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826B1 -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826B1
KR102569826B1 KR1020210179637A KR20210179637A KR102569826B1 KR 102569826 B1 KR102569826 B1 KR 102569826B1 KR 1020210179637 A KR1020210179637 A KR 1020210179637A KR 20210179637 A KR20210179637 A KR 20210179637A KR 102569826 B1 KR102569826 B1 KR 10256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ocks
chock
outrigger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671A (ko
Inventor
김노우
김경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8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1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 B60T1/1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directly on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2Calibrating

Abstract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는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고임목과,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거나 설치 해제하는 구동부, 그리고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자동적으로 고임목을 설치하여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INSTALLATION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WHEEL SUPPORT}
본 발명은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차량, 고소 작업차, 소방차 등과 같이 특수 목적의 차량들은 작업현장에 도착하면, 차량의 차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아우트리거(outrigger)를 전개하여 지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베이스 빔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우트리거 빔과 상기 아우트리거 빔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는 잭 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아우트리거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69909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아우트리거는 차량이 경사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차체를 수평한 상태로 맞추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동작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로에서 작업을 수행한 후 아우트리거 동작을 해제하여 복귀시키면 차량은 경사로에 배치되므로, 차량이 경사로를 따라서 미끌어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차량의 바퀴가 지면에 닿으면 고임목을 설치하여 차량이 미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의 부주의, 협소한 작업 공간, 또는 작업절차의 부적합 등으로 인하여 고임목을 설치하지 않아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8-0069909호 (1998.10.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자동적으로 고임목을 설치하여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는,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고임목;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거나 설치 해제하는 구동부; 및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기어가 주차모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차량의 기울기 센서가 일정 각도 이상의 경사로에 차량이 배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고임목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된 후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 해제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고임목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풋 브레이크가 동작된 상태에서 기어가 주행모드로 바뀌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임목의 설치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는, 차량에 설치된 아우트리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동유를 공유하여 동작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구동부는, 차량에 구비되고, 작동유가 유입되면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고임목이 구비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단부에 체결되며, 지면에 배치되면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상기 고임목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서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실린더에 회전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지면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또는 차량에 구비되어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지면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차량의 기어 모드를 확인하는 기어모드 확인단계;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였는지 확인하는 사이드브레이크 확인단계;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차량의 배치상태 확인단계; 및 차량의 기어가 주차모드이고,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을 확인하면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고임목을 설치하는 고임목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된 이후에 차량의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아우트리거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임목 설치단계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임목 설치단계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된 후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 해제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차량의 풋 브레이크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풋브레이크 확인단계; 및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풋 브레이크가 동작되고,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후 기어가 주행모드로 바뀌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고임목 설치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고임목 설치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자동적으로 고임목을 설치하여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설치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차량과 평행하지 않는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는 차량의 아우트리거가 동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설치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유압 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에서 아우트리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한 고임목 설치 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에서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에서 아우트리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설치 해제 및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차량과 평행하지 않는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차량의 아우트리거가 동작하여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설치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유압 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100)는 차량(10)의 바퀴(20)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고임목(200)과, 차량(10)에 구비되고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거나 설치 해제하는 구동부(300), 그리고 차량(10)의 상태를 감지하고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100)는 차량(10)의 앞바퀴(21)와 뒷바퀴(22)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100)는 차량(10)의 