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195B1 - 케이블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195B1
KR101468195B1 KR1020120133979A KR20120133979A KR101468195B1 KR 101468195 B1 KR101468195 B1 KR 101468195B1 KR 1020120133979 A KR1020120133979 A KR 1020120133979A KR 20120133979 A KR20120133979 A KR 20120133979A KR 101468195 B1 KR101468195 B1 KR 10146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follower
ti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569A (ko
Inventor
임채현
Original Assignee
임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현 filed Critical 임채현
Priority to KR102012013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1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장치는 조가선에 케이블 타이들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을 추종하면서 신설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 타이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을 추종하기 위한 케이블추종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단부 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선통대가 결합되는 선통대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설장치는 조가선에 지지된 케이블을 추종하면서 선통대를 케이블 타이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포설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장치{apparatus for lay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조가선에 케이블 타이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 설치궤적을 따라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케이블은 자체 무게에 의한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신주들의 사이에 설치된 조가선에 별도의 고정수단 즉, 케이블 타이에 의해 현가된다.
상기와 같이 포설된 케이블에 신설을 위한 통신 케이블의 시공은 조가선에 설치된 고리형 케이블타이에 신설되는 통신케이블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지지시키거나 조가선 또는 기 가설된 케이블에 금속와이어나 보조타이를 이용하여 통신케이블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신설을 위한 통신케이블의 가설은 작업 시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신설케이블의 설치 시 작업자가 매달림용 케이블에 올라앉아 이동하면서 고리형 케이블타이(행거)를 이용하여 조가선에 고정하는 공정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여 작업자 매달림용 케이블이 끊어지는 등은 안전사고 위험이 내재되어 있으며, 공중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동안에 일정하지 못한 조가선의 장력에만 의지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작업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매우 많고 이에 따라 작업성도 매우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용의 케이블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장치로서 국내특허출원 제2009-0005815호에는 광케이블 자동정리 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국내특허출원 제 2009-0092026호에는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국내특허등록 제0914456호에 광케이블 자동정리장치용 행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종래의 기술적 구성들은 통신용 케이블의 신설과 증설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고, 장치가 무겁고 부피가 커 장치를 조가선에 올려놓기 위하여 별도의 바켓트럭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신설된 케이블의 길이가 길지 않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설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의 조가선에 설치된 케이블 타이(행거)를 이용하여 신설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 설치된 케이블을 추종하면서, 신설되는 케이블 설치를 위한 선통대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단부를 파지하여 견인시킬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장치는 조가선에 케이블 타이들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을 추종하면서 신설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 타이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을 추종하기 위한 케이블추종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단부 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선통대가 결합되는 선통대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유닛에 대해 본체부와 결합됨으로써 중공형상의 케이블추종부를 형성하는 커버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케이블추종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케이블을 직경에 따라 케이블추종부의 단면을 가변시키기 위한 가압부재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추종부를 형성하는 본체부와 커버부에는 케이블추종부의 내주면과 추종되는 케이블의 외주면과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마찰력감소유닛을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에는 케이블추종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견인을 위해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칫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래칫부재는 상술한 가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조가선에 케이블타이에 의해 지지된 가설케이블을 따라 헤드부가 추종되면서 헤드부와 결합된 선통대를 케이블타이에 순차적으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시차를 두고 시공되는 케이블의 시공이 용이하고, 케이블의 시공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설 케이블의 포설을 위하여 케이블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선통대를 당겨 케이블을 견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 타이에 의해 조가선에 지지된 케이블을 따라 추종되어 선통대을 케이블타이들에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이 선통대를 이용하여 신설 될 케이블이 케이블타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는 전신주(300)들 또는 케이블 가설을 위한 지주들의 사이에 조가선(100)이 가설되고, 이 조가선(100)에 케이블타이(110)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200)을 따라 추종되는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체결유닛(70)에 의해 결합되는 선통대(6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포설장치(10)의 헤드부(20)는 신설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타이(110)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200)에 가이드되어 이를 추종하기 위한 케이블추종부(30)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20)의 후단부측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와이어상의 상기 선통대(60)의 단부와 결합되는 선통대결합부(71)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추종부(30)가 형성된 헤드부(20)는 본체부(22)와, 상기 본체부(22)와 힌지축에 결합되는 커버부(23)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추종부(30)는 본체부(22)에 반원형의 제 1인입부(31)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커버부(23)에는 반원형의 제 2인입부(32)가 형성되어 본체부(22)와 