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474B1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474B1
KR102431474B1 KR1020220074326A KR20220074326A KR102431474B1 KR 102431474 B1 KR102431474 B1 KR 102431474B1 KR 1020220074326 A KR1020220074326 A KR 1020220074326A KR 20220074326 A KR20220074326 A KR 20220074326A KR 102431474 B1 KR102431474 B1 KR 10243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ctric vehicle
water tank
opening
charg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환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led Critical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to KR102022007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474B1/ko
Priority to PCT/KR2022/015278 priority patent/WO20232437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 화재 발생시 효과적으로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수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주차위치에는 진입된 차량을 빙 두르는 사각 테두리 형상의 서스(10)를 구성하되,
서스(10)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폭과 깊이에 의해 수용홈(12a)이 형성되는 수납본체(12)가 구성되게 하여 수납본체(12) 내에는 중앙 홀(20)을 갖는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가 맞춤 수용되게 구성하며,
수납본체(12)의 상단 개방부는 개폐커버(14)에 의해 개폐가능토록 하되,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부풀어 오르면 개폐커버(14)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며 부풀어 오른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의해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는 수조가 구성되게 하고,
수조 내부로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침수되게 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정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FIRE SUPPRESSION WATER TANK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대형 건물 또는 시설물 등에는 소방법 및 건축법에 따라 소화전, 스프링클러, 살수 장비 등과 같은 각종 화재진압용 소화 설치를 필수적으로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법적으로 소방 설비를 강제하지 않는 소(小)공간, 특히 EPS, TPS 등 전기 또는 통신 시설이 들어가는 피트 공간의 경우에 화재 발생시 화재 진압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소공간에서 화재 발생위험이 높은 위치로 별도의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를 설치하여 화재에 대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새로 짖는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에는 필수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되며, 관공서 및 공원 등의 넓은 주차장의 한 켠에도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되는 추세다.
그런데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종종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로는 배터리의 이상 작동이거나 혹은 충전 장치에 의한 이상 작동이 될 수 있으며 또 하나는 배터리와 충전장치 간의 이상 작동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작동은 상기 이유 중 하나에만 문제가 되더라고 화재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에는 스프링클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스프링클러는 정확한 발화 지점 추적이 불가능하여 초기 화재 감지가 불가능하며,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프링클러에 의한 화재진압으로는 신속한 대처가 어려우며 분사할 수 있는 물이 한정되어 지속적인 분사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스프링클러의 경우 화재발생 지점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없으므로 효과적인 화재 진압이 어려워 어려운바 신속히 진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06661호“자동차용 화재 감지 및 소화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신속한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케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수조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주차위치에는 진입된 차량을 빙 두르는 사각 테두리 형상의 서스(10)를 구성하되,
서스(10)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폭과 깊이에 의해 수용홈(12a)이 형성되는 수납본체(12)가 구성되게 하여 수납본체(12) 내에는 중앙 홀(20)을 갖는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가 맞춤 수용되게 구성하며,
수납본체(12)의 상단 개방부는 개폐커버(14)에 의해 개폐가능토록 하되,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부풀어 오르면 개폐커버(14)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며 부풀어 오른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의해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는 수조가 구성되게 하고,
수조 내부로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침수되게 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정화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위치에 별도의 수조가 구비되게 하여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수조 내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배터리가 잠겨 배터리가 신속하게 안정화 되는 효과가 있으며 초기 화재진압 측면의 효과도 있다.
도 1(도 1a 내지 도 1b)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2)의 구성과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2)를 구성하는 서스(10)의 구성도,
도 3(도 3a 내지 도 3b)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2)를 구성하는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의 구성도,
도 4는 서스(10)를 구성하는 개폐커버(14)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1a 내지 도 1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주차 위치에는 화재진압 수조(2)를 구성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2)는 진입된 차량을 빙 두르는 사각 테두리 형상의 서스(10)를 구성한다. 서스(10)의 일측에는 차량 출입로가 구성되며 출입로에는 경사판(18)을 설치하여 차량의 원활한 진입을 비롯하여 차량의 하중으로부터 서스(10)를 보호토록 한다. 충전기(EV)는 출입로 반대측에 위치된다.
상기 서스(10)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폭과 깊이에 의해 수용홈(12a)이 형성되는 수납본체(12)가 구성되게 하여 수납본체(12) 내에는 중앙 홀(20)을 갖는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가 맞춤 수용되게 한다.
