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661B1 -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661B1
KR101121661B1 KR1020100083981A KR20100083981A KR101121661B1 KR 101121661 B1 KR101121661 B1 KR 101121661B1 KR 1020100083981 A KR1020100083981 A KR 1020100083981A KR 20100083981 A KR20100083981 A KR 20100083981A KR 101121661 B1 KR101121661 B1 KR 101121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bushing
power line
insulator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길
Original Assignee
(주)우강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강산업전기 filed Critical (주)우강산업전기
Priority to KR102010008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05K5/0095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hermetically-sea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선의 결합시에 전선이 훼손될 우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부싱과 변압기의 결합이 견고함과 동시에 기밀유지가 우수한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에 설치되도록 구비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유입되는 중공부(22)가 형성된 애자(21)와; 이 애자(21)의 상단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된 도전성의 부싱캡(27)과; 상기 중공부(22)를 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변압기 내부의 리드선(12)을 상기 부싱캡(27)에 결합하도록 된 커넥터(24)와; 상기 부싱캡(27)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원선(C)을 결합되도록 된 터미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변압기용 부싱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부싱캡(27)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선(C)의 곡률에 상응하는 안착부(6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터미널본체(61)와, 이 터미널본체(61)에 체결되어 상기 전원선(C)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6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63)은 상기 전원선(C)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62)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면접촉하도록 된 접촉면부(67)가 형성된 체결고리(64)와, 이 체결고리(6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본체(61)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축(65) 및 이 나사축(65)에 체결되는 조임너트(66)로 이루어지는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bushing for a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선의 결합시에 전선이 훼손될 우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부싱과 변압기의 결합이 견고함과 동시에 기밀유지가 우수한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압하여 송배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변압기에는 그에 구비되는 권선코일의 단자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부싱이 연결되어 있는데, 종래의 변압기용 부싱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싱(20)은 내부에 중공부(22)가 형성된 애자(21)가 구비되는데, 이 애자(21)의 외부 상면에는 외부의 전원선(C)이 연결되도록 터미널(30)이 구비되고, 상기 애자(21)의 내부 상부측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이에 커넥터(24)가 설치되며, 이 커넥터(24)는 변압기 내부의 리드선(12)과 상기 터미널(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에, 상기 커넥터(24)는 중앙부에 플랜지부(25)가 형성된 봉형상의 전도체로, 상기 플랜지부(25)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에는 상기 터미널(3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축(26)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리드선(12)이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나사축(26)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애자(21)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부싱캡(27)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부싱캡(27)에는 상기 나사축(26)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28)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캡(27)의 상면에는 상기 나사축(26)에 체결되어 상기 부싱캡(27)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29)가 체결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커넥터(24) 상에는 상기 애자(21)에 형성된 관통공(23)의 상하부를 밀폐하도록 내부패킹(40)과 외부패킹(41)이 구비되는데, 상기 내부패킹(40)은 상기 중공부(22)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랜지부(25)에 끼워진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패킹(41)은 상기 관통공(23)의 외부에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애자(21)와 부싱캡(27) 사이에 위치되는 볼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내부패킹(40)과 외부패킹(41)은 상기 너트(29)에 의해 상기 부싱캡(27)을 조임에 따라 가압 밀착되어 상기 관통공(23)을 밀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30)은 전원선(C)이 삽입되는 결합공(3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결합공(31)의 