커버부(23)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추종부(3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 없이 본체부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 및 결합되어 케이블추종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3)와 본체부(22)에는 본체부(22)에 대해 커버부(23)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25)을 구비하는데, 이 결합유닛(25)은 힌지축(26)이 설치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커버부(23)의 자유단과 이와 대응되는 본체부(22)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유닛(25)은 본체부(22)에 고정핀(25a)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25a)과 결합되는 결합홈(25b)이 커버부(23)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22)에 설치된 고정핀(25a)은 스프링(25c)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홈(25b)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상기 고정핀(25a)에는 이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노브(25d)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25a)과 결합홈(25b)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버부(23)의 단부와 본체부(22)에는 결합되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도 2참조)
상기 본체부(22)의 전단부와 이와 결합되는 커버부(23)의 전단부는 단부측으로 경사진 유도경사부(22a)(23a)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경사부(22a)(23a)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콜릿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시 케이블타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체부(22)와 커버부(23)의 외주면으로 연장되는 유선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추종부(30)를 이루는 제 1인입부(31)의 내주면 본체부(22)와 제 인입부(32)의 내주면 커버부(23)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추종되는 케이블 즉, 기 가설된 케이블(200)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마찰력감소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마찰력감소유닛은 제 1인입부(31)와 제 2인입부(32)가 각각 형성된 커버부(23)와 본체부(22)가 케이블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볼 또는 볼플랜저(미도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찰력감소유닛은 케이블추종부(30)를 이루는 본체부(22)의 제1인입부와 커버부(23)의 제 2인입부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돌기들이 형성되어 접촉면적을 줄이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2)에는 상기 케이블추종부(30)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케이블(200)을 직경에 따라 케이블추종부의 단면을 가변시키기 위한 가압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재(40)는 제 1인입부(31)의 내주면을 이루는 본체부(22)에 설치되는 탄성편(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40)인 탄성편(41)의 기부는 본체부(22)에 고정되고, 단부는 커버부(23)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압부재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2)의 제 1인입부(31)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43)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43)는 스프링(44)에 의해 커버부(23)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더(43)는 단부에 스토퍼(43a)가 설치되어 본체부(22)의 제1인입부(31)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가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2)에 설치된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47)와, 상기 레버부재(47)에 설치되어 제 1인입부(31) 측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스프링(48)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47)의 단부에는 케이블가이드(49)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48)은 토오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2)에 힌지축(45)에 의해 지지된 편심캠(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심캠(46)은 헤드부(20)가 케이블을 따라 전진 시 제 1인입부(31)로부터 인입되고 후퇴 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한 위하여 상기 힌지축(45)과 편심캠(46)에는 토오션 스프링(45a)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편심캠(45)의 외주면은 추종되는 케이블(200)의 외주면과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단면이 곡면인 인입부(4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심캠(46)은 원형 또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케이블추종부(30)를 따라 이동되는 케이블(200)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편 또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22)에는 선통대(60)와 연결된 헤드부(20)의 후퇴 시 케이블(200)을 파지하여 후퇴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선통대와 연결된 헤드부(20)를 이용하여 케이블 즉, 신설된 케이블(200)의 인출 시 케이블(1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칫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칫부재(50)는 제1인입부(31)를 형성하는 본체부(22)의 내주면에 축(52)에 의해 지지되어 헤드부(20)의 후단부측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표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마찰돌기(51)들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래칫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마찰돌기(53)들이 형성된 제 2편심캠(54)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본체부(22)에는 제 2편심캠(5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회전방지부재(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55)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부(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2편심캠(54)에 접촉 및 분리됨으로써 제 2편심캠(54)의 회전위치를 고정(회전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편심캠(5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래칫부재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종되는 케이블의 따라 이동하는 헤드부(20)의 후퇴 시 케이블을 파지하거나 케이블의 견인 시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헤드부(20)의 후단부측과 선통대(60)의 단부를 연결하는 체결유닛(70)은 헤드부(20)의 후단부에 이로부터 돌출되는 선통대결합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선통대(60)의 단부에 체결부재(72)가 설치되어 상기 선통대결합부(71)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선통대결합부(71)가 형성된 헤드부(20)의 후단부위는 후퇴 시 조가선(100)에 설치되는 케이블타이(110)에 걸리지 않도록 후방유도경사부(22b)(2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신주 또는 지주들의 사이에 설치된 조가선(100)에 케이블(200)들이 케이블타이(110)들에 의해 현가된 상태에서 새로운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 설치된 케이블들중 추종할 케이블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의 케이블추종부(30)에 선택한 케이블(200)을 삽입한다.
