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906B1 -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906B1
KR102596906B1 KR1020230048678A KR20230048678A KR102596906B1 KR 102596906 B1 KR102596906 B1 KR 102596906B1 KR 1020230048678 A KR1020230048678 A KR 1020230048678A KR 20230048678 A KR20230048678 A KR 20230048678A KR 102596906 B1 KR102596906 B1 KR 10259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locking film
ground
fram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순용
성정현
나동일
Original Assignee
대한시스텍주식회사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시스텍주식회사,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시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886A/ko
Priority to PCT/KR2023/011784 priority patent/WO202404904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막,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및 구동부 및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FIRE CONTROL DEVICE AND FIR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차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기술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이온 전지(Lithium-ion battery) 등의 전지는 전기차의 전력 공급 수단으로서 널리 이용된다. 전지 주변의 화재로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전지의 분리막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전지의 양극과 음극이 직접적으로 단락(short)될 수 있다. 양극과 음극의 직접 단락으로 인해 폭발적인 발열 반응이 일어나 전지의 온도는 더욱 상승하여 화재를 촉진한다. 또한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면 양극 또는 음극의 일부 활물질은 분해되어 산소가 발생하여 전지 또는 주변의 발화 및 연소를 더욱 촉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추가적인 열과 산소가 생성되어 화재가 더욱 촉진되는 것을 열폭주(thermal runaway)라 한다.
전지의 열폭주는 전지의 내부 에너지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진행되므로, 일반적인 소화 장비로는 전지에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어렵다. 전지의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으로 전지를 냉각하여 전지의 열폭주를 막는 방안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차의 전지는 통상적으로 전기차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전기차의 화재 발생 시 전기차의 하부가 소화 물질에 잠기도록 전기차 주변에 수조를 형성하여 전지의 온도 상승을 막고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KR 10-2339405 B1, KR 10-2154441 B1 등의 선행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방대상물에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단막은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전개되어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화재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소화 물질에 의해 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는,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막,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및 구동부 및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지면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도록 배치되고, 구동부는 차단막의 상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차단막을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제어 장치는, 차단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연결부 및 일측이 와이어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함으로써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차단막을 회수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소방대상물을 직사각형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차단막은, 프레임의 모서리를 따라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사각기둥 형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와이어 연결부는 차단막의 상단부 각 꼭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단막은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결합부를 구비하고, 화재 제어 장치는, 결합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차단막과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차단막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지면에 매립되는 인출식 기둥 조립체를 포함하고, 인출식 기둥 조립체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1 기둥 및 제1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기둥에 관통 형성되는 중공에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기둥을 포함하고, 차단막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기둥에 고정되고,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제2기둥을 중공으로부터 인출시켜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제2 기둥을 중공에 인입시켜 차단막을 회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지면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는 회전식 기둥 조립체를 포함하고, 회전식 기둥 조립체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는 관절부 및 관절부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관절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암(arm)을 포함하며, 차단막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암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관절부를 기준으로 암을 회전시켜, 암을 지면에 대해 세워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암을 지면에 대해 눕혀 차단막을 회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차단막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차단막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싸는 수평 지지부재, 및 수평 지지부재에 대해 일단이 고정되고 수평 지지부재로부터 하방 또는 대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고정되는 측면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수납된 차단막의 전개 시 차단막이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자기 인력으로 도어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1 자기력 제공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은, 차단막의 전개 시, 지면에 인접하는 차단막의 수용 공간 측 측면으로부터 지면을 따라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은 자기 인력으로 차단막의 하단을 지면 또는 프레임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자기력 제공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제어 장치는, 소방대상물 주변의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를 더 포함하고, 제연부는, 외부와 연통되어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연기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 및 연기가 유입구로 흡입되어 덕트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연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제어 장치는, 소방대상물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 및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제어 장치는,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 및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제어 장치는,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 및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막,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구동부 및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소방대상물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은, 제1 센서로부터 화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가 차단막을 전개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주입부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주입하도록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제어 장치는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센서, 및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3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화재 제어 방법은, 제2 센서 및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및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또는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수용 