앞바퀴(21)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앞바퀴(21)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에서 차량(1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100)는 차량(10)의 뒷바퀴(22)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뒷바퀴(22)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향 경사진 경사면에서 차량(1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100)는 차량(10)의 앞바퀴(21)와 뒷바퀴(22) 각각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앞바퀴(21)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임목(200)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210)이 지면(G)에 안착된 상태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면(220)이 차량(10)의 바퀴(20)에 밀착되어 차량(10)의 바퀴(20)가 구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임목(200)의 체결면(230)에 상기 구동부(300)의 액추에이터(330)가 체결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고임목(200)을 차량(10)의 바퀴(20)에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 동작하여 상기 고임목(200)을 차량(10)의 바퀴(20)에 설치하도록 동작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차량에 설치된 아우트리거(3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동유를 공유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유압라인과 유압펌프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의 아우트리거(3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는 유압펌프(34)와 유압라인(33)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동부(300)는 차량(10)에 구비되고 작동유가 유입되면 지면(G)을 향하여 돌출되는 유압 실린더(310)와, 상기 고임목(200)이 구비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310)의 단부에 체결되며 지면(G)에 배치되면 차량(10)의 바퀴(20)를 향하여 상기 고임목(200)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310)는 기존의 아우트리거(3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는 유압라인(33)에서 분기된 고임목 유압라인(321)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펌프(34)의 동작에 의해 작동유를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임목 유압라인(321)에는 고임목 밸브(322)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유압 실린더(310)를 동작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고임목 유압라인(321)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우트리거(30)는 아우트리거 실린더(32)에 상기 유압라인(33)을 통하여 작동유가 공급되면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라인(33)에는 아우트리거 밸브(3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아우트리거 실린더(32)를 동작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유압라인(33)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고임목(200)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고임목 밸브(322)는 상기 고임목 유압라인(321)을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아우트리거 밸브(31)는 상기 유압라인(33)을 개방하도록 동작하여, 상기 아우트리거(30)만 설치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임목(200)이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아우트리거(30)는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아우트리거 밸브(31)는 상기 유압라인(33)을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고임목 밸브(322)는 상기 고임목 유압라인(321)을 개방하도록 동작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310)를 동작시켜 상기 고임목(200)만 설치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30)는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할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310)가 동작하여 지면(G)에 닿으면 동작하여 상기 고임목(200)을 차량(10)의 바퀴(20)를 향하여 이동시켜 차량(10)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액추에이터(330)는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동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고임목 유압라인(321)으로부터 작동유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330)는 지면(G)의 경사도에 따라서 상기 유압 실린더(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부(331)를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310)에 회전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지면(G)이 차량(10)과 평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330)가 수직하게 지면(G)에 내려와 상기 고임목(200)을 이동시켜도 상기 고임목(200)을 차량(10)의 바퀴(20)에 설치하지 못하거나, 상기 고임목(200)의 바닥면(210)을 지면(G)에 지지하지 못한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330)를 상기 유압 실린더(310)에 대하여 상기 힌지부(331)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이 차량(10)과 평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고임목(200)의 바닥면(210)을 지면(G)에 밀착시킨 상태로 바퀴(20)를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액추에이터(330)가 지면(G)에 배치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센서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부(340)는 상기 유압 실린더(310)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330)가 지면(G)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또는 차량(10)에 구비되어 지면(G)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330)가 지면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차량(10)의 상태를 감지하고,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고임목(200)을 차량(10)의 바퀴(20)에 설치하거나, 설치된 고임목(200)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차량(10)의 기어(41)가 주차모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42)가 작동되고, 차량(10)의 기울기 센서(44)가 일정 각도 이상의 경사로에 차량(10)이 배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고임목(200)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량(10)이 일정 각도 이상의 경사로, 예를 들어 지면(G)이 5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로에서 주차를 하는 경우에 차량(10)이 경사면을 따라서 미끌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고임목(200)을 차량(10)의 바퀴(20)에 설치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지면(G)의 경사면이 하향 경사진 것을 감지하면, 차량(10)의 앞바퀴(21)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100)의 구동부(300)를 동작시켜 차량(10)의 앞바퀴(21)의 전방에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지면(G)의 경사면이 상향 경사진 것을 감지하면, 차량(10)의 뒷바퀴(22)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100)의 구동부(300)를 동작시켜 차량(10)의 뒷바퀴(22)의 후방에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일정 각도 이상의 경사면에 차량(10)을 주차하는 경우에도 차량(10)이 미끄러지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차량(10)에 구비되어 있는 아우트리거(30)의 설치 여부에 따라 상기 고임목(200)의 설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200)은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10)이 주차된 후에 상기 고임목(200) 설치를 위하여 바로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키지 않고, 약 20~ 40초 정도의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에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지 않으면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차량(10)의 기어(41)가 주차모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42)가 작동되고, 차량(10)의 기울기 센서(44)가 일정 