수납본체(12)의 상단 개방부는 개폐커버(14)에 의해 개폐가능토록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공기가 빠진 상태의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단 개방부를 닫히도록 하여 보호되게 한다.
그리고 화재발생시에는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부풀어 오르게 되며, 이때 개폐커버(14)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부풀어 오른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의해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는 수조 형태가 구축되며, 구축된 수조 내부에는 물을 채춤으로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침수되며 배터리는 안정화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서스(10)의 수납본체(12) 상단을 개폐하는 개폐커버(14)는 수납본체(12)와의 결합시 힌지(16)로 결합하면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공기 주입시 자동으로 개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힌지(16) 부분은 개폐커버(14) 닫힘 상태에서 개방시 90°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의 높이는 대략 1m 내외로 할 수 있으며 이 높이는 물이 채워지면서 배터리가 충분히 잠길 수 있으며, 차량 화재시 옆에 위치하는 차량에 불이 붙은 것도 어느 정도 방지하게 된다.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의 하단부는 수납본체(12)의 내부 바닥면과 밀착결합되어 방수처리가 되게 한다.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는 평상시 공기가 빠진 상태로 접혀 있다가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부풀어 올라 전기자동차를 감싸도록 벽체를 형성한다.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기주입구(24)를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으며, 공기주입구(24)는 호스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채워진 봄베 또는 컴프레셔와 연결구성되게 하여 화재시 자동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봄베와 연결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구현이 용이하며, 봄베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성하여 화재감지시 자동으로 밸브가 열리도록 한다.
특히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는 개별 단위튜브(21) 다 수개를 상하로 적층하고 서로 결합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하는 단위튜브(21) 간에는 연통로(22)를 빙 둘러 이격되게 다 수개 형성한다. 이로써 하단에 위치하는 단위튜브(21)를 시작으로 상단에 위치하는 단위튜브(21)까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벽체가 세워지게 된다.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는 외곽 벽부에 별도의 공기배출구(26)를 구성하여 배터리 안정화 작업이 완료되면 공기를 배출 후 보관에 유리하도록 접을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공기배출구(26)는 각 단위튜브(21)마다 설치하면 공기배출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는 공기주입시 과압으로 인한 터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과압배출구(28)를 구성할 수 있다.
화재시에는 빠른 시간 내에 화재진압 수조(2) 내부에 물을 채워 차량 배터리가 잠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 전기자동차가 진입한 위치의 바닥이나 구축된 수조의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물공급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근에 설치된 소화전의 호스를 끌어와 물을 채우거나 소화용수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채울 수도 있다.
도 4는 서스(10)를 구성하는 개폐커버(14)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성도다. 즉 다른 방식에 의한 개폐커버(14-2)는 ‘
Figure 112022063655373-pat00001
’형상으로 구성하여 수납본체(12)의 상단 개방부를 덮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구성 역시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공기 주입시 자동으로 개방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 수납본체(12)의 높이(h)를 설정함에 있어서 경사판(18)의 구성 없이는 전기자동차가 넘어가지 못하도록 비교적 높게도 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전기자동차가 화재진압 수조(2) 내부로 진입시 경사판(18)이 설치된 출입로에 의해서만 진입이 되므로 출입로 이외의 부분에 대한 보호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10)--서스 (12)--수납본체
(12a)--수용홈 (14)(14-2)--개페커버
(16)--경첩 (18)--경사판
(20)--공기주입형 다단튜브 (21)--단위튜브
(22)--연통로 (24)--공기주입구
(26)--공기배출구 (28)--과압배출구
(EV)--충전기

Claims (2)

  1.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주차위치에는 진입된 차량을 빙 두르는 사각 테두리 형상의 서스(10)를 구성하되,
    서스(10)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폭과 깊이에 의해 수용홈(12a)이 형성되는 수납본체(12)가 구성되게 하여 수납본체(12) 내에는 중앙 홀(20)을 갖는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가 맞춤 수용되게 구성하며,
    수납본체(12)의 상단 개방부는 개폐커버(14)에 의해 개폐가능토록 하되,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부풀어 오르면 개폐커버(14)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며 부풀어 오른 공기주입형 다단벽튜브(20)에 의해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는 수조가 구성되게 하고,
    수조 내부로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침수되게 함으로써 배터리를 안정화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커버(14)는 수납본체(12)와의 결합시 경첩(16)으로 결합하여 선회에 의한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거나 ‘
