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815B1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815B1
KR102591815B1 KR1020210035729A KR20210035729A KR102591815B1 KR 102591815 B1 KR102591815 B1 KR 102591815B1 KR 1020210035729 A KR1020210035729 A KR 1020210035729A KR 20210035729 A KR20210035729 A KR 20210035729A KR 102591815 B1 KR102591815 B1 KR 102591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station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447A (ko
Inventor
정수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led Critical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to KR102021003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8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ultimedia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으로서,
내부에 소화약재가 보관되는 박스형 저장탱크(10)를 구비하고, 저장탱크(10)의 본체에는 저장탱크(10) 내부의 소화약재를 공급하는 소방관로(P)를 매개로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결합하여 소화장치부(8)를 구성하며,
상기 소화약재 분사장치(20)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22)과 유출관(2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유출관(24)의 단부에는 분사구(24a)를 결합하여 분사구(24a)를 통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되게 하며,
상기 소화장치부(8)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각 소화약재 분사장치(20)의 유출관(24)의 분사구(24a)는 전기자동차 충전소(100)를 향하도록 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의 근접하는 부분에는 화재 발생시 온도상승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온도센서(S1), 불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불꽃센서(S2),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연기센서(S3) 중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S)를 구성하고,
감지센서(S)에서 검출되는 정보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인식부(40)를 제어부(30)와 연결되게 하고,
제어부(30)는 화재인식부(40) 로부터 보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화재로 판단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소화장치부(8)의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신호를 보내어 박스형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소화약재를 분사하도록 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발화지점을 향하여 즉각적으로 소화물질이 방사될 수 있어 초기 화재진압에 보다 효과적 할 수 있는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FIRE DETECTION AN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대형 건물 또는 시설물 등에는 소방법 및 건축법에 따라 소화전, 스프링클러, 살수 장비 등과 같은 각종 화재진압용 소화 설치를 필수적으로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법적으로 소방 설비를 강제하지 않는 소(小)공간, 특히 EPS, TPS 등 전기 또는 통신 시설이 들어가는 피트 공간의 경우에 화재 발생시 화재 진압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소공간에서 화재 발생위험이 높은 위치로 별도의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를 설치하여 화재에 대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새로 짖는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에는 필수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되며, 관공서 및 공원 등의 넓은 주차장의 한 켠에도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설치되는 추세다.
그런데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종종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로는 배터리의 이상 작동이거나 혹은 충전 장치에 의한 이상 작동이 될 수 있으며 또 하나는 배터리와 충전장치 간의 이상 작동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작동은 상기 이유 중 하나에만 문제가 되더라고 화재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에는 스프링클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스프링클러는 정확한 발화 지점 추적이 불가능하여 초기 화재 감지가 불가능하며,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프링클러에 의한 화재진압으로는 신속한 대처가 어려우며 분사할 수 있는 물이 한정되어 지속적인 분사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스프링클러의 경우 화재발생 지점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없으므로 효과적인 화재 진압이 어려워 어려운바 신속히 진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06661호“자동차용 화재 감지 및 소화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즉각적인 소화장치를 가동하여 초기 화재를 신속히 진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화재 발생시 효과적으로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소화약재가 보관되는 박스형 저장탱크(10)를 구비하고, 저장탱크(10)의 본체에는 저장탱크(10) 내부의 소화약재를 공급하는 소방관로(P)를 매개로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결합하여 소화장치부(8)를 구성하며,
상기 소화약재 분사장치(20)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22)과 유출관(2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유출관(24)의 단부에는 분사구(24a)를 결합하여 분사구(24a)를 통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되게 하며,
상기 소화장치부(8)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각 소화약재 분사장치(20)의 유출관(24)의 분사구(24a)는 전기자동차 충전소(100)를 향하도록 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의 근접하는 부분에는 화재 발생시 온도상승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온도센서(S1), 불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불꽃센서(S2),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연기센서(S3) 중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S)를 구성하고,
감지센서(S)에서 검출되는 정보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인식부(40)를 제어부(30)와 연결되게 하고,
제어부(30)는 화재인식부(40) 로부터 보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화재로 판단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소화장치부(8)의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신호를 보내어 박스형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소화약재를 분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발화지점을 향하여 즉각적이고 자동으로 소화물질이 방사될 수 있어 초기 화재진압을 보다 효과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소화장치부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은 내부에 소화약재가 보관되는 박스형 저장탱크(10)를 구비하고, 저장탱크(10)의 본체에는 저장탱크(10) 내부의 소화약재(물, 강화액, 분말 등)를 공급하는 소방관로(P)를 매개로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결합하여 소화장치부(8)를 구성한다.
