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694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694B1
KR101803694B1 KR1020170107065A KR20170107065A KR101803694B1 KR 101803694 B1 KR101803694 B1 KR 101803694B1 KR 1020170107065 A KR1020170107065 A KR 1020170107065A KR 20170107065 A KR20170107065 A KR 20170107065A KR 101803694 B1 KR101803694 B1 KR 10180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locking plate
connection hole
connec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욱
Original Assignee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성 전도체를 콘센트 접속구멍에 삽입할 때 이중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삽입을 차단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수용부(111)와 연통되게 제1,2접속구멍(112)(113)이 하부까지 연장되는 하우징(110); 제1,2접속구멍(112)(113)을 통해 삽입되는 제1,2연결단자(P1)(P2)와 접속하는 전원단자(120); 제1접속구멍(112) 또는 제2접속구멍(113)으로 진입하는 전도체(E)를 차단하는 제1개폐수단(130); 수용부(111)를 형성하는 측벽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2측면레버(151)(152)가 수용부(111)로 돌출될 때 제1,2접속구멍(112)(113)이 폐쇄되어 전도체(E)의 진입을 차단하고, 수용부(111)로 진입하는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제1,2측면레버(151)(152)가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이 개방되는 제2개폐수단(150); 및 일측면에 상기 제2개폐수단(150)을 구성하는 제1측면레버(151) 또는 제2측면레버(152), 제3롤러(155) 또는 제4롤러(160), 제1가이드롤러(157) 또는 제2가이드롤러(162),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 및 제3와이어(154)의 자유단 또는 제4와이어(159)의 자유단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블록(180)을 조립한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고정되는 패널(1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Safety socket}
본 발명은 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그 제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사용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어린이나 아동들이 금속성 전도체를 콘센트 접속구멍에 삽입할 때 이를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2단으로 장착하여 이중으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사용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콘센트가 준비된다. 건축물에는 시공시 미리 벽체에 매립하는 매립형 콘센트가 있다. 이 매립형 콘세트에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더 많은 전기 제품을 사용토록 하는 이른바 멀티탭이라 불리는 이동식 또는 휴대식 콘센트도 있다. 멀티탭형 콘센트는 많은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220V용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각 위치에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수용부마다 그 하부에 한 쌍의 전원단자가 내장되며, 수용부와 전원단자 사이에는 플러그의 연결단자가 삽입하여 전원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접속구멍이 관통된다. 전기 제품을 사용할 때 플러그 단부에 돌출된 한 쌍의 연결단자를 콘센트의 접속구멍에 깊이 삽입하면 그 하단부가 전원단자와 접속 통전되어 전기 제품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콘센트의 각 수용부마다 플러그의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접속구멍이 준비되는데, 전기의 위험성을 모르는 어린 아이들이 젓가락같은 얇고 긴 금속성 전도체를 접속구멍으로 삽입하여 내부 전원단자와 접속시키면 젓가락이 통전되어 감전사고를 당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센트의 접속구멍 내부로 전도체를 삽입할 때 그의 진입을 차단하여 어린 아이들의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이 종래에도 많이 공개되었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많은 선행기술을 검색하였고, 그 중에서 본 출원발명과 가장 유사한 기술을 아래에 기술한다.
공개실용 제1995-010251호의 "콘센트의 안전장치"는 플러그단자(21)를 끼우고 뗄 수 있게 콘센트(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삽입구(11)와, 이 삽입구(11)를 개폐되게 삽입구의 적정위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부재(30)와, 이 차폐부재(30)를 일측으로 당겨지게 취부되는 인장스프링(40)과, 상기 콘센트(10)에 삽입되는 플러그(20)의 어느 한 부분에 의해 동작되고 인장스프링(40)의 장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차폐부재(30)를 슬라이딩시켜 주는 링크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그의 도면 2a와 같이 플러그단자(21)가 삽입구(11)에 삽입되기 전, 즉 플러그(20)를 사용하기 전에 콘센트(10)의 삽입구(11)가 차폐부재(30)에 의해 막혀 젓가락이나 그밖의 금속물질이 삽입구(11)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어린이들의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플러그(2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면 2b와 같이 콘센트(10)로 삽입되는 플러그(2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봉(52)을 밀치면, 이 작동봉(52)이 측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된 링크부재(50)가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끝단의 주게장공(53)에 연결된 차폐부재(30)가 작동봉(52)과 반대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구(11)를 개방한다. 이후 플러그(20)를 콘센트(10)에서 빼내면 인장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봉(52), 링크부재(50) 및 차폐부재(30)가 모두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도면 2a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플러그(2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봉(52)을 밀칠 때 작동봉(52)이 플러그(2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힌지축(51)이 작동봉(52)과 근접되게 배치되므로 이 조립부분에서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하여 플러그(20)의 삽입과 콘센트(10)의 전체적인 구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 플러그(2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봉(52)을 진행방향으로 밀치면 작동봉(52)은 돌출된 선단부가 밀리면서 콘센트(10) 접촉면과 부딪치고 링크부재(50)가 연결되는 그의 끝단부는 관성에 의해 플러그(20)가 진행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비틀려 몸체 중앙부분이 콘센트(10) 접촉면과 부딪치면서 수평방향으로 밀려나 링크부재(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동봉(52)은 최소한 2번의 충격으로 마찰저항을 발생시켜 플러그(20)의 수직동력을 상당부분 감소시킨 상태로 링크부재(5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초기 충격에 의한 비틀림 동작과 이후 수평방향으로 밀리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몸체 전체가 콘센트(10)와 면접촉되므로 동력손실이 가중되어 왕복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 큰 문제점은, 작동봉(52)과 연동하는 링크부재(50)가 힌지축(51)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운동하면서 지렛대 기능을 하므로 그 단부에 반드시 주게장공(53)을 형성해야하고, 이 링크부재(50)가 힌지축(51)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운동할 때 힌지축(51)에서 멀리 떨어진 주게장공(53)이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길이만큼 왕복이동해야 하는데, 이 때마다 차폐부재(30)는 링크부재(50)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왕복슬라이드 이동하므로 주게장공(53)에 끼워진 차폐부재(30)의 얇은 고정축(미도시되어 부호없음)이 전단하중을 반복적으로 받아 부러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특히, 차폐부재(30)는 콘센트(10)의 홈에 끼워져 링크부재(50)에 의해 왕복슬라이드 이동할 때 양측면이 모두 홈의 접촉면과 면접촉하여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하고, 이 마찰저항은 결국 차폐부재(30)의 얇은 고정축에 가해지는 전단하중으로 작용하여 고정축이 쉽게 부러지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더 나아가 차폐부재(30)가 끼워지는 홈에 장시간 사용으로 먼지가 쌓이면 마찰저항이 더욱 증가하여 결국 차폐부재(30)의 왕복이동이 정지되고, 특히 도 2a과 같이 삽입구(11)가 막힌 상태에서 차폐부재(30)가 정지되면 플러그단자(21)를 삽입구(11)에 삽입할 수 없기 때문에 콘센트(10)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다른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742665호의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가 공개되었으며, 이 기술도 어린이들이 젓가락이나 꼬챙이 등을 플러그단자관통공(113)으로 삽입하여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도 탄성부재(340)가 더 추가될 뿐이므로 플러그감지봉(310)은 이미 설명한 작동봉(52)의 문제점, 즉 동력 손실로 인하여 동력전달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또한 연결로드(320)가 왕복 회전운동할 때 이미 설명한 두께가 얇은 고정축에 과도한 전단하중이 가해져 고정축이 부러지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또 다른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171822호의 "콘센트 안전장치"가 공개되었다. 이 기술은 한 쌍의 플러그(50)의 접속봉(51)이 각 경사부(24)(34)를 누르면 제 1,2안전커버(20)(30)가 슬라이딩되면서 제 1안전커버(20)의 제 1삽입장공(21a)과 제 2안전커버(30)의 제 2삽입공(32a)이 일치되는 동시에 제 1안전커버(20)의 제 2삽입공(22a) 제 2안전커버(30)의 제 1삽입장공(31a)이 일치되어 플러그 접속봉(51)이 접속단자(2a)에 꽂혀 접속되게 한 구조이다.
