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091B1 -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091B1
KR100968091B1 KR1020100029285A KR20100029285A KR100968091B1 KR 100968091 B1 KR100968091 B1 KR 100968091B1 KR 1020100029285 A KR1020100029285 A KR 1020100029285A KR 20100029285 A KR20100029285 A KR 20100029285A KR 100968091 B1 KR100968091 B1 KR 10096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tube
fixed
fixing
wir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씨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씨
Priority to KR102010002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3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이 수납되는 보호관에 보조관을 체결구로 서로 연결하여 보호관을 보강하고, 보호관과 보조관을 순환하는 순환띠에 의하여 전선고정체가 보호관 내부를 이동하게 하여 전선의 설치와 제거가 간편하게 하며, 보호관 내부에 조명을 할 수 있게 하여 보호관 내부를 살펴볼 수 있게 구성한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에 관한 것이며, 내부에 전선이 삽입되어 전기박스(1) 사이에 고정되는 보호관(10); 보호관(1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호관(10)과 같은 길이로 전기박스(1) 사이에 보호관(10)의 상부에 접하여 연결되는 보조관(20); 일측에 클립부(31)가 형성되어 보조관(20)과 보호관(10)의 양단부에 동시에 끼워져 고정되고, 클립부(31)와 일체로 롤러고정부(32)가 형성되며, 롤러고정부(32)의 중앙에 절개부(33)가 형성되어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장치(30); 투명의 몸체(41) 내부에 배터리와 엘이디램프가 내장되고, 배터리와 엘이디램프는 진동에 의해 접촉하는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며, 몸체(41)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가 형성되어 순환띠(47)가 고정되되 순환띠(47)는 보호관(10)의 내부와 보조관(20)의 내부를 동시에 삽입되도록 연결되고, 순환띠(47)는 롤러장치(30)의 롤러(34)에 맞닿아 걸리도록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며, 몸체(41)의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와 대응되도록 당김줄고정부(43)가 형성되어 양쪽 방향으로 각각 전기박스(1)간의 길이만큼의 당김줄(48)이 고정되고, 몸체(41) 외경에 전선홈(44)이 형성되되 전선홈(44)을 개폐하도록 고정커버(45)가 몸체(4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전선고정체(40); 서로 마주 보도록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이 형성된 두개의 반체(51) 일측이 힌지(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서로 고정되고,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에 보호관(10)과 보조관(20)이 삽입되어 반체(51)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판(55)으로 고정되는 체결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 A structure of protecting pipe for an electric cable }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이 수납되는 보호관에 보조관을 체결구로 서로 연결하여 보호관을 보강하고, 보호관과 보조관을 순환하는 순환띠에 의하여 전선고정체가 보호관 내부를 이동하게 하여 전선의 설치와 제거가 간편하게 하며, 보호관 내부에 조명을 할 수 있게 하여 보호관 내부를 살펴볼 수 있게 구성한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건축물이 대형화 또는 고층화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실정으로 건축물의 층간 바닥에는 전기 케이블이 시공되어 업무용으로 사용되고, 이에 건축물의 층간 바닥에는 번기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기 박스(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고, 각각의 전기박스(1)를 전기 케이블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층간 바닥의 사용성을 증대하고 있다.
이때 전기 케이블은 층간 바닥에 설치되는 전기 박스(1) 사이에 보호관(2)이 설치되어 내부에 전선이 삽입되어 전기박스 내에서 단자로 연결된다.
실내로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 배전은 전선을 가전제품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와 연결하기 위해서 바닥내에 매립된 보호관을 통해 콘센트 설치부로 배선시킨다. 이와 같은 배선은 건물 신축시 벽체 내에 전선관을 매립한 후 인테리어 전에 실시되는 전기공사 단계에서 전선관 내에 전선을 삽입하여 각 콘센트 설치부까지 배선시켜야 한다.
이 경우, 전선관 내에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전선을 벽체의 일측에서 전선관 내에 삽입하여 벽체의 타측에서 인출시키는데, 건물의 벽체에 매립된 전선관은 콘센트 설치부의 위치에 따라 매설된 전선관들 사이에 곡면부를 구비한 연결관들이 연결되므로 내부에 굴곡면이 이루어져 있어서 전선인출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선관의 경우에도 새로운 전선을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동주택이나 건축물의 바닥면에 매설된 보호관에 있는 전선은 보수하기 힘들고, 일단 매설되면 새로운 전선을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항상 존재한다.
