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305A -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305A
KR20200074305A KR1020180161641A KR20180161641A KR20200074305A KR 20200074305 A KR20200074305 A KR 20200074305A KR 1020180161641 A KR1020180161641 A KR 1020180161641A KR 20180161641 A KR20180161641 A KR 20180161641A KR 20200074305 A KR20200074305 A KR 2020007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tage
stage boom
fix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922B1 (ko
Inventor
이준호
박문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18016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9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골목길이나 주차차량이 주차된 도로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고 3.3m 이내, 차폭 2.2m 이내, 전장 7m 이내의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적재부에 탑재된 조정유닛은 턴테이블에 의해 360°회전하면서 연결대를 통해 적재부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탑승용버킷은 붐 어셈블리가 붐지지대에 접이된 상태에서 적재부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용이하고 더불어 본체의 전고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SMALL FIRE TRUCK FOR LIFESAVING}
본 발명은 좁은 골목길이나 주차차량이 주차된 도로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고 3.3m 이내, 차폭 2.2m 이내, 전장 7m 이내의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적재부에 탑재된 조정유닛은 턴테이블에 의해 360°회전하면서 연결대를 통해 적재부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탑승용버킷은 붐 어셈블리가 붐지지대에 접이된 상태에서 적재부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용이하고 더불어 본체의 전고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명 구조용 소방차는 탑승용 버킷(bucket)을 구비하여 고층 건물의 화재시 건물 밖으로 사람을 신속하게 대피시켜서 인명을 구조하거나 상기 탑승용 버킷측에 소방관이 탑승한 상태로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인명 구조용 소방차(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009569호)는 차량 본체와, 이 차량 본체의 적재부에 위치하고 상기 탑승용 버킷을 업/다운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장치는, 복수 개의 붐대를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고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원으로 상기 붐대들을 관절운동시키면서 지면에서 세워지는 상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하는 통상의 굴절식 붐(boom) 장치와 같은 승강(昇降)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탑승용 버킷은 상기 승강장치의 맨 끝쪽의 붐대에서 고정 자세가 변화될 수 있도록 결합(예: 힌지결합)되어 상기 붐대들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수평유지장치에 의해 항상 수평한 고정 자세로 위치된다.
하지만 인명 구조용 소방차는 굴적식 붐으로 인해 폭과 전고 높이가 높아 좁은 골목 및 전고 제한 장소에는 진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굴절식 붐은 길이가 매우 길어 회전반경이 좁은 곳에서는 회전이 불가능하고, 또한 굴절붐을 펼치기 위해서는 메인붐의 각도를 먼저 상승후 굴절붐을 펼쳐야한 해서 신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0095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본체의 적재부에 탑재된 조정유닛은 턴테이블에 의해 360°회전하면서 연결대를 통해 적재부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탑승용버킷은 붐 어셈블리가 붐지지대에 접이된 상태에서 적재부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용이하고 더불어 본체의 전고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전개가 매우 빠르고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텔레스코픽 붐 어셈블리를 적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붐을 전개시킬 수 있는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소형 소방차에 적합하도록 전선 및 유압호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케이블 베이어를 없애 경량화한 붐 어셈블리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적재부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적재부의 중앙에 탑재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탑재되어 동반회전하는 붐지지대를 매개로 승강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붐 어셈블리;와, 상기 턴테이블과 붐 어셈블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붐지지대의 일측면에 결합된 연결대에 고정되어 동반회전하는 조정유닛;과, 상기 붐 어셈블리의 단부에 연결되는 탑승용버킷;과, 상기 붐지지대의 타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붐지지대에 하부에 마련된 급수구에 연결되는 송수관;과, 상기 송수관과 플렉시블관으로 연설되어 상기 붐 어셈블리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붐송수관;과, 상기 붐송수관과 연결되어 탑승용버킷에 탑재되는 방수포;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승용버킷과 아웃트리거 어셈블리는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초음파센서가 더 장착되고, 상기 탑승용버킷은 붐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적재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유닛은 턴테이블에 의해 360°회전하면서, 탑승의 신속이 용이하도록 붐지지대에 연결되는 연결대를 통해 적재부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붐 어셈블리는 붐지지대에 힌지 결합되어 승강하는 제1단붐과, 제1단붐에 삽입되는 제2단붐과, 제2단붐에 삽입되는 제3단붐과, 제3단붐에 삽입되는 제4단붐과, 제4단붐에 