    Figure 112022063655373-pat00002
    ’형상으로 구성하여 수납본체(12)의 상단 개방부를 덮도록 구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0220074326A 2022-06-17 2022-06-17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43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326A KR102431474B1 (ko) 2022-06-17 2022-06-17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PCT/KR2022/015278 WO2023243776A1 (ko) 2022-06-17 2022-10-11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326A KR102431474B1 (ko) 2022-06-17 2022-06-17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474B1 true KR102431474B1 (ko) 2022-08-11

Family

ID=8280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326A KR102431474B1 (ko) 2022-06-17 2022-06-17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474B1 (ko)
WO (1) WO2023243776A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331B1 (ko) *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KR102539154B1 (ko) * 2023-01-04 2023-06-01 서울특별시 질식소화포를 상단에 구비한 튜브형 전기차 화재진압장치
KR102562823B1 (ko) * 2023-03-03 2023-08-02 주식회사 탑로드 친환경 이동 차량에 대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565044B1 (ko) 2023-06-09 2023-08-08 주식회사 거산이앤지 프레임부 지지가 용이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KR102565030B1 (ko) 2023-06-09 2023-08-08 주식회사 거산이앤지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KR102567278B1 (ko) * 2022-12-21 2023-08-14 홍진석 전기 자동차용 이동식 소화 주차장
KR102577099B1 (ko) 2023-05-10 2023-09-12 주식회사 리모빌리티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KR102577392B1 (ko) * 2022-11-11 2023-09-12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KR102585999B1 (ko) * 2023-01-20 2023-10-10 (주)대주기술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596892B1 (ko) * 2022-12-14 2023-11-02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화재 진압용 수조
KR102596906B1 (ko) * 2022-08-29 2023-11-07 대한시스텍주식회사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KR102604187B1 (ko) 2023-03-09 2023-11-17 선철원 전기차량 화재진압용 신속설치 수조
KR102607797B1 (ko) 2023-08-02 2023-11-29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대응을 위한 고정형 바닥살수장치를구비한 소화수조
WO2023243776A1 (ko) * 2022-06-17 2023-12-2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621681B1 (ko) 2023-03-03 2024-01-05 (주)유인트 부력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화재 확산방지 및 진압장치
KR102617716B1 (ko) * 2022-11-29 2024-01-24 주식회사 파라텍 전기차 충전소 소방 설비
KR102617720B1 (ko) * 2022-11-29 2024-01-25 주식회사 파라텍 전기차 충전소 소방 시스템
KR102632466B1 (ko) * 2022-08-25 2024-01-31 고지웅 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소화설비
KR102633931B1 (ko) 2023-06-05 2024-02-06 탱크테크 (주) 전기차 배터리 화재진압용 드릴 랜스 장치
KR102633933B1 (ko) 2023-06-05 2024-02-06 탱크테크 (주) 드릴 랜스 장치를 적용한 전기차 배터리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45759B1 (ko) 2023-03-09 2024-03-11 선철원 신속설치 수조를 이용한 전기차량의 화재진압방법
KR102652696B1 (ko) 2023-08-10 2024-03-29 (주)건일엠이씨 전기차 충전소 화재 방재 장치
KR20240041512A (ko) 2022-09-23 2024-04-01 이지하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KR102660015B1 (ko) 2023-01-17 2024-04-23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용 수조 구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661B1 (ko) 1999-04-12 2001-09-13 - 자동차용 화재 감시 및 소화장치
KR101328283B1 (ko) * 2012-10-25 2013-11-14 채준기 에어 풀장의 변형방지 장치
WO2018222046A1 (en) * 2017-05-30 2018-12-06 Extinctus As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energy storage devices of vehicles with electrical drive
KR102339405B1 (ko) *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KR102376222B1 (ko) * 2021-06-09 2022-03-1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03B1 (ko) * 2007-06-21 2008-07-1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화재진단 및 자동소화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847747B1 (ko) * 2016-12-26 2018-04-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차 엔진 룸의 화재 진압 장치
KR102367323B1 (ko) * 2020-01-08 2022-02-24 주식회사 피에스개발 자동차용 화재 진압 패치
KR102409287B1 (ko) * 2021-11-19 2022-06-15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431474B1 (ko) *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661B1 (ko) 1999-04-12 2001-09-13 - 자동차용 화재 감시 및 소화장치