상기 소화약재 분사장치(20)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22)과 유출관(2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유출관(24)의 단부에는 분사구(24a)를 결합하여 분사구(24a)를 통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되게 한다.
상기 소화장치부(8)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각 소화약재 분사장치(20)의 유출관(24)의 분사구(24a)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충전 중인 자동차를 향하도록 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의 근접하는 부분에는 화재 발생시 온도상승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온도센서(S1), 불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불꽃센서(S2),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연기센서(S3) 중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S)를 구성한다. 감지센서(S)에서 검출되는 정보는 화재인식부(40)로 전달하며, 이러한 정보를 통하여 화재인식부(40)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한다.
제어부(30)는 화재인식부(40)로 부터 보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화재로 판단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소화장치부(8)의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신호를 보내어 박스형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소화약재를 분사토록 함으로써 즉각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상기 박스형 저장탱크(10)는 하부에 바퀴나 레일에 의해 이동 가능토록 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탱크(10)이 용량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며, 화재에 따라 분사되어 소실되는 소화약재에 대하여 박스형 저장탱크(10) 내부로 소화약재를 다시 보충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형 저장탱크(10)에 결합되는 소화약재장치(20)의 분사구(24a) 방향은 특정방향 즉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충전 중인 자동차를 집중적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는 기존의 스프링클러의 경우 화재 지점과 관련 없이 일정 간격으로 분사되도록 배열되어 있음에 따라 화재발생시 스프링클러에서는 동시 다발적으로 분사됨에 따라 효과적인 화재진압에 반하였고, 분사할 수 있는 양도 한정적임에도 불구하고 동시다발적으로 분사함에 따라 분사지속시간도 길지 않았던 문제에 대하여 해결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소화약재 분사장치(20)의 유출관(24)의 분사구(24a)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및 좌우로 선회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소화장치부(8)가 전기자동차 충전소(100) 주위에 설치되어 세팅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보다 정확한 화재 지점을 향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감지센서(S)는 전기자동차 충전소(100) 주위에 다 수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높이 기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아파트 내의 경우 천장에 설치되는 구조물 즉 천장에 케이블, 소화 용수관 등 다양한 시설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행커)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한다. 감지센서(S) 중 불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불꽃센서(S2)의 경우 화재의 빛 파장을 통하여 넓은 위치를 감지하는 UV센서 또는 IR센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감지센서(S)와 별도로 화재 발생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카메라(C)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카메라(C)는 감지센서(S)에서 보내는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화재인식부(40)가 화재로 판단시 제어부(30)는 소화약재 분사명령과 함께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의 화재발생 현장을 통신부(60)를 통한 유무선 네트워크으로 해당 전기충전소의 관리사무소(200)에 비치되는 단말기(220) 또는 모바일단말기(230)로 화재발생지점의 상황을 영상으로 송출하여 실시간 화재현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전기충전소(100)와 관리사무소(200)에는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장치(110)(210)를 울리게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충전 중인 자동차 화재시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화재 난 자동차를 별도로 마련된 하부의 공간으로 이동시켜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3(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에는 충전 시 자동차가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공간부(120)가 마련되게 하고 공간부(120)의 상부에는 승강대(130)를 구성하여 자동차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승강대(130)는 전기자동차가 충전을 하기 위해서 위치되는 곳이면서도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제어부(30)가 화재인식부(40) 로부터 보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에서 화재발생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승강대(130)를 공간부(120)의 바닥으로 이동되게 하여 화재 난 자동차를 공간부(120)로 이동시켜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승강대(13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구성은 여러 가지로 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130)를 