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745A -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 Google Patents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745A
KR20090069745A KR1020070137521A KR20070137521A KR20090069745A KR 20090069745 A KR20090069745 A KR 20090069745A KR 1020070137521 A KR1020070137521 A KR 1020070137521A KR 20070137521 A KR20070137521 A KR 20070137521A KR 20090069745 A KR20090069745 A KR 2009006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driver
switch
outriggers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07013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9745A/ko
Publication of KR2009006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는, 소방차의 엔진의 동력을 유압펌프로 인가하는 동력인출장치(21); 동력인출장치(21)를 가동시키는 동력인출장치 작동 스위치(130); 유압펌프로부터 전달된 압유를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110)와 수직실린더(111)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아우트리거 콘트롤밸브(24);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110)에 설치되어 0.1~1m 범위 안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10a); 수직실린더(111)에 연결되어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11a); 아우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하며, 아우트리거를 수동조작으로 전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모드와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작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141); 소방차의 후방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어부(141)에 연결된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a,14b); 및 소방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키는 자동조작모드가 상기 제어부(141)에 의해 실행되도록 아우트리거 자동전개신호를 발생하는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방차의 정차 후 운전석에서 곧바로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으므로 긴급한 화재현장에서 아우트리거를 전개시키는데 드는 시간을 절약하고 최대한 빨리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70137521
화재, 소방차, 고가사다리, 굴절붐, 아우트리거, 전개, 수납, 자동전개, 스위치, 운전석, 근접센서, 압력센서

Description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Fire engine truck with elevated ladders having a switch for automatically expanding outriggers in the driver's room}
본 발명은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가 발생한 현장에서 긴급히 작업위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아우트리거를 전개함에 있어서 운전자가 소방차를 정차한 후에 운전석에서 곧바로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운전석에 장착함으로써 긴급한 순간에 아우트리거의 전개에 드는 시간을 절약하고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보다 빨리 착수할 수 있도록 아우트리거 작동시스템을 개선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발달 및 도시화로 인해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주거지역이 밀집화 및 고층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고층건물의 화재시에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장비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비가 바로 고가사다리 혹은 굴절붐을 장착한 소방차이다.
이러한 고가사다리 혹은 굴절붐을 장착한 소방차는 대형 특장트럭에 용접트 러스트 구조물로 된 사다리장치 혹은 굴절붐을 결합한 것으로서, 사다리 혹은 굴절붐이 기립(起立) 및 신장되었을 때에 소방차의 전복을 방지하고 중심을 잡아주기 위하여 통상 5m 이상의 아우트리거(outrigger)들을 소방차의 좌우측에 각각 2개씩 모두 4개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아우트리거들을 지면에 대고 차체를 들어올림으로써 고가사다리 작업시 전복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고가사다리 소방차(1)의 각 부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2와 도3은 아우트리거(11)가 전개된 상태에서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착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1을 참고하면, 종래의 고가사다리 소방차(1)는 대형 특장트럭의 샤시(5) 위에 사다리 장치(2)와 방수총(8) 등 소화설비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사다리 장치(2)는 턴테이블(6) 위에 설치되어서 사방으로 회전하면서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다리 장치(2)는 차체에 부착된 메인사다리 부분(3)과 텔레스코프 식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서브사다리 부분(4)으로 구성되며(도3 참조), 붐 실린더(9)에 의해 기립 및 전개와 수축이 가능하다. 턴테이블(6)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고가사다리 소방차(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사다리 장치(2)는 원하는 방향으로 조종될 수 있다. 한편, 턴테이블(6) 위 혹은 차체 상부의 적당한 장소에는 사다리 장치(2)와 소화설비 등 상부구조물들의 조작을 위한 상부조작대(15)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사다리 장치(2)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기(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다리 장치(2)의 일측에는 승강기(10)의 상하운동을 위한 윈치기구(7)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고가사다리 소방차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처음에 소방차를 화재현장에 위치시킨 후 아우트리거들을 최대한 안정된 상태로 펴서 차체를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아우트리거들이 안전하게 전개되고 차체의 수평이 맞은 후가 아니면 고가사다리 혹은 굴절붐의 사용 도중 차체가 전복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고가사다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게 된다.
