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759Y1 -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 Google Patents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759Y1
KR200363759Y1 KR20-2004-0020213U KR20040020213U KR200363759Y1 KR 200363759 Y1 KR200363759 Y1 KR 200363759Y1 KR 20040020213 U KR20040020213 U KR 20040020213U KR 200363759 Y1 KR200363759 Y1 KR 200363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hole
low pressure
pressure bushing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7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변압기 외함에 관통홀을 통한 저압부싱의 결합시 상기 외함에 밀착되어 결합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에 있어, 상기 패킹이, 그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단을 감싸며 끼움 고정되도록 외향으로 개방된 고정홈을 형성하고, 그 중심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저압부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중심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저압부싱의 내측애관과 외측애관에 개재되는 패킹이, 변압기 외함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체로 이루어져 제공되기 때문에,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조립 설치시 관통홀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LOW VOLTAGE BUSHING PACKING FOR POLE TRANSFORMER}
본 고안은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상변압기의 외함에 관통홀을 통한 저압부싱의 결합시, 상기 외함에 밀착되어 결합 틈새를 밀폐시키는 패킹을 상기 관통홀의 둘레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가 누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조립 설치시 관통홀로부터 이탈됨이 없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상변압기는 변전소로부터의 고전압을 산업용이나 가정용의 저전압으로 바꾸기 위해 전주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강판제의 외함의 구조 내부에 권선과 철심이 놓여져 절연유로 충진되어 있으며, 그 상면의 고전압이 인입되는 부분에는 절연 저항을 많게 하기 위해 부피가 큰 고압부싱(애자)이 설치되고, 그 측면에는 용도에 따른 정격전압으로 변환 송출되는 저압부싱이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은 외부 도선에 연결되는 클램프단자와 그 클램프단자에 제공되어 도체를 연결하는 클램프볼트와 그 클램프단자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외함내의 저압코일에 연결되는 중심도체와, 그 중심도체를 감싸도록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공이 형성된 고체 전열물의 내외측 애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저압부싱을 주상변압기에 설치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 내부에 충진된 절연유가 누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외함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중심으로 외측에는 외측애관을 위치시키고, 그 내측에는 외측외관과 대응되는 내측애관이 위치되도록 하여 외함의 관통홀 내외측면에는 패킹을 각각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하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을 가지는 저압부싱은 외함의 내외측에 각각 분리된 패킹을 사용하여 설치함으로써, 내외측 패킹이 서로 일직선상에 정렬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함의 관통홀과 이탈이 발생되어 효과적인 실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외함 내부의 절연유가 누출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부싱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압기의 조립 작업시 패킹을 외함의 내외측에 각각 맞댄 상태에서 조립공정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변압기 외함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을 제공함으로써,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킹의 양쪽 테두리단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며 외향으로 확개된 유도단을 형성함으로써, 조립 작업시 내외측애관이 패킹의 중심부로 쉽고 원활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저압부싱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함 110 : 관통홀
200 : 저압부싱 210 : 내측외관
220 : 외측외관 230 : 중심도체
232 : 클램프단자 235 : 클램프볼트
300 : 패킹 310 : 중심공
320 : 고정홈 330 : 탄성홈
340 : 유도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변압기 외함에 관통홀을 통한 저압부싱의 결합시 상기 외함에 밀착되어 결합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에 있어서, 상기 패킹이, 그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단을 감싸며 끼움 고정되도록 외향으로 개방된 고정홈을 형성하고, 그 중심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저압부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중심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압부싱의 내외측 애관이 밀착되는 패킹의 전후방면에 원주둘레를 따라 외향으로 개방된 탄성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의 테두리단에 상기 저압부싱의 내외측 애관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외향 경사면을 갖는 유도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변압기 외함(100)과 그 일측에 설치되는 저압부싱(200)과 결합시 이들 사이에 제공되어 틈새를 방지하게 되는 패킹(300)을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 외함(100)은 통상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일측벽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저압부싱(200)은 통상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는 상기 변압기 외함(100)에 형성된 관통홀(110)을 통과하여 외함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애관(210) 마련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내측애관(210)과 대칭 되는 외측애관(220)을 마련하여 상기 외함(100)의 외부로 위치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내측애관(210)이 변압기 외함(10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하여 상기 외측애관(220)에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턱(221)이 상기 내측애관(210)의 중심으로 함몰된 안착홀(211)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애관(220)의 중심으로는 중심도체(230)가 통과하여 상기 내측애관(210)까지 연장된 상태로 조임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중심도체(230)의 일측에는 클램프단자(232)가 형성되고, 외부의 도체와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 볼트(235)가 상기 클램프단자(232)에 장착된다.