상기 헤드부(20)의 결합유닛(25)을 해지하여 본체부(22)에 대해 커버부(23)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고, 이 사이에 추종할 케이블(200)을 삽입한 후 본체부(22)와 커버부(23)를 결합한다. 이때에 상기 케이블추종부(30)에 설치되는 가압부재(40)는 추종 케이블(20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어 헤드부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특히, 본체부(22)와 커버부(23)의 제 1,2인입부에는 마찰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마찰력감소유닛인 볼 또는 가이드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블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추종부(30)의 추종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가 완료되면, 선통대(60)를 이용하여 헤드부(20)를 추종 케이블(200)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헤드부(20)는 추종 케이블 즉, 케이블타이(110)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블타이(11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선통대(60)는 케이블타이(110)들을 관통하여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서 신설을 위한 케이블의 포설을 위한 선통대(60)가 케이블타이로 삽입되어 포설이 완료되면, 선통대(60)와 연결된 헤드부(20)에 케이블을 지지시킨 후 당긴다. 이와 같이하면 상기 선통대(60)를 따라 시설 케이블이 추종되면서 케이블타이(110)들에 의해 케이블(200)이 지지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선통대(60)에 지지된 헤드부(20)에는 제 2편심캠으로 이루어진 래칫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통대(60)를 당김으로써 케이블(200)을 견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장치는 각종 케이블의 포설 및 견인에 널리 사용가능하다.
20;헤드부 22; 본체부
23커버부 50;래칫부재
30;케이블추종부 60;선통대

Claims (6)

  1. 조가선에 케이블 타이들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을 추종하면서 신설 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 타이에 의해 현가된 케이블을 추종하기 위한 케이블추종부가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단부 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선통대가 결합되는 선통대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케이블추종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케이블을 직경에 따라 케이블추종부의 단면을 가변시키기 위한 가압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유닛에 대해 본체부와 결합됨으로써 중공형상의 케이블추종부를 형성하는 커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케이블추종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견인을 위해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칫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커버부의 전면에 케이블의 추종 시 케이블타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유도경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KR1020120133979A 2012-11-23 2012-11-23 케이블 포설장치 KR10146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79A KR101468195B1 (ko) 2012-11-23 2012-11-23 케이블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79A KR101468195B1 (ko) 2012-11-23 2012-11-23 케이블 포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569A KR20140066569A (ko) 2014-06-02
KR101468195B1 true KR101468195B1 (ko) 2014-12-05

Family

ID=5112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979A KR101468195B1 (ko) 2012-11-23 2012-11-23 케이블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59B1 (ko) 2021-12-07 2022-04-14 (주)일렉콤 케이블 자동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42A (ja) * 1996-06-20 1998-01-16 Hasegawa Mutsumi 敷設又は運搬装置
JPH10313513A (ja) * 1997-05-12 1998-11-24 Iwabuchi Corp ケーブル用引き紐の先導装置
KR200332755Y1 (ko) * 2003-08-05 2003-11-07 신성권 선재 삽입 안내 장비
KR20110001681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케이티 선통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42A (ja) * 1996-06-20 1998-01-16 Hasegawa Mutsumi 敷設又は運搬装置
JPH10313513A (ja) * 1997-05-12 1998-11-24 Iwabuchi Corp ケーブル用引き紐の先導装置
KR200332755Y1 (ko) * 2003-08-05 2003-11-07 신성권 선재 삽입 안내 장비
KR20110001681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케이티 선통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59B1 (ko) 2021-12-07 2022-04-14 (주)일렉콤 케이블 자동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569A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68763B (zh) 一种市政工程用电缆穿插支架及其使用方法
KR101468195B1 (ko) 케이블 포설장치
JP6618516B2 (ja) 通線工具および通線方法
KR20140101909A (ko) 케이블 가설용 행거
JP5602083B2 (ja) 安全帯の移動用ケーブル
KR101198257B1 (ko) 통신케이블용 서스펜션
KR20210018061A (ko) 케이블 핸드카트
JP2019208299A (ja) 通線工具および通線方法
CN111924641B (zh) 用于通信管线布设的自动放线器
KR20120137922A (ko) 전선 유도용 요비선
KR101805697B1 (ko) 케이블 클램프
KR101421942B1 (ko) 광케이블용 인입선 행거
KR100745457B1 (ko) 철탑에서의 자주기 우회 장치 및 방법
KR101070456B1 (ko)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JP3730909B2 (ja) 新旧線一束化架設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ハンガー取外し装置
JP3350664B2 (ja) ケーブルの架線工法、並びにケーブル架線用ガイド具
JP4485318B2 (ja) 架空線の上越し工具
JP4948472B2 (ja) 鳥害防止具の取付補助装置
CN218285240U (zh) 一种用于提高水沟盖板安装效率的夹具
CN219041241U (zh) 一种电缆敷设转角助力装置
JP6446746B1 (ja) 架線敷設装置
JP5033846B2 (ja) 取付補助具、装着方法、および脱着方法
RU747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отовки каналов (варианты)
CN208766347U (zh) 一种方便穿线的通信保护管
CN215911857U (zh) 一种电气工程线缆保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