삽입되고 선단으로는 탑승용버킷이 고정되는 제5단붐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단붐이 인출될 경우, 내부로 중첩되는 각 단붐의 삽입단에는 탄소섬유의 결합시켜 강도를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붐 어셈블리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 및 유압호스를 보호하기 위해 제1단붐과 제3단붐의 외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배관과, 상기 각 가이드배관을 통해 타측으로 인출된 전선 및 유압호스를 제1단붐과 제3단붐의 내부로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일측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고정하는 방향전환고정블럭과, 상기 방향전환고정블럭을 통해 연결된 전선 및 유압호스를 가이드롤러를 통해 일측으로 방향을 재전환시켜 제2단붐과 제4단붐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각 방향전환고정블럭과 방향전환부를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전선 및 유압호스를 탑승용버킷까지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5단붐의 타측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대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공급유닛; 및 상기 제2단붐이 제1단붐의 내외부로 신장 및 신축되도록 상기 제2단붐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인출되는 로드는 제1단붐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가동에 따라 제3,4,5단붐이 순차적으로 신축도록 일단은 제1단붐과 제2단붐과 제3단붐의 타측에 결합된 외부체인고정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제2단붐과 제3단붐과 제4단붐의 외부 타측에 결합된 스프라켓을 매개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3단붐과 제4단붐과 제5단붐의 외부 일측에 고정된 내부체인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가동체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공급유닛의 방향전환고정블럭은 제1단붐과 제3단붐 일측 내부 천정에 고정되어 제2단붐과 제4단붐의 "갭" 사이로 전선 및 유압호스를 유도 연결하고, 상기 방향전환부의 가이드롤러는 제2단붐과 제4단붐의 일측 상부로 부분노출시켜 제2단붐과 제4단붐의 유격 "갭" 사이로 연설된 전선 및 유압호스를 각 붐의 내부 천정에 근접 배치되도록 함은 물론, 유압실린더의 간섭을 피하면서 케이블 베이어의 사용없이 전선 및 유압호스를 원활히 탑승용버킷로 공급하여 각 단붐의 크기와 규모를 최소화시켜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따르면, 본체의 적재부에 탑재된 조정유닛은 턴테이블에 의해 360°회전하면서 연결대를 통해 적재부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용버킷은 붐 어셈블리가 붐지지대에 접이된 상태에서 적재부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용이하고 더불어 본체의 전고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개가 매우 빠르고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텔레스코픽 붐 어셈블리를 적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붐을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베이어를 없애므로써 붐 어셈블리의 크기와 규모를 최소화하여 소형 소방차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의 정면도,
도 2는 도 2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붐 어셈블리의 신장을 나타낸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서 붐 어셈블리의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내 2와 같이, 본 발명은 좁은 골목길이나 주차차량이 주차된 도로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고 3.3m 이내, 차폭 2.2m 이내, 전장 7m 이내의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적재부에 탑재된 조정유닛은 턴테이블에 의해 360°회전하면서 연결대를 통해 적재부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탑승용버킷은 붐 어셈블리가 붐지지대에 접이된 상태에서 적재부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용이하고 더불어 본체의 전고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는 5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본체(1)와, 턴테이블(3)과, 조정유닛(4)과, 붐 어셈블리(5)와, 송수관(7) 및 아웃트리거 어셈블리(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1)는 적재부(2)를 갖는 구조이고, 이러한 본체(1)는 골목길이나 주차차량이 주차된 도로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전고 3.3m 이내, 차폭 2.2m 이내, 전장 7m 이내로 한정한다.
상기 턴테이블(3)은 상기 적재부(2)의 중앙에 탑재되어 360°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턴테이블(3)에는 붐 어셈블리(5)와 힌지 결합되는 붐지지대(31)가 탑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붐 어셈블리(5)는 적재부(2)의 중간에 배치됨으로써, 회전공간이 작은 폭의 도로에서도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붐 어셈블리(5)는 전개가 매우 빠르고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붐지지대(31)를 매개로 승강되는데, 이는 상기 붐지지대(31)와 힌지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승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탑승용버킷(6)은 상기 붐 어셈블리(5)의 단부에 연결되어 인명을 구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방수포(61)가 탑재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포(61)는 상기 붐 어셈블리(5)의 타측면에 고정된 붐송수관(71)과 연결되고, 상기 붐송수관(71)은 상기 붐지지대(31)의 타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붐지지대(31)에 하부에 마련된 급수구(311)에 연결되는 송수관(7)과 연결되어 송방수를 원할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붐송수관(71)은 송수관(7)과 플렉시블관(72)으로 연설되어 붐 어셈블리(5)와 함께 승하강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붐 어셈블리(5)의 신장 및 신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이다.