공간으로 소화 물질이 주입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주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제어 장치는 소방대상물 주변의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를 더 포함하고, 화재 제어 방법은,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제연부가 연기를 흡입하도록 제연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등의 소방대상물의 화재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화재 발생 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신속하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소화 물질을 주입하여 배터리 등을 신속하게 냉각하여 열폭주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은 지면 아래에 매립될 수 있고, 차단막이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프레임 내부에 보관될 수 있으므로 화재 제어 장치 주변의 통행이 방해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 각각은 본 발명의 다양한 개별 실시예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의 프레임 및 차단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의 차단막의 일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기둥 조립체의 일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기둥 조립체의 일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와이어 연결부 및 절첩식 차단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와이어 연결부 및 권취식 차단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의 차단막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화재 제어 장치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부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난 화재 제어 장치의 차단막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의 화재 제어 장치의 차단막 및 지지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연부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는 것이고,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한, 단수는 물론 복수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들 또는 어떤 단계들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 또는 명세서 전체에 열거된 것 이외의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도 아니며, 단지 이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문맥상 명세서의 일 부분에서 일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 구성요소도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재배열되어 행해질 수 있고,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을 부가하여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에 속하는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명세서와 도면의 간결함을 위하여,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관련이 없는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추가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추가 구성 요소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은 화재 제어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며, 화재 제어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 일부만 포함하거나, 도 1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110),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10)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막(120),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140),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150), 및 구동부(140) 및 주입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은 도어(115) 및 선형 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5)는 수납된 차단막(120)의 전개 시 차단막(120)이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폐될 수 있다. 선형 부재(117)는 프레임(110)의 형상을 구성하거나, 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부재(117)는 보, 기둥 및 트러스 등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부재(117)는 직선은 물론 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선형 부재(117)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프레임(110)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선형 부재(117)는 체결 부재를 통해 서로 체결되거나, 용접, 삽입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차단막(1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120)은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10)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차단막(120)이 화재 제어 장치(100) 주변의 사람 또는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차단막(120)은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막(120)은 수용 공간 내부의 액체 등이 차단막(120)을 통과하거나 차단막(120) 및 지면 사이의 틈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막(120)은 방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120)은 내열 또는 방염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막(120)은 섭씨 700도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12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차단막(120)을 지지하는 지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30)는 전개된 차단막(120)을 지지하여 차단막(120)의 파손 또는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는 일부가 이동되어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킬 수 있다. 지지부(13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주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150)는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주입부(150)는 소화 물질 공급원으로부터 소화 물질을 공급 받아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분사하거나 주입하여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소화 물질은 소방수 등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 물질 공급원은 건물 또는 주차장에 설치된 소화전, 상수도, 방화수 배관 또는 소방차의 물탱크 또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15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제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연부(170)는 소방대상물 주변의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연부(170)는 연기의 흡입을 위한 송풍기(171) 및 연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덕트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연부(17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은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40)는 차단막(1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차단막(120)의 일측을 이동시켜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킬 수 있다. 이 때, 차단막(120)의 타측은 프레임(110), 지면, 기둥, 벽 또는 천장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는 지지부(130)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40)에 의해 지지부(130)의 일부가 이동되어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는 프레임(110)을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도어(115)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선형 부재(117)를 이동, 연장 또는 단축하여 프레임(110)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 부재(117)가 연장되어 프레임(110)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선형 부재(117)가 단축되어 프레임(110)의 폭이 좁아질 수도 있다. 