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696B1 -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 Google Patents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696B1
KR101286696B1 KR1020130059038A KR20130059038A KR101286696B1 KR 101286696 B1 KR101286696 B1 KR 101286696B1 KR 1020130059038 A KR1020130059038 A KR 1020130059038A KR 20130059038 A KR20130059038 A KR 20130059038A KR 101286696 B1 KR101286696 B1 KR 10128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ver
opening
flange
pos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섭
Original Assignee
박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섭 filed Critical 박순섭
Priority to KR102013005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전선을 지상으로 인출하기 위해 지중에 설치되는 위치고정대 상호간의 결속력을 강화시키면서 분리 해체하기 쉽고, 내부를 관통하여 배선되는 지중전선이 파단없이 원활하게 이동 인출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대 내경에 구름 접촉수단을 구비하여 파단 현상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지중전선을 외부와 격리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보수 및 교체 등과 같은 전선의 관리를 위해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구할 수 있는 덮개를 갖추면서 지중전선 별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위치고정대 상호간이 결속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 배선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고정대 내경을 관통하여 배선된 지중전선의 인출시 지중전선과 내경 사이에서 구름 접촉하는 수단이 마찰을 최소하시키므로 지중전선의 파단 위험성도 대폭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FIXER OF BURIED CABLE}
본 발명은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전선을 지상으로 인출하기 위해 지중에 설치되는 위치고정대 상호간의 결속력을 강화시키면서 분리 해체하기 쉽고, 내부를 관통하여 배선되는 지중전선이 파단없이 원활하게 이동 인출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대 내경에 구름 접촉수단을 구비하여 파단 현상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 설비는 전주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전선을 공중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초기 설비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종래기술로 널리 활용되던 방식이었다.
근래에는 도심지의 미화개선을 위해 전선을 지중에 매설시켜서 전선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지중매설 방식 또는 지중설비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지중설비는 전선을 땅속에 매립하는 방식이므로 전선의 매립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선은 송전을 위한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것이므로 지상인출을 위한 구조를 제외하고 외부와 격리되고 차단된 공간이 요구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지중전선의 설비구조를 보면 지하에 건축한 지하공간에 지중전선을 별도의 절연처리 없이 선반에 얹어 배치한 상태로만 설치되므로 관리자가 위험에 노출되어 전기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컸고, 지중전선들을 서로 밀집 배치하면서 현장에서 지중전선의 식별이 용이치 못해 보수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9595호(2008.11.13.)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가 개시된 바 있다.
개선된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실시 예는 위치고정대를 다수 설치할 경우 상호 결속력이 없고 따로 놀기 때문에 배선시 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지중전선이 위치고정대 내경을 관통하여 배선된 후 당겨지거나 밀리는 등에 의한 인출시 마모에 의한 파단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파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9595호(2008.11.13.)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지중전선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위치고정대 상호간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킨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전선을 위치고정대에 관통시켜 배선할 때 지중전선의 인출시 구름 접촉하면서 마모 발생을 최소화시켜 파단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를 제공함에도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대(114)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111')의 외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돌기(500)가 돌출되되, 상기 결합돌기(500)는 플랜지(111')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연장부(502)와, 상기 연장부(502)의 단부에서 플랜지(111')의 내경 중심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단부(504)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111)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5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510)이 결합돌기(500)와 대응개수로 요입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510)은 상기 절곡단부(504)가 끼워지는 끼움부(512)와, 상기 끼움부(512)와 직교되면서 끼움부(512) 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절곡단부(504)가 이동되었을 때 걸리도록 한 걸림부(514)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111,111')의 내경에는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T' 형상의 설치홈(520)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설치홈(520)의 양측에는 후크결합홈(53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520)에는 탄성스프링(540)이 삽입되며; 상기 탄성스프링(540)의 상부에는 구름볼(550)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설치홈(520)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상기 구름볼(550) 보다 작은 직경의 볼수납구멍(570)이 천공되고, 양측에는 고정후크(580)가 돌출되어 상기 구름볼(550)의 일부만 노출되게 하여 배선되는 가공전선(C)과 구름접촉하게 안내하도록 후크결합홈(530)에 후크고정되는 볼 고정구(56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지중전선을 외부와 격리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보수 및 교체 등과 같은 전선의 관리를 위해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구할 수 있는 덮개를 갖추면서 지중전선 별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고정대 상호간이 결속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 배선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고정대 내경을 관통하여 배선된 지중전선의 인출시 지중전선과 내경 사이에서 구름 접촉하는 수단이 마찰을 최소하시키므로 지중전선의 파단 위험성도 대폭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의 추가 실시예를 요부 단면처리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69595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69595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위치고정대 상호간의 결속구조 및 내경을 관통하는 지중전선의 마찰 저감을 위해 구조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6959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 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면서 내측에 지중전선(C)을 삽입 보관할 수 있는 중공을 확보하고, 상기 중공에 보관된 지중전선(C)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덮개(130)를 갖춘 관 형상을 이룬다.
