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526B1 - 내부식성 소화전 - Google Patents

내부식성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526B1
KR101792526B1 KR1020170060386A KR20170060386A KR101792526B1 KR 101792526 B1 KR101792526 B1 KR 101792526B1 KR 1020170060386 A KR1020170060386 A KR 1020170060386A KR 20170060386 A KR20170060386 A KR 20170060386A KR 101792526 B1 KR101792526 B1 KR 101792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urrent
fire hydrant
optical fibe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홍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알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알씨엠 filed Critical (주)제이알씨엠
Priority to KR102017006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03B9/06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차량과 같은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동절기에 동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노출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며,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고, 동절기에 동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호구조물로 인한 소방호스의 체결작업을 방해하지 않아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부식성 소화전{Fire hydrant protected structure}
본 발명은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차량과 같은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과 외부 노출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며, 야간에 식별력이 우수하고, 동절기에 동파 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의 화재 발생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소방호스를 연결하여 소방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특정한 위치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소방시설물로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과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옥외소화전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옥내소화전과 옥외소화전에는 규정된 방수압력과 방수량을 갖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가압송수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소방호스 등의 소방설비로 공급하기 위한 송수구가 소화전의 측면에 마련된다.
여기서 옥내소화전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 초기에 사용자에 의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전이고, 옥외소화전은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부의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인접한 건축물로 화재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화전이다.
이때,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옥외소화전은 노출된 형태에 따라 지상식과 지하식으로 구별된다.
여기서, 지하식 소화전은 제조단가는 낮으나, 맨홀 공사 등의 설치비용이 높고, 설치 후 차량이 맨홀 상에 주차된 경우 사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불편함에 따라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에 주로 지상식 소화전이 상용화되고 있는데, 지상식 소화전은 공사비와 유지비용은 저렴한 데 비해 지상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고, 보행자의 통행시 또는 차량 운행시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충돌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지상식 소화전은 소화전 주변에 물건 등을 적재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소화전을 사용하지 못하여 더 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야간에 시인성이 취약한 장소에 설치되면, 식별이 곤란하여 이를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화재의 초기 진화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옥외소화전은 빗물이나 눈 등에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부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잠금 부위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강하여 조여져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잠금 부위 등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면 실제 화재가 발생할 때, 소화전을 개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소화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초기진압이 중요한 화재에서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옥외소화전에 칸막이 형태의 가리개나 차단펜스와 같은 잠금장치를 설치할 경우, 화재현장에서 신속한 사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옥외소화전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소화전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430호(2002년 02월 25일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781호(2010년 11월 03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868호(2015년 07월 30일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하고,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며, 동절기에 동파 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소화전 보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시에는 보호구조물로 인한 소방호스의 체결작업을 방해하지 않아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전 보호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화전의 일측면에 접촉하며, 양측단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쇠가 구비된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서로 마주보면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소화전의 타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걸림쇠가 걸리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제2 커버와, 상기 제2 커버의 외경면에 설치되며,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전구 및 상기 제2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면상 발열체를 구비한 하우징 본체 및 상기 제2 커버의 상단 테두리에 힌지 결합 되며,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경면에 설치된 태양전지패널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 수용공간에 설치된 축전지를 구비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일측 또는 양측부에 형성되어 외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나사 결합 되기 위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덮개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연결된 연결체인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가 설치되며, 내측면에 경질 폴리우레탄 폼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노출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며,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동절기에 동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구조물로 인한 소방호스의 체결작업을 방해하지 않아 신속히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보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보호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장치에 적용되는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투명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보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보호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보호구조는, 하우징 본체(100) 및 상부 커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소화전(F)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소화전(F)의 상부에 위치한 개폐밸브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소화전(F)의 측부에 위치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해 소화전(F)의 토출구가 위치한 측부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일측 또는 양측부에는 소화전(F)의 토출부 외경을 감싸 이를 보호하기 위해 소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0)의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30)에 결합 되는 덮개(140)를 구비하는데, 상기 덮개(140) 또한 상기 돌출부(130)에 나사 결합 되기 위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130)와 덮개(140)로 인해 소화전(F)의 토출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어 소화전(F)의 토출부가 평상시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약 1 내지 3mm의 직경을 가진 소정의 통공(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160)에는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1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하우징 본체(100) 내부에서 발생 된 가스 및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배출구가 필요한데, 미세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통공(160)을 형성하고, 그 통공(160)에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161)를 장착함으로써 외부 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내부의 가스 및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켜 습기로 인한 소화전(F)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내측면에 경질의 폴리우레탄 폼 층(17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질폴리우레탄폼은 고분자 단열재의 일종으로, 단열재 중에서 가장 단열성이 높아 유리 섬유와 로크울의 약 2배의 단열성이 있다. 그리고, 고무와 같은 탄성의 성질에 의해 충격흡수가 우수한 재질이다.