이는 프레임(110)이 적응적으로 주변 지형, 장애물 또는 환경에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구동부(140)는 엔진, 전기 모터 또는 유압 펌프 등의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는 기어, 캠, 크랭크, 링키지, 체인 또는 벨트 등의 동력 전달 및 변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는 제연부(170)를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제연부(170)의 덕트부(173)를 이동, 연장 또는 단축하거나 송풍기(171)를 이동하여 연기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밸브 또는 도어를 개폐하여 연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구동부(140), 주입부(150) 또는 제연부(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주입부(150)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주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주입부(150)를 제어하여 수용 공간으로 소화 물질을 공급 또는 차단하거나, 소화 물질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구동부(140)가 도어(1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구동부(140)가 선형 부재를 이동, 연장 또는 단축하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구동부(140)의 구동 속도 및 구동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제연부(170)를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송풍기(171)를 켜거나, 끄거나, 송풍기(171)의 송풍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6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80)는 화재 제어 장치(100) 및 주변의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센서(18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센서(18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140), 주입부(150) 또는 제연부(1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의 센서(18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80)는 소방대상물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181),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센서 또는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3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80)는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화재 제어 장치(100) 또는 프레임(110)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센서(18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프레임(110) 및 차단막(12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0)은 전개되어 지면(9)과 함께 소방대상물(5)을 둘러싸는 수용 공간(7)을 형성할 수 있다. 소화 물질은 차단막(120) 및 지면(9)에 의해 수용 공간(7)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7)에 공급된 소화 물질에 의해 소방대상물(5)의 일부가 냉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은 지면(9)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9) 아래에 매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선형 부재(11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은 4개의 선형 부재(117)가 소방대상물(5)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은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지면(9)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화재 제어 장치(100) 또는 프레임(110)을 이동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단막(120)은 프레임(110) 또는 지면(9)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차단막(120)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므로 차단막(120)의 유지보수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개된 차단막(120)의 높이는 소화 물질의 하중 또는 소방대상물(5)에 장착되는 배터리 셀의 높이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전개된 차단막(120)의 높이는 화재가 발생한 소방대상물(5)(예: 전기차) 하부의 배터리 셀이 잠길 수 있도록 소방대상물(5)하부의 높이보다는 높으면서 소방대상물(5)의 탑승자가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개된 차단막(120)의 높이는 50cm 내지 70cm일 수 있으나, 그 높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191)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0)은 프레임(110)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막(120)은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110)으로 인입되어 회수될 수 있다. 도 3에서, 천장(8)에 프레임(11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천장(8) 상에 배치되거나 천장(8) 위에 매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천장(8)은 주차장 등의 천장일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차단막(120)은 천장(8)에 배치된 프레임(110)으로부터 천장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고, 하강하여, 지면(9) 상의 안착 위치(91)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차단막(120)은 와이어(191)에 의해 안착 위치(91)로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191)의 일단은 구동부(140, 도 1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91)의 일부는 차단막(120)에 구비되는 와이어 연결부(193)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와이어(191)를 권취하거나 권출함으로써 차단막(120)을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는 와이어(191)를 권취하거나 권출함으로써 차단막(120)을 전개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191)은 차단막(12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와이어(191)의 일단은 천장(8)의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인앙 와이어(191)의 타단은 안착 위치(9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구동기 없이도 차단막(120)은 천장(8)의 프레임(110)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와이어(191)를 타고 하강하여 안착 위치(91)로 유도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차단막(120)은 천장(8)로부터 하강하여 전개 및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차단막(120)의 전개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단막(120)은 지면(9)으로부터 상승하여 전개 및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차단막(120)은 직립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어 전개 및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차단막(120)의 일 단면도이다. 차단막(120) 및 지면(9) 사이는 밀폐되어 수용 공간(7) 내부의 소화 물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0)은, 차단막(120)의 전개 시, 지면(9)에 인접하는 차단막(120)의 수용 공간(7) 측 측면(121)으로부터 지면(9)을 따라 수용 공간(7)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실링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123)의 단면이 'ㄴ'-자 형상이 되도록 실링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123)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9)은 수용 공간(7)에 채워진 소화 물질의 중력에 의해 눌리고, 이에 따라 차단막(120)이 지면(9)에 밀착되어 차단막(120) 및 지면(9)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0)은 자기 인력으로 차단막(120)의 하단을 지면(9) 또는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자기력 제공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9) 상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주차선 등) 상에 금속 라인이 구비되고, 차단막(120)의 하부 또는 실링부(120)에 자석 바 등의 제2 자기력 제공 부재가 구비되어, 차단막(120)의 하강 시 자기력 제공 부재가 금속 라인에 결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 공간(8)이 보다 확실하게 차폐되어 수용 공간(8)에 주입된 소화 물질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수용 공간(8)의 내부를 향하는 제2 자기력 제공 부재의 측면 상에 고무 바 등의 밀폐 부재를 추가로 부착하여 소화 물질의 누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0)의 하단에는 무게 추(미도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용 공간(8)이 보다 확실하게 차폐되어 수용 공간(8)에 주입된 소화 물질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 도 1 참조)는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지면(9)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차단막(120)을 전개시킬 수 있다. 이 때 차단막(120)의 하단부는 지면(9) 또는 프레임(110)에 접촉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차단막(120)은 지면(9)에 구비된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어 상승 및 전개될 수 있다. 즉, 차단막(120)의 상단부(124)는 구동부(140)에 의해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어 상승하고, 차단막(120)이 전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0)은 상단부(124) 또는 측면부에 결합부(125, 도 21 또는 도 22 참조)를 구비하고, 화재 제어 장치(100)는, 결합부(125)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차단막(120)과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차단막(120)을 지지하는 지지부(130, 도 1 참조)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60, 도 1 참조)는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지지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30)는 수평 지지 부재(131)를 포함하고, 수평 지지 부재(131)는 차단막(120)의 상단부(124) 또는 측면부에 인접하여 차단막(120)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다. 