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792B1 -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792B1
KR101002792B1 KR1020100041025A KR20100041025A KR101002792B1 KR 101002792 B1 KR101002792 B1 KR 101002792B1 KR 1020100041025 A KR1020100041025 A KR 1020100041025A KR 20100041025 A KR20100041025 A KR 20100041025A KR 101002792 B1 KR101002792 B1 KR 10100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fire
wires
connection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럴드
Priority to KR102010004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only the sensor being in the danger z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동구 내에 배선되어 공동구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소방감지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는, 제1,2도선(1a,2a) 및 상기 제1,2도선을 감싸는 제1,2절연 피복(1b,2b)으로 이루어진 제1,2소방감지선(1,2)을 접속 연결하는 것으로, 내부에 양측이 연통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접속구(10)와; 상기 접속구를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절연 피복에 고정하는 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구의 삽입홀은,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도선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도선 삽입부(11), 상기 도선 삽입부의 양측에 각각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절연 피복이 지지되는 제1,2스토퍼(12,13), 상기 제1,2스토퍼에서 양측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삽입을 유도하는 테이퍼 형태의 제1,2도입부(14,15)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FIRE-SENSING CABLE CONNECTER IN COMMON DUCT}
본 발명은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 배선되어 공동구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소방감지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속함과 아울러 소방감지선의 양호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지하공동구라 함은 도로의 노면 굴착을 수반하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의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기하기 위해서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이러한 지하공동구는 각종 케이블과 배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터널형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전기합선이나 기타의 내/외부의 원인 등으로 지하공동구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가연성 물질인 케이블이나 배관 및 공동구 벽면을 타고 화염이 급속하게 전파되어 결국은 서로 연결된 도시의 전체 지하공동구로 화재가 확대되고, 이로 인하여 다른 도시의 다른 구역에까지 화재가 전파되는 등 막대한 손해를 입게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화재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최근에는 지하공동구내에 소방설비를 갖추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지하공동구에 설치되는 소방설비는 대체로 정온식 감지선형감지기, 광전식축적형 연기감지기, 차동식 감지기 등의 화재감지시스템과, 연결살수설비, 방화문, 연소방지도료 등의 화재차단시스템과, 분말소화기 등의 화재진압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공동구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소방감지선은 공동구의 길이를 따라 여러 가닥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종래 공동구 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은 도선 및 상기 도선을 감싸는 절연 피복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선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접속한다.
종래 공동구 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은 양측이 개방된 접속 슬리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 슬리브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며, 내부에 2개의 소방감지선(도선)이 삽입된 후 압착공구를 통해 압착됨으로써 2개의 소방감지선을 접속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공동구 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장치에 따르면, 슬리브의 전도율이 매우 낮거나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접속되는 2개의 소방감지선이 전기적으로 통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소방감지선의 접속은 2개의 소방감지선을 서로 통하도록 매듭하거나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즉, 2개의 소방감지선이 서로 접촉되지 못하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소방감지선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또한, 2개의 소방감지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더라도 접속불량 또는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되어 감지 장애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구 내에 배선되어 공동구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소방감지선의 접속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속함과 아울러 소방감지선의 양호한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는, 제1,2도선 및 상기 제1,2도선을 감싸는 제1,2절연 피복으로 이루어진 제1,2소방감지선을 접속 연결하는 것으로, 내부에 양측이 연통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를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절연 피복에 고정하는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의 삽입홀은,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도선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도선 삽입부, 상기 도선 삽입부의 양측에 각각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절연 피복이 지지되는 제1,2스토퍼, 상기 제1,2스토퍼에서 양측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삽입을 유도하는 테이퍼 형태의 제1,2도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구의 둘레부에는 절연재질의 커버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에 의하면, 제1,2소방감지선을 접속구에 삽입하면 스토퍼에 의해 제1,2소방감지선의 삽입이 완료되어 무리하게 제1,2소방감지선을 삽입할 때 발생되는 제1,2도선의 변형을 막을 수 있고, 접속구 자체가 전기를 통하여 제1,2도선이 도통하도록 함으로써 접속불량 또는 저항값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접속 연결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가 접속구를 외부와 절연하여 테이핑 작업을 줄일 수 있으므로 소방감지선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의 작용 상태도.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는, 제1,2소방감지선(1,2)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접속구(10), 접속구(10)에 삽입된 제1,2소방감지선(1,2)을 고정하는 테이프로 구성된다.