더 간단하게 설명하면, 플러그의 접속봉(51)이 각 경사부(24)(34)를 누르는 힘에 의해 제 1,2안전커버(20)(30)가 이동하여 도면 4와 같이 제 1삽입장공(21a), 제 2삽입공(32a), 통공(61)이 일치되고, 이와 동시에 제 1삽입장공(31a), 제 2삽입공(22a), 통공(61)이 일치함으로 상기 일치된 양측 경로를 통해 플러그 접속봉(51)이 삽입되어 접속단자(2a)에 접속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도 접속봉(51)이 경사부(24)(34)를 누를 때 이 경사부(24)(34)의 저면과 이 저면을 받치고 있는 접촉면도 모두 평면이므로 제 1,2안전커버(20)(30)는 밀리면서 그의 접촉면에서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하므로 이미 설명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동력전달 과정에서 발생된 동력 손실에 의해 제 1,2안전커버(20)(30)를 왕복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데 많은 힘이 필요하였다. 더 나아가 장시간 사용하여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접촉면에 이물질이 쌓이면 마찰저항이 더욱 커지고 코일스프링(40)의 인장력이 감소하면 결국 제 1,2안전커버(20)(30)의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도면 4에서 플러그의 접속봉(51)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그대로 제 1,2안전커버(20)(3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되면, 접속봉(51)이 출입하는 경로는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이 경로에 젓가락같은 얇은 전도체를 삽입할 경우 감전사고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면에 설치된 매립형 콘센트나 또는 이동식 멀티탭형 콘센트에 플러그 삽입을 시도하여도 콘센트의 구멍이 막혀 삽입되지 않은 경험을 자주 하는데, 이 경험은 바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 즉 링크장치의 동력손실과 미끄럼 접촉부의 마찰저항으로 인한 과도한 전단력이 고정축에 작용하여 고정축이 부러지는 현상, 또는 미끄럼 접촉부에 이물질이 쌓여 슬라이드 이동 대상물이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아 콘센트 구멍이 막히는 문제점 때문에 발생한다. 특히 슬라이드 이동 대상물이 콘센트 구멍을 노출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으면 어린이들의 감전사고를 예방하지 못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5-0102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66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71822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콘센트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러그 사용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어린이나 아동들이 금속성 전도체를 콘센트 접속구멍에 삽입할 때 이를 차단하는 개폐수단을 2단으로 장착하여 이중으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을 수행하는 와이어를 회전하는 롤러에 감아 부드럽게 이동시킴으로써 마찰저항을 현저히 줄여,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된 동력이 직각으로 전달되어 동력 손실이 크고 또한 과도한 전단하중으로 고정축이 부러지는 링크장치의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부 측벽에 돌출된 측면레버와 접속구멍 상부를 폐쇄하는 정면레버 각각은 플러그에 의해 누름 조작될 때 회전하면서 각 수용부와 접속구멍에서 간단히 벗어나고 그와 연결된 차단판을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함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P)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수용부(111)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1)와 연통되게 한 쌍의 제1,2접속구멍(112)(113)이 하부까지 연장되는 하우징(110);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 하단부와 연통되게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와 접속하는 한 쌍의 전원단자(120);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을 폐쇄하여 전도체(E)가 삽입되어 전원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개폐수단(130);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과 대응되게 상기 수용부(111)를 형성하는 측벽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2측면레버(151)(152)가 수용부(111)로 돌출될 때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이 폐쇄되어 전도체(E)의 진입을 차단하고, 사용시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제1,2측면레버(151)(152)가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이 개방되는 제2개폐수단(150); 및
일측면에 상기 제2개폐수단(150)을 구성하는 제1측면레버(151) 또는 제2측면레버(152), 제3롤러(155) 또는 제4롤러(160), 제1가이드롤러(157) 또는 제2가이드롤러(162),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 및 상기 제3와이어(154)의 자유단 또는 제4와이어(159)의 자유단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블록(180)을 각각 조립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고정되는 패널(17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개폐수단(130)은 제1,2접속구멍(112)(113) 주변에 힌지축(131a)(132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을 폐쇄하고, 제1,2접속구멍(112)(113)으로 진입하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는 제1,2정면레버(131)(132);
상기 제2정면레버(132) 하부에서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접속구멍(113)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정면레버(131)가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고, 상기 제1정면레버(131)가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하는 제1차단판(133);
상기 제1정면레버(131)와 제1차단판(133)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1와이어(134);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1와이어(134)를 긴장되게 감아 직각으로 유도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34)가 제1정면레버(131)의 힌지축(131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34)가 제1차단판(13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1롤러(135);
상기 제1차단판(133)과 제1롤러(13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차단판(133)이 상시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1차단판(13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36);
상기 제1탄성부재(136)가 제1차단판(13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탄성부재(136) 일단을 지지하는 제1스토퍼(137);
상기 제1정면레버(131) 하부에서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속구멍(112)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정면레버(132)가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고, 상기 제2정면레버(132)가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는 제2차단판(138);
상기 제2정면레버(132)와 제2차단판(138)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2와이어(139);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2와이어(139)를 긴장되게 감아 직각으로 유도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39)가 제2정면레버(132)의 힌지축(132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39)가 제2차단판(13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2롤러(140);
