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099B1 -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099B1
KR102577099B1 KR1020230060434A KR20230060434A KR102577099B1 KR 102577099 B1 KR102577099 B1 KR 102577099B1 KR 1020230060434 A KR1020230060434 A KR 1020230060434A KR 20230060434 A KR20230060434 A KR 20230060434A KR 102577099 B1 KR102577099 B1 KR 10257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fire
electric vehicle
extinguishing agent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3006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소에서 카메라를 통해 충전전기차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충전화재를 미리 감지하여 대응하도록 하되 화재발생시 전기차 상부에서는 차단소화장치의 방염막을 펼쳐서 화염을 외부로 차단시키면서 소화약제 분사와 분사된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수조기능을 제공하고, 충전영역의 바닥에는 천공소화장치의 첨단봉이 돌출되어 전기차 하부의 배터리까지 관통하여 배터리 내부로 소화약제를 직접 주입해 연쇄반응을 억제시키는 등 전기차의 외부와 내부에서 동시에 접근해 신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Fire Suppress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소에서 카메라를 통해 충전전기차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충전화재를 미리 감지하여 대응하도록 하되 화재발생시 전기차 상부에서는 차단소화장치의 방염막을 펼쳐서 화염을 외부로 차단시키면서 소화약제 분사와 분사된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수조기능을 제공하고, 충전영역의 바닥에는 천공소화장치의 첨단봉이 돌출되어 전기차 하부의 배터리까지 관통하여 배터리 내부로 소화약제를 직접 주입해 연쇄반응을 억제시키는 등 전기차의 외부와 내부에서 동시에 접근해 신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사용하였으나, 내연기관에서 발산하는 이산화탄소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친환경에너지 자동차인 전기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구온난화 문제로 전세계적으로 내연기관자동차의 퇴출 분위기는 점점 더 커질 것이고, 이에 반하여 전기차의 보급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그 점유율을 더욱 올라갈 것이다.
이러한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배터리는 1회충전에 의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배터리모듈을 내장하여 하나의 배터리팩으로 구성한 다음 자동차의 하부측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팩은 외부충격을 포함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주행중이나 충전중에도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충전시에는 충전장치와 배터리간 이상작동, 파손된 배터리에 의한 이상발생에 의해 급속하게 배터리열이 상승하면서 배터리 연소반응이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기차 충전소에는 화재진압장치를 설치하여 전기차 화재 발생시 신속한 소화작업이 이루어지게 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31474호(2022.08.08.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를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은 충전소의 주차위치에 사각테두리 형태의 수납본체를 바닥에 형성하고, 수납본체에 내장되고 공기주입에 의해 상부로 팽창되는 다단벽튜브를 제공하여 수조를 형성해 담수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화염이 인접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고, 소화약제 또는 물을 배터리 내부까지 유입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504119호(2023.02.22.등록;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함)은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는 전기차의 상부측에 소화액 분사부와 지붕막을 배치시키며, 화재시 지붕막 가장자리에 설치된 차단막홀딩부에서 차단막을 펼쳐 전기차가 내포되도록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소화액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차단막은 주차지역 바닥과 밀착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분사되는 소화액을 내부에 담수할 수 없으며, 배터리 내부로 소화액을 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70858호(2022.11.22.등록;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함)은 살수 수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를 제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3은 차량을 덮는 소화포와, 소화수공급호스와, 상기 소화포저면에 살수공이 형성된 살수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 살수포 내측공간으로 소화수를 유입해 살수공을 통해 차량으로 소화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특허문헌3은 화재차량에 소화덮개를 덮는 것으로 내부에 소화수를 담수하는 기능이 없고 배터리 내부로 소화액을 공급하여 신속한 안정화가 어려운 문제가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분사된 소화약제를 포집하여 수조가 형성되도록 하고, 화재 초기에 배터리내부에도 소화약제를 공급해 신속하게 배터리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31474호(2022.08.08.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은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한국등록특허 제10-2504119호(2023.02.22.등록;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함)은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2470858호(2022.11.22.