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725A -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725A
KR20210045725A KR1020190129111A KR20190129111A KR20210045725A KR 20210045725 A KR20210045725 A KR 20210045725A KR 1020190129111 A KR1020190129111 A KR 1020190129111A KR 20190129111 A KR20190129111 A KR 20190129111A KR 20210045725 A KR20210045725 A KR 2021004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ting wire
bimetal switch
pair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060B1 (ko
Inventor
임석연
서원준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4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using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e.g. using induction, dielectric or microwav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13Switches using bimetallic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4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zigzag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하는 열선을 구비한 장치가 배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발열함으로써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있어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여 비용 및 시간 절약의 효과가 있으며, 자동 전원 차단 기능을 갖춰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과열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Freeze protection system using bimetal switch}
본 발명은 배관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하는 열선을 구비한 장치가 배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발열함으로써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고, 일정한 온도 이내에서 자동으로 전원이 연결 또는 차단되며 온도를 유지시켜주며,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관이며, 배관이 야외에 노출되며 설치되어있는 경우, 겨울철에는 온도가 영하로 하강함으로써 내부의 액체가 결빙되어 유체가 흐르지 못하게 되거나, 결빙에 의해 액체의 부피가 커져 팽하며 배관이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의 동파는 누수 등의 문제는 물론 난방, 온수 공급을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여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되며, 배관 동파의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동파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며, 복구 시공으로 인한 많은 비용 및 수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는 배관을 따라 가열선을 감싸고 전원에 연결하여 배관에 직접 가열하는 장치이며, 이는 배관에 직접 열을 가하기 때문에 장시간동안 유지될 경우 가열선이 녹아 피복되거나 또는 가열선과 접촉되어있는 배관이 녹아 배관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가열선 또한 영하의 온도에 노출되기 때문에 고장의 위험이 높으며, 또한 배관을 설치할 때 함께 설치되어야하는 구조를 가지는 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배관에는 적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 2009-0009262호("온수 배관 보온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의 배관에 적용이 가능한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배관을 감쌀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케이스; 전원 공급 시 발열하며 상기 케이스를 가열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 단면 중 일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케이스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힌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케이스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선은, 각각의 상기 케이스에 하나의 상기 열선이 지그재그로 연속되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선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나란히 배열되되, 한 쌍의 상기 케이스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때, 마주보는 복수개의 상기 열선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과 수직한 외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한 쌍의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상기 케이스에 체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고리가 끼움결합하며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에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단면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다른 상기 케이스의 단면에 상기 함몰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함몰부는 +극 성질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극 성질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가 접촉해 서로 연결되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있는 상기 열선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선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열선과 연결되며,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는, 상기 케이스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원의 작동을 자동 관리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있어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여 비용 및 시간 절약의 효과가 있으며, 자동 전원 차단 기능을 갖춰 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과열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상측 및 하측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상측 및 하측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1000)에 관한 것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배관을 감쌀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케이스(100), 전원 공급 시 발열하며 상기 케이스(100)를 가열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200),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원주방향 단면 중 일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00), 상기 케이스(100)에서 상기 힌지부(300)의 반대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케이스(100)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열선(200)이 상기 케이스(100) 외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열선(200)구멍(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상기 열선(200)과 연결되며, 상기 열선(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원부(500)는 상기 케이스(100)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원의 작동을 자동 관리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원통을 반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관의 단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는 삼각, 사각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배관의 형태에 따라 각각의 단면이 일치하는 형태이거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가 상기 힌지부(300) 및 체결부(400)로 인해 서로 결합 및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이면 상관없이 상기 케이스(100)의 단면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관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에 상기 열선(20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100)의 재질은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열선(2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강도가 좋거나, 상기 열선(200)의 발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 중 하나이거나, 하나 이상 혼합 재질로 형성되는 등, 상기 열선(200)을 구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재질이면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열선(200)에 의한 온도를 효과적으로 보온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 내부 또는 외부에 보온재(120)를 더 구비하여 저전력 사용 또는 고효율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5를 참고하면, 상기 열선(200)은 스스로 발열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등 발열할 수 있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될 때 효율적으로 상기 열선(200)이 발열하며 상기 배관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단면 중 상기 배관과 가까운 