그리고 보호관은 주로 피브이씨 파이프가 이용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보호관이 원래의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새로운 배선을 보호관 내부로 설치할 때 바닥을 부수는 공사를 하지 않고, 간편하게 새로운 배선을 넣거나 문제가 있는 배선을 빼내어 보수할 수 있는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보조관을 보호관과 같이 체결구로 연결하여 보조관이 보호관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보조관의 내부로 순환띠가 돌아가게 하여 전선고정체가 용이하게 배관내를 가이드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전선고정체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배관내를 이동하면서 배관을 밝게 비춰주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전선이 삽입되어 전기박스(1) 사이에 고정되는 보호관(10); 보호관(1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호관(10)과 같은 길이로 전기박스(1) 사이에 보호관(10)의 상부에 접하여 연결되는 보조관(20); 일측에 클립부(31)가 형성되어 보조관(20)과 보호관(10)의 양단부에 동시에 끼워져 고정되고, 클립부(31)와 일체로 롤러고정부(32)가 형성되며, 롤러고정부(32)의 중앙에 절개부(33)가 형성되어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장치(30); 투명의 몸체(41) 내부에 배터리와 엘이디램프가 내장되고, 배터리와 엘이디램프는 진동에 의해 접촉하는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며, 몸체(41)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가 형성되어 순환띠(47)가 고정되되 순환띠(47)는 보호관(10)의 내부와 보조관(20)의 내부를 동시에 삽입되도록 연결되고, 순환띠(47)는 양쪽 롤러장치(30)의 롤러(34)에 맞닿아 걸리도록 설치되며, 몸체(41)의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와 대응되도록 당김줄고정부(43)가 형성되어 양쪽 방향으로 각각 전기박스(1)간의 길이만큼의 당김줄(48)이 고정되고, 몸체(41) 외경에 전선홈(44)이 형성되되 전선홈(44)을 개폐하도록 고정커버(45)가 몸체(4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전선고정체(40); 서로 마주 보도록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이 형성된 두개의 반체(51) 일측이 힌지(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서로 고정되고,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에 보호관(10)과 보조관(20)이 삽입되어 반체(51)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판(55)으로 고정되는 체결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선고정체(40)의 전선홈(44)을 개폐하도록 고정된 고정커버(45)는 몸체(41)의 외경과 동일한 형상인 호형으로 형성된 호형판체(45-1)의 일측에 힌지부(45-2)가 형성되어 몸체(41) 외경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힌지부(45-2)의 반대쪽 단부가 돌출되어 고정부(45-3)가 형성되며, 전선고정체(40)의 몸체(41) 외경에 삽입홈이 형성되되 삽입홈과 몸체(41) 양측면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핀홀(46)이 형성되고, 핀홀(46)과 통하도록 고정부(45-3)에 홀이 형성되어, 핀홀(46)과 고정부(45-3)의 홀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핀(45-4)을 삽입하여 전선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체결구로 보호관에 같이 고정되는 보조관이 보호관을 보강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원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체결구 콘크리트 타설시 보호관을 지지하여 주며, 전선고정체에 고정된 전선을 당김줄로 당겨 간단하게 전기박스 사이의 보호관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고정체 내부에 발광장치를 내장하여 전선고정체의 이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 스위치가 접촉되어 내부를 비추어 주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전선고정체는 보조관과 보호관을 순환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순환띠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롤러장치를 보조관과 보호관의 단부 사이에 끼워 고정하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에 사용하는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에 사용하는 전선고정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전기박스(1) 사이에 설치되는 보호관(1)에 전선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보호관(1)와 동시에 체결구(50)로 보조관(20)을 체결하여 보조관(20)이 보호관(10)의 보강을 하되 순환띠(47)와 롤러장치(30)에 의해 궤도운동을 하며 이동하는 전선고정체(40)가 보호관(1) 내를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전선을 설치와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보호관(10)은 내부에 전선이 삽입되어 전기박스(1) 사이에 고정되고, 이 보호관(1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호관(10)과 같은 길이로 전기박스(1) 사이에 보호관(10)의 상부에 접하여 보조관(20)이 연결되어 고정된다.
롤러장치(30)는 일측에 클립부(31)가 형성되어 보조관(20)과 보호관(10)의 양단부에 동시에 끼워져 고정되고, 클립부(31)는 탄성이 있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조관(20)과 보호관(10)을 동시에 잡아주게 된다.