측면에는 단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조임 또는 풀림이 가능한 조임볼트(32)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터미널(30)은 상기 결합공(31)에 전원선(C)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볼트(32)에 의해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가압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부싱(20)을 변압기에 결합함에 있어서, 변압기커버(10)에는 상기 애자(21)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 단면의 끼움부(33)에 대응된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애자(21)에는 상기 끼움부(33)에 끼워져 상기 결합공(11)을 밀폐하도록 된 판형상의 환형패킹(42)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변압기커버(10)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공(11)의 하부 둘레에 상기 애자(2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3)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수단(13)은 상기 애자(21)에 형성된 환형요홈(34)에 끼움결합되는 환형스프링(14)과 상기 변압기커버(10)의 저면에 단부가 접촉된 볼트(15)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상기 환형스프링(14)에 접촉 고정되는 환형플랜지(16)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부싱(10)에 의하면, 상기 터미널(30)은 전원선(C)을 상기 결합공(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조임볼트(32)에 의해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가압 고정하도록 된 것이어서, 상기 조임볼트(32)에 의해 전원선(C)의 훼손이 발생되어 상기 전원선(C)이 절단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접촉불량 등과 같은 전기적 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부싱(10)과 변압기의 결합방법에 의하면, 상기 변압기커버(10)에 형성된 결합공(11)은 통상적으로 상기 애자(21)의 끼움부(33)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상기 결합공(11)과 끼움부(33)의 유격에 의해 상기 애자(21)가 상기 결합공(11)의 편심된 위치에서 고정될 우려가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상기 환형패킹(42)이 결합공(11)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고정됨으로 인한 누유발생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원선의 결합시에 전선이 훼손될 우려가 적어 단선에 의해 접촉불량과 같은 전기적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싱과 변압기의 결합시에 유격을 방지하도록 된 구조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기밀유지가 우수한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변압기에 설치되도록 구비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유입되는 중공부(22)가 형성된 애자(21)와;
이 애자(21)의 상단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된 도전성의 부싱캡(27)과;
상기 중공부(22)를 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변압기 내부의 리드선(12)을 상기 부싱캡(27)에 결합하도록 된 커넥터(24)와;
상기 부싱캡(27)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원선(C)을 결합되도록 된 터미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변압기용 부싱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부싱캡(27)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선(C)의 곡률에 상응하는 안착부(6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터미널본체(61)와, 이 터미널본체(61)에 체결되어 상기 전원선(C)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6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63)은 상기 전원선(C)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62)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면접촉하도록 된 접촉면부(67)가 형성된 체결고리(64)와, 이 체결고리(6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본체(61)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축(65) 및 이 나사축(65)에 체결되는 조임너트(6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성에 의한 부싱(50)을 패킹부재(45,46)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여 변압기에 설치되도록 된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애자(21)에는 상기 패킹부재(45,46)가 끼워지도록 하향 연장된 봉형상의 끼움부(33) 및 이 끼움부(33)의 상단에 상기 패킹부재(45,46)가 걸리도록 된 걸림턱(35)이 형성되고;
상기 변압기에는 상기 끼움부(33)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결합공(11)이 형성된 변압기커버(10)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45,46)는 상기 걸림턱(35)과 변압기커버(10)의 상면 사이에 가압 밀착되는 환형판상부(45)와 이 환형판상부(45)의 내경 둘레에 상기 끼움부(33)와 결합공(11) 사이의 유격에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된 하향연장부(46)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자(50)의 끼움부(33)는 상기 패킹부재(45,46)의 하향연장부(46)에 의해 상기 결합공(11)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로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11)에는 그 둘레에 상기 패킹부재(45,46)의 하향연장부(46)에 상응하도록 하향된 절곡단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패킹부재(45,46)에는 상기 환형판상부(45)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에 