등록;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함)은 살수 수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방염막을 펼쳐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펼쳐진 방염막과 충전영역 바닥과의 밀착력을 높여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를 가둬 수조가 형성되도록 하고, 화재 초기에는 내부로 직접 소화약제를 주입시켜 신속한 배터리 안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차 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장치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가 주차되는 충전영역 일측에 설치되어 주차된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와; 상기 충전영역의 전방과 후방 및 바닥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대한 일반영상 및 열화상을 측정하는 카메라측정장치와; 상기 전기차 충전영역의 상부에 다단으로 접힌 방염막을 설치하고, 소화작업시 방염막이 펼쳐져 돔형태의 밀폐공간을 형성해 전기차를 덮어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방염막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즐을 통해 약제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내포된 전기차를 소화시키는 차단소화장치와; 상기 카메라측정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일반영상 및 열화상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차단소화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단소화장치는, 충전장치 내부 또는 충전영역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고, 단속밸브에 의해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탱크와; 상기 약제탱크에 유입구가 연결되고, 토출구가 전기차의 충전영역 상부에 배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토출구부분에 박스형태로 장착되고, 저면에 개폐구가 형성된 방염하우징과; 상기 방염하우징의 내부에 접혀서 보관되고, 사용시 전기차가 내포되도록 돔형태로 펼쳐지는 방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염막은, 다층으로 형성되고, 방염막 중앙의 연결구를 통해 이송관의 토출구와 연통되어 소화약제를 공급받고, 상기 방염막 내부에는 공급받은 소화약제를 이송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로는 토출구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유로가 형성된 방염막의 내측면에는 밀폐공간 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소화약제 공급에 의해 방염막이 돔형태로 펼쳐지면서 분사노즐을 통해 밀폐공간으로 소화약제 분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는, 이송관 토출구와 연결된 지점에서 방사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방염막 중심부를 측면으로 펼쳐지게 하고,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방사유로와; 상기 방사유로와 일단이 연통되고 하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수직배치되어 내부면적을 확장시키고,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수직유로와; 상기 다수개의 수직유로 중 인접한 수직유로를 서로 연결시켜 환 또는 사각형으로 폐구시키고, 내입된 소화약제 중량에 의해 충전영역의 바닥에 밀착되어 내부에 분사된 소화약제를 포집시키는 바닥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 발생시 다수개의 첨단봉을 상부로 돌출시켜 전기차 바닥을 관통해 배터리 내부로 진입시키고, 약제탱크에서 공급받은 소화액을 첨단봉을 통해 배터리 내부로 주입하여 소화시키는 천공소화장치;가 매립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차단소화장치 또는 천공소화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작동시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소화장치는,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매립되어 설치공긴을 제공하는 천공하우징과; 상기 천공하우징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관이 연통되고, 상단 또는 상부 일측에는 약제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를 내부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천공토출구가 형성된 첨단봉과; 상기 첨단봉에 유공압을 전달하여 승강시키는 유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천공소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매립되어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천공하우징과; 상기 천공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벽체구조로, 대향되는 내면에는 수직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벽과; 상기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가이드벽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된 삼각벽체인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후방측에 연결되어 경사판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유공압실린더와; 상기 가이드벽의 수직가이드공에 내입되는 승강돌기가 양측면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저면에는 후방측 일부 또는 전체면을 경사판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경사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관이 직통 또는 승강블록을 통해 연통되고, 상단 또는 상부 일측에는 약제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를 내부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천공토출구가 형성된 첨단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카메라측정장치를 통해 전기차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는 영상측정단계와; 측정된 영상정보를 통해 연기나 불꽃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배터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여부를 