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977B1 -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 Google Patents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977B1
KR102173977B1 KR1020190042122A KR20190042122A KR102173977B1 KR 102173977 B1 KR102173977 B1 KR 102173977B1 KR 1020190042122 A KR1020190042122 A KR 1020190042122A KR 20190042122 A KR20190042122 A KR 20190042122A KR 102173977 B1 KR102173977 B1 KR 10217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on panel
resistor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646A (ko
Inventor
채길석
Original Assignee
채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길석 filed Critical 채길석
Priority to KR102019004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9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서로 대향되는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저항이 고정되는 커넥터 커버; 상기 커넥터 커버에 내장되며, 상기 저항과 연결되고, 전선과 접촉되는 접속패널;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부와, 상기 전선 삽입부의 상측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패널의 상부 내측면이 밀착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접속패널이 삽입 및 안착되는 패널 안착부와, 상기 저항의 리드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저항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속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Termination Resistance Push Connector}
본 발명은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선로 상에 저항의 설치를 쉽고 편리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저항과 전선의 접속 부위를 절연시키고, 전선의 길이를 연장하여 쉽게 시공을 할 수 있는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내부에서 불시에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목적으로 건축물 전층 전구역에 자동 화재 경보 설비, 또는 화재 감지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자동 화재 경보 설비, 또는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 및 발신기로부터 수신된 화재신호를 표시하고, 경종 및 비상 방송을 발하여 화재장소를 알려주는 경보 설비와 소화 설비 및 제반 설비를 총괄 감시하고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신호의 전송방식에 따라 접점형(P형)과 주파수형(R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자동 화재 경보 설비, 또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는 다수의 감지기와 접속되는 감지선로의 종단선로 상에 종단 저항기가 구성되며, 회로의 종단에 병렬로 연결된 종단저항을 테스트기로 테스트하여 도통되는가를 확인하는 도통시험으로 회선의 회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공 현상에서는 종단 저항기에 구성되는 회로기판용 저항을 전선의 말단이나 단자대에 설치하고 있으나, 회로기판용 저항은 강도가 약하여 쉽게 끊어지거나 리드의 길이가 짧고 가늘어 시공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연이 되어있지 않아 쇼트 등과 같은 문제에 의해 장비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9041호 등록 실용신안 제20-0486999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감지선로 상에 저항의 설치를 쉽고 편리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저항과 전선의 접속 부위를 절연시킬 수 있어 안전한 시공이 가능한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항이 내장된 커넥터에 전선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저항과 전선의 접속 지점에 따라 일자형과 ㄷ 자 형을 선택하여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접속 지점과 무관하게 쉽게 시공이 가능한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대향되는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저항이 고정되는 커넥터 커버; 상기 커넥터 커버에 내장되며, 상기 저항과 연결되고, 전선과 접촉되는 접속패널;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부와, 상기 전선 삽입부의 상측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패널의 상부 내측면이 밀착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접속패널이 삽입 및 안착되는 패널 안착부와, 상기 저항의 리드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저항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속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 안착부에는 상기 접속패널과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그 상단부에 동 재질의 금속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패널은 상기 전선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1접속패널과, 상기 제1접속패널의 하측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패널 안착부에 고정되는 제2접속패널과, 상기 제2접속패널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항의 리드가 접촉된 상태로 관통하는 제3접속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커버는, 개방된 양측 단부에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저항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저항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리브가 구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지지리브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패널의 외면측 상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패널 밀착부; 상기 접속패널의 외면측 하부가 밀착되며, 상기 저항과 접속패널 사이를 절연시키는 패널 절연부; 및 상기 상부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항 및 접속패널이 고정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방측 양단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저항이 배치되되, 상기 저항의 리드가 전방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커넥터 커버; 전선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1접속패널과, 