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084B1 -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6084B1 KR101836084B1 KR1020170060379A KR20170060379A KR101836084B1 KR 101836084 B1 KR101836084 B1 KR 101836084B1 KR 1020170060379 A KR1020170060379 A KR 1020170060379A KR 20170060379 A KR20170060379 A KR 20170060379A KR 101836084 B1 KR101836084 B1 KR 101836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unit
- motor
- nozzle
- optical f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2001/949—Construction elements filled with liquid, e.g. water, either permanently or only in case of fi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벽을 타고 위층 내로 진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코니의 난간을 지지하는 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화판을 구비하고, 발코니 난간(110) 하측의 외벽에 소화장치(300)를 배출하되, 방화판을 회동시키는 모터 및 소화장치는 자가 전력원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됨으로써, 건물의 통합 전원 장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라도 아래 층의 화재가 위층 발코니를 통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아래 층의 발코니 난간 측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코니의 난간을 지지하는 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화판을 구비하고, 발코니 난간(110) 하측의 외벽에 소화장치(300)를 배출하되, 방화판을 회동시키는 모터 및 소화장치는 자가 전력원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됨으로써, 건물의 통합 전원 장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라도 아래 층의 화재가 위층 발코니를 통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아래 층의 발코니 난간 측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발코니의 난간을 지지하는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화판 및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방화 장치의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대형 구조의 건물의 경우, 화재발생이 되는 경우라도, 이에 대한 인지가 늦어지게 되며, 대피의 경로가 다양해,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이동하게 되는 공황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론, 대형 참사 이후에 많은 홍보를 통해 안전수칙을 보급하고 교육하고 있으며, 신축되는 건물의 경우, 화재에 대비한 다양한 소화장비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이러한 소화장비가 단순히 화재감지기와 스프링쿨러가 구비되는 것이 그치는 경우가 많아 아직 화재에 취약하다.
한편, 건물 중 통상의 아파트의 경우, 전면과 후면을 통해 채광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면과 후면에는 거실 또는 침실과 창문을 통해 구획되는 공간의 발코니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발코니 공간은 거실 또는 침실과 난간 사이의 이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아래층으로부터 화재 발생시 외벽을 통해 거실 또는 침실로 진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기능도 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발코니 영역에 대해 침실 또는 거실로 확장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발코니를 침실 또는 거실로 확장시 난간과 거실 또는 침실과의 이격 공간은 없어진다. 이 경우 거실 또는 침실의 공간은 확장되는 장점은 있지만, 거실 또는 침실과 외벽과의 사이가 너무 가까워져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외벽을 타고 화염이 상승하는 경우 난간에 인접된 거실 또는 침실의 창문이 높은 열에 의해 점화 및 파손된 후 거실 또는 실내로 곧바로 화염이 진입되어 연쇄적인 화재진행이 가속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화재 발생으로 인한 건물의 통합 전원 장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발코니 영역에 구비되고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방화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는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벽을 타고 위층 내로 진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되, 자가 전력원을 구비하는 방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는 상기 발코니의 난간(110)을 지지하는 측벽(1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의 외측에 설치된 방화판(200), 상기 발코니의 난간(110) 하측의 외벽(130)에 배치되는 소화장치(300) 및 상기 방화판(200)의 회동 및 상기 소화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방화판(200)은 방화판 몸체(220) 및 상기 방화판 몸체(220)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측벽(120) 내부에 배치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방화판 몸체(220)를 회동시키고, 상기 소화장치(300)는, 내부에 소화물질(311)이 충진된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에 장착되는 화재감지센서(320), 상기 화재감지센서(320)에 의하여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화물질(311)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노즐(330), 상기 노즐(33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 및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태양전지(34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상기 제어 유닛(400), 상기 화재감지센서(320), 상기 밸브는 상기 태양전지(340)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에 기초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태양전지(340)로부터 발생된 전기가 충전되는 전력 저장부(410), 상기 화재감지센서(320)의 감지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420), 상기 입력부(42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430), 상기 화재 판단부(43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방화판(200)을 회동시키는 모터 구동부(440) 및 상기 화재 판단부(43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노즐의 개방하여 상기 소화물질(311)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노즐 개폐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측벽(120) 내부 및 상기 발코니의 난간(110) 하측의 외벽(130)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 물질(311)은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고압으로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330)을 통해 거품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상기 방화판 몸체(200)가 상기 모터 구동부(440)의 모터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난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을 시작한 후 상기 방화판 몸체(220)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될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440)는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통신 라인은,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기하기 위한 광섬유 접속 슬리브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열수축 튜브(1100)와, 상기 열수축 튜브(1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수축 튜브(1100)를 지지하는 보강심(1200)과, 상기 열수축 튜브(1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광섬유(1300)가 삽입되는 융착 튜브(1400) 및 상기 융착 튜브(1400) 및 상기 광섬유(1300) 사이에는 내열 특성을 가진 내측 튜브(150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심(1200)은 슈퍼 인바(Super Invar)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심(1200)은 상기 융착 튜브(14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내측 튜브(1500) 및 상기 광섬유(130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튜브(1500)는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에 