도1 내지 도3에서 차체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된 아우트리거들(11)은 각각 차량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는 수평빔과, 수평빔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전개되는 수직빔, 그리고 이 수평빔을 전개시키는 수평실린더 및 수직빔을 전개시키는 수직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트리거들(11)을 작동시키는 조작반(14)은 차량 본체의 후단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데(도2 및 도3 참조), 일반적으로 상기 아우트리거 조작반(14)에는 아우트리거들(11)을 수동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수동조작 스위치들과 아우트리거들을 정해진 길이만큼 자동으로 전개시키기 위한 자동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에는 고가사다리나 굴절붐이 장착된 소방차를 화재 현장에서 사용할 때에, 운전자가 소방차(1)를 화재 지역의 도로나 골목길의 적당한 위치에 주차시키고 브레이크를 걸어 바퀴(12)를 제동한 다음, 아우트리거들(11)을 전개시키기 위해서 운전석(13)에서 내려 재빨리 차량의 제일 뒤쪽에 마련되어 있는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로 뛰어가야만 했다. 그리고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을 조작해서 좌우측 2개씩 총 4개의 아우트리거들(11)을 모두 전개시킨 다음에는 차체 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조작대(15)로 올라가서 고가사다리, 굴절붐, 방수총 등의 상부구조물을 조작해야 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가사다리 소방차(1)는 고가사다리 장치 등 상부구조물을 사용하기 전의 준비동작으로 운전자가 차량의 맨 뒤에 있는 아우트리거 조작반(14)으로 가서 직접 조작반(14)을 조작하여 아우트리거(11)를 전개시켜야 했고, 아우트리거(11)가 완전히 성공적으로 전개된 것을 확인한 뒤에야 비로소 차체 상부의 상부조작대(15)로 올라가서 상부구조물을 운전할 수 있었기 때문에, 본격적인 인명구조 작업 및 화재진압 작업에 착수하기까지의 준비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13)으로부터 곧바로 차량 상부의 상부조작대(15)로 가지 못하고, 중간에 차체 후단부에서 아우트리거를 펴기 위한 조작을 하는 데에 최소 1~2분 정도의 시간을 소모해야 했기 때문에, 긴급을 요하는 화재현장에서 본격적으로 소화작업 및 인명 구조작업에 착수하는 것이 그만큼 지체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방차의 운전자가 아우트리거의 전개를 위해 운전석(13)으로부터 차체의 맨 뒤로 갔다가 다시 차체 상부로 올라가는 등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시간은, 화재현장의 구조작업에서 1분, 1초가 아쉬운 것을 고려하면, 반드시 단축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화재현장에 임한 고가사다리 소방 차의 아우트리거를 전개함에 있어서 운전자가 소방차를 정차한 후에 운전석에서 곧바로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운전석에 장착하여 긴급한 순간에 아우트리거의 전개에 드는 시간을 절약하고 신속히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아우트리거 작동시스템을 개선한 고가사다리 소방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는, 소방차의 엔진의 동력을 유압펌프로 인가하는 동력인출장치(21); 상기 동력인출장치(21)를 가동시키는 동력인출장치 작동 스위치(130);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전달된 압유를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110)와 수직실린더(111)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아우트리거 콘트롤밸브(24);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110)에 설치되어 0.1~1m 범위 안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10a); 상기 수직실린더(111)에 연결되어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11a); 상기 아우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하며, 아우트리거를 수동조작으로 전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모드와 상기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작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141); 소방차의 후방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41)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조작 스위치들과 표시수단들을 가진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a,14b); 및 소방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상기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키는 자동조작모드가 상기 제어부(141)에 의해 실행되도록 아우트리거 자동전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는 화재현장에 임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아우트리거를 전개함에 있어서 운전자가 소방차의 정차 후 운전석에서 곧바로 아우트리거 자동전개스위치를 이용하여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킬 수 있으므로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할 정도로 신속성이 요구되는 긴급한 화재현장에서 아우트리거를 전개시키는데 드는 시간을 절약하고 최대한 빨리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에 있어서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5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 소방차(1)의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50)은 소방차의 엔진(20)으로부터 나온 동력을 동력인출장치(21, power take off)를 거쳐 유압펌프(22)로 전달한 다음, 유압펌프(22)에서 발생된 압유(壓油)를 각 아우트리거(11a,11b,11c,11d)의 수평실린더(110) 및 수직실린더(111)로 분배 전달하여 아우트리거들을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차의 차체 후단부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된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a,14b)은 제어부(141) 및 메모리(142)와 함께 아우트리거 제어유닛(140)을 구성하며, 상기 좌측 아우트리거 조작반(14a)은 소방차의 좌측에 위치한 전후 2개의 아우트리거들(11a,11b)을 전개 및 수축시키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우측 아우트리거 조작반(14b)은 소방차의 우측에 위치한 전후 2개의 아우트리거들(11c,11d)을 전개 및 수축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도4에서 소방차의 좌측에 위치한 2개의 아우트리거들, 즉 좌측 전방 아우트리거(11a)와 좌측 후방 아우트리거(11b)는 좌측 아우트리거 구동부(100a)를 구성하며, 소방차의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아우트리거들, 즉 우측 전방 아우트리거(11c)와 우측 후방 아우트리거(11d)는 우측 아우트리거 구동부(100b)를 구성한다.