상기 제1접속패널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패널 안착부에 고정되는 제2접속패널과, 상기 제2접속패널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항의 절곡되 리드가 접촉된 상태로 관통하는 제3접속패널로 구성되는 접속패널;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부와, 상기 전선 삽입부의 상측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접속패널의 상부 내측면이 밀착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접속패널이 삽입 및 안착되는 패널 안착부와, 상기 저항의 절곡된 리드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저항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속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저항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저항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리브가 구성된 상부커버; 상기 제1접속패널의 외면측 상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패널 밀착부; 상기 제2접속패널의 외면이 밀착되며, 상기 저항과 제2접속패널 사이를 절연시키는 패널 절연부; 상기 제3접속패널과 상기 저항의 절곡된 리드 부분에 대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연부; 상기 상부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항 및 접속패널이 고정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구성되며, 상기 저항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고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선로 상에 저항의 설치를 쉽고 편리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저항과 전선의 접속 부위를 절연시킬 수 있어 안전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항이 내장된 커넥터에 전선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저항과 전선의 접속 지점에 따라 일자형과 ㄷ 자 형을 선택하여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접속 지점과 무관하게 쉽게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의 접속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의 접속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의 커넥터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ㄷ 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의 접속 하우징, 접속패널 및 커넥터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는 내부에 저항(20)이 내장되는 커넥터 커버(300), 커넥터 커버(300)의 양측에 삽입되며 저항(20)과 접속되는 금속재의 접속패널(200) 및 상기 접속패널(200)을 절연시키며 전선(10)과 저항(2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 하우징(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 하우징(100)은 커넥터 커버(300)의 양측 단부에 삽입 및 고정되며, 접속패널(200)의 내측부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접속패널(200)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전선(10)의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접속패널(200)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개방된 양단으로 각각 전선(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이 삽입되어 접속패널(200)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속 하우징(100)은 끝단부 둘레면을 따라 커넥터 커버(300)에 구성되는 결합홈(312)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102)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 플랜지(102)에는 푸시 커넥터의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 플랜지(102)와 결합홈(312)이 서로 접촉을 이루는 부분에 절연체가 일정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속 하우징(100)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전선(10)과 접속패널(200)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선 삽입부(110)가 형성된다.
전선 삽입부(110)는 전선(10)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112)과, 전선 삽입공(112)의 선단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선 삽입공(112)으로 삽입된 전선(10)의 단부가 관통하는 전선 관통홀(114)과, 전선 관통홀(114)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접속패널(200)의 내측면과 전선(10)의 단부가 접촉에 의한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전선 접속홈(116)으로 구성된다.
이때, 전선 관통홀(114)은 전선 삽입공(112) 보다 적은 직경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특히 내주면을 따라 절연체가 도포되어 전류의 누설 등에 의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선 접속홈(116)은 전선 관통홀(114)을 통과한 전선의 단부와 접속패널(200)이 서로 접촉을 이루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상측 선단부는 접속패널(200)의 상부 내측면이 밀착되는 패널 지지부(120)가 형성된다.
패널 지지부(120)는 후술할 커넥터 커버(300)의 패널 밀착부(314)와 함께 접속패널(200)이 커넥터 커버(3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접속패널(200)의 제1접속패널(210)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선 접속홈(116)의 하측 단부에는 접속패널(200)의 제2접속패널(220)이 삽입 및 안착되며, 상기 제2접속패널(220)이 커넥터 커버(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패널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패널 안착부(130)는 소정의 홈의 형태를 취하며, 제2접속패널(220)의 하부면 및 끝단부가 각각 접합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패널 안착부(130)에는 접속패널(200)과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그 상단부에 동 재질의 금속패널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패널은 전선(10)과 접속패널(200) 사이에 구비되며, 패널 안착부(130)의 개방된 상부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전선(10)의 전류가 접속패널(200)측으로 전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 하우징(100)에는 패널 안착부(130)의 하부로 저항(20)의 리드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저항 연결부(140)가 구성된다.
