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188B1 -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188B1
KR102412188B1 KR1020220023412A KR20220023412A KR102412188B1 KR 102412188 B1 KR102412188 B1 KR 102412188B1 KR 1020220023412 A KR1020220023412 A KR 1020220023412A KR 20220023412 A KR20220023412 A KR 20220023412A KR 102412188 B1 KR102412188 B1 KR 10241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proof plate
unit
park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188B9 (ko
Inventor
장준엽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188B1/ko
Publication of KR10241218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18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은, 연결된 다수의 방수판이 내장되는 방수판격납부; 주차면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레일부; 주차면 측으로 소방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방부; 방수판이 방수판격납부로부터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주차면 주위가 둘러지도록 하여 침수조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판이동부; 및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발생된 화재가 인식되면, 방수판이동부 및 소방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Firefighting system for parked vehicles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소방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 등의 이유로 전기차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 불량 등의 원인으로 인해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다수개의 배터리 셀을 연결한 상태이므로 자기장도 발생하고, 스파크나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의 발생은 거의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는 노면의 충격이나 차체의 충돌로 인해 배터리 셀의 균열이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화재 위험에도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충전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데, 전기자동차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기자동차로 화재가 번지게 되면 배터리 폭발 등에 의해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소방 안전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1921 (등록일자 2021년09월08일) 전기자동차 화재 안전장치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에 의한 화재를 소방하거나 전기자동차로의 화재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결된 다수의 방수판이 내장되는 방수판격납부; 주차면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주차면 측으로 소방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방부; 상기 방수판이 상기 방수판격납부로부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주차면 주위가 둘러지도록 하여 침수조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판이동부;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발생된 화재가 인식되면, 상기 방수판이동부 및 상기 소방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판은 금속재질의 본체, 타 방수판과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모듈 및 이동되기 위한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판이동부는 상기 방수판격납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방수판의 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방수판을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방부가 상기 방수판이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1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 이동이 완료되면 제2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방부가 제1 물량만큼 제1차 소방수를 방출하면,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한 화재상황에 따라 제2차 소방수 방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차차량을 덮도록 방화포를 상기 주차면 방향으로 방사하는 방화포방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침수조에 소방수가 채워진 형태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방화포방사부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포방사부는, 상기 방화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화포를 탄성체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방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화포의 네 모서리에는 무게추가 구비되며, 상기 방사부는 상기 방화포의 일측 양끝단에 구비된 두개의 무게추를 각각의 탄성체로 발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주차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격납된 방수판을 주차면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주차면 주위가 둘러지도록 하여 침수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침수조에 소방수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판이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1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 이동이 완료되면 제2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침수조에 소방수가 채워진 형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주차차량을 덮도록 방화포를 상기 주차면 방향으로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된 차량이 담기도록 임시 침수조를 형성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거나 다른 차량으로의 화재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포를 방사하여 주차된 자동차를 덮음으로써 다른 차량으로의 화재 확산 또는 주차차량으로의 화재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처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스템에서의 방수판을 이용한 침수조 형성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스템에서의 방화포 방사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의 운영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처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전기충전 시스템이 구비된 주차구획과 같은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대상 주차구획에 설치된 소방 시스템(100) 및 중앙관제센터(200)를 포함한다.
소방 시스템(100)은 대상 주차구획(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자동차에 발생된 화재 또는 주변에 화재가 발생함을 인식하면, 주차면(10)에 침수조를 형성하고 소방수를 방출하여 주차차량을 침수시킨다. 또한, 차후 설명하겠으나, 주차된 차량으로 방화포를 방사하여 덮음으로써, 주차차량으로부터의 화재 확산 또는 주차차량으로의 화재 전파를 차단한다.
중앙관제센터(200)는 소방 시스템(100)의 동작 등을 관제하고, 관련 정보(화재 발생 여부, 주차된 차량 정보 등)를 수신 및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전기충전소 등의 대상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자동차를 위한 소방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스템에서의 방수판을 이용한 침수조 형성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2와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스템은 연결된 다수의 방수판(130)이 내장되는 방수판격납부(110)와 주차면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레일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소방 시스템은 방수판이동부(140), 소방부(150), 방화포방사부(160), 카메라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부(150)는 주차면 측으로 소방수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소방 배관과 연결된 밸브를 조작하여 소방 배관으로부터의 소방수를 형성된 침수조로 방사한다. 다른 예를 들면, 소방부(150)는 전동밸브를 구비하여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밸브가 열리면 내부의 소화제를 외부로 방출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스프링클러와 같이 유리관이 깨지면서 물이 방출되는 형태, 소화기와 같은 소화액을 방출하는 형태 등일 수도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방식의 소화제 분사기능을 가진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방수판이동부(140)는 방수판격납부(110)에 격납된 방수판(130)을 레일부(12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방수판(130)이 주차면 주위를 둘러져 침수조가 형성된다.