발코니 난간을 지지하는 측벽에 방화판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화재 발생시 방화판을 난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아래층에서의 화면이 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아래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방화판을 회동시키는 모터 및 소화물질을 하방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등 전원의 인가가 필요한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자가 전력원을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으로 인한 건물의 통합 전원 장치의 문제 발생시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이하 '본 장치'라 한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화판이 외벽 외부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소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장치에 적용되는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투명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화판이 외벽 외부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소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장치에 적용되는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투명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방화판이 외벽 외부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소화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장치의 구성 중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에 관한 장치로써, 방화판(200), 소화장치(300) 및 제어 유닛(400)을 포함한다..
방화판(200)은 발포니의 난간(110)을 지지하는 측벽(1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난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방화판(200)은 자중에 의해 난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는 발코니의 외벽 외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지지될 수 있게 발코니의 외벽 턱부분(13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110)과 외벽의 전면(130) 사이에 턱이지게 형성된 외벽 턱부분(131)에 방화판(200)이 설치되는 경우, 방화판(200)이 후술할 메인 유로(230)를 중심으로 난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 외벽 턱부분(131)에 의해 방화판(100)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부분(131)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화판(200)은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판 몸체(220) 및 힌지부(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방화판 몸체(220)는 화재시 방화판(200)이 도 3과 같이 발코니의 외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아래층으로부터 올라오는 화염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방화판 몸체(220)는 설치 상태에서 녹이 슬지 않으면서도 화염을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230)는 방화판 몸체(22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이러한 힌지부(230)는 측벽(120) 내부에 배치된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방화판 몸체(200)를 회동시킨다.
이러한 힌지부(230)의 일측은 방화판 몸체(200) 내에 고정되어야 하며 타측은 측벽(12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야 할 것이며, 측벽(120) 내부의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모터와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소화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의 난간(110) 하측의 외벽(130)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소화장치(300)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 화재감지센서(320), 노즐(330) 및 태양전지(3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310)은 외벽(130)에 고정장착되는 것으로써, 내부에는 고압의 소화물질(311)이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소화물질(311)은 처음부터 거품형태로 충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노즐(330)을 통해 배출되면서 거품형태로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우징(310)을 외벽(130)에 장착하기 위해, 외벽(130)에는 별도의 브라켓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310)은 브라켓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될 것이다.
화재감지센서(320)는 아래 층의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상술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하우징(310)의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노즐(330)은 하우징(3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고, 하우징(1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고압의 소화물질(311)을 아래 층의 외벽 방향으로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노즐(330)은 밸브(미도시)에 의하여 개폐가 수행되고, 하우징(3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장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노즐(330)은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후술한 제어 유닛(400)에서 아래 층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개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상술한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채용되되, 평시에는 닫혀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열리게 되는 평시폐쇄형(Normally closed)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노즐(330)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액(311)을 거품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340)는 입사된 태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빛의 입사가 더 용이할 수 있도록 하우징(3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장치는 방화판(200)의 회동 및 소화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400)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400)은 측벽(120) 내부 및 발코니의 난간(110) 하측의 외벽(130)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 유닛(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저장부(410), 입력부(420), 화재 판단부(430), 모터 구동부(440) 및 노즐 개폐부(4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저장부(410)는 소화장치(300)에 구비된 태양전지(340)가 발전하는 전기가 충전되는 구성으로써, 본 장치에서 상시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구성, 즉 화재감지센서(320)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나아가 전원 공급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성들, 즉 모터 및 밸브에는 필요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420)는 소화장치(300)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320)가 감지한 내용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재 판단부(430)는 입력부(420)로부터 입력된 정보, 즉 화재감지센서(320)의 감지 내용에 기초하여 현재 아래 층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터 구동부(440)는, 화재 판단부(43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방화판(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노즐 개폐부(450)는, 화재 판단부(43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소화장치(300) 내의 소화물질(311)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장치의 각 구성들의 설명에 기초하여 본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340)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제어 유닛(400)의 전력 저장부(410)에 저장된다.