저항 연결부(140)는 저항(20)의 커넥터 커버(300)의 내부에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속패널(200)의 제2접속패널(220)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속 하우징(100)은 저항(20)과 연결될 전선(10)의 수에 따라 1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다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후술할 접속패널(200) 및 저항(20) 역시 접속 하우징(100)과 대응되는 수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접속패널(200)은 전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전선(10)과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1접속패널(210), 제2접속패널(220) 및 제3접속패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접속패널(21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전선(10)의 단부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외면이 커넥터 버(300)에 밀착되고 내면이 접속 하우징(100)의 패널 지지부(120)에 의해 가압되면서 커넥터 커버(300)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즉, 접속 하우징(100)이 커넥터 커버(300)에 형성된 결합홈(312)에 결합이 이루어질 때, 접속 하우징(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패널 지지부(120)가 제1접속패널(210)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커넥터 커버(300)에 제1접속패널(210)이 밀착을 이루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2접속패널(220)은 제1접속패널(210)의 하부에 절곡 형성되며, 패널 안착부(1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술한 금속패널이 형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전선(10)과 접촉, 또는 비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속패널(200)은 제1 및 제2접속패널(210, 220) 사이에 전선(10)이 인입되어 제1접속패널(210)과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접속부(202)가 형성된다. 접속부(202)는 접속 하우징(100)의 전선 접속홈(116)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전선 접속홈(116)으로 인입되는 전선(10)의 단부가 직접 제1접속패널(21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3접속패널(230)은 제2접속패널(220)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저항(20)과 연결되어 접속패널(200)에 의해 전선(10)의 단선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저항(20)의 리드가 접촉을 이루면서 관통하는 저항 연결홀(2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3접속패널(230)은 하단부가 커넥터 커버(300)의 하부커버(330)에 결합되게 구성되어 저항(20)의 리드 위치가 임의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저항(20)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 커버(300)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양측단부가 개방되어 접속패널(200) 및 접속 하우징(100)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 커버(300)는 접속 하우징(100) 및 접속패널(200)의 수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접속패널(200) 및 커넥터 커버(30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커버(310)와, 접속패널(200) 및 커넥터 커버(300)의 하부를 고정하고 저항(20)이 안착되는 하부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커버(310)는 개방된 양측단부에 접속 하우징(100)의 결합 플랜지(102)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며, 저항(2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저항(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리브(320)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310)에는 지지리브(320)의 일측으로 제1접속패널(210)의 외면측 상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패널 밀착부(314)가 형성된다.
지지리브(320)는 상부커버(310)의 하부 중앙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며, 저항(20)의 몸체 양단부에 각각 밀착되게 구성된다.
또한, 지지리브(320)에는 제1접속패널(210)의 외면측 하부가 밀착되며, 저항(20)과 제1접속패널(210) 사이를 절연시키는 패널 절연부(322)가 형성된다.
패널 절연부(322)는 제1접속패널(210)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외면으로 절연체가 일정 두게 만큼 도포되도록 구성됨이 더 바람직하다.
하부커버(330)는 상부커버(3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커버(310)에 형성되는 결합홈(312)이 형성되어 접속 하우징(100)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커버(330)에는 그 상부면으로 저항(20) 및 접속패널(200)의 제3접속패널(230)이 고정되는 고정부가 소정의 홈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저항기에 전선(10)이 연결되는 지점에 따라 'ㄷ' 자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ㄷ' 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는 전선(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접속패널(200)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ㄷ' 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는 일자형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접속 하우징(100) 및 접속패널(200)이 구성되고, 상기 접속 하우징(100)과 접속패널(200)이 내장되는 커넥터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커넥터 커버(300)는 상부커버(310) 및 하부커버(330)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전방으로 접속 하우징(100)이 결합되는 결합홈(312)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부에 저항(20)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저항(20)의 리드가 전방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접속패널(200)의 제3접속패널(2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커넥터 커버(300)에는 제3접속패널(230)과 저항(20)의 리드 부분에 대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연부(3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커넥터 커버(300)에는 저항(2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되어 저항(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리브(3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리브(320)는 원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커버(300)의 중앙부에는 상부커버(310)와 하부커버(330)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고, 이와 동시에 저항(20)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면서 지지리브(320)와 함께 저항(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 지지부(35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지지부(350)는 지지리브(32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며,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접속 하우징 102: 결합 플랜지
110: 전선 삽입부 120: 패널 지지부
130: 패널 안착부 140: 저항 연결부
200: 접속패널 210: 제1접속패널
220: 제2접속패널 230: 제3접속패널
300: 커넥터 커버 310: 상부커버
320: 지지리브 330: 하부커버
340: 절연부 350: 체결 지지부

Claims (6)

  1. 서로 대향되는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저항이 고정되는 커넥터 커버;
