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192A -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192A
KR20200140192A KR1020200063283A KR20200063283A KR20200140192A KR 20200140192 A KR20200140192 A KR 20200140192A KR 1020200063283 A KR1020200063283 A KR 1020200063283A KR 20200063283 A KR20200063283 A KR 20200063283A KR 20200140192 A KR20200140192 A KR 20200140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 meter
water
present disclosur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정
Original Assignee
장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정 filed Critical 장은정
Priority to KR102020006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0192A/ko
Publication of KR2020014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Abstract

본 개시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수도계량기 커버를 제공한다.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는,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방수재, 커버의 안감으로서 형성되는 발열재, 커버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 및 커버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되었을 때, 커버의 외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수도계량기를 감싸고, 커버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한 커버의 측면이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에 밀착된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FREEZING PROTECTION COVER FOR WATER METER}
본 개시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겨울철에 외부 온도 저하로 인해 수도계량기가 동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계량기는, 가정, 사무실 등에 사용되는 식수나 공장, 건설현장 등에 사용되는 공업용수의 운반량이나 용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도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수도계량기는 식수나 공업용수가 공급되는 수도관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의해 작동되는 적산계를 통해 물의 사용량이 수치로써 표시되도록 한다. 수도계량기에 표시되는 수치에 따라 식수나 공업용수의 사용 요금이 청구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저하되는 상황에서는 수도계량기의 본체 내부에 흐르는 물이 얼어 팽창하게 되므로, 그 팽창력에 의해 적산계의 유리커버를 파손시키거나 적산계 자체를 파손시키는 동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수도계량기의 동파 사고의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수도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열선을 구비한 수도계량기 커버, 수도계량기 내부의 팽창된 체적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 등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열선을 구비한 수도계량기 커버는, 전기적인 연결이 필요해 수분에 노출되었을 때 감전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계량기가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건물 외벽 등에는 전원을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도계량기 내부의 팽창된 체적을 흡수하는 부재는, 수도계량기 자체의 동파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적산계 내부의 물이 어는 현상은 방지하기 어렵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수도계량기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낮은 온도에도 수도계량기가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방수재, 커버의 안감으로서 형성되는 발열재, 커버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 및 커버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형성되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되었을 때, 커버의 외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수도계량기를 감싸고, 커버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한 커버의 측면부가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에 밀착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방수재와 발열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재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방수재 충전재의 사이에 축열재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축열재로서 상변환소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커버에 형성되어, 수도계량기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창; 및 투명 창에 탈부착 가능한 창 덮개를 더 포함하며, 창 덮개는, 창 덮개의 외면에 형성되는 방수재, 창 덮개의 안감으로서 형성되는 발열재 및 방수재와 발열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창 덮개가 투명 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투명 창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커버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한 커버의 측면에 밴드가 내장되어, 밴드의 탄성에 의해 수도관에 밀착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커버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한 커버의 측면에 끈이 내장되어, 끈을 조임으로서 커버의 측면이 수도관에 밀착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 벨크로 테이프가 더 구비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커버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수도관을 둘레 방향으로 감도록 구성된 띠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는, 띠의 일측에 벨크로 테이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도계량기와 그 주위에 위치하는 수도관을 밀착하여 감싸도록 구성된 동파방지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수도계량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수도계량기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는, 방수재, 방열재 등을 포함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수도계량기를 감싸도록 설치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하지 않으며, 외부의 날카롭고 강한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고 수도계량기를 보호 및 보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는, 수도계량기로부터 커버를 간단히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에 투명한 창을 구비하여, 커버를 설치한 상태로 수도계량기에 표시된 수도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투명 창을 덮도록 구성된 창 덮개를 구비하여, 투명 창을 통한 수도 사용량을 확인하지 않을 때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가 펼쳐진 상태일 때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소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창 덮개가 열린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창 덮개가 닫힌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실제 구현 제품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실제 구현 제품이 수도계량기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예시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실제 구현 제품의 펼쳐진 상태의 예시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술하기에 앞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측부 또는 측면이 외부와 내부를 구분할 수 있으면 측부 또는 측면의 외부는 그 도면의 