제어부(180)는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발생된 화재가 인식되면, 방수판이동부(140) 및 소방부(150)를 구동시킨다. 즉, 침수조를 형성하고 침수조로 소방수를 방사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방수판(130)은 금속재질의 본체, 타 방수판과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모듈(134) 및 이동되기 위한 체인(132)을 포함한다. 즉, 방수판(130)은 연결모듈(134)에 의해 접혀서 방수판격납부(110)에 격납될 수 있으며, 체인(132)을 돌리는 방수판이동부(140)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방수판이동부(140)는 방수판(130)의 이동 시작위치와 종료위치에 대응되는 방수판격납부(110)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방수판(130)의 체인(132)을 이용하여 방수판(130)을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시킨다.
일례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방수판(130)의 이동이 완료(즉, 침수조 형성이 완료)된 이후 소방수를 방출하도록 방수판이동부(140) 및 소방부(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소방부(150)가 방수판(130)이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1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하고, 방수판(13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침수조가 형성되기 이전에도 소방수를 방출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되 초당 분사량을 보다 적게 하고, 침수조 형성이 완료되면 분사량을 높여 최대한 빠르게 주차차량을 침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소방부(150)가 제1 물량만큼 제1차 소방수를 방출하면, 구비된 카메라부(170)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한 화재상황에 따라 제2차 소방수 방출 여부를 결정한다. 화재 상황에 따라 차량의 침수량을 달리하기 위한 것이다. 가벼운 화재시에는 차량의 침수량을 적게 하여 차량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화재가 크다 판단되는 경우에는 차량손실에도 불구하고 차량폭발, 화재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침수량을 크게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방 시스템(100)은 화재감지기, 주차감지기 등의 추가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는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등의 화재에 의한 열, 연기 등을 감지함으로써 화재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주차감지기는 대상 주차면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일례에 따르면, 레이저 센서 또는 열감지 센서로 구현되어 자체적으로 차량과 같은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주차감지기의 기능은 카메라부(17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80)가 카메라부(170)로부터 수신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스템에서의 방화포 방사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방 시스템의 방화포방사부(160)는 주차차량을 덮도록 방화포(500)를 주차면 방향으로 방사한다.
방화포방사부(160)는 주차된 전기자동차 위로 방화포(500)가 덮일 수 있도록 방화포(500)를 방사한다. 방화포방사부(160)는 방화포(5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구비되어 방화포(500)를 탄성체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본체부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방사부를 포함한다.
방화포방사부(160)는 수평방향으로 방화포(500)를 탄성체를 이용하여 방사한다. 이로 인해 방사된 방화포(500)는 하강하면서 주차된 전기자동차를 덮게 된다. 방화포(500)는 열 및 불길을 차단하는 재질이므로, 전기자동차에 발생된 화재를 공기를 차단하여 소방하거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또는 외부로부터의 불길이 전기자동차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스템은 방화포방사부(16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수동조작수단 또는 원격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원격제어수단(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포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조작수단은 레버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수단은 레버가 모터에 의해 동작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모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특정 장치를 수동 조작하거나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 및 장치들에서도 이용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에 따르면, 도면과 같이 방화포(500)의 네 모서리(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무게추가 구비되고, 그 중 일측 양 끝단에 있는 무게추를 스프링과 같은 각각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발사시킨다. 그러면 발사된 두 무게추에 의해 방화포(500)가 펼쳐지고, 발사된 힘에 의해 나머지 두 무게추도 본체부에서 이탈되며, 이후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방화포(500)가 주차된 전기자동차를 덮게 된다. 방화포방사부(160)의 본체로부터 발사된 두개의 무게추에 의해 펼쳐진 방화포(500)는 4개의 무게추에 의한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전기자동차를 덮게 된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방화포(500)는 탄성체에 의해 발사되는 2개의 무게추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나머지 2개의 무게추는 본체부 외부 아래에 위치한다. 