상기 제2차단판(138)과 제2롤러(14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차단판(138)이 상시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2차단판(13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41);
상기 제2탄성부재(141)가 제2차단판(13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2탄성부재(141) 일단을 지지하는 제2스토퍼(1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수단(150)은 제1,2접속구멍(112)(113)과 대응되게 수용부(111)와 연통된 출입공(114) 주변에 힌지축(151a)(152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캠형상의 몸체 일부가 상기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부(111)로 돌출되고, 사용시 플러그(P)를 수용부(111)에 삽입할 때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나는 제1,2측면레버(151)(152);
상기 제2차단판(138) 하부에서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접속구멍(112)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측면레버(151)가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고, 수용부(111)에서 플러그(P)가 빠져나가 제1측면레버(151)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는 제3차단판(153);
상기 제1측면레버(151)와 제3차단판(153)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3와이어(154);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3와이어(154)를 긴장되게 감아 제3차단판(153)에 연결된 제3와이어(154)를 제3차단판(15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3롤러(155);
상기 제3차단판(153)과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차단판(153)이 상시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3차단판(15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156);
상기 제1측면레버(151)와 제3롤러(15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3와이어(154)를 긴장되게 감아 제1측면레버(151)에 연결된 제3와이어(154)가 힌지축(151a)과 수직방향으로 일치되게 안내하는 제1가이드롤러(157);
제1차단판(133) 하부에서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2접속구멍(113)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측면레버(152)가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하고, 수용부(111)에서 플러그(P)가 빠져나가 제2측면레버(152)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는 제4차단판(158);
상기 제2측면레버(152)와 제4차단판(158)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4와이어(159);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4와이어(159)를 긴장되게 감아 제4차단판(158)에 연결된 제4와이어(159)를 제4차단판(15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4롤러(160);
상기 제4차단판(158)과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차단판(158)이 상시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4차단판(15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탄성부재(161);
상기 제2측면레버(152)와 제4롤러(16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4와이어(159)를 긴장되게 감아 제2측면레버(152)에 연결된 제4와이어(159)가 힌지축(152a)과 수직방향으로 일치되게 안내하는 제2가이드롤러(16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180)은 외측면에 상기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하는 수용홈(181a)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패널(17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블록(181);
내측면에 상기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하는 수용홈(182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블록(181)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블록(182);
상기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을 끼워 조립한 상태로 상기 패널(170)에 고정되어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축(183);
상기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의 각 수용홈(181a)(182a)에 제3와이어 (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에 체결되는 제1,2스크류(184)(185);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스크류(184)(185)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185)는 패널(170)에 형성된 체결공(171)에 고정되어 고정블록(180)이 회전하지 않도록 결속하고,
전기 제품 사용을 위해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를 제1,2접속구멍(112)(113)에 삽입시켜 전원단자(120)에 접속시킬 때 이 과정에서, 상기 제1,2정면레버(131)(132)는 제1,2연결단자(P1)(P2)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각각 힌지축(131a)(13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에서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는 제1,2와이어(134)(139)가 제1,2차단판(133)(138)을 당겨 그들이 폐쇄하고 있는 제2접속구멍(113) 및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여 제1,2연결단자(P1)(P2)가 상기 개방된 제1,2차단판(133)(138)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플러그(P)가 수용부(111) 양측에 돌출된 제1,2측면레버(151)(152)를 밀치면서 진입할 때 제1,2측면레버(151)(152)는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각각 힌지축(151a)(15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는 제3,4와이어(154)(159)가 제3,4차단판(153)(158)을 당겨 그들이 폐쇄하고 있는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여 제1,2연결단자(P1)(P2)가 상기 개방된 제3,4차단판(153)(158)을 통과하여 전원단자(120)에 접속되고,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접속구멍(112)으로 전도체(E)를 강제로 삽입하면 제1정면레버(131)가 회전하여 제1접속구멍(112)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연동하는 제1와이어(134)에 의해 제2접속구멍(113)이 개방되나, 제1접속구멍(112)은 제2차단판(138)과 그 하부에 위치한 제3차단판(153)에 의해 여전히 폐쇄되어 전도체(E)는 진입이 차단되어 전원단자(120)와 접속이 불가능하고,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2접속구멍(113)으로 전도체(E)를 강제로 삽입하면 제2정면레버(132)가 회전하여 제2접속구멍(113)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연동하는 제2와이어(139)에 의해 제1접속구멍(112)은 개방되나, 제2접속구멍(113)은 제1차단판(133)과 그 하부에 위치한 제4차단판(158)에 의해 여전히 폐쇄되어 전도체(E)는 진입이 차단되어 전원단자(120)와 접속이 불가능하다.
상기 제1개폐수단(130)의 제1,2스토퍼(137)(142)는 그와 대응되는 제1,2와이어(134)(139)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관통된다.
상기 제2개폐수단(150)의 제1,2측면레버(151)(152)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가 제1,2정면레버(131)(132)를 먼저 누름 조작 한 후 플러그(P) 몸체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조립된다.
상기 제2개폐수단(150)의 제1,2측면레버(151)(152)는 각각 회전축(151a)(152a)을 동심으로 슬롯(151b)(152b)이 관통되어, 이 슬롯(151b)(152b)에 하우징(110)에 돌출된 멈춤핀(B1)(B2)이 삽입되어 제1,2측면레버(151)(152)의 회전범위를 슬롯(151b)(152b) 내부로 한정한다.