지지하는 선회지지대(132)가 솔레노이드장치(134)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선회지지대(132)가 회전되도록 하여 승강대(130)를 받치는 힘이 제거되게 하여 승강대(130)가 하부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130) 하부에 실린더(136)를 결합하여 실린더(136)의 로드(136a)가 하부로 이동되게 하여 승강대(130)가 하부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승강대(130)를 하부에 별도 마련된 공간부(130)로 하강시키기 위한 구현방법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공간부(130)에는 물공급부(138)를 구성하여 필요시 하부로 이동된 화재 차량에 대하여 물을 빠르게 공급 또는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소화장치부(8)를 구성하는 소화약재 분사장치(20)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재와 더불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더욱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에는 충전 시 자동차가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좌우에 직립선회판(140)을 선회가능토록 구성하고, 제어부(30)는 화재인식부(40) 로부터 보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화재로 판단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직립선회판(140)을 선회시켜 직립되게 하여 직립선회판(140) 간의 연합에 의해 내측으로 별도의 구획공간(142)이 형성되게 하여 자동차가 그 구획공간(142) 내에 가두어지게 함으로써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그 구획공간(142) 내부로 상기 설명한 물공급부(138)에 준하는 물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직립선회판(142)은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항시 내측단부를 중심으로 세워지려는 힘이 가해지도록 하고, 외측단부에는 걸림구(145)가 솔레노이트장치(144)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직립선회판(142)에 대한 걸림해지되도록 하여 직립선회판(142)이 회전되어 세워지도록 한다. 이때 직립선회판(142)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세워지다가 상부에 위치하는 스토퍼(147)에 의해 각 네 개의 직립선회판(142)이 모두 정지되면서 구획공간(142)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에는 충전 시 자동차가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터널식 벽체(150)를 구성하고 터널식 벽체(150)에는 소화약재 분사구(152)를 형성하며, 제어부(30)는 화재인식부(40) 로부터 보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화재로 판단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소화약재 분사구(152)에 소화약재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8)--소화장치부 (10)--저장탱크
(20)--소화약재 분사장치 (22)--유입관
(24)--유출관 (24a)--분사구
(30)--제어부 (40)--화재인식부
(50)--수신부 (60)--통신부
(100)--전기자동차 충전소 (110)--경보기
(120)--공간부 (130)--승강대
(132)--선회지지대 (134)--솔레노이드장치
(136)--실린더 (138)--물공급부
(140)--직립선회판 (142)--구획공간
(144)--솔레노이드 (145)--걸림구
(147)--스토퍼
(150)--터널식 벽체 (152)--소화약재 분사구
(200)--관리사무소 (210)--경보기
(220)--단말기 (230)--모바일단말기

Claims (7)

  1. 내부에 소화약재가 보관되는 박스형 저장탱크(10)를 구비하고, 저장탱크(10)의 본체에는 저장탱크(10) 내부의 소화약재를 공급하는 소방관로(P)를 매개로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결합하여 소화장치부(8)를 구성하며,
    상기 소화약재 분사장치(20)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22)과 유출관(2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유출관(24)의 단부에는 분사구(24a)를 결합하여 분사구(24a)를 통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되게 하며,
    상기 소화장치부(8)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각 소화약재 분사장치(20)의 유출관(24)의 분사구(24a)는 전기자동차 충전소(100)를 향하도록 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의 근접하는 부분에는 화재 발생시 온도상승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온도센서(S1), 불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불꽃센서(S2),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보내는 연기센서(S3) 중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S)를 구성하고, 감지센서(S)에서 검출되는 정보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인식부(40)를 제어부(30)와 연결되게 하며,
    전기자동차 충전소(100)에는 충전 시 자동차가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좌우에 직립선회판(140)을 선회가능토록 구성하여 화재인식부(40)로부터 보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화재로 판단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직립선회판(140)을 선회시켜 직립되게 하여 직립선회판(140) 간의 연합에 의해 내측으로 별도의 구획공간(142)이 형성되게 하여 자동차가 그 구획공간(142) 내에 가두어지게 함으로써 불길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고 소화장치부(8)의 소화약재 분사장치(20)를 신호를 보내어 박스형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소화약재를 분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소화약재 분사장치(20)의 유출관(24)의 분사구(24a)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및 좌우로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다 정확한 화재 지점을 향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소화장치부(8)가 전기자동차 충전소(100) 