연속으로 분석하여 패턴을 확인하는 영상분석단계와; 상기 영상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영상정보의 분석패턴을 저장패턴과 대비하여 정상패턴인지 또는 비정상패턴인지를 분류하는 패턴판단단계와; 영상정보의 분석패턴이 비정상패턴과 유사하다고 분류되면 충전되는 전원을 차단하면서 경보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거나, 등록된 관리자단말기로 영상을 전송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자확인정보입력단계와; 관리자확인정보가 충전소화재이면 등록된 소방서단말기로 연결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소방서단말기로부터 소화실행정보를 제공받는 최종판단단계와; 소화실행정보를 제공받으면 차단소화장치 단독 또는 차단소화장치와 천공소화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소화장치작동단계;를 포함하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전기차 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장치는,
충전장소의 상부에 차단소화장치를 설치하여 이상징후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내장된 방염막을 펼쳐 전기차를 외부공간으로부터 밀폐시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염막에 형성된 유로는 소화약제의 공급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방염막의 뼈대역할을 하여 방염막 내부를 돔형태 밀폐공간으로 형성시켜 유로를 형성하는 방염막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노즐에 의해 전기차의 측면과 상부에서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염막 중 주차된 충전영역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도 전기차를 내포하도록 폐구된 환형 또는 사각형의 바닥유로를 형성해 바닥유로의 중량에 의해 충전영역 바닥과 밀착시켜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분사된 소화약제를 일정량 담수시켜 수조효과를 통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충전영역의 바닥에는 천공소화장치를 매립시켜 화재 진압작업 진행시 첨단봉을 통해 전기차의 배터리까지 천공시켜 배터리 내부로 소화약제를 직접 주입시켜 배터리안정화를 통한 추가 폭발을 방지하는 등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소화작업을 수행하여 신속한 안정화에 의한 전기차 화재를 진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소화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소화장치의 작동전과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방염막이 펼쳐졌을 때 상단과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막 하단 일부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제어단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소화장치의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소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와 도 6c는 작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소화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소화장치의 작동전과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막 하단 일부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10)은, 전기차가 주차되는 충전영역의 일측에 설치되는 충전장치(20)와, 상기 충전영역의 전방과 후방 및 바닥에 설치되어 충전을 위해 주차된 전기차에 대한 영상을 측정하는 카메라측정장치(30)와, 상기 전기차 화재시 전기차를 신속하게 덮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공간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차단소화장치(40)와, 각종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장치(20)는, 자동차가 충전영역으로 진입하는 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에 벽부형 또는 스텐드형으로 설치되고, 충전커넥터를 구비하여 주차된 전기차에 연결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충전장치는 출시된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카메라측정장치와 약제탱크가 내장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측정장치(30)는, 전방의 충전장치에 설치 또는 주차되는 전기차의 상부 및 후미측에 설치 또는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도록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주차영역의 바닥에도 설치하여 주차된 전기차의 하부면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측정장치(30)는, 전기차에서 연기 또는 불꽃이 발생되는 것을 촬영하여 감시하거나 열화상카메라를 통한 열분포를 촬영하여 후술되는 제어장치로 제공한다. 즉, 외부적으로 확인되는 연기나 불꽃 또는 배터리팩 하우징의 파손여부는 일반영상촬영 카메라를 통해서 점검하고, 전기차에 설치된 배터리나 충전라인 상의 이상 여부는 열화상카메라를 통해서 점검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소화장치(40)는, 주차된 전기차 상부측에 방염막(44)을 접어서 배치하고, 소화작업시 방염막(44)이 펼쳐지면서 전기차(70)를 덮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특히 방염막와 충전영역 바닥과의 밀착력을 높여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를 담수하여 수조기능에 의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소화장치(40)는, 도 2a를 참조한 바와같이 소화약제가 충전된 약제탱크(41)를 포함한다. 상기 약제탱크(41)는 충전장치 내부에 설치되거나, 충전영역의 일측에 스텐드형으로 설치되거나, 매립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약제탱크는 일측에 이송관(42)이 연결된다. 상기 이송관(42)은 유입구가 약제탱크(41)와 연결되어 약제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제공받고, 토출구는 주차된 전기차의 상부에 배치되어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송관 또는 약제탱크 또는 이송관과 약제탱크의 연결부위는 단속밸브를 설치하여 제어장치의 단속에 의해 약제탱크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이송공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의 토출구 부분에는 방염하우징(43)이 설치된다. 