상기 제2개폐수단(150)의 제3,4탄성부재(156)(161)는 각각 그와 대응되는 제3,4와이어(154)(159)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한 쌍이 상기 제3,4와이어(154)(159) 양측에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는 계폐수단이 접속구멍의 경로상에 2단으로 적층 배치되므로 어린이들이 접속구멍으로 전도체를 삽입하더라도 순차적으로 차단하므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콘센트로 삽입하는 플러그가 정면레버 및 측면레버를 누름 조작할 때 이들이 자연스럽게 회전하여 하우징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플러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콘센트의 접속구멍을 개폐하는 차단판들이 와이어에 의해 그와 대응되는 레버와 연결되므로, 와이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요소들과 미끄럼접촉 하지 않으므로 마찰저항을 현저히 줄어 동력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플러그가 출입할 때 마찰저항을 받지 않은 와이어가 차단판을 왕복이동시키므로 구동이 원활하므로 원하지 않게 접속구멍이 막혀 콘센트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또는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속구멍이 개방되어 감전사고를 방지하지 못하는 종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차단판을 이동시키므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개폐수단이 장착된 패널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개폐수단이 장착된 패널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록이 회전한 상태를 보인 패널 확대도
도 5는 도 2의 고정블록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개폐수단의 정면레버가 개방되기 전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개폐수단의 정면레버가 플러그에 의해 개방 중인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개폐수단의 정면레버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접속구멍 내부로 연결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몸체 하단이 측면레버 상부에 도달한 상태를 보인 내부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개폐수단이 모두 개방되어 플러그의 연결단자가 전원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개폐수단이 개방되기 전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개폐수단이 개방 중인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개폐수단이 완전히 개방되어 플러그의 연결단자가 전원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개폐수단이 모두 개방되고 플러그의 연결단자가 전원단자에 접속한 콘센트 내부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정면레버를 단면하여 제1,2개폐수단의 조립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정면레버를 단면하여 제1,2개폐수단의 조립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4차단판과 제3,4탄성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접속구멍으로 전도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접속구멍으로 삽입된 전도체가 제1개폐수단에 의해 막혀 차단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접속구멍으로 삽입된 전도체가 제1개폐수단에 의해 막혀 차단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21은 도 20의 전도체가 제2개폐수단에 의해 막혀 차단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100)는 크게 구분하면 하우징(110), 전원단자(120), 전도체(E)의 삽입을 이중으로 차단하는 제1개폐수단(130) 및 제2개폐수단(150), 상기 제2개폐수단(150)을 장착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체결고정되는 패널(17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플러그(P)를 일정 깊이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수용부(111)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1)를 형성하는 바닥면에서부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전원단자(120)까지 제1,2접속구멍(112)(113)이 연통된다. 그리고 수용부(111)를 형성하는 수직 측벽 양측에는 제1,2측면레버(151)(152)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공(114)이 관통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통상의 경우와 같이 2개 또는 2개 이상의 소재로 구성되고, 이들 소재가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그 내부에 각종 부품들을 내장하여 보호한다.
상기 전원단자(12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2접속구멍(112)(113)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으로 삽입된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와 접속되어 전기 제품에 상용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원단자(120)는 모든 콘센트에 구비되는 종래 구성요소로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개폐수단(130)은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노출된 제1접속구멍(112) 또는 제2접속구멍(113) 중 어느 한 곳으로 전도체(E)를 삽입할 때 그 접속구멍이 폐쇄되어 전도체(E)가 전원단자(120)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어린이나 아동들은 한 손으로 젓가락을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 콘센트를 잡기 때문에 이 점에 착안하여 어느 한 곳의 접속구멍으로 전도체(E)를 삽입할 때 이를 차단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전도체(E)를 제1접속구멍(112)과 제2접속구멍(113)에 동시에 삽입하더라도 2단의 개폐수단이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수단(130)의 구성은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폐하는 제1,2정면레버(131)(132), 상기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하는 제1차단판(133), 상기 제1정면레버(131)와 제1차단판(133)을 연결하는 제1와이어(134), 상기 제1와이어(134)를 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제1롤러(135), 상기 제1차단판(13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36), 상기 제1탄성부재(136) 일단을 지지하는 제1스토퍼(137), 상기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하는 제2차단판(138), 상기 제2정면레버와 제2차단판(138)을 연결하는 제2와이어(139), 상기 제2와이어(139)를 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제2롤러(140), 상기 제2차단판(13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41), 상기 제2탄성부재(141) 일단을 지지하는 제2스토퍼(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정면레버(131)(132)는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 주변에 힌지축(131a)(132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2접속구멍(112)(113)을 폐쇄하고, 플러그(P) 사용시 제1,2접속구멍(112)(113)으로 진입하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1,2정면레버(131)(132)는 상부 일측에 힌지축(131a)(132a)이 고정되므로, 도 6과 같이 힌지축(131a)(132a)이 설치되는 일단부와 반대편 타단부가 일정한 평면을 가지므로 제1,2접속구멍(112)(113)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1,2정면레버(131)(132)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가 누름 조작할 때 힌지축(131a)(132a)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하므로, 이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종래 문제점인 미끄럼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마찰저항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1차단판(133)은 제1와이어(134)에 의해 상기 제1정면레버(131)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정면레버(132) 하부에서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접속구멍(113)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제1차단판(133)은 상기 제1정면레버(131)가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고,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제1정면레버(131)가 회전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할 때 당겨진 제1와이어(134)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동시에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1와이어(134)는 상기 제1정면레버(131)와 제1차단판(133)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와이어(134)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도 6과 같이 상기 제1롤러(135)에 감기어 직각으로 유도된다. 유도된 수직부분은 상기 제1정면레버(131)에 고정되고 수평부분은 제1차단판(133)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정면레버(131)에 연결되는 수직부분은 힌지축(131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제1정면레버(131)를 상시 잡아당겨 제1정면레버(131) 상면이 제1접속구멍(112)을 차단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판(133)에 연결되는 수평부분은 제1차단판(13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제1정면레버(131)가 개방될 때 상기 제1차단판(133)을 그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상태로 잡아당겨 제1차단판(133)의 왕복이동을 원할하게 한다.
상기 제1롤러(135)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1와이어(134)를 긴장되게 감아 직각으로 유도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34)가 제1정면레버(131)의 힌지축(131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34)가 제1차단판(13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한다. 상기 제1롤러(135)의 기능은 제1와이어(134)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36)는 제1차단판(133)과 제1롤러(13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차단판(133)이 상시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1차단판(13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36)가 제1차단판(133)을 제2접속구멍(113)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제1와이어(134)는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정면레버(131)는 제1와이어(134)의 수직부분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당겨져 상시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1스토퍼(137)는 제1탄성부재(136)가 제1차단판(13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로 제1탄성부재(136) 일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스토퍼(137)는 제1와이어(134)의 수평부분 경로상에 위치하는데, 제1롤러(135)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스토퍼(137)는 제1와이어(134)가 통과하여야 하므로 통로가 관통되어야 한다.