내측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선(2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발열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상관없이 구비될 수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선(200)은 하나의 열선(200)이 각각의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연속되며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상기 열선(200)이 상기 케이스(100)에서 나란히 배열되며 구비될 수 있고, 이때 각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상기 열선(200)이 상기 열선(200)구멍(11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열선(200)이 위치될 때 이웃한 상기 열선(200)끼리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200)은 발열하며 상기 배관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효율적으로 상기 배관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관과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100) 원주방향 단면의 내측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300)는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시키는 장치이며,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면 형태, 위치 등 상관없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마주보며 결합될 때 접하게 되는 단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300)는 힌지결합 할 수 있는 형태이면 상관없지만, 일실시예로 힌지홀 및 힌지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원주방향 단면 중 일측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 전체 또는 일부면적에 구비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힌지부(300)가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교차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원주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열선(200)이 상기 케이스(100) 내측을 따라 형성될 경우,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열선(200)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0) 타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400)는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가 상기 힌지부(300)에 의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100)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배관을 상기 케이스(100)가 감싼 후 고정시키기기 위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힌지부(300)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최인접 하게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체결부(400)는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를 서로 잠금결합 및 잠금해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면 형태 상관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한 쪽에 잠금걸쇠와 다른 한쪽에 잠금구멍을 구비하여 걸쇠를 걸어 잠금되는 구조, 상기 케이스(100)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어 그 부분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잠기는 구조, 힌지결합으로 형성된 잠금 구조, 끼움결합으로 형성된 잠금 구조 등,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면 상관없다.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또는 일부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개로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00)는 사용하기 간편한 구조이되, 단단하게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 및 설치방법이 단순하여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500)는 상기 열선(200)과 연결되어, 상기 열선(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전원부(500)는 플러그로 형성되어 콘센트에 꼽아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형성되거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어 상기 열선(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는 바이메탈로 구성된 전원 차단 장치이며, 상기 케이스(100) 또는 상기 열선(20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100) 또는 상기 열선(200)의 온도가 일정 이하이면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는 전원을 켜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1000)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100) 또는 상기 열선(200)의 온도가 일정 이상이면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는 전원을 차단해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1000)이 작동이 멈추도록 하여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100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상기 배관에 가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1000)은 상기 케이스(100), 상기 열선(200), 상기 힌지부(300), 상기 체결부(4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온재(120) 및 전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400)의 형태에 따른 일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도 6 및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체결부(400)가 한 쌍의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체결홈(410)이 형성되고, 다른 상기 케이스(100)에 체결고리(420)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410) 및 상기 체결고리(420)가 끼움결합하며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410) 및 체결고리(420)는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100)가 상기 배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실시예 1의 상기 케이스(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실시예 1은 하나의 상기 열선(200)이 각각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상기 열선(200)이 상기 체결홈(410)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복수번의 곡선으로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100)에 전체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고리(420)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에 마찬가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열선(200)은, 각각의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열선(200)구멍(11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전원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상기 힌지부(300)는 각각의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힌지부(300)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선(200)이 각각의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 하단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선(200)구멍(110)에 겹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0) 단면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9 및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체결부(400)가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에 함몰부(421)가 형성되고, 다른 상기 케이스(100)의 단면에 상기 함몰부(421)에 상응하는 돌출부(422)가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421)가 상기 돌출부(422)에 끼워 맞춰지며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를 닫는 동작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함몰부(421) 및 돌출부(422)가 잘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석 또는 접착부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421) 및 돌출부(422)는 사각, 삼각, 반원 등 서로 맞춤결합 될 수 있는 것이면 상관없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상기 케이스(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실시예 2의 상기 열선(200)은 상기 케이스(100)에 복수개의 상기 열선(200)이 나란히 배열되며 구비되되, 상기 함몰부(421)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상기 열선(200)과, 상기 돌출부(422)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상기 열선(200)이 상기 힌지부(300) 부근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의 상기 열선(200)은, 상기 돌출부(422)의 최끝단에서부터 상기 열선(200)이 시작되고, 상기 열선(200)은 상기 돌출부(422)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선(200)구멍(110)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상기 열선(200)이 상기 함몰부(421)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열선(200)구멍(110)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상기 함몰부(421)를 