상기 패킹(300)은 상기 저압부싱(200)을 이루는 내측애관(210)과 외측애관(220) 사이에 제공되며, 조립 설치시 변압기 외함내의 절연유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110)의 내측 둘레단을 감싸며 끼움 고정되도록 외향으로 개방된 고정홈(320)이 형성되고, 그 중심에 축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애관(220)에 내측애관을 향해 그 외경을 작게 하여 연장된 돌출턱(221)이 통과되도록 중심공(31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시 상기 패킹(300)이 상기 관통홀(110)을 감싸면서 끼움 고정되어 저압부싱을 이루는 내외측 애관(210,220)과 변압기 외함(100)의 결합 틈새를 밀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110)의 둘레단이 상기 패킹(300)의 고정홈(320)에 안착 삽입됨으로써, 상기 패킹(3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시 위치 중심을 맞추기가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300)은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은, 변압기 외함(100)에 형성된 관통홀(110)의 둘레단을 패킹(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320)이 감싸도록 삽입하고, 상기 중심도체(230)에 외측애관을 끼운 상태로 하여 상기 관통홀(110)에 고정된 패킹(300)의 중심공(310)으로 통과시킨 후, 외함(100)내에 위치한 내측애관(210)의 안착홀(211)을 상기 외측애관(220)에 형성된 돌출턱(221)에 끼우고, 상기 중심도체(230)의 선단을 조임부재로 나사 결합시키면서 체결력을 점차적으로 증대시키면 상기 패킹(300)의 전후방 밀착면에 외측애관(220)과 내측애관(210)이 긴밀한 접촉을 하게되어 틈새가 밀폐되면서 조립이 완료되는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이는, 외함(100)의 일측벽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110)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마주보며 위치한 내외측 애관(210,220)의 밀착면이 각각의 방향에서 관통홀(110)을 향해 가압밀착시 탄력적인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패킹(300)의 전후방면에 원주 둘레를 따라 외향으로 개방된 탄성홈(330)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내측애관(210)과 외측애관(220)이 밀착되는 상기 패킹(300)의 양쪽면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긴밀한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이는, 상기 패킹(300)의 양쪽 테두리단에 소정 길이의 외향 경사면을 갖는 유도단(340)이 더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변압기의 조립 작업시 각각의 내외측 애관(210,220) 밀착면이 상기 패킹(300)의 중심부로 유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저압부싱의 내측애관과 외측애관에 개재되는 패킹이, 변압기 외함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체로 이루어져 제공되기 때문에,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조립 설치시 관통홀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킹의 양쪽 테두리단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며 외향으로 확개된 유도단을 제공함으로써, 조립 작업시 내외측애관이 패킹의 중심부로 쉽고 원활하게 위치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변압기 외함에 관통홀을 통한 저압부싱의 결합시 상기 외함에 밀착되어 결합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에 있어서,
    상기 패킹이,
    그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단을 감싸며 끼움 고정되도록 외향으로 개방된 고정홈을 형성하고, 그 중심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저압부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중심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부싱의 내외측 애관이 밀착되는 패킹의 전후방면에 원주둘레를 따라 외향으로 개방된 탄성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테두리단에 상기 저압부싱의 내외측 애관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외향 경사면을 갖는 유도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KR20-2004-0020213U 2004-07-15 2004-07-15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KR200363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213U KR200363759Y1 (ko) 2004-07-15 2004-07-15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213U KR200363759Y1 (ko) 2004-07-15 2004-07-15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759Y1 true KR200363759Y1 (ko) 2004-10-08

Family

ID=4943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213U KR200363759Y1 (ko) 2004-07-15 2004-07-15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7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14B1 (ko) 2007-02-27 2008-03-12 남도전기공업 (주)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200457958Y1 (ko) 2009-10-16 2012-01-16 태성쎄라믹 주식회사 변압기용 부싱
KR101121661B1 (ko) 2010-08-30 2012-03-09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14B1 (ko) 2007-02-27 2008-03-12 남도전기공업 (주)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200457958Y1 (ko) 2009-10-16 2012-01-16 태성쎄라믹 주식회사 변압기용 부싱
KR101121661B1 (ko) 2010-08-30 2012-03-09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4372A (ko)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완화 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종단 접속부
KR200363759Y1 (ko) 주상변압기의 저압부싱 고정용 패킹
US5950381A (en) Device for passing a lengthy object through an opening in a wall
KR101548358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WO2022166821A1 (zh) 一种变压器套管
KR101548357B1 (ko) 케이블 일체형 고압부싱을 갖는 주상변압기
CN103633590A (zh) 电缆固定头和电气设备
KR200420418Y1 (ko)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200283789Y1 (ko) 주상변압기용 저압 부싱
CN102545115B (zh) 一种线缆引入装置及防爆平台灯
KR100717422B1 (ko) 공동주택 구조물바닥 고압전기관로 누수방지를 위한이음구조
KR101097068B1 (ko) 전선 고정용 클램프 보호커버에 설치되는 패킹부재
KR100812714B1 (ko)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100846618B1 (ko)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CN208723521U (zh) 110kV电缆带密封垫的尾管密封装置
KR200330110Y1 (ko)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101698507B1 (ko) 오조립 편심 방지와 파손방지 및 센터링 확보 구조를 갖는 부싱용 패킹구조
KR200395246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CN213332626U (zh) 一种自来水管道阀门用管道连接装置
CN215721586U (zh) 一种电力工程用电力电缆铺设管道
KR20080037200A (ko) 수지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101464659B1 (ko) 패킹재가 내장된 누수방지용 이중연통관 체결밴드
KR100387609B1 (ko) 초고압 of 전력케이블의 무연공식 실링구조
CN213521179U (zh) 一种用于屏蔽筒的密封件和易于安装的屏蔽筒
KR100401595B1 (ko) 초고압 케이블용 기중종단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