도시된 구성의 "외측부" 또는 "외측면", 측부 또는 측면의 내부는 그 도면의 도시된 구성의 "내측부" 또는 "내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가 펼쳐진 상태일 때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100)는, 대략 사각형의 커버 몸체(150), 커버 몸체(150)의 상부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0), 제1 측면에 대향하는 하부의 제2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120),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커버 몸체(150)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측면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 몸체(150)의 상부 중앙부분에는 투명 창(16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창(160)의 주변부에는 투명 창(160)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 창(미도시)이 탈부착될 수 있는 덮개 결합부(16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커버 몸체(150)의 상부 중앙부분에 투명 창(160)과 덮개 결합부(16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투명 창(160)과 덮개 결합부(162)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는, 상호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소재 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는, 벨크로 테이프, 지퍼, 스냅 단추와 같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거나 탈부착될 수 있는 소재 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몸체(150)가 수도계량기(미도시)를 감싸도록 커버 몸체(150)를 둥근 형태로 구부린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커버(100)를 수도계량기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가 서로 결합되면, 커버(100)의 전체 형상은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 원통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커버(10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커버(100)의 측면부(130)는, 커버(100)가 수도계량기를 감싸도록 설치되었을 때,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양측 수도관에 밀착되어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측면부(130)는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에 밀착되기 위해 밴드를 내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밴드는 커버의 측면부(130)에 위치하되, 커버의 외면과 안감이 맞닿는 경계에 내장될 수 있다. 밴드가 커버의 측면부(130)에 내장되면, 커버의 측면부(130)는 펼쳐진 상태의 길이보다 줄어들고자 하는 탄성이 생기므로, 그 탄성에 의해 수도계량기에 커버(100)를 설치하였을 때 수도계량기 양측에 연결된 수도관을 조여 밀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밴드는, 측면부(130)가 연결된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까지의 측면부(13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밴드는, 측면부(130)가 수도관에 밀착되어 커버(100) 내부의 수도계량기가 외부의 공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면, 측면부(130)의 적어도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측면부(130)에 밴드가 형성된 커버(100)는,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가 결합되지 않았을 때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도 밴드의 탄성에 의해, 도 1과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아닌, 밴드가 수축된 형태에 맞춰 커버(100)가 전체적으로 둥글게 말려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밴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커버(100)의 측면부(130)에 해당하는 범위에 형성되되, 커버(100)의 외면과 안감 사이에 내장되지 않고, 측면부(130)의 안감에 해당하는 부위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드가 측면부(130)의 안감에 부착됨으로써, 밴드의 탄성에 의한 수축에 의해, 커버(100)가 안감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말려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10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커버(100)의 측면부(130)에는, 끈이 내장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커버(100)가 수도계량기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에 인접한 측면부(130)의 끈을 당겨서 조임으로써, 커버(100)의 측면부(130)가 수도관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도계량기에 커버(100)를 설치하였을 때 끈의 양 말단을 잡아당겨 커버(100)의 측면부(130)를 조이면, 조여진 커버(100)의 측면부(130)는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의 둘레를 감싸 수도계량기가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측면부(130)에 내장된 끈은, 그 끈에 의해 측면부(130)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로 고정 부재를 구비하거나, 그 끈의 양 말단을 함께 매듭지어 측면부(130)가 조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100)의 소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상부는 커버(100)의 외면이 위치한 부분을 나타내며, 하부는 커버(100)의 안감이 위치한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100)는, 방수재(210), 발열재(240) 및 충전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210)는, 수도계량기 커버(1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도계량기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눈 또는 비가 오거나 높은 습도에 의해 커버의 동파방지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수재(210)는 W.S.GORE&ASSOCIATES. INC사의 고어텍스(GORE-TEX®), 고어텍스 XCR(GORE-TEX XCR®), 벤텍스 사의 드라이존(DRY-ZONE®), Nextec 사의 에픽(EPIC®), 도레이 사의 엔트란트(Entrant DT®), 마모트 사의 멤브레인(MemBrain®), Lowe Alpine 사의 트리플 포인트(TRIPLEPOINT®) 등과 같이 방수성을 가지는 다양한 방수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재(210)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섬유로 구성된 원단 상에 발수가공 처리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보다 강한 방수성을 얻기 위하여, 방수재(210)로서 라미네이트(laminate) 가공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가공 방법에 따르면, 라미네이트된 원단의 한 면에는 접착액을 바르고 열을 가하여 비닐필름을 원단에 씌우고, 그 원단의 다른 면은 본래 원단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내습성과 내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열재(240)는, 수도계량기 커버(100)의 안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열재(240)는, 수도계량기 및 수도관의 외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수도계량기 및 수도관에 열을 전달하여 수도관을 흐르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재(240)는, 중공사를 이용해 섬유 속에 공기를 가둬 공기층을 만드는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발열재(240)는, 원단의 한 면을 반짝이는 금속으로 증착 처리되어, 수도계량기에서 방출된 복사열이 다시 수도계량기로 반사되도록 하여, 복사열로 인한 열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충전재(230)는, 방수재(210)와 발열재(2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충전재(230)는, 습기에 노출되어도 변질이나 보온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합성섬유 또는 합성소재로 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재(230)는, 세은텍스 사의 웰론(Wellon®), 3M 사의 신슐레이트(Thinsulate®), 스톤아일랜드 사의 프리마로프트(Primalof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충전재(230)로서 웰론을 사용할 수 있다.