탄성돌기(4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터미널(60)은 전원선(C)의 곡률에 상응하는 안착부(62)가 형성된 터미널본체(61)와 이 터미널본체(61)에 체결되어 상기 안착부(62)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면접촉하도록 된 접촉면부(67)가 형성된 체결고리(64)를 포함하는 고정수단(6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전원선(C)을 터미널(60)에 결합할 때에 상기 안착부(62)와 접촉면부(67)에 의해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면접촉한 상태로 고정하여 전원선(C)의 훼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접촉불량 등과 같은 전기적 고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싱(50)을 변압기에 결합할 때에 하향연장부(46)가 형성된 패킹부재(45,46)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킹부재(45,46)의 하향연장부(46)가 상기 부싱(50)의 끼움부(33)와 변압기커버(10)의 결합공(11) 사이에 형성된 유격에 삽입되어 상기 끼움부(33)와 결합공(11)이 상호 밀착 결합됨과 동시에 동심원상으로 정위치된 상태로 결합되어 종래처럼 상기 끼움부(33)가 결합공(11)에 편심되거나 유격을 형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기밀성이 향상되어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1)에는 상기 패킹부재(45,46)의 하향연장부(46)에 상응하도록 하향된 절곡단부(17)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곡단부(17)에 의해 상기 하향연장부(46)를 지지하여 상기 끼움부(33)와의 밀착면적을 증대시켜 전술된 바와 같은 기밀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5,46)에는 상기 환형판상부(45)의 적어도 일면에 탄성돌기(47)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애자에 형성된 걸림턱(35)과 상기 변압기커버(10)의 상면에 가압 밀착되면서 상기 탄성돌기(47)가 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도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35)과 변압기커버(10)와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보다 우수한 기밀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싱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 및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싱(50)은 내부에 절연유가 충전되도록 중공부(22)가 형성된 애자(21)가 구비되고, 이 애자(21)의 내부에는 상기 중공부(22)를 통하여 변압기 내부의 리드선(12)을 후술되는 터미널(6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24)가 설치되는데, 이 커넥터(24)는 상기 애자(21)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23)을 통하여 그 일부가 관통 돌출되고, 상기 애자(21)의 상면에는 상기 커넥터(24)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23)을 밀폐하도록 된 부싱캡(27)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4)는 중앙부에 플랜지부(25)가 형성된 봉형상의 전도체로, 상기 플랜지부(25)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에는 상기 터미널(6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축(26)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리드선(12)이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커넥터(24)는 상기 나사축(26)이 상기 부싱캡(27)에 형성된 관통공(28)을 통하여 상단부가 노출되어 이에 너트(29)가 체결되게 되며, 상기 부싱캡(27)은 상기 애자(21)의 관통공(23) 내외부에 환형판상의 내부패킹(40)과 볼형의 외부패킹(41)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너트(29)의 조임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 유사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터미널(60)이 구성이 종래와는 차별되는 것으로, 이를 도 4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부싱캡(27)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원선(C)의 곡률에 상응하는 안착부(6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터미널본체(61)가 구비되고, 이 터미널본체(61)에는 상기 전원선(C)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63)이 체결되며, 상기 터미널본체(61)는 상기 부싱캡(27)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고정수단(63)은 상기 전원선(C)이 삽입되도록 구비된 체결고리(64)와 이 체결고리(64)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본체(61)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축(65) 및 이 나사축(65)에 체결되는 조임너트(6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체결고리(64)는 상기 안착부(62)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면접촉하도록 된 접촉면부(67)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터미널(60)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62)와 접촉면부(67)에 의해 상기 전원선(C)의 일측 외주면이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어 종래와 같이 전원선(C)의 훼손 또는 절단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접촉불량과 같은 전기적고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의 부싱(50)을 변압기에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부싱(50)을 패킹부재(45,46)에 의해 변압기에 정위치된 상태로 밀착 고정하여 누유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된 상기 애자(21)에는 상기 패킹부재(45,46)가 끼워지도록 하향 연장된 봉형상의 끼움부(33)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33)의 상단에는 상기 패킹부재(45,46)가 걸리도록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압기에는 상기 