상기 제2차단판(138)은 제2와이어(139)에 의해 상기 제2정면레버(132)와 연결되고, 제1정면레버(131) 하부에서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속구멍(112)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제2차단판(138)은 상기 제2정면레버(132)가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고,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제2정면레버(132)가 회전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할 때 당겨진 제2와이어(139)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2와이어(139)는 상기 제2정면레버(132)와 제2차단판(138)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와이어(139)도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므로 도 6과 같이 상기 제2롤러(140)에 감기어 직각으로 유도된다. 유도된 수직부분은 상기 제2정면레버(132)에 고정되고 수평부분은 제2차단판(138)에 연결된다. 상기 제2정면레버(132)에 연결되는 수직부분은 힌지축(132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제2정면레버(132)를 상시 잡아당겨 제2정면레버(132) 상면이 제2접속구멍(113)을 차단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차단판(138)에 연결되는 수평부분은 제2차단판(13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제2정면레버(132)가 개방될 때 상기 제2차단판(138)을 그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상태로 잡아당겨 제2차단판(138)의 왕복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139)는 도 16과 같이 한 쌍이 양측에서 제2정면레버(132)와 제2차단판(138)을 연결하면 좋다. 그러면 제2차단판(138)은 균형이 잡혀 원활하게 왕복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2롤러(140)와 제2탄성부재(141)도 제2와이어(139)와 대응되게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롤러(140)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2와이어(139)를 긴장되게 감아 직각으로 유도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39)가 제2정면레버(132)의 힌지축(132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39)가 제2차단판(13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한다. 상기 제2롤러(140)의 기능은 제2와이어(139)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141)는 상기 제2차단판(138)과 제2롤러(14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차단판(138)이 상시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2차단판(13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141)가 제2차단판(138)을 제1접속구멍(112)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제2와이어(139)는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정면레버(132)는 제2와이어(139)의 수직부분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당겨져 상시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2스토퍼(142)는 상기 제2탄성부재(141)가 제2차단판(13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로 제2탄성부재(141)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2스토퍼(142)는 제2와이어(139)의 수평부분 경로상에 위치하는데, 제2롤러(140)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스토퍼(142)는 제2와이어(139)가 통과하여야 하므로 통로가 관통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제1개폐수단(130)은 전기 제품 사용을 위해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를 제1,2접속구멍(112)(113)에 삽입시켜 전원결단자(120)에 접속시킬 때 상기 제1,2정면레버(131)(132)는 제1,2연결단자(P1)(P2)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각각 힌지축(131a)(13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에서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는 제1,2와이어(134)(139)가 그와 대응되는 제1,2차단판(133)(138)을 당겨 그들이 폐쇄하고 있는 제2접속구멍(113) 및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여 제1,2연결단자(P1)(P2)가 상기 개방된 제1,2차단판(133)(138)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개폐수단(130)은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를 제1,2접속구멍(112)(113)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하면 제1,2정면레버(131)(132)가 회전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된 제1,2차단판(133)(138)이 이동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 개방하므로 제1,2연결단자(P1)(P2)는 제1,2차단판(133)(138)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개폐수단(130)은 종래에 접속봉(51)이 경사부(24)(34)를 누를 때 이 경사부(24)(34)의 저면 접촉부분에서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하고 이 접촉부분에 이물질이 쌓일 경우 제 1,2안전커버(20)(30)의 이동이 정지되는 종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대비된다.
다음은 상기 제2개폐수단(150)을 설명한다.
상기 제2개폐수단(150)은 하우징(110)의 수용부(111) 양측에서 상기 수용부(111)에 출몰하는 제1,2측면레버(151)(152),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하는 제3차단판(153), 상기 제1측면레버(151)와 제3차단판(153)을 연결하는 제3와이어(154), 상기 제3와이어(154)를 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제3롤러(155), 상기 제3차단판(15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156), 상기 제3와이어(154)를 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롤러(157), 상기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하는 제4차단판(158), 상기 제2측면레버(152)와 제4차단판(158)을 연결하는 제4와이어(159), 상기 제4와이어(159)를 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제4롤러(160), 상기 제4차단판(15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탄성부재(161), 및 상기 제4와이어(159)를 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롤러(1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측면레버(151)(152)는 제1,2접속구멍(112)(113)과 대응되게 수용부(111) 양측에 연통된 출입공(114) 주변에 힌지축(151a)(152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캠형상의 몸체 일부가 상기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부(111)로 돌출되고, 플러그(P)를 수용부(111)에 삽입할 때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 제1,2측면레버(151)(152)는 힌지축(151a)(152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도 1과 같이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캠형상의 몸체 일부분이 상시 수용부(111)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돌출된 상부가 플러그(P)가 삽입될 때 그에 의해 누름 조작될 때 힌지축(151a)(152a)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2측면레버(151)(152)는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그와 대응되는 제3,4와이어(154)(159)를 제외한 그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아 미끄럼 접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문제점인 마찰저항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이 플러그(P)가 삽입되는 콘센트(100) 이므로, 상기 제1,2측면레버(151)(152)의 위치는 플러그(P)의 돌출된 제1,2연결단자(P1)(P2)가 제1,2정면레버(131)(132)를 먼저 누름 조작하여 제1,2차단판(133)(138)이 먼저 개방된 후 플러그(P) 몸체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조립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제1,2차단판(133)(138) 개방 후 제3,4차단판(153)(158)이 개방되므로 어린 아이들이 전도체(E)를 제1,2접속구멍(112)(113) 중 어느 한 곳으로 삽입하더라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측면레버(151)(152)는 각각 회전축(151a)(152a)을 동심으로 슬롯(151b)(152b)이 관통되고, 이 슬롯(151b)(152b)에 하우징(110)에 돌출된 멈춤핀(B1)(B2)이 삽입되어, 제1,2측면레버(151)(152)의 회전범위를 슬롯(151b)(152b) 내부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2측면레버(151)(152)는 최대 회전범위가 슬롯(151b)(152b) 내부로 한정되므로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어 제3,4차단판(153)(158)이 조립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차단판(153)은 제3와이어(154)에 의해 제1측면레버(151)와 연결되고, 제2차단판(138) 하부에서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접속구멍(112)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제3차단판(153)은 상기 제1측면레버(151)가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고, 수용부(111)에서 플러그(P)가 빠져나가 제1측면레버(151)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3와이어(154)는 상기 제1측면레버(151)와 제3차단판(153)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와이어(154)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도 1과 같이 상기 제3롤러(155)에 감기어 제3차단판(153)에 연결된 수평부분이 제3차단판(15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하여, 제1측면레버(151)가 개방될 때 상기 제3차단판(153)을 그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상태로 잡아당겨 제3차단판(153)의 왕복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제3롤러(155)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3와이어(154)를 긴장되게 감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차단판(153)에 연결된 제3와이어(154)를 제3차단판(15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한다.