축열재(220)는, 방수재(210)와 충전재(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열재(220)는 상변환소재(PCM: Phase Change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환소재는 상전이온도(예를 들어, 약 26°C) 이상의 환경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녹고, 상전이온도 이하의 환경에서 열을 주변으로 방출하여 결정화하는 열에너지 저장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전이가 일어날 때 온도변환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전이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상변환소재는, 단순히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활용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100)가 수도계량기에 설치되었을 때, 커버(100)의 외부의 온도가 저하되면, 상변환소재의 축열재(220)가 열을 방출하여 수도관 및 수도계량기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열재(220)에 포함되는 상변환소재는, 열에너지 저장과정에서 액체로 변환된 소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그 소재를 코어 물질로 사용하고 쉘 물질로 둘러싸는 캡슐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열재(220)은, 상변환소재가 마이크로캡슐화되어 원사에 포함되는 형태의 섬유재로 제조되거나, 섬유재에 코팅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축열재(220)는, 예를 들어, 아웃라스트 테크놀로지 사의 Outlast®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축열재(220)는, 상변환소재가 마이크로캡슐화되어 섬유재에 포함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상변환소재가 섬유재 이외의 다른 소재와 결합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커버(100)의 재질은, 그 겉감으로 방수재(210)를 포함하고, 그 안감으로 발열재(240)를 포함하며, 겉감과 안감 사이에 축열재(220)와 충전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커버(100)의 재질은, 방수재(210)와 발열재(240)만을 포함하거나, 방수재(210)와 발열재(240) 사이에 축열재(220)와 충전재(23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창 덮개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창 덮개가 닫힌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커버(100)가 수도계량기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가 상호 결합되고, 좌측 및 우측의 측면부(130)가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을 밀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100)의 정면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는 그 내부에 감싸져 있는 수도계량기의 상태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창(31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창(310)은, 예를 들어, 투명한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창(160)은, 수도계량기에 커버(100)를 씌웠을 때에도 수도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100) 상에서 수도계량기의 적산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창(160)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수도계량기의 적산계의 수치가 표시되는 부분과 대략 동일하거나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100)는, 투명 창(160)의 형성으로 인한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성능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창 덮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창 덮개(320)는 투명 창(160)을 통해 수도계량기를 확인하지 않는 평상시에 투명 창(310)을 덮기 위한 것으로, 투명 창(160)과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투명 창(160)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투명 창(160)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창 덮개(320)의 외면에는 방수재, 안감으로서 발열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방수재와 발열재 사이에 충전재 및/또는 축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창 덮개(320)를 구성하는 방수재, 발열재, 충전재 및 축열재는, 앞서 서술한 커버(100)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투명 창(160)의 둘레에는, 창 덮개(320)를 부착할 수 있는 덮개 결합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 결합부(162)는, 벨크로 테이프, 지퍼, 스냅단추 등을 포함하여, 창 덮개(320)와 자유롭게 탈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덮개 결합부(162)에 창 덮개(320)를 결합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창(160)이 창 덮개(320)로 완전히 가려져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100)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을 둘레 방향으로 감을 수 있는 띠(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띠(510)는, 커버(100)의 측면부(130)를 수도관에 둘러싼 상태에서, 측면부(130)를 둘러싸서 조임으로써, 측면부(130)가 수도관에 더 견고하게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띠(510)의 일측에는 띠(510)를 감은 후 고정할 수 있도록 띠 결합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띠 결합부(520)는 최대한 견고하게 수도관과 커버(100)의 측면부(130)를 밀착하기 위해 