상기 조정유닛(4)은 상기 턴테이블(3)과 붐 어셈블리(5)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붐지지대(31)의 일측면에 결합된 연결대(41)에 고정되어 동반회전하는 구성이다.
상술된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는 조정유닛(4)이 연결대(41)를 통해 적재부(2)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조정유닛(4)으로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탑승용버킷(6)은 붐 어셈블리(5)가 붐지지대(31)에 접이된 상태에서 적재부(2)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탑승이 용이하고 더불어 본체(1)의 전고 높이를 낮출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아웃트리거 어셈블리(8)는 상기 적재부(2)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X" 교차되게 설치되어 인출 길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탑승용버킷(6)과 아웃트리거 어셈블리(8)는 건물 및 주변 장애물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초음파센서(US)가 더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음파센서(US)는 운전자 또는 조정유닛(4)의 작업자에게 장애물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초음파센서(US) 이외에 근거리센서나 접촉센서 또는 레이저센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적재부(2)의 후방에는 제2방수포와, 유압발전기가 더 탑재되어 화재진압을 입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붐 어셈블리의 신장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붐 어셈블리의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붐 어셈블리(5)는 소형 소방차에 적합하도록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케이블 베이어를 없애 경량화한 구조이다.
이러한 붐 어셈블리(5)는 단일의 유압실린더(C)를 통해 각 단붐(5b,5c,5d,5e)이 순차적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5단붐(5e)에 결합된 탑승용버킷(6)까지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되 전선릴이나 유압호스릴이 필요치 않고, 또한 전선 및 유압호스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베이어를 없애 각 단붐(5a,5b,5c,5d,5e)의 규모와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붐 어셈블리(5)는 단일의 유압실린더(C)를 통해 다수의 단붐이(5b,5c,5d,5e)을 순차적으로 신장 또는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붐 어셈블리(5)는 단일의 유압실린더(C)와, 상기 유압실린더(C)에 의해 연동되는 다수의 가동체인(57)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C)는 제2단붐(5b)이 제1단붐(5a)에서 신축되도록 상기 제2단붐(5b)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인출되는 로드(CR)는 제1단붐(5a)의 내부 일측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유압실린더(C)의 타측은 구속되지 않고, 다만 제3,4,5단붐(5c,5d,5e)에는 유압실린더(C)의 하부에 롤링되는 지지롤러(R)가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붐 어셈블리(5)에 내장된 유압실린더(C)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붐 어셈블리(5)를 경량화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가동체인(57)은 상기 유압실린더(C)의 가동에 따라 제2,3,4,5단붐(5b,5c,5d,5e)이 순차적으로 신장 또는 신축되도록 일단은 제1단붐(5a)과 제2단붐(5b)과 제3단붐(5c)의 타측 외부에 결합된 외부체인고정부(58)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가동체인(57)의 타단은 제2단붐(5b)과 제3단붐(5c)과 제4단붐(5d)의 외부 타측에 스프라켓(S)을 매개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3단붐(5c)과 제4단붐(5d)과 제5단붐(5e)의 삽입단부인 외부 일측에 고정된 내부체인고정부(59)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단붐의 내부로 진입되는 가동체인(57) 역시 제2단붐(5b)과 제3단붐(5c)의 "갭(G)"과, 제3단붐(5c)과 제4단붐(5d)의 "갭(G)"과 제4단붐(5d)과 제4단붐(5d)의 "갭(G)" 사이로 진입되어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더불어 각 단붐(5a,5b,5c,5d,5e)의 단면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각 단붐(5b,5c,5d,5e)이 인출되어 신장될 경우, 각 단붐(5b,5c,5d,5e)이 상호 간 연결되는 중첩부위에 하중이 국소적으로 가해지는 바, 내부로 중첩되는 각 단붐(5b,5c,5d,5e)의 삽입단에는 탄소섬유(carbon fibe)(CF)의 결합시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의 상태에서 붐 어셈블리은 작동은, 먼저 유압실린더(C)를 가동되면 제1단붐(5a)에 고정된 로드(CR)를 따라 유압실린더(C)가 제1단붐(5a)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유압실린더(C)의 일측은 제2단붐(5b)에 구속되어 있는 바, 상기 제2단붐(5b)과 역시 유압실린더(C)를 따라 제1단붐(5a)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각 가동체인(57)이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제3,4,5단붐(5c,5d,5e)을 제1단붐(5a)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도 4와 같이 신축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공급유닛은 케이블 베이어의 사용없이 전선 및 유압호스를 원활히 탑승용버킷로 공급하여 각 단붐의 크기와 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 공급유닛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방향전환고정블럭(52)과, 방향전환부(53) 및 고정대(54)로 구성된다.