이에 따르면 발사된 2개의 무게추에 의해 방화포가 차량 방향으로 넘어지듯이 덮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본 도 4에서 방화포의 발사되지 않는 무게추 부위는 무게추가 구비될 필요없이 바닥 또는 벽의 구조물에 고정된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일례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은 제어부(180)는 카메라부(170)에 의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방사된 방화포(500)가 정상적으로 주차차량을 덮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며, 방화포(500)가 비정상적으로 주차차량을 덮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부(170)에 의한 영상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화재위험도에 따라 소방부(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화포(500)가 차량의 트렁크 쪽에는 제대로 덮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비정상적으로 방화포(500)가 방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10분 이상 진행되거나 촬영된 영상에서 불길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면 소방부(150)가 해당 위치에 소방수를 방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소방부(150)는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미도시)에 의해 이동되어 소방수를 분사하는 위치가 달라지도록 구현되어, 제어부(180)가 촬영영상의 분석에 의해 소방부(150)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소방부(150)를 이용하더라도 필요한 위치에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어 적은 구축비용으로도 소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방화포(500)에는 감온도료가 도포되어 있으며, 제어부(180)는 감온도료의 색상을 식별하여 취득한 온도정보를 중앙관제센터(2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현장의 촬영영상과 함께 온도정보를 확임함으로써 현장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방 시스템은 카메라부(170)에 의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감온도료의 색상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소방부(15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현장상황의 판단에 방화포(500)의 감온도료 색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방수판에 의해 형성된 침수조에 소방수가 채워진 형태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방화포방사부(16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침수조에 정상적으로 소방수가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만 방화포를 방사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의 운영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상 주차면에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이 주차됨을 감지한 상태에서(610),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한다(S620).
그러면, 방수판을 이동시켜 침수조를 형성하고, 소방수를 방출한다(S630).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에 따르면, 방수판이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1 분사량으로 방출하고, 방수판 이동이 완료되면 제2 분사량으로 소방수를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구비된 카메라부(170)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침수조에 소방수가 채워진 형태 등의 상황분석을 수행한다(S640).
상황분석 결과에 따라 소방수 방출을 제어하거나 주차차량을 덮도록 방화포를 주차면 방향으로 방사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어한다(S650). 영상 분석에 의한 소방수 제어, 방화포 방사 등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소방 시스템 110 : 방수판격납부
120 : 레일부 130 : 방수판
140-1, 140-2 : 방수판이동부 200 : 중앙관제센터
500 : 방화포

Claims (11)

  1. 연결된 다수의 방수판이 내장되는 방수판격납부;
    주차면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주차면 측으로 소방수를 분사하기 위한 소방부;
    상기 방수판이 상기 방수판격납부로부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주차면 주위가 둘러지도록 하여 침수조를 형성하기 위한 방수판이동부;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에 발생된 화재가 인식되면, 상기 방수판이동부 및 상기 소방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판은 금속재질의 본체, 타 방수판과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모듈 및 이동되기 위한 체인을 포함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이동부는 상기 방수판격납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방수판의 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방수판을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방부가 상기 방수판이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1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 이동이 완료되면 제2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방부가 제1 물량만큼 제1차 소방수를 방출하면,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한 화재상황에 따라 제2차 소방수 방출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차차량을 덮도록 방화포를 상기 주차면 방향으로 방사하는 방화포방사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침수조에 소방수가 채워진 형태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방화포방사부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화포방사부는,
    상기 방화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화포를 탄성체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밀어내기 위한 방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화포의 네 모서리에는 무게추가 구비되며, 상기 방사부는 상기 방화포의 일측 양끝단에 구비된 두개의 무게추를 각각의 탄성체로 발사시키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9.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주차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격납된 방수판을 주차면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주차면 주위가 둘러지도록 하여 침수조를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방수판은 금속재질의 본체, 타 방수판과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모듈 및 이동되기 위한 체인을 포함함 -; 및
    상기 침수조에 소방수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이 이동되는 동안에는 제1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하고, 상기 방수판 이동이 완료되면 제2 분사량으로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구비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침수조에 소방수가 채워진 형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주차차량을 덮도록 방화포를 상기 주차면 방향으로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에서의 운영방법.