상기 방염하우징(43)은 이송관(42)의 토출구와 근접된 부분에 결합되고, 후술되는 방염막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박스형태로 제공되거나, 방염막이 임의로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등 방염막을 보관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방염하우징(43)이 박스형태일 경우에는 저면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개폐에 의해 방염막(44)이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는 내부 방염막의 팽창력에 의해 파손되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제어장치의 단속에 의해 개폐되는 기계식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염하우징(43)은 이송관(42)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하여, 사용후 교체장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방염막(44)은 도 2b를 참조한 바와같이 방염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화재진압시 외부로 배출되어 돔형태로 펼쳐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으로 전기차가 위치하도록 덮어 전기차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염막(44)은 평상시에는 방염하우징 내부에 보관되되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접혀서 보관되고, 화재시 돔형태로 펼쳐져 내부에 전기차가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방염막(44)은 한겹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공급할 수 있는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층으로 형성하고, 방염막 내면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464)을 형성하여 방염막층 내부의 충전공간으로 공급된 소화약제를 분사노즐(464)을 통해 내부 밀폐공간으로 분사하여 내포된 전기차를 소화시키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방염막(44)은 연결구를 통해서 이송관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이송관에서 배출되는 소화약제를 공급받아 방염막 내부층 사이의 충전공간을 충전시키며, 충전과정에서 방염막은 돔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연결구(441)는 수밀패킹으로 형성하여 이송관에 밀착 장착되고, 소화약제의 토출압력에 의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관 또는 방염하우징에 결합되는 잠금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으로는 이송관 또는 방염하우징에는 폐구된 고정고리를 형성하고, 연결구에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고정고리에 걸고리를 끼워서 잠금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된 잠금장치를 이용한 잠금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염막(44)은 방염소재의 천을 다층으로 적층시켜 최종막을 구성하되 층사이의 공간에 소화약제가 주입될 수 있는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에는 방염막을 구성하는 층 내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부분봉합 또는 접합하는 방식으로 결합시켜 소화약제 충전시 일정두께의 벽체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염막(44) 내부 전체에 소화약제를 충전시켜 벽체를 형성하는 것은 충전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신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방염막을 구성하는 층 내부의 충전공간은 전체구간이 아닌 부분적으로 서로 연통되는 유로(46)형태로 제공하여 소화약제의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방염막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방염막(44)은 부분적으로 소화약제가 이송되는 유로(46)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로(46)는 다층을 접합시켜 형성된 방염막의 층 일부를 서로 연통되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형성되거나, 방염막(44)의 내면에 방염천을 덧대어 부착시켜 형성되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방염막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로는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공간과,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방염막 부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로(46)는 도 3a와 같이 중앙에 연결구(441)가 형성되어 이송관(42)의 토출구와 결합되고, 결합된 이송관으로부터 소화약제를 제공받아 전체 유로(46)의 내부를 충전한다.
상기 유로(46) 내부로 소화약제를 공급하면, 소화약제의 공급압력에 의해 유로는 팽창되어 펼쳐지게 된다. 즉, 방염하우징 내부에 접혀서 보관된 방염막(44)으로 소화약제 공급이 이루어지면, 방염막(44)은 유로(46)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면서 접힌 부분이 펼쳐지고, 유로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방염하우징 내에서 배출되고, 지속적으로 펼쳐져 전기차를 덮게 된다.
상기 유로(46)는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관 토출구와 연결되는 부분인 연결구(44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방사유로(461)와, 상기 방사유로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배치되어 방사유로가 형성하는 지붕부분을 일정높이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유로(462)와, 상기 수직유로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폐구된 원 또는 다각형을 형성하여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접하는 바닥유로(463)로 구성된다.