제어부(160)는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수평 지지 부재(131)를 상승시켜 차단막(120)을 전개하거나, 수평 지지 부재(131)를 하강시켜 차단막(120)을 회수시킬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의 일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30, 도 1 참조)는 지면(9)에 매립되는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를 포함하고,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1 기둥(1331) 및 제1 기둥(1331)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기둥(1331)에 관통 형성되는 중공(90)에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기둥(1334)을 포함하고, 차단막(120)의 상단부(124)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기둥(1334)에 고정되고, 제어부(160, 도 1 참조)는, 구동부(140, 도 1 참조)를 제어하여 제2기둥(1334)을 중공(90)으로부터 인출시켜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제2 기둥(1334)을 중공(90)에 인입시켜 차단막(120)을 회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는 3개 이상의 기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 과 같이,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는 4개의 기둥, 즉, 제1 기둥(1331), 제1 중간 기둥(1332), 제2 중간 기둥(1333), 제2 기둥(1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간 기둥(1332)은 제1 기둥(1331)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제2 중간 기둥(1333)은 제1 중간 기둥(1332)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제2 기둥(1334)은 제2 중간 기둥(1333)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는 지면(9)에 매립되는 프레임(1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은 지면(9)에 형성되는 홈(92)에 매립되고, 프레임(1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115, 도 1 참조)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 또는 차단막(120)은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110)에 인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는 내부 레일(143)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레일(143)에 의해 제2기둥(1334), 제1 중간 기둥(1332) 또는 제2 중간 기둥(1333)이 제1기둥(1331)의 중공(9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중공(90)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중간 기둥(1332)이 인출 시, 제1 중간 기둥(1332)의 하단부는 제1 기둥(1331)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중간 기둥(1332)이 제1 기둥(133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기둥이 2개인 경우, 제2 기둥(1334)의 하단부는 제1 기둥(1331)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110) 또는 차단막(120)의 꼭지점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10) 또는 차단막(120)의 네 꼭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인출식 기둥 조립체(133) 각각의 제2 기둥(1334)의 인출(상승) 또는 인입(하강)속도는 서로 동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지면(9) 또는 프레임(110)에 대해 균일 또는 평행한 상태로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차단막(120)이 전개 또는 회수되므로 차단막(120)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의 일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30, 도 1참조)는 지면(9)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9) 아래에 매립되는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를 포함하고,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는 지면(9)에 대해 고정되는 관절부(1351) 및 관절부(1351)에 기단부(1352a)가 연결되어 관절부(135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암(arm)(1352)을 포함하며, 차단막(120)의 상단부(124)의 적어도 일부는 암(1352)의 선단부(1352b)에 고정되고, 제어부(160, 도 1 참조)는, 구동부(140, 도 1 참조)를 제어하여 관절부(1351)를 기준으로 암(1352)을 회전시켜, 암(1352)을 지면(9)에 대해 세워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암(1352)을 지면에 대해 눕혀 차단막(120)을 회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는 지면(9)에 매립되는 프레임(1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은 지면(9)에 형성되는 홈(93)에 매립되고, 프레임(1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115, 도 1 참조)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 또는 차단막(120)은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프레임(110)에 인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는 관절부(1351)를 기준으로 암(1352)을 회전시킬 수 있고, 암(1352)의 회전에 의해 차단막(120)이 전개되거나 회수될 수 있다. 관절부(1351)는 암(135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 공간(7) 내부의 소화 물질의 하중에 의해 암(1352)이 수용 공간 바깥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부(1351)는 암(1352)이 0도 내지 90도 이내의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110) 또는 차단막(120)의 꼭지점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10) 또는 차단막(120)의 네 꼭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식 기둥 조립체(135) 각각의 제2 기둥(1334)의 회전 속도는 서로 동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지면(9) 또는 프레임(110)에 대해 균일 또는 평행한 상태로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차단막(120)이 전개 또는 회수되므로 차단막(120)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145)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 도 1 참조)는 리프트(145)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145)에 대해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막(12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수평 지지 부재(131)가 리프트(145)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리프트(145)를 작동하여 수평 지지 부재(131) 또는 차단막(120)의 상단부(124)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차단막(120)을 전개 또는 회수할 수 있다. 도 9에는 지게형 리프트가 도시되어 있으나, 리프트(145)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업계에 알려진 형태의 다른 리프트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1911, 1912)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차단막(120)의 상단부(124)에 구비되는 와이어 연결부(1931, 1932) 및 일측이 와이어 연결부(1931, 1932)에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부(140, 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와이어(1911, 1912)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와이어(1911, 1912)를 권취하거나 권출함으로써 차단막(120)을 전개시키거나 차단막(120)을 회수시킬 수 있다. 구동부(140)는 권취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하부 프레임(111), 기둥 프레임(112) 및 상부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1)은 지면에 대해 고정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3)에는 권취부(147)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부(147)는 와이어(1911, 1912)를 권취 또는 권출할 수 있는 윈치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프레임(112)은 하부 프레임(111)에 대해 일단이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113)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부 프레임(113)을 지지할 수 있다. 권취부(147)가 상부 프레임(113)에 대해 고정되므로, 천장에 의존하지 않고도 권취부(147) 등의 구성 요소가 차단막(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의 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난 기둥 프레임(11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선형 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부재(117)가 연장 또는 단축되어 상부 프레임(113) 및 상부 프레임(113)에 고정된 부재들의 높이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111) 또는 상부 프레임(113)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도는 단축될 수 있는 선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부재가 연장 또는 단축되어 하부 프레임(111) 또는 상부 프레임(113)의 길이 또는 폭이 조절될 수 있다.