향하며 연결되어 상기 함몰부(421)의 최끝단에 도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21) 및 돌출부(422)는 상기 열선(200)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열선(200)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체결부(400)의 역할로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상기 함몰부(421) 및 돌출부(422)는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에서 하나 이상을 가지며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421) 및 돌출부(422)의 개수와 상기 열선(200)의 개수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열선(200)들이 연결되는 별도의 전원선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부(5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22)에 구비되는 상기 열선(200)이 +극을 가지고, 상기 함몰부(421)에 구비되는 상기 열선(200)이 -을 가질 수 있으며, 반대로 형성 가능하고, 실시예 2는 상기 돌출부(422) 및 상기 함몰부(421)가 접하며 서로 연결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열선(200)이 작동할 준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열선(200)이 한 쌍의 상기 케이스(100)를 연결하며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100)의 수직하는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선(200) 구멍에 겹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0) 길이방향 단면의 타측, 또는 상기 열선(200) 구멍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위한 장치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에 용이하므로 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 비용 및 시간 소요가 적고,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결합 해제가 간편하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배관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가 상기 열선(200)을 감싸 보호하며 상기 배관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열선(200)이 외부에 노출되며 발생하는 감전 및 누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체결부(400)를 통해 종래의 기술들보다 상기 배관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상기 힌지부(300)를 통해 상기 배관에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 발열하는 상기 열선(200)을 보온하기 위한 상기 보온재(120)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온도를 유지시키고,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해 일정 이상, 일정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1000)의 전원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100 : 케이스 110 : 열선구멍
120 : 보온제
200 : 열선 300 : 힌지부
400 : 체결부
411 : 체결홈 412 : 체결고리
421 : 함몰부 422 : 돌출부
500 : 전원부

Claims (11)

  1. 한 쌍으로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배관을 감쌀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을 갖는 케이스;
    전원 공급 시 발열하며 상기 케이스를 가열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열선;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 단면 중 일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케이스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힌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케이스가 서로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각각의 상기 케이스에 하나의 상기 열선이 지그재그로 연속되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나란히 배열되되,
    한 쌍의 상기 케이스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때, 마주보는 복수개의 상기 열선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원주방향과 수직한 외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한 쌍의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상기 케이스에 체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고리가 끼움결합하며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에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단면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다른 상기 케이스의 단면에 상기 함몰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극 성질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극 성질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가 접촉해 서로 연결되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있는 상기 열선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선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열선과 연결되며,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케이스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원의 작동을 자동 관리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KR1020190129111A 2019-10-17 2019-10-17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KR10230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111A KR102306060B1 (ko) 2019-10-17 2019-10-17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111A KR102306060B1 (ko) 2019-10-17 2019-10-17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25A true KR20210045725A (ko) 2021-04-27
KR102306060B1 KR102306060B1 (ko) 2021-09-28

Family

ID=7572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111A KR102306060B1 (ko) 2019-10-17 2019-10-17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771A (ko) * 2022-03-24 2023-10-05 윤지영 하수관 결빙에 의한 해빙용 소켓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817A (ko) * 2006-04-17 2007-10-22 정필구 열선을 내장한 동파방지 배관
KR20090009262A (ko) 2006-04-26 2009-01-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펄스-간 듀티 사이클링
KR20140013508A (ko) * 2012-07-24 2014-02-05 지덕선 배관히터
KR20180013803A (ko) * 2016-07-28 2018-02-07 주식회사 비엠티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817A (ko) * 2006-04-17 2007-10-22 정필구 열선을 내장한 동파방지 배관
KR20090009262A (ko) 2006-04-26 2009-01-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펄스-간 듀티 사이클링
KR20140013508A (ko) * 2012-07-24 2014-02-05 지덕선 배관히터
KR20180013803A (ko) * 2016-07-28 2018-02-07 주식회사 비엠티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771A (ko) * 2022-03-24 2023-10-05 윤지영 하수관 결빙에 의한 해빙용 소켓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060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3837B2 (en) Backup methods and systems for spa system thermal management
KR101811240B1 (ko) 소방급수관용 동파방지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KR20210045725A (ko) 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동파방지 시스템
KR101754973B1 (ko)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KR101792526B1 (ko) 내부식성 소화전
KR101066393B1 (ko) 소방급수관용 동파방지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WO2017079989A1 (zh) 可加热的流体袋
KR20200048702A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CN205306768U (zh) 干烧保护装置、加热管感温管及温水器
KR100839970B1 (ko) 배관라인 동결 방지용 히터
KR101844045B1 (ko) 조립형 동파방지장치
FR2842286A1 (fr) Dispositif de micro chaudiere electrique adaptable pour que chaque radiateur a fluide possede une autonomie totale
KR20190067064A (ko) 온수 보일러의 동파 방지 시스템
KR20160073592A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35869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KR200415979Y1 (ko) 수도 계량기 동파 방지 장치
KR200471705Y1 (ko) 전열식 난방장치용 난방 파이프의 과열 감지장치
KR200490756Y1 (ko) 동파방지 장치가 구비된 일체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CN214699455U (zh) 一种防冻效果好的阀门
CN216283756U (zh) 一种基于nb-iot的超声波水表
KR100977157B1 (ko) 수도계량기의 조립식 동파방지장치
KR20010069455A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CN216973609U (zh) 一种快装式水电管线保护装置
CN103068081A (zh) 飞行器水及废水系统用钳形自动控温加热器
KR20230052861A (ko)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