케이블 공급유닛 중 차량에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 및 유압호스를 보호하기 위해 제1단붐(5a)과 제3단붐(5c)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이 가이드배관(51)이다.
상기 방향전환고정블럭(52)은 제1단붐(5a)과 제3단붐(5c) 일측 내부 천정에 고정되어 상기 각 가이드배관(51)을 통해 타측으로 인출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제1단붐(5a)과 제3단붐(5c)의 내부로 진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연결하기 위한 소위 연결커넥터의 기능을 한다.
이외에 상기 방향전환고정블럭(52)은 내부에 관로를 형성한 블럭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는 전선 및 유압호스(H)의 단선의 위험성과,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큰 공간이 필요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상기 방향전환고정블럭(52)의 상부로는 상기 각 가이드배관(51)을 통해 인출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연결시키고, 일측으로는 제1단붐(5a)과 제2단붐(5b)의 "갭(G)"과, 제3단붐(5c)과 제4단붐(5d)의 "갭(G)"사이에 배치된 전선 및 유압호스(H)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가이드배관(51)을 통해 인출된 전선 및 유압호스(H)는 상기 방향전환고정블럭(52)을 통해 고정됨과 동시에, 제1단붐(5a)과, 제3단붐(5c)의 내부로 방향을 전환시켜 진입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방향전환부(53)는 상기 방향전환고정블럭(52)을 통해 연결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가이드롤러(531)를 통해 타측방향으로 전환시켜 제2단붐(5b)과 제4단붐(5d)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방향전환부(53)의 가이드롤러(531)는 제2단붐(5b)과 제4단붐(5d)의 일측 상부로 부분노출시켜 제2단붐(5b)과 제4단붐(5d)의 "갭(G)" 사이로 연설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각 붐의 내부 천정에 근접 배치되도록 함은 물론, 제2단붐(5b)의 내부에 고정된 유압실린더(C)의 간섭을 피하면서 케이블 베이어의 사용없이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원활히 탑승용버킷(6)로 공급하여 각 단붐의 크기와 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가이드롤러(531)는 장력이 유지되도록 브라켓(532) 상의 장홈(532a)에 결합되고, 상기 방향전환부(53)는 가이드롤러(531)가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장력조절스프링(533)이 구비되어 전선 및 유압호스(H)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54)는 방향전환고정블럭(52)과 방향전환부(53)를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탑승용버킷(6)까지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5단붐(5e)의 타측 내부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제2,3단붐(5b,5c)의 일측 외부에는 전선 및 유압호스를 직선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챔버(55)와, 상기 제5단붐(5e)의 내부에는 고정대(54)까지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직선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챔버(56)가 더 결합되어 있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전선 및 유압호스(H)는 단선 단락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한편 상기 아웃트리거 어셈블리(8) 역시 붐 어셈블리와 동일하게 케이블 베이어를 없앤 구조로 경량화할 수 있으며, 또한 아웃트리거 어셈블리에도 탄소섬유를 적용시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본체
2: 적재부
3: 턴테이블 31: 붐지지대 311: 급수구
4: 조정유닛 41: 연결대
5: 붐 어셈블리 5a: 제1단붐 5b: 제2단붐
5c: 제3단붐 5d: 제4단붐
5e: 제5단붐
51: 가이드배관 52: 방향전환고정블럭
53: 방향전환부 531: 가이드롤러
532: 브라켓 532a: 장홈
533: 장력조절스프링 54: 고정대
55: 제1가이드챔버 56: 제2가이드챔버
57: 가동체인 58: 외부체인고정부
59: 내부체인고정부 CF: 탄소섬유
6: 탑승용버킷 61: 방수포
7: 송수관 71: 붐송수관 72: 플렉시블관
8: 아웃트리거 어셈블리
S: 스프라켓 C: 유압실린더 CR: 유압실린더 로드
G: 갭 R: 지지롤러 H: 전선 및 유압호스
US: 초음파센서

Claims (3)

  1.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에 있어서,
    적재부을 갖는 본체(1);
    상기 적재부(2)의 중앙에 탑재되는 턴테이블(3);
    상기 턴테이블(3)의 상부에 탑재되어 동반회전하는 붐지지대(31)를 매개로 승강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붐 어셈블리(5);