상기 방사유로(461)는 도면에서는 4개로 도시하였으나 4개 이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수직유로(462)는 상부보다 하부의 간격이 더 넓은 확장된 뿔대형태로 배치하여 충전영역에 안정적으로 안치되게 할 수 있고, 상기 바닥유로(463)는 유로를 형성하는 단면을 방사유로와 수직유로보다 더 넓게 형성하여 내부에 충전되는 량을 증가시켜 바닥유로 자체 중량에 의해 충전영역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방사유로(461)와, 수직유로(462) 및 바닥유로(463)에는 내측 밀폐공간 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노즐(464)을 형성하여 충전된 소화약제를 밀폐공간에 안치된 전기차(70) 방향으로 분사되어 소화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직유로(462)간에도 수평으로 보조유로를 더 형성하고, 보조유로에도 분사노즐을 형성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동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한 바와같이 방염막(44)의 바닥유로(463)는 충전영역 바닥과 밀착되어 어느 정도의 수밀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내부로 분사된 소화약제를 담수할 수 있어 전기차 배터리팩 부분이 담수된 소화약제에 잠기게 하는 수조효과에 의해 신속한 배터리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60)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내의 각종 신호를 제어하는 장치이며, 충전장치(20)내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충전시설과는 이격된 안전지역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충전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시 충전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제공하거나, 카메라측정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일반영상 및 열화상을 제공받아 기설정된 비교데이터와 대비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판단시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정상확인 또는 이상에 대해 대응하는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차단소화장치를 작동시키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측정단계로서, 전기차가 충전영역에 주차하면 카메라측정장치를 통해 주차된 전기차의 바닥을 포함하여 전후좌우 상부 중 복수로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확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복수의 카메라측정장치를 통해서 촬영된 일반영상과 열화상을 제어장치가 제공받아 다음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영상정보DB에 일단 저장한 후 다음단계 수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분석단계가 수행된다. 제어장치는 카메라측정장치에서 제공받은 영상정보 또는 영상정보DB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연기나 또는 불꽃의 발생여부를 판독한다. 또한, 열화상을 분석하여 배터리온도 또는 전기공급라인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다. 즉, 연소에 의한 연기나 불꽃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기본사항으로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발생된 부분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지 여부와, 확대 또는 감소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여 분석패턴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열화상을 통한 자료에서 민감한 부위 예컨대 주로 화재가 발생되는 배터리 부분과,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충전라인부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변환여부를 분석하여 분석패턴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패턴판단단계가 수행된다. 제어장치는 생성된 분석패턴정보를 정상적인 충전과정에서 나타나는 온도분포상태를 포함하는 저장패턴과 대비하여 분석된 온도가 정상패턴의 범위에 있는지 아니면 정상패턴범위를 벗어난 비정상패턴인지를 판단한다.
패턴판단단계에서 비정상패턴으로 판단되면 관리자확인정보입력단계를 수행한다. 즉, 제어장치는 비정상패턴과 유사하다고 분류되면 전기차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충전을 차단시킨다. 또한, 제어장치는 경보를 작동시켜 이상여부를 충전소 내의 관리자나 이용자에게 알려 확인 및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분석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등록된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고, 관리자단말기로부터 후속진행여부에 대한 확인정보를 입력받도록 한다. 이때 관리자단말기로 전송되는 영상정보는 불꽃이나 연기에 의한 이상징후일 경우 이를 표시하여 신속한 후속진행여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장치는 최종판단단계를 수행한다.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관리자확인정보가 화재인 경우에는 제어장치에 등록된 인근지역의 소방서서버 또는 소방서단말기로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소방서서버 또는 소방서단말기로부터 소화작업을 실행하는 소화실행정보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연소에 의한 연기나 불꽃의 경우 연속적으로 확인될 경우 화재로 판단하여 즉시 또는 최단기간에 약제탱크를 개방하여 소화약제 분사에 의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열화상에 의한 과열이 감지될 경우 전력차단후 차량의 주요부위에 대한 열변화가 화재로 연결되는 패턴과 유사(시간에 따른 온도상승정도를 대비)하면 관계자의 신속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작동신호 또는 대기신호를 수신받게 한다. 상기 유사정도는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사도가 90% 이상일 경우를 화재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소방서단말기 또는 소방서서버로 정보를 제공하고 소방서단말기 또는 소방서서버로부터 소화약제 분사여부에 대한 최종결정인 소화실행정보를 제공받거나 대기하라는 정보를 제공받도록 한다. 상기 소화약제 분사여부의 최종결정은 고열에 의한 자체발화가 이루어지는 온도에 도달하기 수십초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타인 재산상에 의한 다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발화가 발생됨이 확인되면 소화작업을 진행하여 추가적인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소화장치작동단계를 수행한다. 