상기 제3탄성부재(156)는 상기 제3차단판(153)과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차단판(153)이 상시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3차단판(15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3탄성부재(156)는 도 17과 같이 그와 대응되는 제3와이어(154)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한 쌍이 상기 제3와이어(154) 양측에서 평행하게 설치되게 하면 좋다. 이렇게 되면 양측에서 제3탄성부재(156)가 제3차단판(153)을 가압하게 되므로 제3차단판(153)은 균형이 잡혀 원활하게 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157)는 상기 제1측면레버(151)와 제3롤러(15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3와이어(154)를 긴장되게 감아 제1측면레버(151)에 연결된 제3와이어(154)가 힌지축(151a)과 수직방향으로 일치되게 안내한다. 그러면 제1측면레버(151)는 제3와이어(154)에 의해 상시 수직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측면레버(151)가 수용부(111)로 돌출된다.
상기 제4차단판(158)은 제1차단판(133) 하부에서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2접속구멍(113)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제4차단판(158)은 상기 제2측면레버(152)가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하고, 수용부(111)에서 플러그(P)가 빠져나가 제2측면레버(152)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4와이어(159)는 상기 제2측면레버(152)와 제4차단판(158)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한다. 상기 제4와이어(159)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므로 도 1과 같이 상기 제4롤러(160)에 감기어 제4차단판(158)에 연결된 수평부분이 제4차단판(15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하여, 제2측면레버(152)가 개방될 때 상기 제4차단판(158)을 그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수평상태로 잡아당겨 제4차단판(158)의 왕복이동을 원활한다.
상기 제4롤러(160)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4와이어(159)를 긴장되게 감아 제4차단판(158)에 연결된 제4와이어(159)를 제4차단판(15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한다.
제4탄성부재(161)는 상기 제4차단판(158)과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차단판(158)이 상시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4차단판(15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4탄성부재(161)는 도 17과 같이 그와 대응되는 제4와이어(159)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한 쌍이 상기 제4와이어(159) 양측에서 평행하게 설치되게 하면 좋다. 이렇게 되면 양측에서 제4탄성부재(161)가 제4차단판(158)을 가압하게 되므로 제4차단판(158)은 균형이 잡혀 원활하게 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162)는 상기 제2측면레버(152)와 제4롤러(16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4와이어(159)를 긴장되게 감아 제2측면레버(152)에 연결된 제4와이어(159)가 힌지축(152a)과 수직방향으로 일치되게 안내한다. 그러면 제2측면레버(152)는 제4와이어(159)에 의해 상시 수직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2측면레버(152)가 수용부(111)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개폐수단(150)은 수용부(111)로 삽입하는 플러그(P)가 수용부(111) 양측에 돌출된 제1,2측면레버(151)(152)를 밀치면서 진입할 때 제1,2측면레버(151)(152)는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각각 힌지축(151a)(15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우징 내부로 이동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는 제3,4와이어(154)(159)가 제3,4차단판(153)(158)을 당겨 그들이 폐쇄하고 있는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여 제1,2연결단자(P1)(P2)가 상기 개방된 제3,4차단판(153)(158)을 통과하여 전원단자(120)에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제2개폐수단(150)은 종래 링크장치와 대비되는 것으로, 링크장치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고정축이 절단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확연하게 대비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2개폐수단(130)(150)은 플러그(P)가 삽입될 때 제1,2접속구멍(112)(113)을 폐쇄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개방되어 제1,2연결단자(P1)(P2)가 전원단자(120)에 연결되므로 콘센트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상기 패널(170)은 제2개폐수단(150)의 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패널(170)의 일측면에 상기 제2개폐수단(150)을 구성하는 제1측면레버(151) 또는 제2측면레버(152), 제3롤러(155) 또는 제4롤러(160), 제1가이드롤러(157) 또는 제2가이드롤러(162),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 및 상기 제3와이어(154)의 자유단 또는 제4와이어(159)의 자유단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블록(180)을 먼저 조립한다. 이후 각 구성요소가 장착된 상태 패널(170)을 하우징(110)의 설치장소에 스크류로 체결하면 제2개폐수단(150)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180)은 도 2, 도 4, 도 5와 같이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 (159) 단부에 각각 제3차단판(153) 또는 제4차단판(158)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들을 조립할 경우에는 제3,4와이어(154)(159)가 제3,4롤러(155)(160)에 감긴상태에서 조립공정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제3,4롤러(155)(160)에 감긴 제3,4와이어(154)(159)가 풀리지 않도록 인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블록(180)은 외측면에 상기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하는 수용홈(181a)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패널(17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블록(181);
내측면에 상기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하는 수용홈(182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블록(181)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블록(182);
상기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을 끼워 조립한 상태로 상기 패널(170)에 고정되어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축(183); 및
상기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의 각 수용홈(181a)(182a)에 제3와이어 (154)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에 체결되는 제1,2스크류(184)(185);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스크류(184)(185)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185)는 패널(170)에 형성된 체결공(171)에 고정되어 고정블록(180)이 회전하지 않도록 결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블록(180)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 사이에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넣고 제1,2스크류(184)(185)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 각 단부에 제3차단판(153)과 제4차단판(158)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차단판(153)과 제4차단판(158)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블록(180)이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가 구동하는데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도 4와 같이 힌지축(183)을 중심으로 고정블록(180)을 회전시킨 후 제2스크류(185)를 패널(170)의 체결공(171)에 체결하여 고정블록(18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은 어린 아이들이 젓가락같이 얇고 긴 전도체(E)를 본 발명의 제1접속구멍(112) 또는 제2접속구멍(113)에 삽입할 때 그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8과 같이 전도체(E)를 제1접속구멍(112)에 삽입하여 제1정면레버(131)를 누름 조작하게 되면 제1정면레버(131)는 힌지축(131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벗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와이어(134)의 당김에 의해 제1차단판(133)도 제2접속구멍(113)에서 빠져나와 도 19와 같이 된다. 