권취부(147)의 회전 구동으로 와이어(1911, 1912)가 권취부(147)에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 연결부(1931, 1932)에 의해 와이어(1911, 1912)에 연결된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상승하여 차단막(120)이 전개될 수 있다. 차단막(120)이 전개된 이후, 차단막(120)의 상단부(124)에 고정된 와이어(1911, 1912)에 의해 차단막(120)이 지지될 수 있다. 즉, 와이어(1911, 1912)의 장력에 의해 차단막(120)의 형상이 유지되어, 차단막(120)이 수용 공간(7)에 채워진 소화 물질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막(120)의 상단부(124)가 지면 또는 하부 프레임(111)에 대해 균일하게 상승하도록 복수의 권취부(147) 각각이 와이어(1911, 1912)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1)은 소방대상물(5)을 직사각형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차단막(120)은, 프레임(111)의 모서리를 따라 소방대상물(5)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사각기둥 형상의 수용 공간(7)을 형성하고, 와이어 연결부(1931, 1932)는 차단막(120)의 상단부(124) 각 꼭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1)의 직사각형 형상은 소방대상물(5)의 폭 및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111)의 직사각형 형상은 주차선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와이어(1911, 1912)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40, 도 1 참조)는 도르래(1481, 1482) 및 권취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1481, 1482)는 차단막(120) 위의 상부 프레임(1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911, 1912)는 도르래(1481, 1482)에 감겨 도르래(1481, 1482)는 와이어(1911, 1912)의 방향을 전환하고, 방향이 전환된 와이어(1911, 1912)의 일 단부는 권취부(147)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부(147)의 회전 구동에 의해 와이어(1911, 1912)가 권취부(147)에 권취 또는 권출되어 차단막(120)이 전개 또는 회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와이어가 복수의 도르래에 감기거나, 복수의 와이어가 하나의 도르래에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방 와이어(1911)는 전방 도르래(1481) 및 후방 도르래(1482)에 순서대로 감기고, 후방 와이어(1912)는 후방 도르래(1482)에 감길 수 있다. 즉, 후방 도르래(1482)에 전방 와이어(1911) 및 후방 와이어(1912)가 함께 감기고, 권취부(147)에 의해 전방 와이어(1911) 및 후방 와이어(1912)가 함께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이는 도 10에 나타난 화재 제어 장치에 비해 더 적은 수의 권취부(147)로도 차단막(120)을 전개 또는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는 절첩식 차단막(12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191), 와이어 연결부(193) 및 절첩식 차단막(120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절첩식 차단막(1201)은 절첩되어 프레임(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은 도 11에 나타난 하부 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첩식 차단막(1201)의 상단에는 와이어 연결부(193)가 구비되고, 와이어 연결부(193)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91)에 의해 절첩된 절첩식 차단막(1201)은 전개될 수 있다. 절첩식 차단막(1201)에는 절첩부(1201a)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절첩부(1201a)를 따라 절첩식 차단막(1201)이 절첩될 수 있다. 절첩부(1201a)에는 절첩식 차단막(1201)의 절첩을 돕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첩부(1201a)에는 절첩선이 미리 형성되고, 형성된 절첩선을 따라 절첩식 차단막(1201)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는 권취식 차단막(1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191), 와이어 연결부(193) 및 차단막(1202)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권취식 차단막(1202)은 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1203)에 권취되어 프레임(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은 도 11에 나타난 하부 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식 차단막(1202)의 상단에는 와이어 연결부(193)가 구비되고, 와이어 연결부(193)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91)에 의해 드럼(1203)에 권취된 권취식 차단막(1202)이 권출되어 전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엽 또는 스프링 등의 복원력 제공 부재(미도시)가 프레임(110) 내부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91)에 의해 드럼(1203)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럼(1203)에 권취된 권취식 차단막(1202)이 권출 및 전개될 때, 복원력 제공 부재는 드럼(1203)을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제공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드럼(1203)이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전개된 권취식 차단막(1203)이 드럼(1203)에 권취되어 회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와이어(1911, 1912)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111) 및 수납된 차단막(120)은 지면 아래에 매립될 수 있다. 이는 화재 제어 장치(100) 주변의 통행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량(5)이 프레임(111) 또는 차단막(120)을 밟지 않게 되므로 프레임(111) 또는 차단막(1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량(5)의 통행이 원활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 프레임(112)은 하부 프레임(111)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기둥 프레임(112)은 하부 프레임(111)의 후방에만 배치되고, 하부 프레임(111)의 전방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5)이 기둥 프레임(112)에 충돌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방 와이어(1911) 및 후방 와이어(1912)는 와이어 거치부(119)에 거치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난 것과 같이, 후방에 배치된 기둥 프레임(112)에 고정되는 와이어 거치부(119)에 전방 와이어(1911) 및 후방 와이어(1912)가 거치되어, 차량(5)이 전방 와이어(1911) 또는 후방 와이어(1912)에 걸려서 통행이 방해되는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의 차단막(120)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화재 제어 장치(100)의 하부 프레임(111), 기둥 프레임(112) 및 상부 프레임(113)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부(147)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난 화재 제어 장치(100)의 차단막(120)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30)는, 차단막(120)에 인접하여 차단막(120)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싸는 수평 지지부재(131), 및 수평 지지부재(131)에 대해 일단이 고정되고 수평 지지부재(131)로부터 하방 또는 대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고정되는 측면 지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지지부재(131) 및 측면 지지부재(132)는 차단막(12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차단막(1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수평 지지부재(131) 및 측면 지지부재(13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측면 지지부재(132)는 서로 다른 수평 지지부재(13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재(13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즉, 측면 지지부재(132)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1, 112, 113)은, 수납된 차단막(120)의 전개 시 차단막(120)이 프레임(111, 112, 113)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도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111)은 도어(1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111)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도어(115)는 하부 프레임(11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5에 따르면, 차단막(120) 및 지지부(130)는 하부 프레임(111)에 수납될 수 있다. 이 때, 도어(115)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따르면, 차단막(120) 및 지지부(131, 132)는 하부 프레임(111)으로부터 인출 및 전개되어 소방대상물(5)을 둘러싸는 수용 공간(7)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권취부(147)는 상부 프레임(113)에 고정될 수 있고, 프레임(111, 112, 113)에는 와이어(1913, 1914)를 유도하는 시브(sheave, 1493, 1494) 또는 도르래(1483, 148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차단막(120)의 상부 또는 지지부(130)에는 와이어 연결부(1933, 1934)가 구비될 수 있다. 일단이 와이어 연결부(1933, 1934)에 연결되는 와이어(1913, 1914)는 시브(1493, 1494) 또는 도르래(1483, 1484)에 의해 유도되어 권취부(147)의 드럼(1471, 1472)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부(147)의 드럼(1471, 1472)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1913, 1914)가 드럼(1471, 1472)에 권취되고, 차단막(120) 및 지지부(130)가 전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권취부(147)에는 제1 와이어(1913) 및 제2 와이어(1914)가 함께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권취부(147)은 분리벽(1473)에 의해 분할되는 제1 드럼(1471) 및 제2 드럼(1472)을 포함할 수 잇고, 제1 와이어(1913) 및 제2 와이어(1914)는 각각 제1 드럼(1471) 및 제2 드럼(1472)에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제1 와이어(1913) 및 제2 와이어(1914) 각각이 제1 드럼(1471) 및 제2 드럼(1472)에 감기는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드럼(1471) 및 제2 드럼(1472)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제1 와이어(1913) 및 제2 와이어(1914)가 동시에 권취되거나 동시에 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1913, 1914)는 프레임(111, 112, 113)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913, 1914)는 상부 프레임(113)의 중공(1131)을 통해 상부 프레임의 외벽을 관통할 수 있다. 이 때, 시브(1493, 1494) 또는 도르래(1483, 1484)도 프레임(111, 112, 11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3)의 중공(1131)을 통해 상부 프레임(113)의 외벽을 관통한 와이어(1913, 1914)는 상부 프레임(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시브(1493, 1494) 및 도르래(1483, 1484)에 감기어 유도될 수 있다. 