    상기 턴테이블(3)과 붐 어셈블리(5)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붐지지대(31)의 일측면에 결합된 연결대(41)에 고정되어 동반회전하는 조정유닛(4);
    상기 붐 어셈블리(5)의 단부에 연결되는 탑승용버킷(6);
    상기 붐지지대(31)의 타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붐지지대(31)에 하부에 마련된 급수구(311)에 연결되는 송수관(7);
    상기 송수관(7)과 플렉시블관(72)으로 연설되어 상기 붐 어셈블리(5)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붐송수관(71);
    상기 붐송수관(71)과 연결되어 탑승용버킷(6)에 탑재되는 방수포(61);
    상기 적재부(2)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 어셈블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탑승용버킷(6)과 아웃트리거 어셈블리(8)는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초음파센서(US)가 더 장착되고,
    상기 탑승용버킷(6)은 붐 어셈블리(5)를 통해 상기 적재부(2)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유닛(4)은 턴테이블(3)에 의해 360°회전하면서, 탑승의 신속이 용이하도록 붐지지대(31)에 연결되는 연결대(41)를 통해 적재부(2)의 중앙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어셈블리(5)는 붐지지대(31)에 힌지 결합되어 승강하는 제1단붐(5a)과, 제1단붐(5a)에 삽입되는 제2단붐(5b)과, 제2단붐(5b)에 삽입되는 제3단붐(5c)과, 제3단붐(5c)에 삽입되는 제4단붐(5d)과, 제4단붐(5d)에 삽입되고 선단으로는 탑승용버킷(6)이 고정되는 제5단붐(5e)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단붐(5b,5c,5d,5e)이 인출될 경우, 내부로 중첩되는 각 단붐(5b,5c,5d,5e)의 삽입단에는 탄소섬유(CF)의 결합시켜 강도를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붐 어셈블리(5)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 및 유압호스(H)를 보호하기 위해 제1단붐(5a)과 제3단붐(5c)의 외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배관(51)과,
    상기 각 가이드배관(51)을 통해 타측으로 인출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제1단붐(5a)과 제3단붐(5c)의 내부로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일측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고정하는 방향전환고정블럭(52)과,
    상기 방향전환고정블럭(52)을 통해 연결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가이드롤러(531)를 통해 일측으로 방향을 재전환시켜 제2단붐(5b)과 제4단붐(5d)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방향전환부(53)와,
    상기 각 방향전환고정블럭(52)과 방향전환부(53)를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탑승용버킷(6)까지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5단붐(5e)의 타측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대(54)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공급유닛; 및
    상기 제2단붐(5b)이 제1단붐(5a)의 내외부로 신장 및 신축되도록 상기 제2단붐(5b)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인출되는 로드(CR)는 제1단붐(5a)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C)와,
    상기 유압실린더(C)의 가동에 따라 제3,4,5단붐(5c,5d,5e)이 순차적으로 신축도록 일단은 제1단붐(5a)과 제2단붐(5b)과 제3단붐(5c)의 타측에 결합된 외부체인고정부(58)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제2단붐(5b)과 제3단붐(5c)과 제4단붐(5d)의 외부 타측에 결합된 스프라켓(S)을 매개로 방향을 전환하여 제3단붐(5c)과 제4단붐(5d)과 제5단붐(5e)의 외부 일측에 고정된 내부체인고정부(59)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가동체인(57)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공급유닛의 방향전환고정블럭(52)은 제1단붐(5a)과 제3단붐(5c) 일측 내부 천정에 고정되어 제2단붐(5b)과 제4단붐(5d)의 "갭(G)" 사이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유도 연결하고,
    상기 방향전환부(53)의 가이드롤러(531)는 제2단붐(5b)과 제4단붐(5d)의 일측 상부로 부분노출시켜 제2단붐(5b)과 제4단붐(5d)의 유격 "갭(G)" 사이로 연설된 전선 및 유압호스(H)를 각 단붐의 내부 천정에 근접 배치되도록 함은 물론, 유압실린더(C)의 간섭을 피하면서 케이블 베이어의 사용없이 전선 및 유압호스(H)를 원활히 탑승용버킷으로 공급하여 각 단붐(5a,5b,5c,5d,5e)의 크기와 규모를 최소화시켜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KR1020180161641A 2018-12-14 2018-12-14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KR10213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641A KR102134922B1 (ko) 2018-12-14 2018-12-14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641A KR102134922B1 (ko) 2018-12-14 2018-12-14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305A true KR20200074305A (ko) 2020-06-25