또한, 화재감지센서(320)는 상시 구동되어야 하므로 전력 저장부(410)에 의하여 전원을 계속 공급받되, 화재감지센서(320)의 감지 정보는 제어 유닛(400)의 입력부(420)로 지속적으로 입력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방화판 몸체(220)는 난간(21)과 인접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모터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며, 평시폐쇄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소화물질(311)은 노즐(330)로부터 분사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재감지센서(320)가 아래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입력부(410)에 입력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판단부(430)는 아래 층에 화재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화재 판단부(430)가 아래 층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화재 판단부(430)는 모터 구동부(440)에 모터의 제어 명령을 보내게 되고, 모터 구동부(440)에 의하여 전력 저장부(410)에 저장된 전원이 모터에 인가됨으로써 모터가 구동된다.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방화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아래 층의 화염이 위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방화판(200)이 회동하여 상술한 외벽 턱부분(311)에 맞닿게 될 경우, 즉, 방화판 몸체(220)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될 경우, 모터 구동부(440)는 모터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전력 저장부(410)에 저장된 전원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모터 구동부(440)의 모터 제어와 동시에 노즐 개폐부(450)에 의하여 전력 저장부(410)에 저장된 전원이 상시폐쇄형 솔레노이드 밸브측에 인가되고, 이로 인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되게 되므로, 소화장치(300)의 하우징(310) 내에 충진된 소화 물질(311)은 아래 층으로 분출된다.
결국, 상술한 본 장치의 경우 건물의 통합 전원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자체 전력원을 이용하여 방화판(300)의 회동 및 소화물질(311)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어 유닛(400) 및 화재감지센서(320)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장치에서의 제어 유닛(400)의 각 구성들, 즉 입력부(420), 화재 판단부(430), 모터 구동부(440), 노즐 개폐부(450) 등은 상호 간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하드와이어(hardwire)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드와이어는 절연피복으로 둘러쌓인 복수 개의 전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화재 발생시 화염 또는 화기로 인하여 절연피복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선 간의 단락 등에 의하여 전기화재가 추가로 발생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복합 화재로 발생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제어 유닛(400)의 각 구성들, 특히 입력부(420), 화재 판단부(430), 모터 구동부(440), 노즐 개폐부(450) 중 적어도 둘 사이의 상호 연결을 전선 대신 광통신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시스템의 광통신 라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종래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시스템에 적용되는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투명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장치의 광통신 라인은 복수 개의 광섬유 및 광섬유 접속 슬리브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광섬유는 광을 이용하여 신호의 전달을 매개하는 구성이고,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기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섬유는 일반적으로 그 길이가 제한되도록 제작되는데, 이러한 광섬유를 원하는 장소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거나 중간에서 분기해야 한다.
광섬유의 접속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 융착접속법이며, 이 방법은 각 광섬유 끝단을 전기아크로 녹여 붙인 후, 열수축 슬리브로 융착 접속점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열수축 슬리브(Optical fiber protection sleeve)는 열을 가하였을 경우 수축 작용을 하는 물질이며 광섬유 한 심선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단심용 열수축 슬리브와 다심광섬유 즉, 4심, 8심, 12심의 광섬유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다심용 열수축 슬리브가 사용된다.
종래 열수축 슬리브 기술은 광융착 접속시 접속부의 온도변화를 줄임으로서 광섬유 수명 단축 및 광손실 최소화하고, 보강심의 반원통형 양끝단점에 요철형의 광섬유 가이드를 형성하여 열수축에 따른 접착튜브의 유동을 극소화함으로써 열수축시 보강심이 안착되는 광섬유 접속부를 안정하게 유도하여 광섬유 접속부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하여 광섬유 접속부가 파단되는 문제점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광섬유 접속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10), 보강심(20), 및 융착 튜브(40)로 구성되어 있다.
열수축 튜브(10)는 PE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광섬유를 삽입하여 접착되는 구성이다.