와이어(1913, 1914)는 상부 프레임(113)의 내부는 기둥 프레임(11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고, 와이어(1913, 1914)는 기둥 프레임(112)의 내부에서 기둥 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와이어 연결부(1933, 193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1913, 1914)가 프레임(111, 112, 113) 내부에 있게 되어 와이어(1913, 1914)를 보호하고 와이어(1913, 1914)가 꼬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111) 및 도어(115)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1, 112, 113) 또는 도어(115)는 자기 인력으로 도어(115)의 적어도 일측(1152)을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자기력 제공 부재(1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111)에는 힌지(1151)가 구비되고, 도어(115)의 타측은 힌지(1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어(115)는 중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구동부(140, 도 1 참조)에 의해 도어(115) 또는 힌지(1151)가 구동되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115)는 와이어 연결부(193)에 연결된 와이어(191)가 당겨짐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즉, 와이어(191) 또는 차단막(120)의 일부가 도어(115)를 밀어서 도어(115)가 개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프레임(111, 112, 113)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111, 112, 113)에는 센서(1801, 1802, 1803)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0에서 제1 센서(1801)는 상부 프레임(113)에 배치되고, 제2 센서(1802) 및 제3 센서(1803)는 기둥 프레임(112)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0에 나타난 각 센서(1801, 1802, 1803)의 위치 및 방향은 예시일 뿐이며, 센서(1801, 1802, 1803)의 위치 및 방향은 그 기능에 기초하여 적절히 채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소방대상물(5)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센서(1801)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60, 도 1 참조)는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140, 도 1 참조) 및 주입부(150, 도 1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801)는 소방대상물(5) 주변의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센서(1801)로부터 가스 농도를 확인하고, 가스 농도를 기초로 소방대상물(5)의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소방대상물(5)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60)는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차단막이 전개되도록 하거나, 주입부(150)를 제어하여 소화 물질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센서(1802)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60)는 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140) 및 주입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1802)는 소화 물질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레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2 센서(1802)로부터 소화 물질이 채워진 수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수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차단막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거나, 주입부를 제어하여 소화 물질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센서(1802)는 소화 물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 소화 물질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ToF(Time of Flight) 센서 또는 영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차단막(120, 도 21 참조)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3센서(1803)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60)는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140) 및 주입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1803)는 차단막의 높이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 등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3 센서(1803)로부터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차단막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거나, 주입부(150)를 제어하여 소화 물질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입부(150)는 메인 주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주입부(151)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소화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입부(150)는 서브 주입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주입부(152)가 상부 프레임(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주입부(152)에 의해 소화 물질이 소방대상물(5)에 골고루 분사되어 소방대상물(5)의 특정 위치의 화점에 소화 물질이 직접 분사될 수 있다.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의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차단막(120) 및 지지부(130)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따르면, 차단막(120)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지지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지지부재(131)는 차단막(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125)를 통해 차단막(12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2에 따르면, 차단막(120)은 적어도 하나의 대각 방향 측면 지지부재(1321)를 포함할 수 있다. 대각 방향 측면 지지부재(1321)는 차단막(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125)를 통해 차단막(12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3에 따르면, 차단막(120)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방향 측면 지지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재(1321, 1322)는 차단막(120)과 함께 하부 프레임(111)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지지부재(1321, 1322)는 하부 프레임(111) 내부에 구비되는 권취부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부는 도 13에 도시된 드럼(1203)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연부(170)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소방대상물(51, 52, 53) 주변의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170)를 더 포함하고, 제연부(170)는, 외부와 연통되어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연기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173), 및 연기가 유입구로 흡입되어 덕트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기(170)를 포함하고, 제어부(160, 도 1 참조)는 제연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연부(170)는 상부 프레임(113)에 배치되고, 제연부(170)의 연기 유입구는 소방대상물(51, 52, 53) 또는 수용 공간(7)을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소방대상물(51, 52, 53)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소방대상물(51, 52, 53) 각각이 개별 화재 제어 장치(100)에 각각 수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화재 제어 장치(100)에 필요한 권취부(147) 등의 구성요소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화재 제어 장치(100)의 제작 비용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 때, 복수의 소방대상물(51, 52, 53) 각각에 대해 제연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111)은 지면에 매립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경사면(118)이 하부 프레임(111) 주변에 배치되어, 차량 등의 소방대상물(51, 52, 53)이 경사면(118)을 타고 하부 프레임(111)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예시적이고 단순화된 블록도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본 개시에서 서술된 임의의 시스템 또는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데이터 서버, 웹 서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아래에서 서술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모리(162) 및 메모리(162)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캐시 메모리 및 메모리 제어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61)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60)는 하나 이상의 포트(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헤드폰 잭, 라이트닝(Lightning) 커넥터, 썬더볼트(Thunderbolt) 커넥터 등)를 통해 제어부(160)에 연결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는 광섬유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어부(160)의 구성은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할 목적으로 특정 예시로서만 의도된다. 