    상기 커넥터 커버에 내장되며, 상기 저항과 연결되고, 전선과 접촉되는 접속패널;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부와, 상기 전선 삽입부의 상측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패널의 상부 내측면이 밀착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접속패널이 삽입 및 안착되는 패널 안착부와, 상기 저항의 리드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저항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속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안착부에는 상기 접속패널과 접촉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그 상단부에 동 재질의 금속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패널은
    상기 전선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1접속패널과,
    상기 제1접속패널의 하측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패널 안착부에 고정되는 제2접속패널과,
    상기 제2접속패널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항의 리드가 접촉된 상태로 관통하는 제3접속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개방된 양측 단부에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저항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저항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리브가 구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지지리브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패널의 외면측 상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패널 밀착부;
    상기 접속패널의 외면측 하부가 밀착되며, 상기 저항과 접속패널 사이를 절연시키는 패널 절연부; 및
    상기 상부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항 및 접속패널이 고정되는 하부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5. 전방측 양단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저항이 배치되되, 상기 저항의 리드가 전방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커넥터 커버;
    전선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1접속패널과, 상기 제1접속패널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패널 안착부에 고정되는 제2접속패널과, 상기 제2접속패널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항의 절곡되 리드가 접촉된 상태로 관통하는 제3접속패널로 구성되는 접속패널;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부와, 상기 전선 삽입부의 상측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접속패널의 상부 내측면이 밀착되는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접속패널이 삽입 및 안착되는 패널 안착부와, 상기 저항의 절곡된 리드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저항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속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저항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저항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리브가 구성된 상부커버;
    상기 제1접속패널의 외면측 상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패널 밀착부;
    상기 제2접속패널의 외면이 밀착되며, 상기 저항과 제2접속패널 사이를 절연시키는 패널 절연부;
    상기 제3접속패널과 상기 저항의 절곡된 리드 부분에 대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연부;
    상기 상부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항 및 접속패널이 고정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구성되며, 상기 저항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고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KR1020190042122A 2019-04-10 2019-04-10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KR10217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22A KR102173977B1 (ko) 2019-04-10 2019-04-10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122A KR102173977B1 (ko) 2019-04-10 2019-04-10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646A KR20200119646A (ko) 2020-10-20
KR102173977B1 true KR102173977B1 (ko) 2020-11-04

Family

ID=7302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122A KR102173977B1 (ko) 2019-04-10 2019-04-10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14A (ko) 2021-04-05 2022-10-12 채길석 저항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2Y1 (ko) 2002-10-17 2003-01-10 김재홍 전선 컨넥터
KR200376372Y1 (ko) 2004-11-24 2005-03-11 민광기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KR101798525B1 (ko) 2016-07-06 201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 커넥터와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한 고전압 안전 플러그
KR200486999Y1 (ko) 2017-02-28 2018-07-24 이정수 소방용 종단저항 접속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5878U (ko) * 1988-11-08 1990-05-17
JP5563207B2 (ja) 2008-08-01 2014-07-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終端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2Y1 (ko) 2002-10-17 2003-01-10 김재홍 전선 컨넥터
KR200376372Y1 (ko) 2004-11-24 2005-03-11 민광기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KR101798525B1 (ko) 2016-07-06 201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 커넥터와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한 고전압 안전 플러그
KR200486999Y1 (ko) 2017-02-28 2018-07-24 이정수 소방용 종단저항 접속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14A (ko) 2021-04-05 2022-10-12 채길석 저항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646A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US5158477A (en) Battery connector and method
US76360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atch cord end connection
US5477152A (en) Device for testing continuity and/or short circuits in a cable
CN103682854B (zh) 电源线
US8408925B2 (en) Visible open for switchgear assembly
US4553085A (en) Coaxial cable tester device
US3657650A (en) Current and voltage monitoring module for electric conductor terminations
CN108390167B (zh) 具有实时检测接地状态和报警功能的电器柜接地装置
SG174725A1 (en) Detector assembly suited to smoke alarms
KR102173977B1 (ko)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US6960916B2 (en) Circuit breaker overcurrent and ground fault test apparatus
CN111211435A (zh) 一种具有插入检测功能的通用式插座
KR102498675B1 (ko) 저항 커넥터
US20190113548A1 (en) Electric power measuring device
CN205828814U (zh) 音频转接器
CN219842039U (zh) 一种水位探针
CN218783359U (zh) 一种三通触头盒
CN208953636U (zh) 一种漏电测试盒
CN219696747U (zh) 一种防水的rf开关连接器
CN109149287A (zh) 一种母线插接装置及电气柜
CN111474504B (zh) 一种连接器母针簧片检测公针和包括该公针的检测装置
CN2577468Y (zh) 具有地线回路插头检测的安全插座组
CN217785243U (zh) 锅圈结构及电火灶
JP3061764U (ja) 同軸ケ―ブルの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