KR102134922B1 KR102134922B1 (ko) 2020-07-17

Family

ID=7140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641A KR102134922B1 (ko) 2018-12-14 2018-12-14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83A (ko) *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927A (ja) * 2005-06-13 2006-12-28 Morita Corp 消防自動車
KR20090009569A (ko) 2007-07-20 2009-01-23 김차관 소방차
KR20090069745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에버다임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KR20090085297A (ko) * 2008-02-04 2009-08-07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고소작업차
JP2016031016A (ja) * 2014-07-29 2016-03-07 ジマエッ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Gimaex International 異なる比重を有するはしご部分を備えた伸縮式はしご
US20160098910A1 (en) * 2014-10-02 2016-04-07 Bluesky Solutions Limited Safety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927A (ja) * 2005-06-13 2006-12-28 Morita Corp 消防自動車
KR20090009569A (ko) 2007-07-20 2009-01-23 김차관 소방차
KR20090069745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에버다임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KR20090085297A (ko) * 2008-02-04 2009-08-07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고소작업차
JP2016031016A (ja) * 2014-07-29 2016-03-07 ジマエッ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Gimaex International 異なる比重を有するはしご部分を備えた伸縮式はしご
US20160098910A1 (en) * 2014-10-02 2016-04-07 Bluesky Solutions Limited Safet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383A (ko) * 2020-11-20 2022-05-27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922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808B1 (ko) 데비트장치
JP5006622B2 (ja) 伸縮ブーム付きクレーン装置
CA2966171C (en) Fall protection apparatus with a mast and boom
JP2010241604A (ja) 折り畳み式ジブ主ストラット及び輸送可能な掛け回されたストラットキャップ
JP2008127150A (ja) クレーン
JP2007120242A (ja) ケーブル検査車
KR102134922B1 (ko)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WO2020026842A1 (ja) クレーン
KR101054379B1 (ko)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US20160375281A1 (en) Fall Protection Apparatus with a Mast and a Boom
KR101833987B1 (ko) 텔레스코픽 보트 데빗
JP5350896B2 (ja) ラフィングジブ組立用シーブ装置
KR20090059361A (ko) 굴절사다리 소방차에 내장된 유압호스와 전원케이블설치구조
CN105143588B (zh) 成组梯、特别是消防梯以及装备有这种成组梯的车辆
JPH0761773A (ja) ジブクレーン
JP4226683B2 (ja) ラフィングジブの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
US4687073A (en) Hydraulically elevatable access equipment
JP5154919B2 (ja) 伸縮ブーム装置用コードリール装置
JP7322610B2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姿勢変更装置
JP4688303B2 (ja) ケーブル架渉用高所作業車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架渉方法
KR102136603B1 (ko) 케이블 베이어가 없는 경량형 붐시스템
WO2024018913A1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組立方法
JP7275703B2 (ja) フロントストラットのバックストップ
JP2504606Y2 (ja) フック平行機構を備えた多段ブ―ム
JP4848094B2 (ja) 自走式クレーンのラフィングジ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