또한, 이웃하는 위치고정대(100, 100')은 플랜지(111, 111')에 끼워지는 고정수단(미도시함)을 매개로 견고하면서도 긴밀히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핀, 볼트,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위치고정대(100, 100')의 저면은 통기 가능한 지지망(140)으로 폐구되어서, 위치고정대(100, 100') 중공의 환기와 배수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의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는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저면을 폐구하는 지지망(140)과,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면을 폐구하는 덮개(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단에 플랜지(111)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111, 111')의 일면에는 플랜지(111)를 따라 지지대(116, 116')가 중공을 갖도록 돌출형성되고, 지지대(116, 116')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지점에 레일(113)이 돌출형성된다. 결국, 지지대(116, 116')와 레일(113) 사이의 이격공간에 가이드홈(113a)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113)은 가이드홈(113a)의 개구를 위한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일정거리만큼 매꾸는 스토퍼(113c;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한 쌍의 지지대(116, 116')는 바아 형상의 뼈대(115)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뼈대(115)는 위치고정대(100)가 관 형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면과 저면이 각각 개구되는 최소한의 개수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는 보강대(1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대(114)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위치고정대(100)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뼈대(115) 만으로 그 형상이 유지됨으로서 약해지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16, 116')와 같이 관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상면이 개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방으로 개구된 상기 위치고정대(100)의 저면은 지지망(140)으로 덮여 폐구된다. 상기 지지망(140)은 위치고정대(100)의 중공에서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는 방수처리된 것이 아니므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각종 수분이 위치고정대(100)의 내면에 결로되어 발생한 이슬을 효율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지망(140)은 지중전선(C)이 누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수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위치고정대(100)의 개구된 상면은 덮개(130)를 매개로 폐구되고, 이 덮개(130)는 관리자의 조작으로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지하공간은 한정된 공간으로, 이곳에 많은 지중전선(C)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가 지하공간에 설치될 경우, 다른 위치고정대 간의 배치간격이 협소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상기 덮개(130)의 개폐는 여유공간이 요구되는 여닫이 방식이 아닌 미닫이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덮개(130)는 곡면형상을 이룬다. 물론, 지지대(116, 116')와 보강대(114)의 외면은 덮개(130)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곡면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플랜지(111, 111')와 마주하는 덮개(130)의 좌우 양단은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즉, 레일(113)과 지지대(116, 116')를 따라 곡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3a)을 타고 곡면의 덮개(130)가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덮개(130)를 이동시켜서 상면 개구부를 연 후, 중공에 배치된 지중전선(C)에 대한 보수 및 관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덮개(130)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덮개(130)의 외면에는 손잡이(1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덮개(130)는 좌우 양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에 끼워져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 개구부가 완전히 개구되면 고정대(120)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정대(120)는 상기 개구부(113b)에 형성된 회동축(1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가이드홈(113a)을 막거나 여는 한 쌍의 걸림턱(121)과 이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위치고정대(100)의 외곽에 드러나는 핸들(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21)은 가이드홈(113a)을 항시 막는 모습이 되도록 토션스프링(미도시함)을 매개로 회동축(112)과 연결된다.
즉, 걸림턱(121)의 말단은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이에 상응하여 핸들(122)은 압력을 받아 회동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대(100)의 외곽에 돌출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16, 116')와 뼈대(115) 및 보강대(114)로 이루어진 관 형상에서 저면 개구부에는 지지망(140)이 배치되어 저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상면 개구부에는 덮개(130)가 배치되어 상면 개구부를 개폐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면, 덮개(130)의 하중이 전후방으로 고르게 분산되므로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안정적으로 덮어 폐구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덮개(130)를 밀어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고 작업을 수행할 경우, 덮개(130)가 가이드홈(113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가려 폐구할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의 작업에 방해를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번 열린 덮개(130)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전에는 현 위치(상면 개구부 전체를 개구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대(100)는 가이드홈(113a)의 일지점을 막도록 형성되어서 해당 방향으로는 덮개(130)가 이동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스토퍼(113c)를 더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전술한 고정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120)의 걸림턱(121)은 스토퍼(113c)와 대향하게 배치되어서,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 사이에 덮개(130)의 전,후단이 각각 맞닿도록 한다.