끼움부(33)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결합공(11)이 형성된 변압기커버(10)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킹부재(45,46)는 상기 걸림턱(35)과 변압기커버(10)의 상면 사이에 가압 밀착되는 환형판상부(45)와 이 환형판상부(45)의 내경 둘레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하향연장부(4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향연장부(46)는 상기 끼움부(33)와 결합공(11) 사이의 유격에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킹부재(45,46)에 따르면, 상기 끼움부(33)가 상기 결합공(11)의 중앙부에 정위치되면서도 상기 하향연장부(46)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하게 되어 종래처럼 상기 부싱(50)이 결합공(11)에 편심되지 않아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결합공(11)에는 상기 하향연장부(46)에 상응하도록 하향된 절곡단부(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절곡단부(17)에 의해 상기 하향연장부(46)를 지지하여 보다 우수하 밀착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부싱(50)을 상기 변압기커버(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은 상기 고정수단(13)에 의해 가능하며, 이 고정수단(13)은 상기 애자(21)에 형성된 환형요홈(34)에 끼움결합되는 환형스프링(14)과 상기 변압기커버(10)의 저면에 단부가 접촉된 볼트(15)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상기 환형스프링(14)에 접촉 고정되는 환형플랜지(16)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고정수단(13)의 구성은 종래에 유사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5,46)는 통상적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환형판상부(45)의 상면과 저면에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그 형상이 변하는 탄성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돌기(47)는 상기 애자(21)에 형성된 걸림턱(35)과 상기 변압기커버(10)의 상면에 의해 가압 밀착되어 탄성적으로 그 형상이 변하게 된 것으로, 이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도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35)과 변압기커버(10)와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기밀성을 증대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하향연장부(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33)를 결합공(11)에 삽입할 때에 탄성적으로 그 형상이 가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외에도 상기 하향연장부(46)는 상기 환형판상부(45)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하향되거나 단부가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변압기커버(10)의 결합공(11) 둘레에 형성된 돌출턱(18)을 나타낸 것으로, 이 돌출턱(18)은 변압기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다른 부호는 상기 터미널본체(61)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고리(64)가 삽입 가능하도록 된 절개홈(68)과 상기 나사축(65)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69)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또 다른 부호는 상기 고정수단(6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조임너트(66)를 나사축(65)에 체결될 때에 개재되는 스프링와셔(70)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부싱(50)을 패킹부재(45,46)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여 변압기에 설치되도록 된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싱(50)은 변압기에 설치되도록 구비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유입되는 중공부(22)가 형성된 애자(21)와;
    이 애자(21)의 상단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된 도전성의 부싱캡(27)과;
    상기 중공부(22)를 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변압기 내부의 리드선(12)을 상기 부싱캡(27)에 결합하도록 된 커넥터(24)와;
    상기 부싱캡(27)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원선(C)을 결합되도록 된 터미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부싱캡(27)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선(C)의 곡률에 상응하는 안착부(6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터미널본체(61)와, 이 터미널본체(61)에 체결되어 상기 전원선(C)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6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63)은 상기 전원선(C)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62)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전원선(C)의 일측을 면접촉하도록 된 접촉면부(67)가 형성된 체결고리(64)와, 이 체결고리(6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본체(61)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축(65) 및 이 나사축(65)에 체결되는 조임너트(66)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자(21)에는 상기 패킹부재(45,46)가 끼워지도록 하향 연장된 봉형상의 끼움부(33) 및 이 끼움부(33)의 상단에 상기 패킹부재(45,46)가 걸리도록 된 걸림턱(35)이 형성되고;