따라서, 동절기에 소화전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 인해 소화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소화전(F)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커버(110)와, 소화전(F)의 타측면에 접촉되는 제2 커버(12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는 소화전(F)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 커버(110)의 양측단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쇠(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커버(120)에는 상기 걸림쇠(111)가 걸리는 체결돌기(121)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커버(110)의 걸림쇠(111)가 제2 커버(120)의 걸림돌기(121)에 체결됨으로써 소화전(F)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가 서로 결착하여 소화전(F)의 외부를 견고히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상기 덮개(140)에 연결되는 연결체인(150)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연결체인(150)은 상기 돌출부(130)에서 덮개(140)가 이탈되었을 때, 연결체인(150)으로 인해 덮개(140)가 하우징 본체(100)에 매달릴 수 있어, 덮개(14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소화전(F)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커버(120)의 상단 테두리에 힌지 결합 되고, 하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00)의 외경면에는 자체 자가발전을 하기 위한 태양전지패널(2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20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태양전지패널(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축전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200)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제1 커버(110)와 마찬가지로 걸림쇠가 설치되고, 제1 커버(110)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쇠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커버(200)가 하우징 본체(100)의 상부에 견고히 고정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커버(120)의 외경면에는 상기 축전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전구(11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외부전원의 공급 없이도 상기 LED전구(112)의 발광으로 인해 야간에도 소화전의 위치를 정확히 발견할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초기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버(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축전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면상의 발열체(113)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 또한, 별도의 외부전원의 공급 없이도 상기 면상의 발열체(113)로 인해 하우징 본체(100)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동절기에도 소화전이 동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외부의 조도 및 상기 축전지(220)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LED전구(112)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축전지(220)에 충전된 전하가 다 소진된 경우 LED전구(112)가 동작하지 않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LED전구(112)를 항상 On 시키지 않고, 상황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어유닛은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센서, 상기 축전지(220)의 충전량을 파악하는 충전량 검출부, 상기 조도 센서 및 충전량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한 외부의 조도 및 상기 축전지(220)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LED전구(112)에 인가하는 전류량을 산출하는 전류량 산출부 및 상기 전류량 산출부에서 산출한 전류량에 따라 상기 LED전구(112)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외부의 조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즉 낮에는 굳이 LED전구(112)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류량 산출부는 LED전구(112)에 인가하는 전류량을 0으로 하거나 낮게 산출하며, 반대로 외부의 조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즉 외부 환경이 어둡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전류량 산출부는 LED전구(112)에 인가하는 전류량을 충분히 크게 산출하여야 한다.
또한, 축전지(220)의 충전량이 충분한 경우라면 LED전구(112)에 전류를 충분히 인가할 수 있으나, 축전지(220)의 충전량이 낮은 경우에는 절전모드를 수행하여 LED전구(112)에 다소 낮은 전류량을 인가함으로써 축전지(220) 내에 충전된 전하가 모두 소진되어 LED전구(112)가 오프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류량 산출부는 외부의 조도 및 축전지(220)의 충전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LED전구(112)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산출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술한 본 장치에서의 제어유닛의 각 구성들, 즉 조도 센서, 충전량 검출부, 전류량 산출부 및 전류 공급부 등은 상호 간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하여 하드와이어(hardwire)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드와이어는 절연피복으로 둘러쌓인 복수 개의 전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화재 발생시 화염 또는 화기로 인하여 절연피복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선 간의 단락 등에 의하여 전기화재가 추가로 발생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복합 화재로 발생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제어유닛의 각 구성들, 즉 조도 센서, 충전량 검출부, 전류량 산출부 및 전류 공급부 중 적어도 둘 사이의 상호 연결을 전선 대신 광통신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어유닛의 광통신 라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종래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제어 유닛에 적용되는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투명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장치의 광통신 라인은 복수 개의 광섬유 및 광섬유 접속 슬리브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광섬유는 광을 이용하여 신호의 전달을 매개하는 구성이고,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기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섬유는 일반적으로 그 길이가 제한되도록 제작되는데, 이러한 광섬유를 원하는 장소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거나 중간에서 분기해야 한다.
광섬유의 접속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 융착접속법이며, 이 방법은 각 광섬유 끝단을 전기아크로 녹여 붙인 후, 열수축 슬리브로 융착 접속점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열수축 슬리브(Optical fiber protection sleeve)는 열을 가하였을 경우 수축 작용을 하는 물질이며 광섬유 한 심선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단심용 열수축 슬리브와 다심광섬유 즉, 4심, 8심, 12심의 광섬유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다심용 열수축 슬리브가 사용된다.