도시된 제어부(160)에는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프로세서(161)는 제어부(160)가 본 개시에서 서술된 임의의 실시예의 단계 또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1)는 제어부(160) 내의 메모리(16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1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161)는 제어부(160) 내에 구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62)는 제어부(16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62)는 제어부(160)에서 프로세서(161)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2)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본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것은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프로그램, 코드 모듈, 명령어), 드라이버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디바이스(163) 및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164)와 통신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163)는 제어부(16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 디바이스(163)는 키보드; 통합형 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또는 그래픽스 태블릿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스캐너; 바코드 스캐너;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 시스템,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및 다른 타입의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력 디바이스"라는 용어의 사용은 제어부(16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가능한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 및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스위치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부(140), 주입부(150) 또는 제연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디바이스(163)는 제어부(160)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 디바이스(163)는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 프린터, 또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와 같은 비-시각적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은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과 같은 플랫-패널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입력 모듈의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출력 디바이스"라는 용어의 사용은 제어부(160)로부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가능한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 및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출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본 개시에 서술된 방법 및 그 변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센서(180)의 출력 값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출력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경고를 방송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64)는 제어부(160)가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162)는 도1에 나타난 센서(180)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구동부(140), 주입부(150), 제연부(170) 등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의 송수신은 유선은 물론 무선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막,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구동부 및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소방대상물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은, 단계 S2610에 따라, 제1 센서로부터 화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단계 S2630에 따라,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가 차단막을 전개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단계 S2650에 따라, 주입부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주입하도록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는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센서, 및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3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화재 제어 방법은, 제2 센서 및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및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또는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수용 공간으로 소화 물질이 주입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주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화재 제어 방법은, 단계 S2710에 따라, 제1 센서로부터 화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단계 S2720에 따라, 제2 센서 및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및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단계 S2730에 따라,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가 차단막을 전개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단계 S2751에 따라,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또는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수용 공간으로 소화 물질이 주입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제어 장치는 소방대상물 주변의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를 더 포함하고, 화재 제어 방법은,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제연부가 연기를 흡입하도록 제연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재 제어 방법은, 단계 S2810에 따라, 제1 센서로부터 화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단계 S2830에 따라,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가 차단막을 전개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단계 S2850에 따라, 주입부가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주입하도록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단계 S2870에 따라,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제연부가 연기를 흡입하도록 제연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본 개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데이터 처리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지면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상기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결합부를 구비하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막과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차단막을 지지하고, 지면에 매립되는 인출식 기둥 조립체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식 기둥 조립체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1 기둥; 및 상기 제1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기둥에 관통 형성되는 중공에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기둥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기둥을 상기 중공으로부터 인출시켜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상기 제2 기둥을 상기 중공에 인입시켜 상기 차단막을 회수시키는,
    화재 제어 장치.
  2.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지면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상기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결합부를 구비하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막과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차단막을 지지하며, 지면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는 회전식 기둥 조립체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기둥 조립체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기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관절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암(arm);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암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관절부를 기준으로 상기 암을 회전시켜, 상기 암을 지면에 대해 세워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상기 암을 지면에 대해 눕혀 상기 차단막을 회수시키는,
    화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납된 차단막의 전개 시 상기 차단막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자기 인력으로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1 자기력 제공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차단막의 전개 시, 지면에 인접하는 상기 차단막의 상기 수용 공간 측 측면으로부터 지면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7.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지면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상기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결합부를 구비하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막과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차단막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차단막을 수평 방향으로 에워싸는 수평 지지부재; 및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대해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재로부터 하방 또는 대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고정되는 측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소방대상물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화재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납된 차단막의 전개 시 상기 차단막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자기 인력으로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1 자기력 제공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차단막의 전개 시, 지면에 인접하는 상기 차단막의 상기 수용 공간 측 측면으로부터 지면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자기 인력으로 상기 차단막의 하단을 금속 라인이 형성된 지면 또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자기력 제공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재 제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대상물 주변의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연부는,
    외부와 연통되어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연기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 및
    연기가 상기 유입구로 흡입되어 상기 덕트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화재 제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소방대상물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화재 제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화재 제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화재 제어 장치.