    상기 변압기에는 상기 끼움부(33)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결합공(11)이 형성된 변압기커버(10)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재(45,46)는 상기 걸림턱(35)과 변압기커버(10)의 상면 사이에 가압 밀착되는 환형판상부(45)와 이 환형판상부(45)의 내경 둘레에 상기 끼움부(33)와 결합공(11) 사이의 유격에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된 하향연장부(46)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자(50)의 끼움부(33)는 상기 패킹부재(45,46)의 하향연장부(46)에 의해 상기 결합공(11)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로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1)에는 그 둘레에 상기 패킹부재(45,46)의 하향연장부(46)에 상응하도록 하향된 절곡단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45,46)에는 상기 환형판상부(45)의 상면과 하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에 탄성돌기(4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KR1020100083981A 2010-08-30 2010-08-30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KR10112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981A KR101121661B1 (ko) 2010-08-30 2010-08-30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981A KR101121661B1 (ko) 2010-08-30 2010-08-30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661B1 true KR101121661B1 (ko) 2012-03-09

Family

ID=4614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981A KR101121661B1 (ko) 2010-08-30 2010-08-30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6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10B1 (ko) * 2014-06-05 2014-12-18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변압기용 패킹
KR200481117Y1 (ko) * 2015-06-25 2016-08-17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의 밀폐구조
CN106341001A (zh) * 2016-11-04 2017-01-18 北京曙光航空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油冷交流发电机互感器的安装结构
KR102038003B1 (ko) * 2019-07-19 2019-10-29 (주)한울이엔지 풀림이 방지되는 변압기 부싱의 상부단자
KR20220010997A (ko) * 2020-07-20 2022-01-27 영인기술(주) 변압기용 단자 조립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41Y1 (ko) * 2003-11-19 2004-02-11 양희성 변압기 부싱 2련단자
KR200363759Y1 (ko) 2004-07-15 2004-10-08 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KR200420418Y1 (ko) 2006-04-12 2006-07-04 남도전기공업 (주)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100632247B1 (ko) 2005-08-24 2006-10-09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41Y1 (ko) * 2003-11-19 2004-02-11 양희성 변압기 부싱 2련단자
KR200363759Y1 (ko) 2004-07-15 2004-10-08 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KR100632247B1 (ko) 2005-08-24 2006-10-09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
KR200420418Y1 (ko) 2006-04-12 2006-07-04 남도전기공업 (주)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10B1 (ko) * 2014-06-05 2014-12-18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변압기용 패킹
KR200481117Y1 (ko) * 2015-06-25 2016-08-17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의 밀폐구조
CN106341001A (zh) * 2016-11-04 2017-01-18 北京曙光航空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油冷交流发电机互感器的安装结构
KR102038003B1 (ko) * 2019-07-19 2019-10-29 (주)한울이엔지 풀림이 방지되는 변압기 부싱의 상부단자
KR20220010997A (ko) * 2020-07-20 2022-01-27 영인기술(주) 변압기용 단자 조립 어셈블리
KR102368100B1 (ko) 2020-07-20 2022-02-25 영인기술(주) 변압기용 단자 조립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661B1 (ko)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KR100632247B1 (ko) 변압기용 부싱
KR100951473B1 (ko) 변압기용 부싱
KR20180051623A (ko)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RU2484566C1 (ru) Герметич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101559540B1 (ko) 변압기 부싱의 밀봉장치
KR101701880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CN107834754A (zh) 一种真空密封电气出线结构
KR102392640B1 (ko) 지상개폐기용 퓨즈부 케이블 접속단자 구조체
CN108418002B (zh) 接线装置及空调器
US2360701A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WO2018211811A1 (ja) 固体絶縁母線の防水構造、及び固体絶縁母線の接続構造
KR101580792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 전력용 피뢰기
US2688105A (en) Protected binding post
CN208589602U (zh) 一种自卡紧式电连接器
KR101393062B1 (ko) 개폐기 및 차단기의 몰드콘 어셈블리
KR101875196B1 (ko) 리드선 부착형 콤팩트 폴리머 고압부싱
JP2003092101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S5820112B2 (ja) 電気端子
CN209845336U (zh) 一种带电子阳极的电加热器
KR200357975Y1 (ko)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JP5548567B2 (ja) エポキシブッシング
CN110137898B (zh) 密封套、密封组件及包含其的绝缘设备线夹
US11605939B2 (en) Conduit assembly providing a thermal break through an opening in an insulated panel
RU133981U1 (ru) Соединитель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