먼저 제1,2소방감지선(1,2)은 각각 제1,2도선(1a,2a), 제1,2도선(1a,2a)을 감싸는 제1,2절연 피복(1b,2b)으로 구성된다.
접속구(10)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 예를 들어 납을 재질로 한다. 즉, 접속구(10)의 재질의 특성상 제1,2도선(1a,2a)이 서로 접속되지 않더라도 제1,2도선(1a,2a)을 도통시키는 매개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구(10)는 제1,2소방감지선(1,2)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은 제1,2소방감지선(1,2)의 제1,2도선(1a,2a)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도선 삽입부(11), 도선 삽입부(11)의 양측에 각각 확장 형성되며 제1,2소방감지선(1,2)의 제1,2절연 피복(1b,2b)이 각각 지지되는 제1,2스토퍼(12,13), 제1,2스토퍼(12,13)에서 양측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제1,2소방감지선(1,2)의 삽입을 유도하는 테이퍼 형태의 제1,2도입부(14,1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접속구(10)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연성으로 이루어져, 제1,2소방감지선(1,2)이 빠지지 않도록 압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접속구(10)의 양측에서 제1,2소방감지선(1,2)을 각각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도선(1a)과 제2도선(2a)을 각각 접속구(10)의 삽입홀의 양측에서 각각 삽입한다. 제1,2도선(1a,2a)은 각각 제1,2도입부(14,15)를 경유한 후 도선 삽입부(11)에 삽입된다. 이때, 제1,2도입부(14,15)는 제1,2소방감지선(1,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1,2소방감지선(1,2)의 삽입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제1,2절연 피복(1b,2b)이 제1,2스토퍼(12,13)에 접촉되면, 제1,2소방감지선(1,2)의 삽입이 정지된다. 도선 삽입부(11)의 길이는 제1,2도선(1a,2a)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1,2도선(1a,2a)은 서로 접촉되지 않고 휨 변형되지 않으며, 하지만, 접속구(10)를 매개로 하여 도통된다.
제1,2소방감지선(1,2)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2소방감지선(1,2)과 접속구(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속구(10)를 압착한다.
접속구(10)는 압착기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압착되면서 제1,2도선(1a,2a)을 압착하고, 접속구(10)의 제1,2도입부(14,15)는 외력에 의해 제1,2절연 피복(1b,2b)의 둘레부에 밀착된다.
접속구(10)와 제1,2도선(1a,2a)의 절연을 위하여 접속구(10)와 제1,2도선(1a,2a)의 둘레부에 테이프를 감는다.
<실시예 2>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는, 실시예 1의 접속구(10)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재질의 커버(2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20)는 접속구(10)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부(21), 피복부(21)의 양측에서 각각 제1,2소방감지선(1,2)의 제1,2절연 피복(1b,2b)측을 향해 모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날개부(22)로 이루어진다.
피복부(21)는 접속구(10)의 둘레부를 감싸면서 단부가 제1,2도입부(14,15)의 단부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통형일 수 있다.
날개부(22)는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제1,2소방감지선(1,2)의 제1,2절연 피복(1b,2b)의 둘레부에 압착된 후 테이프(30)를 통해 고정된다.
커버(20)는 접속구(10)의 둘레부에 인서트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20) 자체가 절연재질이기 때문에 접속구(10)의 둘레부에 절연 테이프를 감지 않아도 접속구(10)와 제1,2소방감지선(1,2)의 절연이 가능하며, 테이프(30)는 절연의 목적보다는 커버(20)의 양측 날개부(22)를 제1,2소방감지선(1,2)에 고정하는 것일 뿐이다.