소방서단말기 또는 소방서서버로부터 소화작업을 실행하라는 소화실행정보가 입력되면 충전소의 차단소화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화작업은 차단소화장치 단독으로 작동되게 하거나, 후술되는 천공소화장치와 함께 작동되어 차단소화장치에 의한 화염확산 방지와 전기차 외부에 대한 소화작업과, 천공소화장치의 배터리천공에 의한 신속한 안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천공소화장치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천공소화장치(50)는,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매립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천공하우징(51)과, 상기 천공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설치되는 첨단봉(52)과, 상기 첨단봉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유공압실린더(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천공하우징(51)은, 전기차가 밟아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강도를 크게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첨단봉이 배출되는 천공이 형성된다. 상기 천공은 노출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고무판 등으로 덮어 외부로부터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판은 천공이 형성된 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거나, 천공하우징 상부면전체에 층으로 덮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판은 연성으로 형성하여 첨단봉이 천공을 통해 상부로 승강시 승강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도록 하면서, 파손후 첨단봉의 외면에 밀착되어 소화약제가 천공부분을 통해 천공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천공 내측 주면에 패킹을 부착시켜 승강되는 첨단봉과 밀착되어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단봉(52)은, 상단은 차체 하부를 뚫을수 있도록 첨단부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약제공급관을 통해 약제탱크와 연결되어 소화약제를 공급받고, 내부에는 내부유로(521)가 형성되고 상부의 측면방향으로는 내부유로(521)와 연통된 다수개의 천공토출구(5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약제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소화약제는 공급압력에 의해 첨단봉(52) 내부의 내부유로(521)를 통해 천공토출구(522)로 전달되어 측면으로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첨단봉(52)은 전기차의 배터리팩에 내입되어 배터리팩 내부에서 소화약제의 분사가 이루어져 배터리팩을 신속하게 안정화시키는데 기여한다.
아울러 상기 유공압실린더(53)는 첨단봉(52)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유공압실린더(53)는 천공하우징(51) 내부에 고정시키고 실린더로드만 인출시키게 하고, 실린더로드는 회동연결바에 의해 첨단봉(52) 하부에 연결되고, 회동연결바에는 고정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유공압실린더(53)에서 실린더로드가 배출되면 배출력은 회동연결바를 통해 첨단봉으로 전달되어 첨단봉(52)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천공하우징(51) 자체를 더 승강시킴으로써 전기차 저면과 천공하우징(51)을 근접배치해 첨단봉(52)의 돌출길이를 최소화하면서 배터리팩 내부로 첨단봉을 진입시켜 소화약제의 주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천공하우징 내부 또는 천공하우징이 내입되는 바닥공간에는 화재진압과정에서 유입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공 또는 배수라인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라인에는 단속밸브를 설치하되 차단소화장치의 작동과정에서는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폐구시켜 방염막 내부에 소화약제를 일정량 담수시켜 소화가 이루어지는 수조기능이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소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와 도 6c는 작용상태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소화장치(50)는, 유공압으로 경사판(55)을 이동시키고, 경사판 상부에 경사면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첨단봉(52)을 안치시켜 경사판에 의해 첨단봉을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조로 천공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천공소화장치(50)는 천공하우징(51)의 내부공간 중 바닥에 가이드벽(54)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벽(54)에는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수직가이드공(54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가이드공(541)에 후술되는 승강블록(56)의 승강돌기(561)가 내입되어 승강블록을 수직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이동방향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수직가이드공(541)의 폭은 승강블록의 승강돌기와 동일하거나 수직이동가능하도록 유격을 갖는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가이드벽 사이의 바닥에는 경사판(55)이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판(55)은 최앞단에서 후방측으로 상향경사를 갖도록 상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삼각벽체이다. 상기 경사판(55)은 하나의 경사판으로 형성하거나,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고 후방에 연결부가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55)은 천공하우징 바닥면에 레일을 통해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판의 후방측에는 유공압실린더(53)가 결합된다. 유공압실린더는 유공압을 전달받아 로드를 인출시켜 경사판(55)을 밀거나 당겨 전후진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승강블록(56)은, 양측에 승강돌기(561)가 형성되며, 승강돌기(561)는 가이드벽(54)의 수직가이드공(541)에 내입되어 승강블록을 수직방향으로만 승강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저면에는 경사판이 위치하는 후방측 일부 또는 전체면을 경사판 상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공압실린더 작동에 의해 경사판을 전진시키면 승강블록은 경사판 상부의 경사면에 슬라이딩 안내되어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첨단봉(52)은 승강블록의 상부에 결합된다. 첨단봉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내부유로와 천공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유로는 약제공급관을 통해 약제탱크와 직접 연결되거나, 승강블록(56)을 통해 연통되어 소화약제를 공급받는다.