제1접속구멍(112)에서 제1정면레버(131)는 완전히 벗어났지만 전도체(E)가 삽입하지 않은 제2정면레버(132)가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제2차단판(138)이 제1접속구멍(112)을 여전히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진입하는 전도체(E)는 상기 제2차단판(138)에 막혀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차단판(138) 하부에는 제3차단판(153)이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제1접속구멍(112)은 2중으로 폐쇄되어 전도체(E)는 전원단자(120)에 접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20은 전도체(E)가 제2접속구멍(113)으로 삽입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전도체(E)를 제2접속구멍(113)에 삽입하여 제2정면레버(132)가 회전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제2와이어(139)의 당김에 의해 제2차단판(138)이 제1접속구멍(112)에서 빠져나와도, 제1정면레버(131)가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제1차단판(133)이 제2접속구멍(113)을 여전히 폐쇄하고 있다. 그러므로 진입하는 전도체(E)는 상기 제1차단판(133)에 막혀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1차단판(133) 하부에는 도 21과 같이 제4차단판(158)이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제2접속구멍(113)은 2중으로 폐쇄된 상태가 되어 전도체(E)는 전원단자(120)에 접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2측면레버(151)(152)는 수용부(111)로 삽입하는 플러그(P)의 몸체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만 회전하고, 그 때 제3,4차단판(153)(158)이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100)는 플러그(P) 사용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어린이나 아동들이 금속성 전도체(E)를 콘센트 제1,2접속구멍(112)(113)에 삽입하더라도 이중으로 그의 삽입을 차단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감전사고가 발생되려면 2개의 전도체(E)를 제1,2접속구멍(112)(113)에 각각 동시에 삽입하고, 또한 동시 동작으로 제1,2측면레버(151)(152)를 조작해야 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어린이들이 하기에 불가능하기 때문에 감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안전 콘센트 110 : 하우징
112,113 : 제1,2접속구멍 120 : 전원단자
130 : 제1개폐수단 131,132 : 제1,2정면레버
133 : 제1차단판 134 : 제1와이어
135 : 제1롤러 136 : 제1탄성부재
137 : 제1스토퍼 138 : 제2차단판
139 : 제2와이어 140 : 제2롤러
141 : 제2탄성부재 142 : 제2스토퍼
150 : 제2개폐수단 151,152 : 제1,2측면레버
153 : 제3차단판 154 : 제3와이어
155 : 제3롤러 156 : 제3탄성부재
157 : 제1가이드롤러 158 : 제4차단판
159 : 제4와이어 160 : 제4롤러
161 : 제4탄성부재 162 : 제2가이드롤러
170 : 패널 180 : 고정블록

Claims (5)

  1. 플러그(P)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수용부(111)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1)와 연통되게 한 쌍의 제1,2접속구멍(112)(113)이 하부까지 연장되는 하우징(110);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 하단부와 연통되게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와 접속하는 한 쌍의 전원단자(120);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을 폐쇄하여 전도체(E)가 삽입되어 전원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개폐수단(130);
    상기 제1,2접속구멍(112)(113)과 대응되게 상기 수용부(111)를 형성하는 측벽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2측면레버(151)(152)가 수용부(111)로 돌출될 때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이 폐쇄되어 전도체(E)의 진입을 차단하고, 사용시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제1,2측면레버(151)(152)가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이 개방되는 제2개폐수단(150); 및
    일측면에 상기 제2개폐수단(150)을 구성하는 제1측면레버(151) 또는 제2측면레버(152), 제3롤러(155) 또는 제4롤러(160), 제1가이드롤러(157) 또는 제2가이드롤러(162),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 및 상기 제3와이어(154)의 자유단 또는 제4와이어(159)의 자유단을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블록(180)을 각각 조립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고정되는 패널(17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개폐수단(130)은 제1,2접속구멍(112)(113) 주변에 힌지축(131a)(132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그와 대응되는 제1,2접속구멍(112)(113)을 폐쇄하고, 제1,2접속구멍(112)(113)으로 진입하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는 제1,2정면레버(131)(132);
    상기 제2정면레버(132) 하부에서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접속구멍(113)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정면레버(131)가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고, 상기 제1정면레버(131)가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하는 제1차단판(133);
    상기 제1정면레버(131)와 제1차단판(133)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1와이어(134);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1와이어(134)를 긴장되게 감아 직각으로 유도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34)가 제1정면레버(131)의 힌지축(131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134)가 제1차단판(13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1롤러(135);
    상기 제1차단판(133)과 제1롤러(13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차단판(133)이 상시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1차단판(13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36);
    상기 제1탄성부재(136)가 제1차단판(13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탄성부재(136) 일단을 지지하는 제1스토퍼(137);
    상기 제1정면레버(131) 하부에서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속구멍(112)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정면레버(132)가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고, 상기 제2정면레버(132)가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는 제2차단판(138);
    상기 제2정면레버(132)와 제2차단판(138)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2와이어(139);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2와이어(139)를 긴장되게 감아 직각으로 유도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39)가 제2정면레버(132)의 힌지축(132a)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와이어(139)가 제2차단판(13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2롤러(140);
    상기 제2차단판(138)과 제2롤러(14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차단판(138)이 상시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2차단판(13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41);
    상기 제2탄성부재(141)가 제2차단판(13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2탄성부재(141) 일단을 지지하는 제2스토퍼(1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수단(150)은 제1,2접속구멍(112)(113)과 대응되게 수용부(111)와 연통된 출입공(114) 주변에 힌지축(151a)(152a)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캠형상의 몸체 일부가 상기 출입공(114)을 통해 수용부(111)로 돌출되고, 사용시 플러그(P)를 수용부(111)에 삽입할 때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나는 제1,2측면레버(151)(152);
    상기 제2차단판(138) 하부에서 제1접속구멍(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접속구멍(112)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측면레버(151)가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고, 수용부(111)에서 플러그(P)가 빠져나가 제1측면레버(151)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하는 제3차단판(153);
    상기 제1측면레버(151)와 제3차단판(153)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3와이어(154);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3와이어(154)를 긴장되게 감아 제3차단판(153)에 연결된 제3와이어(154)를 제3차단판(153)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3롤러(155);
    상기 제3차단판(153)과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차단판(153)이 상시 제1접속구멍(1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3차단판(153)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156);
    상기 제1측면레버(151)와 제3롤러(15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3와이어(154)를 긴장되게 감아 제1측면레버(151)에 연결된 제3와이어(154)가 힌지축(151a)과 수직방향으로 일치되게 안내하는 제1가이드롤러(157);