클립부(31)와 일체로 롤러고정부(32)가 형성되고, 롤러고정부(32)의 중앙에 절개부(33)가 형성되어 롤러(34)가 삽입될 공간이 형성된다. 절개부(33)에 삽입된 롤러(34)를 회전핀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롤러(34)의 중앙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순환띠(47)가 삽입되었을 때 이탈하지 않고 회전하게 된다.
전선고정체(40)는 투명의 몸체(41) 내부에 배터리와 엘이디램프가 내장되고, 배터리와 엘이디램프는 진동에 의해 접촉하는 스위치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전선고정체(40)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움직임에 의해 스위치가 접촉되고, 접촉된 순간 딜레이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발광하도록 회로가 설정되어 있어 보호관(10) 내부를 비추어 준다.
전선고정체(40)의 몸체(41)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가 형성되어 순환띠(47)가 고정되고, 순환띠(47)는 보호관(10)의 내부와 보조관(20)의 내부를 동시에 삽입되도록 연결된다.
순환띠(47)는 양쪽 롤러장치(30)의 롤러(34)에 맞닿아 걸리도록 설치되어 롤러(34)에 의해 이동이 원활하게 되고, 몸체(41)의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와 대응되도록 당김줄고정부(43)가 형성되어 양쪽 방향으로 각각 전기박스(1)간의 길이만큼의 당김줄(48)이 고정된다. 당김줄(48)을 당기면 전선고정체(40)가 당기는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해당하는 전선을 전선고정체(40)에 고정한 다음 당기면 된다. 순환띠(47)는 두개의 롤러(34) 사이에 걸려서 보호관(10)의 내부와 보조관(20)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롤러(34)의 회전에 의해 순환띠(47)의 궤도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전선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몸체(41) 외경에 전선홈(44)이 형성되고, 전선홈(44)을 개폐하도록 고정커버(45)가 몸체(4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커버(45)는 몸체(41)의 외경과 동일한 형상인 호형으로 형성된 호형판체(45-1)의 일측에 힌지부(45-2)가 형성되어 몸체(41) 외경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힌지부(45-2)의 반대쪽 단부가 돌출되어 고정부(45-3)가 형성된다.
전선고정체(40)의 몸체(41) 외경에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전선고정체(40)의 몸체(41) 양측면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핀홀(46)이 형성되며, 핀홀(46)과 통하도록 고정부(45-3)에 홀이 형성되어 핀홀(46)과 고정부(45-3)의 홀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핀(45-4)을 삽입하여 전선이 고정된다.
전선홈(44)의 내경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구(50)는 서로 마주 보도록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이 형성된 두개의 반체(51) 일측이 힌지(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서로 고정되고,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에 보호관(10)과 보조관(20)이 삽입되어 반체(51)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판(55)을 대고 볼트를 체결하여 반체(51)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한다.
1 : 전기박스 2 : 보호관
10 : 보호관 20 : 보조관
30 : 롤러장치 31 : 클립부
32 : 롤러고정부 33 : 절개홈
34 : 롤러 40 : 전선고정체
41 : 몸체 42 : 순환띠고정부
43 : 당김줄고정부 44 : 전선홈
45 : 고정커버 45-1 : 호형판체
45-2 : 힌지부 45-3 : 고정부
45-4 : 고정핀 46 : 핀홀
47 : 순환띠 48 : 당김줄
50 : 체결구 51 : 반체
52 : 힌지 53 : 보호관홈
54 : 보조관홈 55 : 고정판

Claims (2)

  1. 내부에 전선이 삽입되어 전기박스(1) 사이에 고정되는 보호관(10);
    보호관(1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호관(10)과 같은 길이로 전기박스(1) 사이에 보호관(10)의 상부에 접하여 연결되는 보조관(20);
    일측에 클립부(31)가 형성되어 보조관(20)과 보호관(10)의 양단부에 동시에 끼워져 고정되고, 클립부(31)와 일체로 롤러고정부(32)가 형성되며, 롤러고정부(32)의 중앙에 절개부(33)가 형성되어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장치(30);
    투명의 몸체(41) 내부에 배터리와 엘이디램프가 내장되고, 배터리와 엘이디램프는 진동에 의해 접촉하는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며, 몸체(41)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가 형성되어 순환띠(47)가 고정되되 순환띠(47)는 보호관(10)의 내부와 보조관(20)의 내부를 동시에 삽입되도록 연결되고, 순환띠(47)는 보호관(10)과 보조관(20) 양쪽에 고정된 롤러장치(30)의 롤러(34)에 맞닿아 이동이 원활하게 되며, 몸체(41)의 외측에 순환띠고정부(42)와 대응되도록 당김줄고정부(43)가 형성되어 양쪽 방향으로 각각 전기박스(1)간의 길이만큼의 당김줄(48)이 고정되고, 몸체(41) 외경에 전선홈(44)이 형성되되 전선홈(44)을 개폐하도록 고정커버(45)가 몸체(4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전선고정체(40);