보강심(20)은 광섬유 접속부를 보강하고, 광섬유 접속부의 굴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일반적으로 상부가 평평한 반원통 형태의 스테인레스 스틸,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스테인레스 스틸은 상온에서 50도 이상의 온도 격차가 심한 환경에서 열팽창계수에 따른 치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점에 지속적인 응력(stress)를 주어 접속점이 파단되는 위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세라믹이나 유리(석영)의 경우 열팽창계수는 낮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지만, 금속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열수축 튜브(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PE 재질,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로 형성되고 있는데, 이는 고온 환경에서 취화(brittle) 현상이나 부풀림(we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광섬유 접속점에 지속적인 응력이 발생하여 접속점이 파단될 수 있는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시스템의 광통신 라인에서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1100), 보강심(1200), 융착튜브(1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보강심(1200)은 열수축 튜브(1100) 내측에 배치되고, 열수축 튜브(1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보강심(1200)은 융착튜브(1400)와 최장거리로 이격시키며, 보강심(1200) 내측의 한 점과 접하도록 삽입함으로써 열수축시 광섬유 접속부의 열전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강심(1200)의 재질로써 인바(Invar) 합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인바 합금은 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100℃ 이하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어서 온도 변화에 의한 치수 변화에 민감한 장치 등에 많이 사용되는 재질이다.
특히, 인바 합금 중 슈퍼 인바(Super Invar)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슈퍼 인바 합금은 열팽창계수가 석영의 열팽창계수와 거의 동일하여,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슈퍼 인바 합금은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가 적을 뿐만 아니라 상고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광섬유 융착점의 파단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융착 튜브(1400)는 열수축 튜브(1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광섬유(130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열수축 튜브(1100)의 내측에서 보강심(1200)은 융착 튜브(14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시스템의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융착 튜브(1400) 및 광섬유(1300)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튜브(1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 튜브(1500)는 내열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열 특성을 구비하기 위해서 내측 튜브(1500)는 폴리이미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열수축 슬리브의 구조에서 접착튜브 내부에 융착점을 보호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로 형성된 내측 튜브(1500)를 추가적으로 삽입하고, 내측 튜브(1500) 내에 단심 또는 다심의 광섬유(1300)를 삽입하여 융착접속법으로 접속 연결시킨 후 내측 튜브(1500)와 광섬유(1300) 사이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온도변화 환경에 따른 열수축 튜브(1100)와 융착 튜브(1400)의 부풀림 현상으로부터 광섬유 접속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광통신 라인의 구비 및 광섬유 접속 슬리브의 구조에 의하여, 일반 화재로 인한 온도가 급격히 변화될 경우라도 본 시스템의 각 구성들 간의 데이터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전기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장치의 구성 중 제어 유닛(400)의 하부 구성에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난간
120: 측벽
200: 방화판
300: 소화장치
400: 제어 유닛
1100: 열수축 튜브
1200: 보강심
1300: 광섬유
1400: 융착튜브
1500: 내측튜브
120: 측벽
200: 방화판
300: 소화장치
400: 제어 유닛
1100: 열수축 튜브
1200: 보강심
1300: 광섬유
1400: 융착튜브
1500: 내측튜브
Claims (5)
-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의 난간(110)을 지지하는 측벽(1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의 외측에 설치된 방화판(200);
상기 발코니의 난간(110) 하측의 외벽(130)에 배치되는 소화장치(300); 및
상기 방화판(200)의 회동 및 상기 소화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400);
을 포함하고,
상기 방화판(200)은 방화판 몸체(220); 및 상기 방화판 몸체(220)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측벽(120) 내부에 배치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방화판 몸체(220)를 회동시키고,
상기 소화장치(300)는, 내부에 소화물질(311)이 충진된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는 화재감지센서(320); 상기 화재감지센서(320)에 의하여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화물질(311)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노즐(330); 상기 노즐(330)의 개폐를 제어하는 평시폐쇄형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태양전지(34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상기 제어 유닛(400), 상기 화재감지센서(320) 및 상기 노즐(330)은 상기 태양전지(340)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에 기초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태양전지(340)로부터 발생된 전기가 충전되는 전력 저장부(410);
상기 화재감지센서(320)의 감지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420);
상기 입력부(42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430);
상기 화재 판단부(43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방화판(200)을 회동시키는 모터 구동부(440);
상기 화재 판단부(43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평시 폐쇄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노즐(330)을 개방하여 상기 소화물질(311)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노즐 개폐부(450); 및