종래 열수축 슬리브 기술은 광융착 접속시 접속부의 온도변화를 줄임으로서 광섬유 수명 단축 및 광손실 최소화하고, 보강심의 반원통형 양끝단점에 요철형의 광섬유 가이드를 형성하여 열수축에 따른 접착튜브의 유동을 극소화함으로써 열수축시 보강심이 안착되는 광섬유 접속부를 안정하게 유도하여 광섬유 접속부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여 광섬유 접속부가 파단되는 문제점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광섬유 접속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10), 보강심(20), 및 융착 튜브(40)로 구성되어 있다.
열수축 튜브(10)는 PE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광섬유를 삽입하여 접착되는 구성이다.
보강심(20)은 광섬유 접속부를 보강하고, 광섬유 접속부의 굴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일반적으로 상부가 평평한 반원통 형태의 스테인레스 스틸,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스테인레스 스틸은 상온에서 50도 이상의 온도 격차가 심한 환경에서 열팽창계수에 따른 치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점에 지속적인 응력(stress)를 주어 접속점이 파단되는 위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세라믹이나 유리(석영)의 경우 열팽창계수는 낮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지만, 금속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열수축 튜브(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PE 재질,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로 형성되고 있는데, 이는 고온 환경에서 취화(brittle) 현상이나 부풀림(we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광섬유 접속점에 지속적인 응력이 발생하여 접속점이 파단될 수 있는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장치의 광통신 라인에서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1100), 보강심(1200), 융착튜브(1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보강심(1200)은 열수축 튜브(1100) 내측에 배치되고, 열수축 튜브(1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보강심(1200)은 융착튜브(1400)와 최장거리로 이격시키며, 보강심(1200) 내측의 한 점과 접하도록 삽입함으로써 열수축시 광섬유 접속부의 열전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강심(1200)의 재질로써 인바(Invar) 합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인바 합금은 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100℃ 이하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어서 온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에 민감한 장치 등에 많이 사용되는 재질이다.
특히, 인바 합금 중 슈퍼 인바(Super Invar)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슈퍼 인바 합금은 열팽창계수가 석영의 열팽창계수와 거의 동일하여,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슈퍼 인바 합금은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상고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광섬유 융착점의 파단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융착 튜브(1400)는 열수축 튜브(1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광섬유(130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열수축 튜브(1100)의 내측에서 보강심(1200)은 융착 튜브(14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시스템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융착 튜브(1400) 및 광섬유(1300)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튜브(1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 튜브(1500)는 내열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열 특성을 구비하기 위해서 내측 튜브(1500)는 폴리이미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열수축 슬리브의 구조에서 접착튜브 내부에 융착점을 보호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로 형성된 내측 튜브(1500)를 추가적으로 삽입하고, 내측 튜브(1500) 내에 단심 또는 다심의 광섬유(1300)를 삽입하여 융착접속법으로 접속 연결시킨 후 내측 튜브(1500)와 광섬유(1300) 사이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온도변화 환경에 따른 열수축 튜브(1100)와 융착 튜브(1400)의 부풀림 현상으로부터 광섬유 접속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광통신 라인의 구비 및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구조에 의하여, 일반 화재로 인한 온도가 급격히 변화될 경우라도 본 시스템의 각 구성들 간의 데이터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전기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우징 본체
110: 제1 커버
111: 걸림쇠
112: LED전구
113: 면상 발열체
120: 제2 커버
121: 체결돌기
130: 돌출부
140: 덮개
150: 연결체인
160: 통공
161: 소수성 실린지 필터
170: 경질 폴리우레탄 폼 층
200: 상부 커버
210: 태양전지패널
220: 축전지

Claims (5)

  1. 소화전(F)의 일측면에 접촉하며, 양측단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쇠(111)가 구비된 제1 커버(110)와, 상기 제1 커버(110)와 서로 마주보면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소화전(F)의 타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걸림쇠(111)가 걸리는 체결돌기(121)가 구비된 제2 커버(120)와, 상기 제2 커버(120)의 외경면에 설치되며, 하기 축전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전구(112) 및 상기 제2 커버(120)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축전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면상 발열체(113)를 구비한 하우징 본체(100); 및