상기 첨단봉(52)은 천공하우징의 양측으로 지그재그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공압실린더도 지그재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10)은, 카메라측정장치(30)에 의해 화재발생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화재발생시 차단소화장치(40)의 방염막(44)을 펼쳐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염막(44) 내부로는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전기차 외부로부터 소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충전소 바닥에 설치된 천공소화장치(50)는 첨단봉(52)을 상승시켜 전기차 바닥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천공하여 진입하고,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주입시켜 안정화시킴으로써 내부로부터의 소화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등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소화작용이 시행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유용한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다.
10 : 화재진압시스템
20 : 충전장치
30 : 카메라측정장치
40 : 차단소화장치
41 : 약제탱크 42 : 이송관
43 : 방염하우징 44 : 방염막
45 : 밀폐공간 46 : 유로
441 : 연결구 461 : 방사유로
462 : 수직유로 463 : 바닥유로
464 : 분사노즐
50 : 천공소화장치
51 : 천공하우징 52 : 첨단봉
53 : 유공압실린더 54 : 가이드벽
55 : 경사판 56 : 승강블록
521 : 내부유로 522 : 천공토출구
541 : 수직가이드공 561 : 승강돌기
60 : 제어장치
70 : 전기차
미도시부호 : 60

Claims (7)

  1.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가 주차되는 충전영역 일측에 설치되어 주차된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장치;
    상기 충전영역의 전방과 후방 및 바닥에 설치되어 전기차에 대한 일반영상 및 열화상을 측정하는 카메라측정장치;
    충전장치 내부 또는 충전영역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고 단속밸브에 의해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탱크와, 상기 약제탱크에 유입구가 연결되고, 전기차의 충전영역 상부에 토출구가 배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토출구부분에 박스형태로 장착되고 저면에 개폐구가 형성된 방염하우징과, 상기 방염하우징의 내부에 접혀서 보관되는 방염막으로 구성되며, 소화작업시 방염막은 돔형태의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쳐지면서 전기차가 내포되도록 덮어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방염막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즐을 통해 약제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내포된 전기차를 소화시키는 차단소화장치와;
    상기 카메라측정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일반영상 및 열화상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차단소화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소화장치의 방염막은,
    다층으로 형성되고, 방염막 중앙의 연결구를 통해 이송관의 토출구와 연통되어 소화약제를 공급받고, 상기 방염막 내부에는 공급받은 소화약제를 이송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로는 토출구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유로가 형성된 방염막의 내측면에는 밀폐공간 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소화약제 공급에 의해 방염막이 돔형태로 펼쳐지면서 분사노즐을 통해 밀폐공간으로 소화약제 분사가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이송관 토출구와 연결된 지점에서 방사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방염막 중심부를 측면으로 펼쳐지게 하고,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방사유로와;
    상기 방사유로와 일단이 연통되고 하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수직배치되어 내부면적을 확장시키고, 밀폐공간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수직유로와;
    상기 다수개의 수직유로 중 인접한 수직유로를 서로 연결시켜 환 또는 사각형으로 폐구시키고, 내입된 소화약제 중량에 의해 충전영역의 바닥에 밀착되어 내부에 분사된 소화약제를 포집시키는 바닥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 발생시 다수개의 첨단봉을 상부로 돌출시켜 전기차 바닥을 관통해 배터리 내부로 진입시키고, 약제탱크에서 공급받은 소화액을 첨단봉을 통해 배터리 내부로 주입하여 소화시키는 천공소화장치;가 매립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차단소화장치 또는 천공소화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작동시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소화장치는,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매립되어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천공하우징과;
    상기 천공하우징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관이 연통되고, 상단 또는 상부 일측에는 약제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를 내부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천공토출구가 형성된 첨단봉과;
    상기 첨단봉에 유공압을 전달하여 승강시키는 유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소화장치는,
    전기차 충전영역의 바닥에 매립되어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천공하우징과;
    상기 천공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벽체구조로, 대향되는 내면에는 수직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벽과;
    상기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가이드벽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면으로 형성된 삼각벽체인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후방측에 연결되어 경사판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유공압실린더와;
