(44)을 원활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2바디부(11,1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볼(42)이 인입되는 인입공(11d,12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볼(42)은 상기 제1,2바디부(11,12)가 상기 수용부(21a,22a)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공(11d,12d)으로 인입된다.
상기 제1,2바디부(11,12)는 측면에 상기 가압볼(42)을 상기 인입공(11d,12d)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e,12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1e,12e)은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둘레로부터 상기 인입공(11d,12d)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함몰되는 깊이는 상기 인입공(11d,12d)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수단(41)은 상기 가압볼(42)과 상기 스프링(4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력을 상기 가압볼(42)로 전달하는 전달수단(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수단(4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볼(42)과 상기 스프링(44)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판(46) 및 상기 가압판(46)과 상기 가압볼(42)을 연결하는 가압바(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판(46)을 통해 상기 스프링(44)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4)의 수축, 이완에 따른 탄성력이 상기 가압볼(42)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압바(47)는 상기 가압판(4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압판(46)과 상기 가압볼(42)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46)에는 중공(46a)이 형성되고, 상기 전달수단(45)은 상기 중공(46a)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압판(46)에 고정되는 너트(48)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바(47)는 일단부가 상기 가압볼(42)에 연결되고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48)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너트(48)는 상기 가압판(46)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바(47)는 타단부에 상기 너트(48)나 상기 가압판(4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4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7a)는 상기 가압바(47)가 상기 너트(48)에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41)은 상기 가압바(47)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판(46)과 상기 가압볼(42)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가압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는 상기 제1,2바디부(11,12)가 갖는 무게와 함께 상기 제1,2바디부(11,12)에 결합되는 배전선(L,L')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분리에 따른 상기 제1,본체부(21,22)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21c)는 상기 제1본체부(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실링부재(21c)가 상기 결합홈(22c)으로의 결합에 따른 압착과 함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에 의해 변형되면서 밀폐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본체부(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21-1)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21c)는 하부에 상기 측벽(21-1)에 끼움결합되는 체결홈(21c-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1c)는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1c-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1c-2)는 상기 제1,2본체부(21,22)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2본체부(21,22) 간을 기밀하게 밀폐하는 한편, 상기 제1,2본체부(21,22)가 상호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는 외부로부터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10: 전선고정판 11: 제1바디부
12: 제2바디부 11a,12a: 금속선안치부
11b,12b: 마찰돌기 11c,12c: 가압편
20: 절연케이스 21: 제1본체부
22: 제2본체부 21a,22a: 수용부
21b,22b: 체결부 21c: 실링부재
22c: 결합홈 30: 결합구
31: 결합부 32: 지지부
33: 만곡부 40 : 결속부
41 : 가압수단 42 : 가압볼
43 : 케이싱 43a : 유출입구
44 : 스프링 45 : 전달수단
46 : 가압판 47 : 가압바
48 : 너트 L,L': 배전선
c: 피복 w: 와이어

Claims (1)

  1. 'U'자형으로 구부린 배전선(L,L')의 금속선(w)이 각각 압입 고정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U'자 형상의 홈을 갖는 금속선안치부(11a,12a)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 'U'자 곡면에 형성되어 금속선(w)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11b,12b)와, 금속선안치부(11a,12a)의 말단에 형성되어 배전선(L,L')의 피복(c)을 가압하는 가압편(11c,1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배전선(L,L')의 금속선(w)을 감싸 고정하는 제1,2바디부(11,12)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전선고정판(10);
    제1,2바디부(11,12)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21a,22a)와,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압편(11c,12c)이 내측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반원형의 체결부(21b,22b)와,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된 고무재질의 실링부재(21c) 또는 실링부재(21c)가 인입되는 결합홈(22c)을 갖추고서, 상호 맞대어져 실링부재(21c)와 결합홈(22c)을 매개로 결합되는 제1,2본체부(21,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절연케이스(20); 및
    체결부(21b,22b)와 상호 체결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체결부(21b,22b)의 내주면에 맞대어지는 지지부(32)와, 내부에 형성되며 가압편(11c,12c)이 오므려지도록 가이드하는 만곡부(33)를 갖추고서, 배전선(L,L')에 각각 끼워지며 절연케이스(20)를 고정하는 결합구(30)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로써,
    상기 절연케이스(20)에 상기 전선고정판(10)을 결속하는 결속부(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40)는,
    상기 제1,2본체부(21,22)에 구비되어 상기 제1,2바디부(11,12)를 가압 결속하는 복수의 가압수단(41)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바디부(11,12)를 상기 제1,2본체부(21,22)에 결속하여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분리, 결합시에 따른 상기 제1,2본체부(21,22)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가압수단(41)은,
    가압볼(42);
    상기 제1,2본체부(21,22)를 이루는 내측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2바디부(11,12)의 둘레와 대향되는 일측에 유출입구(43a)가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가압볼(42)이 수용되는 케이싱(43);
    상기 케이싱(43)으로 수용되어 상기 가압볼(42)을 가압하면서 상기 가압볼(42)이 상기 유출입구(43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2바디부(11,12)를 가압하도록 하는 스프링(44); 및
    상기 가압볼(42)과 상기 스프링(4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력을 상기 가압볼(42)로 전달하는 전달수단(45)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수단(45)은,
    상기 가압볼(42)과 상기 스프링(44)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판(46); 및
    일단부는 상기 가압볼(4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압판(46)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바(47)를 포함하고,
    상가 가압바(47)는,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판(46)과 상기 가압볼(42)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44)의 탄성력을 조절하며,
    상기 제1,2바디부(11,12)에는,
    상기 가압볼(42)이 인입되는 인입공(11d,12d) 및 상기 가압볼(42)을 상기 인입공(11d,12d)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e,12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20160092680A 2016-07-21 2016-07-21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70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80A KR101701880B1 (ko) 2016-07-21 2016-07-21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80A KR101701880B1 (ko) 2016-07-21 2016-07-21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880B1 true KR101701880B1 (ko) 2017-02-02

Family

ID=5815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680A KR101701880B1 (ko) 2016-07-21 2016-07-21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8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037B1 (ko) * 2017-04-07 2018-02-13 정동복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891740B1 (ko) 2017-02-27 2018-08-24 주식회사 미금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KR102238425B1 (ko) * 2020-06-30 2021-04-09 (주)광진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절연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86B1 (ko)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86B1 (ko) 2014-12-17 2015-05-28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40B1 (ko) 2017-02-27 2018-08-24 주식회사 미금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시스템
KR101829037B1 (ko) * 2017-04-07 2018-02-13 정동복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2238425B1 (ko) * 2020-06-30 2021-04-09 (주)광진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절연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28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단선 및 합선방지를 위한 접속대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US9190762B2 (en) Integrated compression connector
KR101701880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522011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JP5392640B2 (ja) ケーブル接続装置
KR102003263B1 (ko)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GB63557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upl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JP2018523910A (ja) 防水可能な電気接続具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KR200477717Y1 (ko)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ATE451735T1 (de) Kabelverbindungsanordnung
EP1575136A3 (de) Abzweigvorrichtung
KR101121661B1 (ko)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CN105337053A (zh) 用于接地的终端块及其安装方法
KR101810127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810128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CN210576581U (zh) 一种电晕处理机用的电源接口组件
KR20090021438A (ko) 알에프 케이블용 커넥터
KR101068743B1 (ko)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CN220122202U (zh) 三通连接器
CN217589680U (zh) 具有电缆快接结构的潜水泵
CN218958109U (zh) 一种防水防潮的接线头
CN110854686B (zh) 封闭开关设备的带电指示器引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