KR1020220023412A 2022-02-23 2022-02-23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41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12A KR102412188B1 (ko) 2022-02-23 2022-02-23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12A KR102412188B1 (ko) 2022-02-23 2022-02-23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188B1 true KR102412188B1 (ko) 2022-06-27
KR102412188B9 KR102412188B9 (ko) 2023-04-12

Family

ID=8224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12A KR102412188B1 (ko) 2022-02-23 2022-02-23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1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2803A1 (de) * 2021-05-19 2022-11-24 Niederberger, Anton Löschanordnung und verfahren zum löschen oder kühlen eines geparkten oder abgestellten fahrzeugs
KR102562824B1 (ko) * 2023-02-21 2023-08-02 주식회사 탑로드 친환경 이동 장치 자동 소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590583B1 (ko) * 2022-11-24 2023-10-19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전기차 충전소용 셔터식 차수판 장치
KR102590584B1 (ko) * 2022-11-24 2023-10-20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전기차 충전소용 행거식 차수판 장치
KR102598716B1 (ko) * 2022-11-24 2023-11-06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차량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596906B1 (ko) * 2022-08-29 2023-11-07 대한시스텍주식회사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KR102663237B1 (ko) * 2022-11-29 2024-05-03 유진영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350B1 (ko) * 2016-02-29 2017-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형 방염천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WO2018222046A1 (en) * 2017-05-30 2018-12-06 Extinctus As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energy storage devices of vehicles with electrical drive
KR101937291B1 (ko) * 2018-01-04 2019-01-1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용 화재 탐지 및 소화 시스템
KR102301921B1 (ko) 2021-03-18 2021-09-15 임상진 전기자동차 화재 안전장치 시스템
KR102339405B1 (ko) *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350B1 (ko) * 2016-02-29 2017-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개형 방염천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WO2018222046A1 (en) * 2017-05-30 2018-12-06 Extinctus As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energy storage devices of vehicles with electrical drive
KR101937291B1 (ko) * 2018-01-04 2019-01-1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용 화재 탐지 및 소화 시스템
KR102301921B1 (ko) 2021-03-18 2021-09-15 임상진 전기자동차 화재 안전장치 시스템
KR102339405B1 (ko) *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2803A1 (de) * 2021-05-19 2022-11-24 Niederberger, Anton Löschanordnung und verfahren zum löschen oder kühlen eines geparkten oder abgestellten fahrzeugs
KR102596906B1 (ko) * 2022-08-29 2023-11-07 대한시스텍주식회사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WO2024049044A1 (ko) * 2022-08-29 2024-03-07 대한시스텍주식회사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KR102590583B1 (ko) * 2022-11-24 2023-10-19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전기차 충전소용 셔터식 차수판 장치
KR102590584B1 (ko) * 2022-11-24 2023-10-20 케이비엔지니어링(주) 전기차 충전소용 행거식 차수판 장치
KR102598716B1 (ko) * 2022-11-24 2023-11-06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차량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663237B1 (ko) * 2022-11-29 2024-05-03 유진영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 장치
KR102562824B1 (ko) * 2023-02-21 2023-08-02 주식회사 탑로드 친환경 이동 장치 자동 소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188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188B1 (ko)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372971B1 (ko) 전기자동차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591815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WO2017179953A1 (ko)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및 진압 시스템
KR100981725B1 (ko)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8513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US20070039744A1 (en) Tunnel fire protection system
KR101634337B1 (ko) 화재 감지 및 진화 장치
KR20210060160A (ko) 자동 소화 장치를 갖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US20120061109A1 (en) Silent responder fire fighting systems
KR100313597B1 (ko) 화재진화용 소화탄
JPH0975472A (ja) 消火装置、消防自動車および消火システム
CN109663258B (zh) 一种智能控制消防系统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633796B1 (ko) 소화탄이 탑재된 화재진압용 소방드론
KR20230123542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137400B1 (ko) 방화 및 방연 시스템
CN209771175U (zh) 一种高楼层遥控温控扑火装置
KR102581683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619703B1 (ko) 건축물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안전성 향상 신속소방방재장치
KR102262150B1 (ko) 차열 기능과 소화 기능이 구비된 방화 셔터 시스템
KR102627402B1 (ko) 주변기기 연동이 가능한 IoT 스마트 스프링클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