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441Y1 -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Google Patents
변압기 부싱 2련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1441Y1 KR200341441Y1 KR20-2003-0036098U KR20030036098U KR200341441Y1 KR 200341441 Y1 KR200341441 Y1 KR 200341441Y1 KR 20030036098 U KR20030036098 U KR 20030036098U KR 200341441 Y1 KR200341441 Y1 KR 2003414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transformer
- lead wire
- bushing
- wor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활선작업 및 무정전공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리드선(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되고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변압기 부싱 2련단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부싱 단자에 리드선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접속력을 보다 향상시켜 전기저항을 줄이는 한편 적정한 작업공간과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된 변압기 부싱 2련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활선작업 및 무정전공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리드선(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됨으로써, 종래 실시 불가능하였거나 그 작업공정이 번잡한 부분들을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조립체 상에 톱니부가 형성됨에 따라 체결 또는 분리시 공구와의 접속력이 높여, 작업의 안정성 및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변압기 부싱 2련단자 상에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됨으로써, 리드선 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접속력을 보다 향상시켜 전기저항을 줄이하는 한편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활선작업시 적정한 작업공간과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변압기 부싱 2련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작업 및 무정전공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리드선을 임시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되고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변압기 부싱 2련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상에는 배전선로의 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주상변압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주상변압기(이하, 변압기라 한다)는 1차측의 각 상마다 변압기의 보호와 개폐 역할을 하는 컷아웃스위치(이하, COS라 한다)가 설치되고, 2차측의 각 상마다 부하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변압기는 1차측에 COS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싱 단자가 구비되고, 이 부싱 단자는 하나의 리드선만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변압기의 1차측에 리드선을 임시로 결속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할 경우, 종래 부싱 단자에는 별도의 결속구조가 없어 크램프 등을 물려 사용하였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선작업의 하나인 COS의 교체 과정을 살펴보면, 변압기의 부싱 단자에 바이패스케이블(2)의 2차측 크램프 스틱봉(5)을 물리고, 전력선(1)의 피복을 벗겨 바이패스케이블(2)의 1차측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후, COS(6) 휴즈홀더를 개방하고, COS(6) 2차 리드선을 변압기(3) 부싱으로부터 먼저 철거하고, 1차 리드선을 전력선(1)으로부터 철거한다.
이에 따라, 무정전상태에서 COS(6)를 교체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의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변압기의 부싱 단자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부싱 단자상에 직접 크램프스틱봉을 물려 작업하였다.
그 결과, 부싱 단자와 바이패스케이블 간에 접속력이 떨어지고 견고히 결속되지 않아 작업 중 바이패스케이블을 건들일 경우 불측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활선작업차에 탑승하여 작업함에 따라 작업공간이 협소한데다 부싱 단자로부터 크램프 스틱봉이 더 돌출됨으로써 작업공간을 확보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활선작업 및 무정전공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리드선(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되고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변압기 부싱 2련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부싱 단자에 리드선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접속력을 보다 향상시켜 전기저항을 줄이는 한편 적정한 작업공간과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된 변압기 부싱 2련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작업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부싱 2련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부싱 2련단자를 사용한 작업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력선 2 : 바이패스케이블
3 : 변압기 6 : COS
10 : 조립체 11 : 톱니부
20 : 지지체 40 : 홀더
50 : 결속구 60 : 결속용 볼트
69 : 너트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애자부에 나사조립되도록 그 저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조립체와, 조립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상단에 위치되며 각각의 리드선을 독립적으로 고정하기위한 홀더 및 결속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조립체는 크램프 스틱봉 체결시 접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그 외주면상에 톱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홀더는 그 내측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반호상의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 사이의 외주면상에 리드선을 일부분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 및, 상기 수용공간부의 후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이 구비되고, 결속구는 결속용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결속용 볼트는 상기 홀더 내측에 수용되되 리드선을 일부분 삽입받기 위한 리드선 인입공이 형성되고 걸림턱 사이에 안착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부싱 2련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부싱 2련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부싱 2련단자를 사용한 작업 예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부싱 2련단자는 변압기의 1차측 애자부에 장착된다.