그리고, 4개의 아우트리거들, 즉 좌측 전방 아우트리거(11a), 좌측 후방 아우트리거(11b), 우측 전방 아우트리거(11c) 및 우측 후방 아우트리거(11d)에 공급되는 압유는 유압펌프(22)에서 발생된 후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23)와 좌우측의 아우트리거 콘트롤 밸브들(24,25)을 거쳐 전달된다. 제어부(141)는 상기 좌우측의 아우트리거 콘트롤 밸브들(24,25)을 개폐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콘트롤 밸브들(24,25)에 인가함으로써 각 아우트리거들(11a,11b,11c,11d)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동력인출장치(21)는 일반적으로 PTO라는 명칭으로 통칭되는데, 엔진의 동력을 유압장치로 연결시켜 유압장치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이다. 상기 동력인출장치(21)를 작동시키는 동력인출장치(PTO) 작동스위치(130)는 소방차의 운 전석(13)에 설치되어 있는데, 소방차의 운전자는 화재현장에 소방차를 정차시키고 브레이크를 걸어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 다음, 운전석(13)에서 상기 동력인출장치 작동스위치(130)를 눌러 동력인출장치(21)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소방차 엔진(20)의 출력은 유압펌프(22)로 전달되고 압유가 유압라인에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은 소방차의 운전석(13) 혹은 운전룸(driver's room) 안에 상기 동력인출장치 작동스위치(130)와 함께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를 더 구비하여 운전석(13)에서 곧바로 아우트리거들(11a,11b,11c,11d)을 자동전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 소방차에서는 소방차의 운전자가 차체 후단부로 가서 일일이 아우트리거를 전개하는 조작을 하는데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으며, 소방차를 주차시키고 제동조치를 취한 후 곧바로 운전석(13) 안에서 동력인출장치 스위치(130)를 눌러 동력인출장치(21)를 작동시키고, 이어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를 눌러 아우트리거들(11a,11b,11c,11d)을 자동으로 전개시킨 후 바로 운전석(13)에서 나와 차체 상부의 상부조작대(15)로 올라가 사다리 혹은 굴절붐 등의 상부구조물을 조작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해서, 아우트리거들을 보다 신속히 전개할 수 있으며, 소방차의 운전자가 아우트리거만을 전개시키기 위해서 차체 후단부로 가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a,14b)을 조작하는 번거로움과 그러한 작업에 걸리는 시간 소모를 피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아우트리거들(11a,11b,11c,11d)은 각각 수평실린더(110)와 수직실린더(111)를 포함하며, 이 중 수평실린더(110)에는 근접센서(110a)가 장착되어 수평실린더(110)가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도중 대략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141)에 장애물 감지 신호를 보내 수평실린더(110)에 전달되는 압유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110a)의 장애물 감지범위는 대체로 0.1~1m 범위 안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실린더(111)에는 압력센서(111a)가 장착되어 각 아우트리거의 압력분포를 감지하도록 한다. 압력센서(111a) 역시 제어부(141)에 연결되어 압력감지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가사다리 소방차(1)의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50)에서는 자동전개 모드에 의해 아우트리거들을 전개하더라도 각 아우트리거(11a,11b,11c,11d)의 수평실린더(110)가 수평으로 연장되는 도중 장애물을 만날 경우에는 미리 수평실린더(110)의 팽창을 중지하고 그 다음으로 수직실린더(111)의 팽창 작업을 수행하므로 아우트리거가 장애물에 걸려 파손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아우트리거들의 수직실린더(111)들은 각 압력센서(111a)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4개의 아우트리거들에 균등하게 걸려서 차체의 수평이 확보되도록 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수직실린더(111)가 전개되는 도중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수평감지센서(143)는 차체의 수평(levelling)을 감지하여 제어부(141)에 신호를 전달하며, 수평감지센서(143)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부(141)는 각 아우트리거들의 전개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상기 메모리(142)에는 각 아우트리거들의 전개길이 및 하중분포와 수평상태에 관한 데이터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 부(141)는 각 수평실린더의 전개길이 및 수직실린더에 걸리는 하중과 수평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각 센서들(110a,111a,143)로부터 받아들인 후 이들 정보들을 메모리(142)에 저장된 기준값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아우트리거들이 안전하게 전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장애물의 존재로 인하여 아우트리거가 충분히 넓게 전개되지 못하고 현재 전개된 상태로는 상부구조물의 안전을 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41)는 위험 경보를 