    상기 가이드벽의 수직가이드공에 내입되는 승강돌기가 양측면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저면에는 후방측 일부 또는 전체면을 경사판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경사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관이 직통 또는 승강블록을 통해 연통되고, 상단 또는 상부 일측에는 약제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약제를 내부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천공토출구가 형성된 첨단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카메라측정장치를 통해 전기차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는 영상측정단계와;
    측정된 영상정보를 통해 연기나 불꽃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배터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여부를 연속으로 분석하여 패턴을 확인하는 영상분석단계와;
    상기 영상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영상정보의 분석패턴을 저장패턴과 대비하여 정상패턴인지 또는 비정상패턴인지를 분류하는 패턴판단단계와;
    영상정보의 분석패턴이 비정상패턴과 유사하다고 분류되면 충전되는 전원을 차단하면서 경보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거나, 등록된 관리자단말기로 영상을 전송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자확인정보입력단계와;
    관리자확인정보가 충전소화재이면 등록된 소방서단말기로 연결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소방서단말기로부터 소화실행정보를 제공받는 최종판단단계와;
    소화실행정보를 제공받으면 차단소화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소화장치작동단계;를 포함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시스템.
KR1020230060434A 2023-05-10 2023-05-10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KR10257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434A KR102577099B1 (ko) 2023-05-10 2023-05-10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434A KR102577099B1 (ko) 2023-05-10 2023-05-10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099B1 true KR102577099B1 (ko) 2023-09-12

Family

ID=8801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434A KR102577099B1 (ko) 2023-05-10 2023-05-10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1596A (zh) * 2023-09-22 2023-12-22 上海邦盟成套电气有限公司 新能源车紧急撤离系统
CN117565710A (zh) * 2024-01-15 2024-02-20 武汉合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桩内外智能降温防火灭火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242A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1474B1 (ko)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470858B1 (ko) 2021-08-27 2022-11-25 서한나 살수 구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
KR20230016563A (ko) * 2022-02-03 2023-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화재 진압 장치 및 방법
KR20230025546A (ko) * 2021-08-12 2023-02-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242A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25546A (ko) * 2021-08-12 2023-02-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504119B1 (ko) 2021-08-12 2023-02-2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470858B1 (ko) 2021-08-27 2022-11-25 서한나 살수 구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
KR20230016563A (ko) * 2022-02-03 2023-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화재 진압 장치 및 방법
KR102431474B1 (ko)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1596A (zh) * 2023-09-22 2023-12-22 上海邦盟成套电气有限公司 新能源车紧急撤离系统
CN117565710A (zh) * 2024-01-15 2024-02-20 武汉合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桩内外智能降温防火灭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7099B1 (ko)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시스템
KR1024314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552703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자동소화시스템
KR102409287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CN111137173B (zh) 电动汽车及其热失控防护方法
JP2016504505A (ja) モジュラー型防火フローリング
CN215537956U (zh) 一种电动车充电站火灾自动报警灭火系统
KR102530655B1 (ko) 자동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방법
KR102579072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소방 시스템
UA78781C2 (uk) Автоматичне обладнання пінного пожежегасіння для великих резервуарів з вуглеводнями
KR102584199B1 (ko)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WO1993012839A1 (en) Extinguishing and controlling fires in the aircraft cargo bay area
KR102481519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수소 충전소 구조
KR102626312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59880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진압용 침수장치
CN110949893B (zh) 用于地上油库的应急系统及地上油库
CN215653525U (zh) 降温阻断系统及电池库
CN205759221U (zh) 环保型多功能车载消防设备
CN212439785U (zh) 一种悬挂式电动汽车火灾保护装置
KR102670457B1 (ko) 튜브형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장 소화방재 시스템
KR102607797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대응을 위한 고정형 바닥살수장치를구비한 소화수조
CN114306991A (zh) 一种消防充电装置
CN117559053B (zh) 一种基坑式储能系统
KR102663069B1 (ko) 주차장 내 화재 전파 방지 및 소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