즉, 덮개(130)는 걸림턱(121)과 스토퍼(113c)에 의해 그 진행이 차단되므로 관리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이상 현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상면 개구부를 완전히 개구하면, 덮개(130)의 후단이 걸림턱(121)을 지나게 되고, 걸림턱(121)은 토션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턱(121)이 지지대(116)의 외면에 밀착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130)는 걸림턱(121)에 막혀 상면 개구부로 이동할 수 없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핸들(122)을 밀고, 이에 상응하여 걸림턱(121)은 지지대(116)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덮개(130)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관리자는 손잡이(131)를 잡고 덮개(130)를 밀고, 이 힘을 받은 덮개(130)는 가이드홈(113a)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면 개구부를 폐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위치고정대(100,100') 상호간의 결속구조를 갖추어 지중 설치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고정대(100,100')의 내경을 관통하여 배선되는 지중전선(C)이 인출될 때 내경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면서 혹은 열화되면서 파단될 수 있는 위험의 소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위치고정대(100,100')의 내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 접촉수단을 더 구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 6의 (a)에서와 같이, 일측 플랜지(111')의 외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50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00)는 대략 'ㄱ' 형상으로 돌출되며, 120°간격으로 3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구성의 간소화를 위해 예시와 같이 180°간격으로 두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500)는 플랜지(111')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연장부(502)와, 상기 연장부(502)의 단부에서 플랜지(111')의 내경 중심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단부(50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500)가 돌출된 단부와 반대쪽 플랜지(111)에는 상기 결합돌기(50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510)이 요입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510)은 단순히 안쪽으로 파인 홈 형태가 아니라, 상기 결합돌기(500)의 절곡단부(502)가 걸려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홈(510)은 상기 절곡단부(504)가 끼워질 수 있도록 폭이 넓은 끼움부(512)와, 상기 끼움부(512) 보다 폭이 좁은 걸림부(51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끼움부(512)는 외부로 완전히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걸림부(514)는 상기 일부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살이 남아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500)의 절곡단부(504)를 상기 끼움부(512)에 끼운 다음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절곡단부(504)가 걸림부(514) 쪽으로 이동하면서 절곡단부(504)가 걸림부(514)에 걸려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양단에 각각 암수 형태로 마련된 결합돌기(500)와 결합홈(510)의 구조를 각 플랜지(111,111')에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위치고정대(100,100')를 상호 조립하여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지중전선(C) 배선시 위치고정대(100,100')가 유동되지 않아 결속력이 강화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플랜지(111,111')의 내경에는 반경반향으로 대략 'T' 형상의 설치홈(520)이 요입 형성된다.
특히, 상기 설치홈(520)은 반경방향으로 120°간격을 두고 3개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설치홈(520)의 양측단에는 후크결합홈(530)이 각각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설치홈(520)에는 탄성스프링(540)이 장입되고, 상기 탄성스프링(540)의 상부로 구름볼(550)이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구름볼(550)은 상기 탄성스프링(540)에 의해 탄발되므로 지중전선(C)과 접촉시 탄성적으로 구름 접촉하게 된다.
때문에, 지중전선(C)과의 마찰을 극소화시킬 수 있어 마모를 줄이고, 이를 통해 조기 파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볼(550)은 볼 고정구(56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볼 고정구(560)는 중앙에 상기 구름볼(550)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하는 테이퍼 형상의 볼수납구멍(570)이 천공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후크결합홈(530)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후크(580)가 돌출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구름볼(550)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후크(580)를 후크결합홈(530)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 고정구(560)를 살짝 가압하여 눌러주게 되면 고정후크(580)가 후크결합홈(530)에 후크 결합되면서 구름볼(550)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중전선(C)이 위치고정대(100,100')의 내경을 관통하여 배선된 후 인출될 때 그 외주면이 구름볼(550)과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이 최소화되어 마모가 줄어 들기 때문에 조기 파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0, 100'; 위치고정대 110; 하우징
111, 111'; 플랜지 113; 레일
113a; 가이드홈 113b; 개구부
114; 보강대 115; 뼈대
116; 지지대 120; 고정대
130; 덮개 131; 손잡이

Claims (1)

  1. 원형의 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16)와, 지지대(116)의 말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11, 111')와, 지지대(116)의 둘레면과 이격되도록 플랜지(111, 111')에 돌출형성되어서 가이드홈(113a)을 이루되 가이드홈(113a)을 개구하는 개구부(113b)가 형성되고 개구부(113b)와 대향하는 지점은 가이드홈(113a)을 매꿔 폐구하는 스토퍼(113c)가 형성된 레일(113)과, 한 쌍의 지지대(116)의 이격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대(116)를 따라 형성되어 지지대(116)를 연결하되 상면과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뼈대(115)와, 원형의 관 형상 유지와 보강을 위해 뼈대(115)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대(114)로 구성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저면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구하는 지지망(140); 하우징(110) 둘레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이 각각 가이드홈(113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폐구하고 