발생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새로운 장소로 소방차를 이동시켜 주차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수동조작으로 아우트리거를 다시 전개하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우트리거의 자동전개를 위한 스위치(131)를 운전석(13)안에 설치하여 운전석(13)에서 곧바로 아우트리거를 자동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서 더 나아가 운전석에서 아우트리거를 자동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까지는 굳이 포함시킬 필요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화재현장에서 아우트리거를 신속히 자동 전개시키는 것은 소화작업 등에 빨리 착수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것이지만, 진화작업 및 인명구조작업을 마친 후 현장을 떠날 때에는 시간이 급하지 않고 무엇보다도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우트리거가 정확히 수납완료되는 것을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최상의 실시예로서는 아우트리거를 자동전개시킬 수 있는 스위치(131) 혹은 제어장치를 소방차의 운전석(13)안에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운전석에서 아우트리거의 자동전개 뿐 아니라 자동수납까지 가능하게 하는 제어스위치 혹은 제어장치를 구비한 소방차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과 붐 제어유닛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가사다리 소방차(1)에서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과 상부구조물의 제어시스템은 회로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차체 후단부에서 아우트리거들을 전개 및 수납하는 아우트리거 제어유닛(140)과 차체 상부의 상부조작대(15)에서 상부구조물을 조작하는 붐 제어유닛(160)은 회로적으로 서로 단절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양 제어시스템을 서로 분리시킨 것은 상부구조물의 작동 중 어떤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해서든 회로적으로 서로 간섭이 생겨서 아우트리거가 작동되는 일이 아예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양 제어시스템이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부구조물의 작동 중 잘못해서 아우트리거가 움직일 가능성도 있는데, 만약 이런 일이 실제 발생한다면 차량의 전복 및 인명사고 등 큰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런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아우트리거 제어유닛(140)과 붐 제어유닛(160)은 회로적으로 분리시켜 놓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붐 제어유닛(160)이 설치된 상부조작대(15)에서는 소방차의 전체 운전상태 및 안전관리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한 음성알림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므로, 이러한 정보를 통합하는 차원에서 아우트리거의 전개상태에 관한 정보와 차체의 수평유지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부조작대(15)의 붐 운전제어부(161)와 아우트리거 제어유닛(140)의 제어부(141)가 공유하도록 할 수는 있다.
도5를 참고하면, 소방차의 차체 후단부에 설치된 제어유닛(140)은 좌우측에 각각 마련된 좌측 아우트리거 조작반(14a)과 우측 아우트리거 조작반(14b)을 포함하며, 각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a,14b)에는 자동전개 스위치(150), 수동조작부(151), 표시램프부(152), 비상정지 스위치(153) 및 예비조작부(15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자동전개 스위치(150)는 실질적으로 운전석(13)에 마련된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자동전개 스위치(150)를 누르면 제어부(141)에서 자동전개 모드가 실행되어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110)는 근접센서(110a)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는 한 최대 길이까지 팽창되고, 수직실린더(111)는 압력센서(111a)에 의해 적절한 하중이 감지될 때까지 최대 길이까지 팽창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조작부(151)는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와 수직실린더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그 스틱(jog stick) 타입의 스로틀 스위치들을 포함하며, 이 스로틀 스위치들을 조작하여 운전자가 직접 아우트리거의 전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차체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조작대(15)에는 상부구조물의 운전을 위한 붐 제어유닛(160)이 제공된다. 붐 운전제어부(161)는 운전자가 붐 운전조작부(16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붐 구동부(165)에 운전제어신호를 전달하며, 붐 운전제어부(161)의 운전상태는 모니터로 구성된 표시부(163)에 의해서 표시됨과 함께 음성알림부(164)에 의해서 음성으로도 출력된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 소방차(1)에 있어서 차체 후단부 에 아우트리거 조작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6에는 일 예로 차체 후단부(17)의 좌측에 설치된 아우트리거 조작반(14a)을 도시하였다.