    제1차단판(133) 하부에서 제2접속구멍(1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2접속구멍(113)을 가로질러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측면레버(152)가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개방하고, 수용부(111)에서 플러그(P)가 빠져나가 제2측면레버(152)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그와 연동하여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하는 제4차단판(158);
    상기 제2측면레버(152)와 제4차단판(158)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제4와이어(159);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4와이어(159)를 긴장되게 감아 제4차단판(158)에 연결된 제4와이어(159)를 제4차단판(158)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안내하는 제4롤러(160);
    상기 제4차단판(158)과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차단판(158)이 상시 제2접속구멍(113)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4차단판(158)을 밀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탄성부재(161);
    상기 제2측면레버(152)와 제4롤러(16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제4와이어(159)를 긴장되게 감아 제2측면레버(152)에 연결된 제4와이어(159)가 힌지축(152a)과 수직방향으로 일치되게 안내하는 제2가이드롤러(162);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180)은 외측면에 상기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하는 수용홈(181a)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패널(17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블록(181);
    내측면에 상기 제3와이어(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하는 수용홈(182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블록(181)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블록(182);
    상기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을 끼워 조립한 상태로 상기 패널(170)에 고정되어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축(183);
    상기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의 각 수용홈(181a)(182a)에 제3와이어 (154) 또는 제4와이어(159)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블록(181)과 상부블록(182)에 체결되는 제1,2스크류(184)(185);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스크류(184)(185)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185)는 패널(170)에 형성된 체결공(171)에 고정되어 고정블록(180)이 회전하지 않도록 결속하고,

    전기 제품 사용을 위해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를 제1,2접속구멍(112)(113)에 삽입시켜 전원단자(120)에 접속시킬 때 이 과정에서, 상기 제1,2정면레버(131)(132)는 제1,2연결단자(P1)(P2)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각각 힌지축(131a)(13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2접속구멍(112)(113)에서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는 제1,2와이어(134)(139)가 제1,2차단판(133)(138)을 당겨 그들이 폐쇄하고 있는 제2접속구멍(113) 및 제1접속구멍(112)을 개방하여 제1,2연결단자(P1)(P2)가 상기 개방된 제1,2차단판(133)(138)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플러그(P)가 수용부(111) 양측에 돌출된 제1,2측면레버(151)(152)를 밀치면서 진입할 때 제1,2측면레버(151)(152)는 플러그(P)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각각 힌지축(151a)(15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용부(111)에서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는 제3,4와이어(154)(159)가 제3,4차단판(153)(158)을 당겨 그들이 폐쇄하고 있는 제1,2접속구멍(112)(113)을 개방하여 제1,2연결단자(P1)(P2)가 상기 개방된 제3,4차단판(153)(158)을 통과하여 전원단자(120)에 접속되고,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접속구멍(112)으로 전도체(E)를 강제로 삽입하면 제1정면레버(131)가 회전하여 제1접속구멍(112)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연동하는 제1와이어(134)에 의해 제2접속구멍(113)이 개방되나, 제1접속구멍(112)은 제2차단판(138)과 그 하부에 위치한 제3차단판(153)에 의해 여전히 폐쇄되어 전도체(E)는 진입이 차단되어 전원단자(120)와 접속이 불가능하고,

    플러그(P)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2접속구멍(113)으로 전도체(E)를 강제로 삽입하면 제2정면레버(132)가 회전하여 제2접속구멍(113)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연동하는 제2와이어(139)에 의해 제1접속구멍(112)은 개방되나, 제2접속구멍(113)은 제1차단판(133)과 그 하부에 위치한 제4차단판(158)에 의해 여전히 폐쇄되어 전도체(E)는 진입이 차단되어 전원단자(120)와 접속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수단(130)의 제1,2스토퍼(137)(142)는 그와 대응되는 제1,2와이어(134)(139)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수단(150)의 제1,2측면레버(151)(152)는 플러그(P)의 제1,2연결단자(P1)(P2)가 제1,2정면레버(131)(132)를 먼저 누름 조작 한 후 플러그(P) 몸체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수단(150)의 제1,2측면레버(151)(152)는 각각 회전축(151a)(152a)을 동심으로 슬롯(151b)(152b)이 관통되어, 이 슬롯(151b)(152b)에 하우징(110)에 돌출된 멈춤핀(B1)(B2)이 삽입되어 제1,2측면레버(151)(152)의 회전범위를 슬롯(151b)(152b) 내부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수단(150)의 제3,4탄성부재(156)(161)는 각각 그와 대응되는 제3,4와이어(154)(159)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한 쌍이 상기 제3,4와이어(154)(159) 양측에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KR1020170107065A 2017-08-24 2017-08-24 안전 콘센트 KR10180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65A KR101803694B1 (ko) 2017-08-24 2017-08-24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65A KR101803694B1 (ko) 2017-08-24 2017-08-24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694B1 true KR101803694B1 (ko) 2017-11-30

Family

ID=6081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065A KR101803694B1 (ko) 2017-08-24 2017-08-24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729B1 (ko) 2022-04-05 2023-01-11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89B1 (ko) 2009-06-18 2010-01-28 곽창용 콘센트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89B1 (ko) 2009-06-18 2010-01-28 곽창용 콘센트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729B1 (ko) 2022-04-05 2023-01-11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5408A (en) Connector assembly
US904855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RU2319265C2 (ru) Аксиальный привод фиксатора
KR102099072B1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US20090239400A1 (en) Safety receptacle with tamper resistant shutter
BRPI1100610A2 (pt) terminal e conexço flexÍvel com alavanca
US20130099644A1 (en) Housing for optical elements
KR101803694B1 (ko) 안전 콘센트
KR101803695B1 (ko) 안전 콘센트
US8076598B2 (en) Interlock system and method for rotary disconnect switches
CN101354988A (zh) 可与断路器连接的剩余电流装置
KR101812996B1 (ko) 안전 콘센트
KR101812995B1 (ko) 안전 콘센트
JP3605923B2 (ja) 電線接続端子装置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コンセント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スイッチ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端子台及び電線接続端子装置を備えた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0457427Y1 (ko) 콤팩트한 안전콘센트용 모듈
CN211823069U (zh) 空调器的面板组件以及具有其的空调器
GB2318693A (en) Shutter for socket outlet
JP4830556B2 (ja)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US9948030B1 (en)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body and rel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0379519U (zh) 电源插座的支撑组件及电源插座
CN208889524U (zh) 开关柜中隔离刀与接地刀的联锁机构
CN106450933A (zh) 插座
CN108899687B (zh) 一种插座
CN207743108U (zh) 一种下门与接地开关和隔离开关间设有联锁结构的开关柜
CN219998552U (zh) 用于插座的安全门装置及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