KR101328283B1 (ko) * 2012-10-25 2013-11-14 채준기 에어 풀장의 변형방지 장치
WO2018222046A1 (en) * 2017-05-30 2018-12-06 Extinctus As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energy storage devices of vehicles with electrical drive
KR102339405B1 (ko) *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KR102376222B1 (ko) * 2021-06-09 2022-03-1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776A1 (ko) * 2022-06-17 2023-12-2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632466B1 (ko) * 2022-08-25 2024-01-31 고지웅 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소화설비
KR102596906B1 (ko) * 2022-08-29 2023-11-07 대한시스텍주식회사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WO2024049044A1 (ko) * 2022-08-29 2024-03-07 대한시스텍주식회사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KR20240041512A (ko) 2022-09-23 2024-04-01 이지하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KR102503331B1 (ko) *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WO2024101509A1 (ko) * 2022-11-11 2024-05-16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KR102577392B1 (ko) * 2022-11-11 2023-09-12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KR102617716B1 (ko) * 2022-11-29 2024-01-24 주식회사 파라텍 전기차 충전소 소방 설비
KR102617720B1 (ko) * 2022-11-29 2024-01-25 주식회사 파라텍 전기차 충전소 소방 시스템
KR102596892B1 (ko) * 2022-12-14 2023-11-02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화재 진압용 수조
KR102567278B1 (ko) * 2022-12-21 2023-08-14 홍진석 전기 자동차용 이동식 소화 주차장
KR102539154B1 (ko) * 2023-01-04 2023-06-01 서울특별시 질식소화포를 상단에 구비한 튜브형 전기차 화재진압장치
KR102660015B1 (ko) 2023-01-17 2024-04-23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용 수조 구축장치
KR102585999B1 (ko) * 2023-01-20 2023-10-10 (주)대주기술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102621681B1 (ko) 2023-03-03 2024-01-05 (주)유인트 부력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화재 확산방지 및 진압장치
KR102562823B1 (ko) * 2023-03-03 2023-08-02 주식회사 탑로드 친환경 이동 차량에 대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604187B1 (ko) 2023-03-09 2023-11-17 선철원 전기차량 화재진압용 신속설치 수조
KR102645759B1 (ko) 2023-03-09 2024-03-11 선철원 신속설치 수조를 이용한 전기차량의 화재진압방법
KR102577099B1 (ko) 2023-05-10 2023-09-12 주식회사 리모빌리티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KR102633931B1 (ko) 2023-06-05 2024-02-06 탱크테크 (주) 전기차 배터리 화재진압용 드릴 랜스 장치
KR102633933B1 (ko) 2023-06-05 2024-02-06 탱크테크 (주) 드릴 랜스 장치를 적용한 전기차 배터리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5030B1 (ko) 2023-06-09 2023-08-08 주식회사 거산이앤지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KR102565044B1 (ko) 2023-06-09 2023-08-08 주식회사 거산이앤지 프레임부 지지가 용이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조생성시스템
KR102607797B1 (ko) 2023-08-02 2023-11-29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대응을 위한 고정형 바닥살수장치를구비한 소화수조
KR102652696B1 (ko) 2023-08-10 2024-03-29 (주)건일엠이씨 전기차 충전소 화재 방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776A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4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591815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2409287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70259B1 (ko) 주차장 차량화재 진화용 소화설비
KR101994223B1 (ko)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KR101976752B1 (ko) 도로 터널 유지관리용 소화전함
KR102007127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2495227B1 (ko) 전기자동차 화재시 배터리 안정화 작업용 냉각조 및 화재진압로봇 연동에 의한 배터리 자동안정화 시스템
KR20140035162A (ko)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101278177B1 (ko)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CN108042963A (zh) 一种自动喷水消防箱
KR102607797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대응을 위한 고정형 바닥살수장치를구비한 소화수조
KR20230123542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CN212957875U (zh) 立体停车系统
KR102663069B1 (ko) 주차장 내 화재 전파 방지 및 소화 시스템
KR20230138746A (ko) 방화벽 겸용 방화수조형 전기자동차 방화장치
KR102632003B1 (ko) 전기차 충전 구역의 화재 확산 방지 설비
JP4542421B2 (ja) 浸水防止装置
KR102632578B1 (ko) 소화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소화장치
KR102657019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KR102621681B1 (ko) 부력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화재 확산방지 및 진압장치
KR102358187B1 (ko) 폼분사 지하 비상소화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