도7을 참고하면, 아우트리거 조작반(14a)은 자동전개 스위치(150), 수동조작스위치(151), 각종 표시램프들(152a~152g), 비상정지 스위치(153), 예비 스위치(154), 스로틀 조작스위치(155) 및 사용시간 표시부(156)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램프들로는 필터 표시램프(152a), 수납완료 표시램프(152b), 전개완료 표시램프(152c), 수평이상 표시램프(152d), 수평완료 표시램프(152e), 하부선택 표시램프(152f) 및 상부선택 표시램프(152g)를 구비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 소방차에 있어서 운전석(13)안에 동력인출장치 작동스위치(130) 및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방차의 운전석(13) 혹은 운전룸 안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를 눌러 아우트리거가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한 다음, 곧바로 운전석에서 내려 차체의 상부로 올라가 상부구조물의 운전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히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작업에 착수할 수 있다. 도8에서 도면부호 133은 핸들이며, 134는 운전석의 대쉬보드(dash board)이고, 130은 동력인출장치 작동스위치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를 이용하여 소방작업을 할 때에 아우트리거 설치로부터 붐 구동 및 아우트리거 수납에 이르기까지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 소방차를 이용한 작업은 먼저 소방차를 정차 및 주차한 후(S1 단계), 브레이크를 걸어 제동조치를 완료하고(S2 단계), 이어서 동력인출장치 스위치를 온(on) 시켜서(S3 단계) 동력인출장치가 작동되도록 한다(S4 단계). 그리고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곧바로 아우트리거를 자동전개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눌러 아우트리거가 자동전개되도록 하고(S5 단계 내지 S7단계), 만약 차체 후단부의 아우트리거 조작반에서 수동으로 전개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에서 벗어나 차체 후단부의 아우트리거 조작반에서 수동조작 스위치들을 조작하여 아우트리거를 전개시킨다(S5, S10, S11 단계). 아우트리거를 자동전개하는 경우이든 수동전개하는 경우이든 차체의 수평을 감지하여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수평이 맞을 때까지 아우트리거들의 전개상태를 조절한다(S8 및 S9 단계와 S12 및 S13 단계).
다음으로 차체 상부에 있는 상부조작대에서 고가사다리 혹은 굴절붐을 조작하며(S14 단계 및 S15 단계), 화재진압이 완료된 후에는 차체 후단부에 있는 아우트리거 조작반에서 수동조작스위치들을 조작하여 아우트리거를 수납시킨다(S16 및 S17 단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소방차의 정차 및 아우트리거의 전개 작업까지(S1 단계 내지 S6단계)를 운전석(13)에서 수행하고 곧바로 차체 상부로 올라가서 사다리 혹은 굴절붐의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S14 단계), 차체 후단부에 가서 아우트리거를 전개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각 부의 구성과 아우트리거 전개 동작시의 작업순서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에 있어서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과 붐 제어유닛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 소방차에 있어서 차체 후단부에 아우트리거 조작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사다리 소방차에 있어서 운전석(13)안에 동력인출장치 작동스위치(130) 및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를 이용하여 소방작업을 할 때에 아우트리거 설치로부터 붐 구동 및 아우트리거 수납에 이르기까지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가사다리 소방차 2: 사다리 장치
3: 메인사다리 4: 서브사다리
5: 샤시 6: 턴테이블
7: 윈치기구 8: 방수총
9: 붐 실린더 10: 승강기
11a, 11b, 11c, 11d: 아우트리거(outrigger)
12: 바퀴 13: 운전석
14: 차체 후단부 아우트리거 조작반 15: 상부조작대
17: 차체 후단 20: 엔진
21: 동력인출장치 22: 유압펌프
23: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24, 25: 아우트리거 콘트롤 밸브
50: 아우트리거 제어시스템
100a: 좌측 아우트리거 구동부 100b: 우측 아우트리거 구동부
110: 수평실린더 110a: 근접센서
111: 수직실린더 111a: 압력센서
130: PTO 스위치 131: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
133: 핸들 134: 대쉬보드(dash board)
140: 아우트리거 제어유닛 141: 제어부
142: 메모리 143: 수평감지센서
150: 자동전개스위치 151: 수동조작부
152: 표시램프부 153: 비상정지 스위치
154: 예비조작부 155: 스로틀 조작스위치
156: 사용시간 표시부 160: 붐 제어유닛
161: 붐 운전 제어부 162: 붐 운전 조작부
163: 표시부 164: 음성알림부
165: 붐 구동부 B: 건물

Claims (3)

  1. 소방차의 엔진의 동력을 유압펌프로 인가하는 동력인출장치(21);
    상기 동력인출장치(21)를 가동시키는 동력인출장치 작동 스위치(130);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전달된 압유를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110)와 수직실린더(111)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아우트리거 콘트롤밸브(24);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실린더(110)에 설치되어 0.1~1m 범위 안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10a);
    상기 수직실린더(111)에 연결되어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11a);