주위에 설치되어 세팅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보다 정확한 화재 지점을 향하여 소화약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6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전기충전소의 관리사무소(200)에 비치되는 단말기(220) 또는 모바일단말기(230)로 화재발생지점의 상황을 영상으로 송출하여 실시간 화재현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전기충전소(100)와 관리사무소(200)에는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장치(110)(210)를 울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35729A 2021-03-19 2021-03-19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591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29A KR102591815B1 (ko) 2021-03-19 2021-03-19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29A KR102591815B1 (ko) 2021-03-19 2021-03-19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447A KR20220131447A (ko) 2022-09-28
KR102591815B1 true KR102591815B1 (ko) 2023-10-23

Family

ID=8346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729A KR102591815B1 (ko) 2021-03-19 2021-03-19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135B1 (ko) * 2022-10-14 2023-06-20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 진압용 장치
KR102503331B1 (ko) * 2022-10-26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제이지아이티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CN115887970B (zh) * 2022-11-04 2024-02-27 浙江中辰城市应急服务管理有限公司 一种组合式自动灭火系统
KR102617720B1 (ko) * 2022-11-29 2024-01-25 주식회사 파라텍 전기차 충전소 소방 시스템
KR102617716B1 (ko) * 2022-11-29 2024-01-24 주식회사 파라텍 전기차 충전소 소방 설비
KR102611735B1 (ko) * 2022-12-28 2023-12-08 유정자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KR102562822B1 (ko) * 2023-03-02 2023-08-03 주식회사 탑로드 전기차 화재 진압 장치
KR102562823B1 (ko) 2023-03-03 2023-08-02 주식회사 탑로드 친환경 이동 차량에 대한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651068B1 (ko) * 2023-05-15 2024-03-26 주식회사 마스테코 충전설비가 있는 주차 공간에서의 전기자동차 화재 자동 진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18B1 (ko) * 2010-12-30 2011-07-21 최선욱 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 소화 장치
KR101296403B1 (ko) * 2011-11-16 2013-08-14 김성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543A (ja) * 1974-07-19 1976-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ipponshuhasuchushutsusochi
JPH09296622A (ja) * 1996-05-01 1997-11-18 Tokyu Car Corp ピット三段式駐車装置
KR19990074350A (ko) * 1998-03-10 1999-10-05 이종수 주차 설비의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KR100306661B1 (ko) 1999-04-12 2001-09-13 - 자동차용 화재 감시 및 소화장치
KR101119665B1 (ko) * 2009-07-28 2012-03-16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18B1 (ko) * 2010-12-30 2011-07-21 최선욱 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 소화 장치
KR101296403B1 (ko) * 2011-11-16 2013-08-14 김성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447A (ko)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815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1836117B1 (ko)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12188B1 (ko)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838193B1 (ko)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2591B1 (ko) 주차장 차량화재 진화용 소화설비
KR102372971B1 (ko) 전기자동차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CN110538399A (zh) 消防自动检测控制系统
CN114377323A (zh) 一种车棚自动灭火系统
KR102306801B1 (ko)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101765036B1 (ko) 건축공간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 장치
KR20230123542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CN105963889B (zh) 一种非固定式消防灭火管网
CN209187990U (zh) 一种室内自动喷淋灭火系统
KR20080097277A (ko) 지하공동구내 활선부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US202300095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in a building
KR102175510B1 (ko) 화재경계지구 타워형 스프링클러 장치
JP2000024129A (ja) 立体駐車場の消火システム
KR102137400B1 (ko) 방화 및 방연 시스템
GB2607853A (en) Fire protection system on a structure
KR101828028B1 (ko)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05780962A (zh) 一种灭火墙
KR102607797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대응을 위한 고정형 바닥살수장치를구비한 소화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