띠(51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띠 결합부(520)는,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100)를 수도계량기로부터 제거할 때, 띠(510)를 원활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띠(510)의 말단을 남겨둔 상태로 띠(510)의 일측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띠 결합부(520)는,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실제 구현제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의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가 상호 결합되고, 측면부(130)의 둘레를 띠 결합부(520)가 감싸서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100)의 전체 형상은 그 양측이 다소 축소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커버의 몸체(150)에 부착된 투명 창 덮개(320)가 열린 상태에서, 투명 창(160)을 통해 커버(100)의 내부가 관찰될 수 있다. 도시된 커버(100)는 실제 수도계량기에 설치된 상태가 아니므로, 투명 창(160)을 통해 커버(100)의 안감(예를 들어, 금속 코팅된 발열재)이 관찰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실제 구현 제품이 수도계량기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의 몸체(150)에 부착된 투명 창 덮개(320)가 열린 상태에서, 투명 창(160)을 통해 커버(100)의 내부에 위치한 수도계량기의 적산계(710)가 관찰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의 실제 구현제품이 펼쳐진 상태의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띠(510)는 측면부(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띠 결합부(520)는 띠(51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띠 결합부(520) 및/또는 띠(510)는, 커버(100)가 수도계량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었을 때,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을 둘러싸는 측면부(130)의 둘레를 충분히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제1 결합부
120: 제2 결합부
130: 측면부
210: 방수재
220: 축열재
230: 충전재
240: 발열재
310: 투명 창
320: 창 덮개
330: 창 덮개 결합부
510: 띠
520: 띠 결합부

Claims (1)

  1.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방수재;
    상기 커버의 안감으로서 형성되는 발열재;
    상기 커버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커버의 외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수도계량기를 감싸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커버의 측면부가 상기 수도계량기에 연결된 수도관에 밀착되는,
    동파방지 커버.
KR1020200063283A 2020-05-26 2020-05-26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KR20200140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283A KR20200140192A (ko) 2020-05-26 2020-05-26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283A KR20200140192A (ko) 2020-05-26 2020-05-26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627A Division KR102263501B1 (ko) 2019-06-05 2019-06-05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92A true KR20200140192A (ko) 2020-12-15

Family

ID=7378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283A KR20200140192A (ko) 2020-05-26 2020-05-26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01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363B1 (ko) 2021-12-22 2022-11-14 주식회사 베스타 수도계량기 동파방지용 보온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363B1 (ko) 2021-12-22 2022-11-14 주식회사 베스타 수도계량기 동파방지용 보온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501B1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CA2445441A1 (en) A reinforced flexible pipeline having a thermal barrier
KR20200140192A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커버
US6520201B2 (en) Insulated backflow device cover
KR101792526B1 (ko) 내부식성 소화전
KR200483003Y1 (ko) 수도계량기용 단열 커버
US6820639B2 (en) Thermal cover for backflow prevention assemblies
JP3514059B2 (ja) 配管カバー
KR200487602Y1 (ko) 보일러관용 동파방지 보온싸개
KR200405249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장치
JP5986672B2 (ja) 断熱カバー装置の施工方法
JP2015048903A (ja) 断熱カバー装置及び断熱カバー装置の施工方法
KR200260370Y1 (ko) 관체 보호커버
CN210462170U (zh) 一种管道电加热套的防冻装置
JP3438530B2 (ja) 配管カバー構造
CN209159377U (zh) 一种能够快速展开的汽车整体保护罩
CN207381125U (zh) 一种防冻架空绝缘电缆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CN210553504U (zh) 一种严寒地区水管防冻防护保温装置
CN205971765U (zh) 一种用于救生设备的加热保护装置
CN219571285U (zh) 一种户外输水立管保温防冻装置
CN206649199U (zh) 一种电力通信光缆引下线防冰冻保护管
KR102466363B1 (ko) 수도계량기 동파방지용 보온커버
CN110067911A (zh) 具有抗冻防潮效果的埋设介质管道及其制作方法
JPS60159232A (ja) 水道の凍結防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