    서로 마주 보도록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이 형성된 두개의 반체(51) 일측이 힌지(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서로 고정되고, 보호관홈(53)과 보조관홈(54)에 보호관(10)과 보조관(20)이 삽입되어 반체(51)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판(55)으로 고정되는 체결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선고정체(40)의 전선홈(44)을 개폐하도록 고정된 고정커버(45)는 몸체(41)의 외경과 동일한 형상인 호형으로 형성된 호형판체(45-1)의 일측에 힌지부(45-2)가 형성되어 몸체(41) 외경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힌지부(45-2)의 반대쪽 단부가 돌출되어 고정부(45-3)가 형성되며, 전선고정체(40)의 몸체(41) 외경에 삽입홈이 형성되되 삽입홈과 몸체(41) 양측면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핀홀(46)이 형성되고, 핀홀(46)과 통하도록 고정부(45-3)에 홀이 형성되어, 핀홀(46)과 고정부(45-3)의 홀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핀(45-4)을 삽입하여 전선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20100029285A 2010-03-31 2010-03-31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096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85A KR100968091B1 (ko) 2010-03-31 2010-03-31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85A KR100968091B1 (ko) 2010-03-31 2010-03-31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091B1 true KR100968091B1 (ko) 2010-07-14

Family

ID=4264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285A KR100968091B1 (ko) 2010-03-31 2010-03-31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07B1 (ko) 2010-08-12 2010-12-09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건축용 내부 벽체에 매설되는 전선의 보호커버
KR102180536B1 (ko) * 2020-04-28 2020-11-19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선 보호관 접속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8A (ja) * 1992-10-02 1994-04-2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収納管の接続具
JPH07123558A (ja) * 1993-10-25 1995-05-12 Mirai Ind Co Ltd 懸吊車走行路を備えた配線・配管材用の管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懸吊車、並びに配線・配管装置
KR970009900A (ko) * 1996-04-25 1997-03-27 윤수호 인쇄밴드의 접착제 코팅방법 및 그 장치
JP2001298819A (ja) * 2001-04-20 2001-10-26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の引込具及び配線・配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428A (ja) * 1992-10-02 1994-04-2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収納管の接続具
JPH07123558A (ja) * 1993-10-25 1995-05-12 Mirai Ind Co Ltd 懸吊車走行路を備えた配線・配管材用の管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懸吊車、並びに配線・配管装置
KR970009900A (ko) * 1996-04-25 1997-03-27 윤수호 인쇄밴드의 접착제 코팅방법 및 그 장치
JP2001298819A (ja) * 2001-04-20 2001-10-26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の引込具及び配線・配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507B1 (ko) 2010-08-12 2010-12-09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건축용 내부 벽체에 매설되는 전선의 보호커버
KR102180536B1 (ko) * 2020-04-28 2020-11-19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선 보호관 접속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722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배선 안전장치
KR101640351B1 (ko)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1143877B1 (ko)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0968091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JP5401378B2 (ja) 手摺り用ブラケット
KR100658661B1 (ko) 공동주택용 경량 케이블 트레이
KR100973735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 구조
KR100673972B1 (ko)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경량 케이블트레이
JP2010129222A (ja) 照明器具及び誘導灯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1025533B1 (ko)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KR101040187B1 (ko) 벽부형 등기구 장치
RU61955U1 (ru) Короб для прокладки кабеля и монтажа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чных изделий
KR101016216B1 (ko) 건축물 바닥의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090009813U (ko) 전선용 덕트를 가지는 건물 벽면형 조명기구
KR1019781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KR200422855Y1 (ko) 천장 배선 분기용 커넥터
KR100928697B1 (ko) 전기배선 분기구
KR10084882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KR200396150Y1 (ko)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
KR101162963B1 (ko) 건축물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KR100675521B1 (ko) 건축물 바닥 매설용 전선보호 분기체
JP4750049B2 (ja) 配線ボックス、及び照明器具設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