각도 이상의 경사로에 차량(10)이 배치된 것을 감지하고,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차량(10)이 상기 아우트리거(30)에 의해 지지되므로, 별도로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된 후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 해제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200)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 해제되는 경우에는 차량(10)이 경사로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트리거(30)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여 차량(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아우트리거(30)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고임목(200)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여 차량(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고임목(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 조건이 되면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고임목(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42)가 해제되고 풋 브레이크(43)가 동작된 상태에서 기어(41)가 주행모드로 바뀌면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10)을 주행하기 위한 준비 동작에 해당하므로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고임목(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30)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200)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조건 없이 사용자가 강제로 상기 고임목(200)의 설치 및 설치 해제 동작을 시킬 수 있도록 명령버튼(410)이 차량(1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버튼(410)은 스마트기기에서 입력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으로 연동되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상기 명령버튼(410)의 명령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명령버튼(410)으로 고임목 설치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키고, 상기 명령버튼(410)으로 고임목 설치 해제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고임목(200)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차량의 기어 모드를 확인하는 기어모드 확인단계(S110)와,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였는지 확인하는 사이드브레이크 확인단계(S130)와,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차량의 배치상태 확인단계(S150), 그리고 차량의 기어가 주차모드이고(S120의 예)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된 것을 확인(S140의 예)하고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S160의 예)된 것을 확인하면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고임목을 설치하는 고임목 설치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차량의 정차한 후 기어가 주차모드로 변경되고(S120의 예),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S140의 예)하여 주차가 완료되면, 현재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으로 파악(S160의 예)하면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고임목을 설치(S180)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임목 설치단계(S180)는 경사로가 하향 경사진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의 앞바퀴의 전방에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고, 경사로가 상향 경사진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의 뒷바퀴의 후방에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일정 이상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로에 주차되면 상기 고임목을 차량의 바퀴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어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에서 아우트리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한 고임목 설치 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아우트리거의 설치 여부에 따라 상기 고임목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차량의 기어 모드를 확인하는 기어모드 확인단계(S110)와,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였는지 확인하는 사이드브레이크 확인단계(S130)와,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차량의 배치상태 확인단계(S150), 그리고,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된 이후에 차량의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아우트리거 확인단계(S17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차량의 기어가 주차모드이고(S120의 예)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된 것을 확인(S140의 예)하고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S160의 예)된 것을 확인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아우트리거를 설치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S170의 아니오)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고임목을 설치하는 고임목 설치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은 차량의 정차한 후 기어가 주차모드로 변경되고(S120의 예),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S140의 예)하여 주차가 완료되면, 현재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으로 파악(S160의 예)하고,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설치되지 않으면(S170의 아니오)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고임목을 설치(S180)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은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이 주차된 후에 상기 고임목 설치를 위하여 바로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지 않고, 약 20~ 40초 정도의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에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되지 않으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임목 설치단계(S180)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된 후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 해제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의 정차한 후 기어가 주차모드로 변경되고(S120의 예),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S140의 예)하여 주차가 완료되면, 현재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으로 파악(S160의 예)하고,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S170의 예) 고임목을 설치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 해제가 되면(S171)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고임목을 설치(S180)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를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 해제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트리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여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에서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상기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에서 아우트리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의 고임목 설치 해제 순서는,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S180)에서 차량의 풋 브레이크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풋브레이크 확인단계(S211)와,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었는지 확인하는 사이드브레이크 확인단계(S213)와, 차량의 기어 모드를 확인하는 기어모드 확인단계(S215), 그리고 풋 브레이크가 동작(S212의 예)되고,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S214의 예)된 후 기어가 주행모드로 바뀌면(S216의 예)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고임목 설치 해제단계(S217)를 포함한다.