    상기 아우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하며, 아우트리거를 수동조작으로 전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조작모드와 상기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작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141);
    소방차의 후방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41)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조작 스위치들과 표시수단들을 가진 아우트리거 조작반들(14a,14b); 및
    소방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상기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키는 자동조작모드가 상기 제어부(141)에 의해 실행되도록 아우트리거 자동전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
  2. 제1항에 있어서, 소방차의 아우트리거들이 전개된 상태에서 소방차의 수평상 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41)에 신호를 전달하는 수평감지센서(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아우트리거 조작반(14a,14b)에는,
    상기 제어부(141)에서 상기 아우트리거를 자동으로 전개시키는 자동조작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자동전개 스위치(150);
    상기 아우트리거의 전개 및 수납에 관한 동작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부(151);
    상기 아우트리거의 작동상태와 수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부(152); 및
    아우트리거의 작동을 긴급히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스위치(15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 소방차.
KR1020070137521A 2007-12-26 2007-12-26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KR20090069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21A KR20090069745A (ko) 2007-12-26 2007-12-26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21A KR20090069745A (ko) 2007-12-26 2007-12-26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45A true KR20090069745A (ko) 2009-07-01

Family

ID=4132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21A KR20090069745A (ko) 2007-12-26 2007-12-26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97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517B1 (ko) * 2014-09-30 2015-06-30 신욱희 고가 사다리 소방자동차의 승강기 비상제동장치
KR20200074305A (ko) * 2018-12-14 2020-06-25 이준호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KR20200129945A (ko) * 2019-05-10 2020-11-18 (주)드림티엔에스 고가 사다리차의 제어 시스템
KR102408924B1 (ko) * 2022-02-21 2022-06-14 주식회사 국도특장 센서를 이용한 차량 오토레벨링 시스템
WO2024034129A1 (ja) * 2022-08-12 2024-02-15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表示部付作業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517B1 (ko) * 2014-09-30 2015-06-30 신욱희 고가 사다리 소방자동차의 승강기 비상제동장치
KR20200074305A (ko) * 2018-12-14 2020-06-25 이준호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KR20200129945A (ko) * 2019-05-10 2020-11-18 (주)드림티엔에스 고가 사다리차의 제어 시스템
KR102408924B1 (ko) * 2022-02-21 2022-06-14 주식회사 국도특장 센서를 이용한 차량 오토레벨링 시스템
WO2024034129A1 (ja) * 2022-08-12 2024-02-15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表示部付作業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9745A (ko)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JPH05124800A (ja) 高所作業車の安全機構
JPH107398A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における安全装置
JP3761779B2 (ja) 軌陸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070092882A (ko) 음성알림장치를 갖춘 고가 소방인명구조장비
JP4625686B2 (ja) 作業車の安全制御装置
JPH10330094A (ja) 高所作業車
JP2674975B2 (ja) 高所作業架台付きクレーン装置
JP5297118B2 (ja) 高所作業車の耐震装置
JP2006096441A (ja)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KR200422265Y1 (ko) 고가사다리 및 굴절붐의 자동수납장치를 구비한 고가사다리소방차
JPS6092145A (ja) アウトリガを有する作業車の車体水平設定装置
JP6528429B2 (ja) 歯止め安全装置
KR102622463B1 (ko) 차량용 아우트리거
JPH11106183A (ja) アウトリガの張出制御装置
JP2004262629A (ja) 作動制御装置
JP4991132B2 (ja) 作業車の安全装置
KR102569826B1 (ko)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JP2006160502A (ja) 作業車の安全制御装置
JP3784042B2 (ja) ジャッキ作動制御装置
JP3836288B2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3834456B2 (ja) 軌陸作業車
KR100264478B1 (ko) 아웃트리거제어시스템
KR200267132Y1 (ko) 사다리 소방차의 턴테이블 자동 확장 장치
JP2006036525A (ja) ブーム作業車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