커버(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1,2 : 제1,2소방감지선, 10 : 접속구
11 : 도선삽입부, 12,13 : 제1,2스토퍼
14,15 : 제1,2도입부, 20 : 커버
21 : 피복부, 22 : 날개부
30 : 테이프,

Claims (2)

  1. 삭제
  2. 내부에 양측이 연통되는 삽입홀이 구비되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접속구(10)와;
    상기 접속구의 둘레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접속구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형의 피복부(21), 상기 피복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22)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커버(20)와;
    제1,2도선(1a,2a) 및 상기 제1,2도선을 감싸는 제1,2절연 피복(1b,2b)으로 이루어진 제1,2소방감지선(1,2)을 상기 접속구에 고정하도록 상기 커버 및 상기 제1,2소방감지선에 함께 감기는 테이프(3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구의 삽입홀은,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도선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되는 도선 삽입부(11), 상기 도선 삽입부의 양측에 각각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절연 피복이 지지되는 제1,2스토퍼(12,13), 상기 제1,2스토퍼에서 양측 단부로 가면서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삽입을 유도하는 테이퍼 형태의 제1,2도입부(14,15)로 이루어진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날개부는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절연 피복측을 향해 모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2도입부와 함께 오므라들면서 상기 제1,2소방감지선의 제1,2절연피복의 둘레부에 압착된 후 상기 테이프(30)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KR1020100041025A 2010-04-30 2010-04-30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Active KR10100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25A KR101002792B1 (ko) 2010-04-30 2010-04-30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25A KR101002792B1 (ko) 2010-04-30 2010-04-30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792B1 true KR101002792B1 (ko) 2010-12-21

Family

ID=4351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025A Active KR101002792B1 (ko) 2010-04-30 2010-04-30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7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1191A (zh) * 2017-12-08 2018-06-29 张卫社 一种通断型爆裂预警探测线缆及探测器
CN108553785A (zh) * 2017-12-08 2018-09-21 张卫社 通断型爆裂预警探测线缆及探测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053A (ja) * 1997-10-08 1999-04-30 Fujikura Ltd 圧縮型電線接続管
JPH11233166A (ja) * 1998-02-18 1999-08-2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接続スリーブ
KR100866590B1 (ko) * 2006-12-28 2008-11-10 부영산전주식회사 감지선 연결체 및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053A (ja) * 1997-10-08 1999-04-30 Fujikura Ltd 圧縮型電線接続管
JPH11233166A (ja) * 1998-02-18 1999-08-2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接続スリーブ
KR100866590B1 (ko) * 2006-12-28 2008-11-10 부영산전주식회사 감지선 연결체 및 연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1191A (zh) * 2017-12-08 2018-06-29 张卫社 一种通断型爆裂预警探测线缆及探测器
CN108553785A (zh) * 2017-12-08 2018-09-21 张卫社 通断型爆裂预警探测线缆及探测器
CN108553785B (zh) * 2017-12-08 2020-04-21 张卫社 通断型爆裂预警探测线缆及探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5533B (zh) 高压电力电缆终端的安装方法
CN110265805B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CN103247390A (zh) 一种预分支柔性矿物复合绝缘防火电缆及其制作方法
KR101002792B1 (ko)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CN107196080A (zh) 电缆连接器
KR101380308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접속형 보호기구
CN206820127U (zh) 电缆连接器
CN101777706A (zh) 核电站用电缆变径导体连接结构
KR100838633B1 (ko) 압착 편조선을 이용한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CN111769511B (zh) 接头连接装置
WO2009079919A1 (fr) Extrémité d&#39;un cable haute tension
RU2289753C1 (ru) Система оператив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я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з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KR20120043945A (ko) 인입 케이블 엘보 접속 장치
KR101510119B1 (ko) 전력선 통신용 복합 케이블
KR102368557B1 (ko)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JP5854759B2 (ja) クロージャ、クロージャ内部への浸水検査方法、クロージャに用いられる閉塞栓
US6395974B1 (en) Protective pipe element for sheathed cable for controlling the integrity of the sheath
CN106448834A (zh) 耐火阻燃交联聚乙烯绝缘分支电缆
KR101132388B1 (ko) 지중배전 케이블의 절연형 접속커넥터
US7326852B2 (en) String device
CN222050417U (zh) 一种多芯线缆检测辅助装置
CN118300022B (zh) 具有在线监测功能的电缆中间接头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CN110031119B (zh) 一种带有温控报警系统的变径电缆接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8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0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8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