  18. 소방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지면 상에 배치되거나 지면 아래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절첩되거나 권취되어 수납되고, 상기 소방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전개됨에 따라 지면과 함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 또는 측면부에 결합부를 구비하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회수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막과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차단막을 지지하고, 지면에 매립되는 인출식 기둥 조립체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소방대상물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식 기둥 조립체는,
    지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1 기둥; 및 상기 제1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기둥에 관통 형성되는 중공에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기둥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기둥을 상기 중공으로부터 인출시켜 상기 차단막을 전개시키거나 상기 제2 기둥을 상기 중공에 인입시켜 상기 차단막을 회수시키는, 화재 제어 장치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센서로부터 화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가 상기 차단막을 전개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입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소화 물질을 주입하도록 상기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제어 장치는 상기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에 주입된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화 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차단막의 전개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수용 공간으로 소화 물질이 주입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주입부를 제어하는,
    화재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제어 장치는 상기 소방대상물 주변의 연기를 흡입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연부가 연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연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제어 방법.
KR1020230048678A 2022-08-29 2023-04-13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KR10259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198A KR20240031886A (ko) 2022-08-29 2023-08-07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PCT/KR2023/011784 WO2024049044A1 (ko) 2022-08-29 2023-08-09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723 2022-08-29
KR20220108723 2022-08-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198A Division KR20240031886A (ko) 2022-08-29 2023-08-07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906B1 true KR102596906B1 (ko) 2023-11-07

Family

ID=887469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678A KR102596906B1 (ko) 2022-08-29 2023-04-13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KR1020230103198A KR20240031886A (ko) 2022-08-29 2023-08-07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198A KR20240031886A (ko) 2022-08-29 2023-08-07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96906B1 (ko)
WO (1) WO202404904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2046A1 (en) * 2017-05-30 2018-12-06 Extinctus As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energy storage devices of vehicles with electrical drive
KR102123685B1 (ko) * 2019-10-29 2020-06-2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가스감지식 ess 소화장치
KR102412188B1 (ko) * 2022-02-23 2022-06-27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431474B1 (ko) *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432910B1 (ko) * 2022-06-30 2022-08-18 대한시스텍주식회사 Ess 자동 소화 시스템
KR20230025546A (ko) * 2021-08-12 2023-02-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156A (ja) * 1995-03-20 1996-10-08 Akihiro Kobayashi 火災消火及び火災延焼止め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2046A1 (en) * 2017-05-30 2018-12-06 Extinctus As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energy storage devices of vehicles with electrical drive
KR102123685B1 (ko) * 2019-10-29 2020-06-2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가스감지식 ess 소화장치
KR20230025546A (ko) * 2021-08-12 2023-02-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412188B1 (ko) * 2022-02-23 2022-06-27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431474B1 (ko) *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432910B1 (ko) * 2022-06-30 2022-08-18 대한시스텍주식회사 Ess 자동 소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886A (ko) 2024-03-08
WO2024049044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7969A1 (en) Portable balloon launch rig
KR101122713B1 (ko)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KR102579072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소방 시스템
KR20170025851A (ko) 터널 또는 지하공간용 소화장치
CN201103183Y (zh) 一种活动充气膜屋盖
KR102579070B1 (ko) 전기차 소방 시스템
JP6041845B2 (ja) 気球格納箱、及び気球運搬装置
KR102596906B1 (ko)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CN111561323A (zh) 一种可紧急避险的伸缩式隧道开挖台车
KR102673581B1 (ko)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KR102276455B1 (ko) 지중 송배전 설비 운영 관리용 산소 농도 감지 맨홀 뚜껑
CN104179526B (zh) 煤矿井下隧道式避难通道系统
CN212535665U (zh) 一种可紧急避险的伸缩式隧道开挖台车
WO2019013275A1 (ja) 作業用ゴンドラ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用車両
KR102106717B1 (ko) 드론과 풍선을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 장치
KR102305592B1 (ko) 지하 통신구 운영 관리용 맨홀 뚜껑
KR102679800B1 (ko)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주차장용 지하매립식 소화장치
CN208072460U (zh) 一种移动式管道连接工作站
KR102681724B1 (ko) 전기 자동차용 화재 대처장치
CN109083683B (zh) 一种自移式灾害隔离闸墙
KR102565030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KR102645085B1 (ko) 비상전원을 구비한 도로교통안전시설물
KR20200074305A (ko)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KR102613475B1 (ko) 실내 주차 차량의 질식소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식소화시스템
KR102654468B1 (ko) 전기차 화재 진압 및 확산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