    상기 제2 커버(120)의 상단 테두리에 힌지 결합 되며,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경면에 설치된 태양전지패널(210)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측 수용공간에 설치된 축전지(220)를 구비하는 상부 커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일측 또는 양측부에 형성되어 외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130); 상기 돌출부(130)에 나사 결합 되기 위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덮개(140); 상기 덮개(14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연결된 연결체인(150); 외부의 조도 및 상기 축전지(220)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LED전구(112)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6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60)에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161)가 설치되며, 내측면에 경질 폴리우레탄 폼 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센서; 상기 축전지(220)의 충전량을 파악하는 충전량 검출부; 상기 조도 센서 및 충전량 검출부에서 각각 검출한 외부의 조도 및 상기 축전지(220)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LED전구(112)에 인가하는 전류량을 산출하는 전류량 산출부; 상기 전류량 산출부에서 산출한 전류량에 따라 상기 LED전구(112)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공급부; 및 상기 조도 센서, 상기 충전량 검출부, 상기 전류량 산출부 및 상기 전류 공급부 중 적어도 둘을 상호 연결하는 광통신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광통신 라인은,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기하기 위한 광섬유 접속 슬리브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열수축 튜브(1100)와, 상기 열수축 튜브(1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수축 튜브(1100)를 지지하는 보강심(1200)과, 상기 열수축 튜브(1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광섬유(1300)가 삽입되는 융착 튜브(1400) 및 상기 융착 튜브(1400) 및 상기 광섬유(1300) 사이에는 내열 특성을 가진 내측 튜브(150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심(1200)은 슈퍼 인바(Super Invar)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보호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0386A 2017-05-16 2017-05-16 내부식성 소화전 KR101792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86A KR101792526B1 (ko) 2017-05-16 2017-05-16 내부식성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386A KR101792526B1 (ko) 2017-05-16 2017-05-16 내부식성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526B1 true KR101792526B1 (ko) 2017-11-20

Family

ID=6080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386A KR101792526B1 (ko) 2017-05-16 2017-05-16 내부식성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5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4451A (zh) * 2018-04-10 2018-08-07 沈阳建筑大学 形状记忆合金消防栓防护栏
CN112854370A (zh) * 2019-11-27 2021-05-28 湖南省金鼎消防器材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地上消火栓
CN114669002A (zh) * 2022-01-27 2022-06-28 天申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室内栓
CN116575540A (zh) * 2023-07-14 2023-08-11 沧州铁狮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防撞型消防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485A (ja) * 2002-04-10 2003-10-24 Ozaki Kogyo Kk 地上式消火栓の標識灯装置
JP3918020B2 (ja) * 2002-10-18 2007-05-23 株式会社フタライト 屋外標識灯装置の取付け方法
KR101048027B1 (ko) * 2011-01-12 2011-07-13 주식회사 장원 옥외소화전 안전표시커버
KR101330219B1 (ko) * 2013-07-25 2013-12-02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485A (ja) * 2002-04-10 2003-10-24 Ozaki Kogyo Kk 地上式消火栓の標識灯装置
JP3918020B2 (ja) * 2002-10-18 2007-05-23 株式会社フタライト 屋外標識灯装置の取付け方法
KR101048027B1 (ko) * 2011-01-12 2011-07-13 주식회사 장원 옥외소화전 안전표시커버
KR101330219B1 (ko) * 2013-07-25 2013-12-02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옥외소화전 동파방지유닛 보호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4451A (zh) * 2018-04-10 2018-08-07 沈阳建筑大学 形状记忆合金消防栓防护栏
CN112854370A (zh) * 2019-11-27 2021-05-28 湖南省金鼎消防器材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地上消火栓
CN114669002A (zh) * 2022-01-27 2022-06-28 天申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室内栓
CN116575540A (zh) * 2023-07-14 2023-08-11 沧州铁狮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防撞型消防栓
CN116575540B (zh) * 2023-07-14 2023-09-05 沧州铁狮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防撞型消防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526B1 (ko) 내부식성 소화전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BRPI0722229A2 (pt) Dispositivo adaptador, e, uso de um dispositivo adaptador
US6125692A (en) Density sensor for monitoring the rate of leakage from a switchgear case with improved reliability
KR100788885B1 (ko)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용 보온커버
RU187995U1 (ru) Изолятор с индикатором пробоя изолятора
KR102263501B1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CN208881619U (zh) 一种充电桩漏电保护装置
KR102065454B1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101761110B1 (ko) 동파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836084B1 (ko)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RU187994U1 (ru) Индикатор пробоя изолятора
KR100766576B1 (ko) 전력 케이블의 보호커버 설치구조
EP3039757A1 (fr) Dispositif de confinement des fuites de gaz se produisant au niveau d'un disque de rupture d'un compartiment d'un poste electrique ou d'un disjoncteur a haute tension a isolation gazeuse
KR20200140192A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KR102153395B1 (ko)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JP2018085315A (ja) 接続構造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CN210517693U (zh) 一种高海拔户外端子箱光纤电缆封堵器
KR20210045725A (ko)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KR100786318B1 (ko) 지중케이블 연결을 위한 매설형 배관구조
CN206097991U (zh) 一种可有效防水的抗压型预制分支电缆
CN216981489U (zh) 一种高压电缆地下保护管道
KR101535869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CN210246210U (zh) 一种mpp电缆保护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