상기 입력부(420), 상기 화재 판단부(430), 상기 모터 구동부(440) 및 상기 노즐 개폐부(450) 중 적어도 둘을 상호 연결하는 광통신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광통신 라인은, 복수 개의 광섬유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기하기 위한 광섬유 접속 슬리브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 접속 슬리브는 열수축 튜브(1100)와, 상기 열수축 튜브(1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수축 튜브(1100)를 지지하는 보강심(1200)과, 상기 열수축 튜브(1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광섬유(1300)가 삽입되는 융착 튜브(1400) 및 상기 융착 튜브(1400) 및 상기 광섬유(1300) 사이에는 내열 특성을 가진 내측 튜브(150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심(1200)은 슈퍼 인바(Super Invar) 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재 판단부(430)가 화재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440)는 상기 전력 저장부(410)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모터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방화판 몸체(200)를 상기 난간(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되, 상기 방화판 몸체(200)가 상기 외벽(130)의 턱부분에 맞닿게되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될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440)는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 인가를 차단하고,
상기 노즐 개폐부(450)는 상기 전력 저장부(410)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평시폐쇄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하여 상기 노즐(330)을 개방하는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측벽(120) 내부 및 상기 발코니의 난간(110) 하측의 외벽(130)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화 물질(311)은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고압으로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330)을 통해 거품 형태로 분출되는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379A KR101836084B1 (ko) | 2017-05-16 | 2017-05-16 |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379A KR101836084B1 (ko) | 2017-05-16 | 2017-05-16 |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6084B1 true KR101836084B1 (ko) | 2018-03-09 |
Family
ID=6172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0379A KR101836084B1 (ko) | 2017-05-16 | 2017-05-16 |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608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82578A (zh) * | 2021-03-03 | 2021-07-09 | 王桢 | 一种新型建筑用灭火地砖 |
CN113309222A (zh) * | 2021-07-03 | 2021-08-27 | 李孟杰 | 一种防火建筑钢结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728B1 (ko) * | 2010-05-25 | 2013-04-12 | 이인선 | 건물외벽장착용 소화장치 및 이것의 설치구조 |
KR101638406B1 (ko) * | 2015-06-18 | 2016-07-11 |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
KR101666929B1 (ko) * | 2014-07-16 | 2016-10-18 | 한국원자력연구원 | 광섬유 접속 보호용 열수축 슬리브 |
-
2017
- 2017-05-16 KR KR1020170060379A patent/KR1018360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728B1 (ko) * | 2010-05-25 | 2013-04-12 | 이인선 | 건물외벽장착용 소화장치 및 이것의 설치구조 |
KR101666929B1 (ko) * | 2014-07-16 | 2016-10-18 | 한국원자력연구원 | 광섬유 접속 보호용 열수축 슬리브 |
KR101638406B1 (ko) * | 2015-06-18 | 2016-07-11 |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82578A (zh) * | 2021-03-03 | 2021-07-09 | 王桢 | 一种新型建筑用灭火地砖 |
CN113309222A (zh) * | 2021-07-03 | 2021-08-27 | 李孟杰 | 一种防火建筑钢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6084B1 (ko) | 자가 전력원을 구비한 건물 발코니의 방화 장치 | |
KR102412188B1 (ko) |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
KR102185759B1 (ko) | Ess 소화 시스템 | |
KR101851319B1 (ko) |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 |
KR102308608B1 (ko)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 |
KR102236795B1 (ko) |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 |
KR20220131447A (ko)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 |
KR102152823B1 (ko)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 |
KR102172697B1 (ko) |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 |
KR101792526B1 (ko) | 내부식성 소화전 | |
KR101253728B1 (ko) | 건물외벽장착용 소화장치 및 이것의 설치구조 | |
US20090250230A1 (en) | Fire protection | |
KR20240082290A (ko) | 리튬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진압 방법 및 시스템 | |
KR102396887B1 (ko) |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 |
CN218474812U (zh) | 一种用于储能电柜的探温灭火系统 | |
KR101745858B1 (ko) | 온도 퓨즈를 구비한 건물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 |
CN208363475U (zh) | 一种钢柱防火构造 | |
KR20090126972A (ko) |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 |
KR101917171B1 (ko) | 화재로부터 폭발 방지가 가능한 소형 lpg 저장 탱크 | |
CN114622814B (zh) | 智能监控防火门 | |
KR102078081B1 (ko) |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 |
KR102116822B1 (ko) |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구조 | |
KR20220112107A (ko) | 소방호스 고정장치 | |
KR102187601B1 (ko) | 고성능 창호 | |
CN217366960U (zh) | 一种电缆隧道自动消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