상기 변압기 부싱 2련단자는 변압기의 애자부(미도시)에 나사조립되도록 그 저면에 체결공(21)이 형성된 조립체(10)와, 조립체(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체(20)와, 지지체(20)의 상단에 위치되며 각각의 리드선을 독립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홀더(40) 및 결속구(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위 홀더(40) 및 결속구(50)는 작업시 타 리드선(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로 결속할 수 있도록 복수개 마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20)를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갖는다.
또한, 조립체(10)는 크램프 스틱봉(미도시) 체결시 접촉력을 높이기 위하여 그 외주면상에 톱니부(11)가 형성된다.
전술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면, 조립체(10)는 변압기 애자부에 돌출된 볼트에 그 저면이 나사 결합되고, 조립체(10)의 톱니부(11)가 공구와 맞물림으로써 견고히 결속된다. 즉, 종래 변압기 부싱 단자에 비하여 크램프 스틱봉과의 접속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기술적 구성을 참조하여 홀더(40) 및 결속구(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홀더(40)는 몸체 내측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반호상의 수용공간부(41)와, 수용공간부(41)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42)과, 걸림턱(42) 사이의 외주면상에 리드선(1)을 일부분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43) 및, 수용공간부(41)의 후면에 관통공(44)이 형성된다.
결속구(50)는 결속용 볼트(60)와 너트(69)로 구성되며, 결속용 볼트(60)는 홀더(40)의 수용공간부(41)에 수용되되 리드선(1;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일부분 삽입받기 위한 리드선 인입공(61))이 형성되고 걸림턱(42) 사이에 안착되도록 돌기부(62))가 형성된 머리부(63)와, 머리부(63)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관통공(44)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69)에 의해 체결되는 나사부(64)가 마련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결속용 볼트(60)의 인입공(61)에 리드선(1)을 삽입한 다음 홀더(40) 내측으로 끼워 반대편에서 너트(69)로 조이게 되면, 리드선(1;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이 삽입홈(43)에 수용된채 조여진다. 이때, 결속용 볼트(60)의 머리부(63)는 그 돌기부(62)가 걸림턱(42) 사이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반대편에서 너트(69)를 조이더라도 결속용 볼트(60)는 전혀 회전하지 않게된다.
따라서 리드선(1;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이 삽입홈(43)에 수용된 채 조여지므로 전혀 유동이 없게되고, 그에 따라 접속력을 보다 향상시켜 전기저항을 줄일 수 있게된다.
또한, 조립체(10)는 항상 변압기 애자부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작업시 결속구(50)를 풀고 죄는 것만으로도 가능하게된다.
더욱이 작업시 리드선(1) 또는 바이패스케이블(2)을 건들더라도 견고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불측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적용된 작업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본 고안을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함을 밝혀둔다.
활선작업의 하나인 컷아웃스위치(이하, COS라 한다)의 교체 과정을 예로 설명하면, 변압기 부싱 2련단자 중 일측단자는 1차 리드선에 의해 COS(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바이패스케이블(2)의 2차측을 변압기 부싱 2련단자 중 비어 있는 타측단자에 결속시키고, 전력선의 피복을 벗겨 바이패스케이블(2)의 1차측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여기서, 바이패스케이블(2)의 2차측과 변압기 부싱 2련단자와의 결속과정을 살펴보면, 결속구(50)의 너트(69)를 풀어 결속용 볼트(60)를 느슨하게 하고, 이 결속용 볼트의 인입공(61)에 바이패스케이블(2)의 2차측을 삽입한 다음 너트(69)를 죄면 바이패스케이블(2)은 단자의 삽입홈(43)에 안착된 채 견고히 결속된다.
이에 따라, 전력선(1)과 변압기(3) 간은 같은 상에 의한 병렬접속 상태가 된다.