즉, 차량을 주행하기 위한 준비 동작이 확인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S180)에서, 아우트리거가 설치(S221의 예)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고임목 설치 해제단계(S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200 : 고임목
210 : 바닥면 220 : 지지면
230 : 체결면 300 : 구동부
310 : 유압 실린더 321 : 고임목 유압라인
322 : 고임목 밸브 330 : 액추에이터
331 : 힌지부 340 : 센서부
400 : 제어부 410 : 명령버튼

Claims (18)

  1.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고임목;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거나 설치 해제하는 구동부; 및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된 후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 해제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기어가 주차모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차량의 기울기 센서가 일정 각도 이상의 경사로에 차량이 배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고임목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고임목이 설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풋 브레이크가 동작된 상태에서 기어가 주행모드로 바뀌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임목의 설치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차량에 설치된 아우트리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동유를 공유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차량에 구비되고, 작동유가 유입되면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고임목이 구비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단부에 체결되며, 지면에 배치되면 차량의 바퀴를 향하여 상기 고임목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서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실린더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지면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또는 차량에 구비되어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지면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13. 차량의 기어 모드를 확인하는 기어모드 확인단계;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였는지 확인하는 사이드브레이크 확인단계;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을 감지하는 차량의 배치상태 확인단계; 및
    차량의 기어가 주차모드이고, 차량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차량이 경사로에 배치된 것을 확인하면 차량의 바퀴 전방 또는 후방에 고임목을 설치하는 고임목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임목 설치단계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된 후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 해제되도록 동작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된 이후에 차량의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아우트리거 확인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 설치단계는,
    일정 시간 내에 아우트리거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차량의 풋 브레이크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풋브레이크 확인단계; 및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풋 브레이크가 동작되고,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후 기어가 주행모드로 바뀌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고임목 설치 해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아우트리거가 설치되면 상기 고임목을 설치 해제하는 고임목 설치 해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설치방법.
KR1020210179637A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256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37A KR102569826B1 (ko)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37A KR102569826B1 (ko)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71A KR20230090671A (ko) 2023-06-22
KR102569826B1 true KR102569826B1 (ko) 2023-08-24

Family

ID=8698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37A KR102569826B1 (ko)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4505A (ja) * 2013-10-04 2015-04-20 株式会社光秀 アウトリガー装備車両
KR101583442B1 (ko) * 2015-01-05 2016-01-07 송경섭 차량고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609B2 (ja) 1997-02-24 2007-08-29 石川島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等のアウトリガー
KR100506014B1 (ko) * 2002-10-14 2005-08-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밀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4505A (ja) * 2013-10-04 2015-04-20 株式会社光秀 アウトリガー装備車両
KR101583442B1 (ko) * 2015-01-05 2016-01-07 송경섭 차량고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71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1038A (ko) 조명기능이 포함된 지게차 포크 팔렛 고정 장치
JP4615056B1 (ja) 通行方向規制装置
KR102569826B1 (ko) 차량용 고임목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JP4986681B2 (ja) 作業車のジャッキ制御装置
KR20090069745A (ko)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JP2014201442A (ja) 高所作業車
JP5008432B2 (ja) フォークリフト車の安全装置
WO2018037224A1 (en) A levelling system for a mobile object
JP5337474B2 (ja) 車体支持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4560342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4221257B2 (ja) 軌陸作業車の逸走防止装置
KR20240008095A (ko) 인터록을 활용한 풋브레이크-아우트리거 안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JP6528429B2 (ja) 歯止め安全装置
JP4060122B2 (ja) 軌陸作業車
JP2006117016A (ja) 輪止め安全装置
JP4024586B2 (ja) 軌陸作業車
JP4991132B2 (ja) 作業車の安全装置
JP3167192B2 (ja) 高所作業車の過積載警報装置
JP2561608Y2 (ja) ツウシリンダー型の車輌用リフト装置
JP3958521B2 (ja) 作業用車両のジャッキ操作案内制御装置
JPH10273297A (ja) 作業車の安全装置
KR20230109480A (ko) 고소 작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
JP2004231012A (ja) 作業車のジャッキ作動制御装置
JP2003165696A (ja) 作業車のジャッキ作動制御装置
JP2001240387A (ja) 作業車の車体水平設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