전단이 스토퍼(113c)와 맞닿으면서 하우징(110)의 상면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된 덮개(130); 및 개구부(113b)에 각각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말단이 지지대(116)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 배치되면서 덮개(130)의 후단과 맞물려 덮개(130)를 구속하는 걸림턱(121)과, 걸림턱(121)을 서로 연결하면서 걸림턱(121)의 말단을 지지대(116)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가능한 핸들(122)로 된 고정대(120);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111')의 측면 외부에는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다수의 결합돌기(500)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500)는 플랜지(111')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연장부(502)와, 상기 연장부(502)의 단부에서 플랜지(111')의 내경 중심을 향해 수직하게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단부(504)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111)의 측면 외부에는 상기 결합돌기(500)와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510)이 결합돌기(500)와 대응개수로 요입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510)은 상기 절곡단부(504)가 끼워지는 끼움부(512)와, 상기 끼움부(512)와 직교되면서 끼움부(512) 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절곡단부(504)가 이동되었을 때 걸리도록 한 걸림부(514)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111,111')의 내경 일부에는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T' 형상의 설치홈(520)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설치홈(520)의 양측에는 후크결합홈(53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520)에는 탄성스프링(540)이 삽입되며;
    상기 탄성스프링(540)의 상부에는 구름볼(550)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설치홈(520)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상기 구름볼(550) 보다 작은 직경의 볼수납구멍(570)이 천공되고, 양측에는 고정후크(580)가 돌출되어 상기 구름볼(550)의 일부만 노출되게 하여 배선되는 가공전선(C)과 구름접촉하게 안내하도록 후크결합홈(530)에 후크고정되는 볼 고정구(56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20130059038A 2013-05-24 2013-05-24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286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038A KR101286696B1 (ko) 2013-05-24 2013-05-24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038A KR101286696B1 (ko) 2013-05-24 2013-05-24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696B1 true KR101286696B1 (ko) 2013-07-16

Family

ID=4899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038A KR101286696B1 (ko) 2013-05-24 2013-05-24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6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328B1 (ko) * 2014-12-24 2015-05-26 금오테크(주)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1709324B1 (ko) * 2016-07-22 2017-02-23 (주)비에스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1857269B1 (ko) 2017-03-29 2018-05-11 미래전기기술단(주)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52B1 (ko) 2008-04-03 2008-06-30 (주)대신기술단 매설형 배전선의 간섭방지용 지중관
KR100842346B1 (ko) 2008-04-03 2008-06-30 (주)대신기술단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위치 확보용 고정프레임
KR100844138B1 (ko) 2008-04-03 2008-07-04 (주)삼화종합기술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KR100873987B1 (ko) 2008-04-03 2008-12-17 (주)전우종합기술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52B1 (ko) 2008-04-03 2008-06-30 (주)대신기술단 매설형 배전선의 간섭방지용 지중관
KR100842346B1 (ko) 2008-04-03 2008-06-30 (주)대신기술단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위치 확보용 고정프레임
KR100844138B1 (ko) 2008-04-03 2008-07-04 (주)삼화종합기술 지중설비 보호형 배관의 이상감지시스템
KR100873987B1 (ko) 2008-04-03 2008-12-17 (주)전우종합기술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328B1 (ko) * 2014-12-24 2015-05-26 금오테크(주)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1709324B1 (ko) * 2016-07-22 2017-02-23 (주)비에스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1857269B1 (ko) 2017-03-29 2018-05-11 미래전기기술단(주)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696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US10337650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telescoping assembly
FI127167B (en) Insulator
KR200480703Y1 (ko)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KR20090068517A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1492041B1 (ko) 케이블 가설용 행거
KR100873987B1 (ko) 지중전선 케이블의 고정 브래킷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JP2007521789A (ja) 電気通信及び通信発信設備、環境分析設備、コンピュータ設備、並びに、それらの類似物のための安全導管(経路)システム
KR102390667B1 (ko)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KR101829037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0842352B1 (ko) 매설형 배전선의 간섭방지용 지중관
US20190219198A1 (en) Cable storage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00059335A (ko) 절연커버
KR100869595B1 (ko)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CN209992719U (zh) 一种便于光缆固定的光缆分纤箱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0968091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0887419B1 (ko) 송·배전선용 클램프
KR1008423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위치 확보용 고정프레임
KR200410611Y1 (ko) 인입출이 가능한 전신주의 원터치형 스텝볼트
AU2016204597B2 (en) Cable retaining device
KR102079433B1 (ko) 원터치 조립 기능을 갖는 저압 가선용 랙크
KR101468195B1 (ko) 케이블 포설장치
JP6446746B1 (ja) 架線敷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