이후, COS(6) 휴즈홀더를 개방하고, COS(6) 2차 리드선을 변압기 부싱으로부터 먼저 철거한 다음 1차 리드선을 전력선으로부터 철거하면, COS(6)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새로운 COS를 전력선(1)와 변압기(3) 간에 설치하고, 바이패스케이블(2)을 제거하면 COS(6)의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의 작업과정에 따르면, 별도의 장비없이 바이패스케이블(2)을 변압기 부싱 단자상에 견고히 결속시킬 수 있고, 작업 중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활선작업시 적정 작업공간 및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르면 변압기 부싱 단자 상에 리드선 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단자가 더 구비됨으로써, 종래 실시 불가능하였거나 그 작업공정이 번잡한 부분들을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게 되었고, 무정전케이블공법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개기가 마련되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활선작업 및 무정전공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리드선(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됨으로써, 종래 실시 불가능하였거나 그 작업공정이 번잡한 부분들을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체 상에 톱니부가 형성됨에 따라 체결 또는 분리시 공구와의 접속력이 높여, 작업의 안정성 및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변압기 부싱 2련단자 상에 별도의 예비단자가 구비됨으로써, 리드선 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접속력을 보다 향상시켜 전기저항을 줄이하는 한편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활선작업시 적정한 작업공간과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변압기의 부싱 단자에 있어서,변압기의 애자부에 나사조립되도록 그 저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조립체와,상기 조립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체와,상기 지지체의 상단에 위치되며 각각의 리드선을 독립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결속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립체는 체결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상에 톱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홀더는 그 내측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반호상의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 사이의 외주면상에 리드선을 일부분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 및, 상기 수용공간부의 후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이 구비되고,상기 결속구는 결속용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결속용 볼트는 상기 홀더 내측에 수용되되 리드선을 일부분 삽입받기 위한 리드선 인입공이 형성되고 걸림턱 사이에 안착되도록 돌기부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2련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6098U KR200341441Y1 (ko) | 2003-11-19 | 2003-11-19 |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6098U KR200341441Y1 (ko) | 2003-11-19 | 2003-11-19 |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1879A Division KR100499732B1 (ko) | 2003-11-18 | 2003-11-18 |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1441Y1 true KR200341441Y1 (ko) | 2004-02-11 |
Family
ID=4942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6098U KR200341441Y1 (ko) | 2003-11-19 | 2003-11-19 |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144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661B1 (ko) * | 2010-08-30 | 2012-03-09 | (주)우강산업전기 |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
-
2003
- 2003-11-19 KR KR20-2003-0036098U patent/KR2003414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661B1 (ko) * | 2010-08-30 | 2012-03-09 | (주)우강산업전기 |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72442A (en) | Battery terminal and post with rotation inhibiting means | |
MX2008005066A (es) | Dispositivo conector de cable para bateria. | |
JP6135934B2 (ja) | スイッチング装置 | |
KR101178898B1 (ko) |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 |
JP2008079430A (ja) | 接地線端部用仮支持具および接地短絡用具 | |
US10069260B2 (en) | Supply rail | |
JP2010045911A (ja) | 短絡接地器具 | |
KR200341441Y1 (ko) |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
JP2012094397A (ja) | ヒューズ装置 | |
KR100499732B1 (ko) | 변압기 부싱 2련단자 | |
JP2008193822A (ja) | 過渡電流接地用具の補助金具 | |
US20090160597A1 (en) |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 |
US7354302B1 (en) | Car battery terminal quick connect handle | |
KR100877199B1 (ko) | 전력용 버스 바의 체결 장치 | |
KR200454159Y1 (ko) | 케이블 커넥터 | |
KR102702399B1 (ko) | 컷아웃 스위치 체결용 튜브 전극 및 이를 이용한 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 공법 | |
KR200341439Y1 (ko) | 컷아웃스위치(cos) 2련단자 | |
KR100499733B1 (ko) | 컷아웃스위치(cos) 엘(l)형 2련단자 | |
KR100507949B1 (ko) | 컷아웃스위치(cos) 2련단자 | |
KR20120037776A (ko) | 순차연결형 클램프 용구 | |
KR200341440Y1 (ko) | 컷아웃스위치(cos) 엘(l)형 2련단자 | |
KR200157223Y1 (ko) | 밧데리단자 접속용 컨넥터 | |
KR100598492B1 (ko) | 전선 접속 단자 터미널 | |
KR200380218Y1 (ko) | 터미널러그 | |
KR20240065540A (ko) | 배터리 퓨즈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